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프로젝트 생성후 빌드시 에러 발생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처음 프로젝트를 생성 후 빌드 했는데 에러가 발생하네요JDK버전을 맞춰주라고 해서 맞췄는데도 에러가 있네요에러 사진 첨부합니다.
-
미해결딥러닝 CNN 완벽 가이드 - TFKeras 버전
안녕하세요 교수님
'Dense Layer로 Fashion MNIST 예측 모델 구현하기 - 이미지 데이터 확인 및 사전 데이터 처리' 강의코드중 궁금한 내용이 있어 질문드립니다.train_images[0, :, :] 코드를 사용하셨는데 train_images[0]이 아닌 이미지 인덱스에 전체 행과 열을 불러오는 부분을 추가하신 특별한 이유가 있을까요?
-
미해결[초급편] 안드로이드 커뮤니티 앱 만들기(Android Kotlin)
강의 잘듣고 디테일을 좀 수정해보고 싶은게 있어서 힌트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1. ContentListActivity 관련해서 응용해보고 싶은게 있습니다! val database = Firebase.database val category = intent.getStringExtra("category") // 받은 카테고리 val 값 when (category) { "category1" -> { myRef = database.getReference("contents") } "category2" -> { myRef = database.getReference("contents2") } "category3" -> { myRef = database.getReference("contents3") } "category4" -> { myRef = database.getReference("contents4") } "category5" -> { myRef = database.getReference("contents5") } "category6" -> { myRef = database.getReference("contents6") } "category7" -> { myRef = database.getReference("contents7") } "category8" -> { myRef = database.getReference("contents8") } }이런식으로 강의내용에 추가해서 카테고리를 여러개 추가했는데요tip의 category1 이미지가 ALL입니다. 그래서 ALL에는 category2 부터 category8까지의 이미지가 모두 랜더링 됐으면 합니다. getReference에는 복수의 path를 넣을수 없게끔 되어있고 독스에 가서 읽어봐도 관련된 내용은 찾지못해서 어떻게 하는게 좋을지 잘 모르겠어서 글을 남깁니다.2. 댓글쓸때 title, time 만 랜더링되게끔 만들고싶은데 content도 같이 랜더링됩니다. 이걸 어떻게 해야 삭제할수있을까요?
-
해결됨[2025 리뉴얼]플러터플로우로 코딩 없이 한달 안에 앱 만들기
섹션2.1부 프로필 완성하기 selected reference to update 에 authenticated User 에 설정 질문
"섹션2.1부 프로필 완성하기" 수강중아래 이미지와 같이 selected reference to update 에 authenticated User 에 설정을 하려하는데알려준 항목이 없고, 선택이 되지 않습니다. 다른 source를 찾아봐도 알려준 항목이 없는데 왜 그런걸까요?이부분 설정이 안되어서 계속 에러로 남아서 run도 되지 않습니다. 어떤부분을 봐야할까요?
-
미해결데이터 분석 SQL Fundamentals
데이터베이스 연결시 오류가 발생합니다
안녕하세요. 오랜만에 디비버를 실행시켰더니 계속 위와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디비버와 포스트그레 재설치를 반복하고 방화벽에 추가해 보아도 같은 현상이 발생하네요..구글링을 해보아도 해결책을 찾지 못하겠습니다. 도와주십시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DIP구현 중, AOP과의 이슈가 발생하여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알려주신 내용을 바탕으로 제 개인프로젝트에 적용해서 리팩토링을 해보고있는데요! DIP를 위배하지않기위해@Getter @Configuration public class IamportConfig {@Value("${secret.sec.key}")private String secretKey ;@Value("${api.api.key}")private String apiKey ;@Bean public IamportClient iamportClient(){ return new IamportClient(apiKey, secretKey); } }이런식으로 IamportConfig를 선언해서 주입을 해주었고실제 코드에는private final PurchaseService purchaseService;private final ItemService itemService;private final IamportClient iamportClient;private final RedissonClient redissonClient;private final JwtUtil jwtUtil;private final IamportConfig iamportConfig;이렇게 선언했습니다!이후 @PostMapping("/api/payment/cancel") private boolean cancelPayment(@RequestBody RefundRequestDto refundRequestDto) throws JsonProcessingException { RestTemplate restTemplate = new RestTemplate(); String url = "https://api.iamport.kr/payments/cancel"; // 요청 파라미터 설정 MultiValueMap<String, String> formData = new LinkedMultiValueMap<>(); formData.add("impUid", refundRequestDto.imp_uid()); formData.add("checksum", String.valueOf(refundRequestDto.checksum())); formData.add("reason", refundRequestDto.reason()); // 요청 헤더 설정 HttpHeaders headers = new HttpHeaders(); headers.setContentType(MediaType.APPLICATION_FORM_URLENCODED); String token = getAccessToken(new PaymentRequestDto.getToken(iamportConfig.getApiKey(), iamportConfig.getSecretKey())); headers.set("Authorization", "Bearer " + token); // 요청 객체 생성 HttpEntity<MultiValueMap<String, String>> requestEntity = new HttpEntity<>(formData, headers); // 요청 보내기 ResponseEntity<String> response = restTemplate.postForEntity(url, requestEntity, String.class); // 응답 처리 if (response.getStatusCode() == HttpStatus.OK) { // 각 아이템에 대해 수량 롤백 진행 purchaseService.rollbackItemsQuantity(refundRequestDto.imp_uid()); // 주문 상태 변경 purchaseService.ChangeStatusToCancelled(refundRequestDto.imp_uid()); return true; } else { return false; } } 이런 코드를 사용하는과정에서 String token = getAccessToken(new PaymentRequestDto.getToken(iamportConfig.getApiKey(), iamportConfig.getSecretKey()));이부분의 iamportConfig 가 null로 나오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다방면으로 답을 찾아보다가 AOP를 전부 주석처리하니까 해결되더라구요. 그래서 AOP의 적용범위에서 해당 컨트롤러를 제외시켰는데 해결이 되었습니다.이를통해 좀 알아보니까 AOP가 실행되는 시점은 새로운 PaymentRequestDto 인스턴스가 생성되기 전 이므로AOP 프록시 객체가 cancelPayment를 감쌀때 PaymentRequestDto는 null이게 된다.(AOP 로직이 @Value로 주입된 프로퍼티 값에 접근하기 전에 실행되어 값을 정상적으로 참조할 수 없는 상황이 발생)라는 결론에 다다르게 되었는데, 제가 잘 이해한게 맞을까요?...!
-
미해결[게임 프로그래머 도약반] DirectX11 입문
상수버퍼도 공용적으로 사용하는게 좋나요?
공통적인 상수버퍼를 셰이더마다 생성하는것이 아니고리소스매니저처럼 따로 상수버퍼를 만들어놓고 받아와서 사용하는 식으로 해도 되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상속
public class cd{public int amt ;........... } public class ab extends cd{public int count ;public void method(){count += amt ;}이 상황에서 class ab 는 cd 의 instance variable 인 amt 를 자유자재로 쓸 수 있나요? 그렇다면 위와 같이 그냥 amt 만 써야 하나요?마찬가지로 이 아래 BankAccount class 의 private double balance 가 아니라 public double balance 였다면 Checking class 에서 만약 withdraw method 를 public void withdraw{transcations ++ ;balance = balance + amt ; } 라고 해도 되는건가요 ?
-
해결됨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controllerV1 사용이유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V3까지 공부하다가 너무 헷갈려서 다시 V1으로 와서 공부하고있습니다. 3분 30초 쯤에 ControllerV1 즉 interface를 사용하는 이유를 들어도 너무 헷갈립니다.각각의 컨트롤러는 인터페이스를 의존하고 프론트컨트롤러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request, response를 넘겨주면서 각각의 컨트롤러가 받는 형식으로 생각하고 있었습니다. 근데 정작 왜 사용하는지 제대로 이해를 못하고있는 것 같아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MethodEx4 지역변수 선언 관련 질문
[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안녕하세요. 공부하는 도중에 질문이 있어서 남깁니다.1. 왜 balance 지역변수는 메인 메서드 범위 내에 선언을 하고 0으로 초기화를 하였는지 왜 amount 지역변수는 while문 범위 내에 선언을 하고 초기화를 하지 않았는지초기화값을 줄 때와 주지 않을 때의 상황이 따로 있는것인지 위에 3가지가 궁금합니다. 이미 여러 예제들을 통해 제가 작성한 코드와 강사님이 작성하신 코드를 비교해봤을 때, 발생한 공통된 질문들입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스프링 빈 상속 관계에서 6분쯤 라이브코딩하는데
강사님과 똑같이 쳤는데 빨간줄이 뜨네요 뭐가 문제일까요?
-
해결됨[JS] Phaser 게임 제작 - 뱀파이어 서바이벌 클론
addAttackEvent 속도가 너무 빠르면 이런 오류가 발생하네요
addAttackEvent(this, "beam", 3, 1, 100)속도를 위처럼 빠르게 하면 몹이 한마리 죽으면서 아래 오류가 나오는데 이런 경우는 어떻게 해야하나요?beam.js:31 Uncaught RangeError: Maximum call stack size exceeded at Beam.setVelocity (beam.js:31:19) at Beam.setVelocity (beam.js:32:18) at Beam.setVelocity (beam.js:32:18) at Beam.setVelocity (beam.js:32:18) at Beam.setVelocity (beam.js:32:18) at Beam.setVelocity (beam.js:32:18) at Beam.setVelocity (beam.js:32:18) at Beam.setVelocity (beam.js:32:18) at Beam.setVelocity (beam.js:32:18) at Beam.setVelocity (beam.js:32:18)
-
해결됨스타트업 성장과 함께하는 AWS 클라우드 아키텍쳐 올인원
Route 53 , Nginx 관련 질문
안녕하세요! 강의 정말 잘 보고 있습니다. 저도 웹 검색을 통해 주먹 구구식으로 AWS 를 사용하다가, 강사님의 강의를 들으니 왜 이런 설정을 해야하는지 이해가 잘갑니다. 정말 감사합니다. 근데 하나 궁금한게 생겨 질문드립니다.https 인증을 위해 강의에서 ACM을 사용하셨는데, 그 방식을 유지한다면 추후에 백엔드 서버에 nginx를 설치하여 웹서버를 구축할 필요하가 있는걸까요? 현재 제가 구축한 웹서버는nginx와 certbot을 이용하여 https인증을 진행한 상황입니다.강사님의 강의를 듣고 업데이트를 해볼 생각인데,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Docker를 이용하여 백서버와 nginx, certbot 이미지를 사용해서 서버를 구축해볼 예정이었는데, nginx,certbot이 꼭 필요한지 의문이 들었습니다.)
-
미해결[신규 개정판] 이것이 진짜 크롤링이다 - 기본편
pip는 내부 또는 외부명령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pip는 내부 또는 외부명령 ,실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배치 파일이 아닙니다. 라고 나옵니다. 그래서 인터넷에서 떠돌아다니는 걸 아래와 같이 해서 해봐도 되지 않습니다. 환경변수 설정이 되어 있습니다. 동시에 위처럼 오류가 나는데요. pip를 실행할수가없습니다. 도와주세요. ㅠ.ㅠ
-
미해결Svelte.js [Core API] 완벽 가이드
5 라이프사이클 모듈화 - 질문
크게 3가지 정도 동작이 이상해서 문의 드립니다.1) 강의 따라 입력하고 실행하다 보면 내가 입력한 코드가 자동으로 없어 지네요. 에러 나서 살펴보면 그래요주로 import 로 시작하는 문장이구요 다른것두 있는지는 ... 2) 저장 세이브 하면 코드 뒤에 자동으로 세미콜론이 붙네요.삭제해도 또 붙구요, 안 붙는 방법이 없을까요또한 import { aaa, bbb} 라면 지가 맘대로 { bbb, aaa } 순으로 순서가 바뀌구요또한 세로로 정렬이 되네요. 3) App.svelte 파일에서 {#if done} 로 해야 동작하네요강의내용대로 $done 하면 안되구요Something.svelte 파일에서는 $ 붙여야 하구요 세팅이 깨졌나요, 아님 다른 이유가 있는지 모르겠네요.또한 동작이 좀 틀립니다. Hello Lifecycle! 는 변하지 않고 계속 보이구요. 코드가 틀린지 몰라 몇번이나 봐도 그건 아닌거 같구요 4) 올리신 코드는 Trello 코드 같은데 별도로각 강의마다 했던 짧은 코드지만 파일로 올려주셨으면 조겠네요.강의 화면 찾아가면서 비교하기 너무 힘들고 시간이 많이 걸리네요.
-
미해결[리뉴얼] 처음하는 파이썬 데이터 분석 (쉽게! 전처리, pandas, 시각화 전과정 익히기) [데이터분석/과학 Part1]
오메 갑자기 난이도가 확 올라간 느낌입니다 ㅠ
csv 함수들이 많네요..pandas 들어가기도 전에 벌써 할께 많네용pandas에 들어가기 전 이정도 csv 함수들은 인지가 되어야 하겠죠?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섹션 5 - 3(타입 안전 열거형 패턴) if 문대신 개선된 switch 문으로 변경
package enumeration.ex2; public class DiscountService { public int discount(ClassGrade grade, int price) { if (grade == ClassGrade.BASIC) { return price / 100 * 10; } if (grade == ClassGrade.GOLD) { return price / 100 * 20; } if (grade == ClassGrade.DIAMOND) { return price / 100 * 30; } return 0; } } package enumeration.ex2; public class DiscountServiceTest { public int discount(ClassGrade grade, int price) { switch (grade) { case ClassGrade.BASIC -> { return price / 100 * 10; } case ClassGrade.GOLD -> { return price / 100 * 20; } case ClassGrade.DIAMOND -> { return price / 100 * 30; } default -> { return 0; } } } } 안녕하세요. 위의 코드 같이 if 문으로 사용하면 정상적으로 실행이 가능한데아래 처럼 if 문을 개선된 switch 문으로 바꾸면 왜 컴파일 오류가 뜨는지 정확히 알고 싶습니다.case 에는 리터럴 상수만 사용 가능하고참조값은 case에 적을 수 없는 것 같은데 맞나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dataSource 우선순위(?)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ItemServiceApplication에 test일때만 dataSource를 직접 정의해주었는데인메모리 DB가 properties에 정의한 datasource보다 우선되는건가요?h2 서버 끄고 properties는 그대로 둔 채 돌려도 정상작동 하는 것으로 봐선 properties의 datasource는 아예 시도를 안 하는 것 같은데...인메모리가 있으면 무시하고 넘어가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코딩은 실전이다! - Git알못을 위한 깃린이코스(Git, Github 실습위주)
slack 초대 부탁드립니다!
bigcocoa2002@gmail.com 입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강의에서 진행된 React-query로 prefetchQuery와 서스펜스를 사용한 패턴에 대해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이 강의 덕분에 Next를 기반으로 다양한 프로젝트들을 진행할 수 있게 됐습니다!그러던 도중, 문득 강사님에게 배운 일부 내용에 대해 궁금한것이 추가적으로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prefetchQuery를 하게 될 경우 그 원리가 궁금합니다export default async function TabDeciderSuspense() { const queryClient = new QueryClient(); await queryClient.prefetchInfiniteQuery({ queryKey: ['posts', 'recommends'], queryFn: getPostRecommends, initialPageParam: 0, }); const dehydreatedState = dehydrate(queryClient); return ( <HydrationBoundary state={dehydreatedState}> <TabDecider /> </HydrationBoundary> ); } 위 코드에서 HydrationBoundary 로 dehydreatedState를 넘겨주는 원리가queryFn: getPostRecommends 를 통해 반환받은 값이 캐싱된 QueryClient인스턴스 자체를 클라이언트 컴포넌트로 넘겨주고 클라이언트 컴포넌트에서는 넘겨받은 QueryClient인스턴스에서 queryKey를 통해 캐싱 데이터를 바로 사용하는 것인가요?아니면 QueryClient 인스턴스 자체를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인스턴스에 저장된 데이터와 상태 정보만(queryFn: getPostRecommends 반환값)클라이언트 사이드에서 사용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든 뒤(=직렬화) 클라이언트 사이드에서 이 정보만 QueryClient(RQProvider.tsx에서 만든)에 적용하는 것인가요? 다른 글을 보면 강사님께서 prefetchQuery를 사용한 이유가 해당 페이지에 왔을 때 미리 데이터를 불러와서 SEO 측면에서 유리함을 가져가기 위해서라고 하셨는데, prefetchQuery없이 서버 컴포넌트에서 fetch → 하위 클라이언트 컴포넌트에 props로 전달 하는 형태도 동일한 효과를 가져가는게 맞는것일까요? 이 강의에서 진행했던, 서버 컴포넌트의 Suspense + 클라이언트 컴포넌트의 useSuspenseQuery 의 패턴을 적용할 때 발생하는 문제가 있습니다.(이 부분은 강사님의 코드가 아니라 저 혼자 이 강의를 토대로 직접 실습을 해보면서 맞닥뜨린 문제입니다.)현재 클라이언트 컴포넌트에서는 CORS대비 프록시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next.config.js async rewrites() { return [ { source: '/api/:path*', // 외부 백엔드 api로 프록시 destination: `${process.env.NEXT_PUBLIC_BASE_URL_DEV}/api/:path*`, }, ]; }, 서버 컴포넌트에 Suspense를 걸어줍니다// page.tsx const page = ({ params }: PageProps) => { const slug = params.id; return ( <div> <Suspense fallback={<Spinner />}> <EditPresentation slug={Number(slug)} /> </Suspense> </div> ); }; 클라이언트 컴포넌트에서 useSuspenseQuery를 사용합니다const EditPresentation = ({ slug }: EditPresentationProps) => { const { data: value } = useSuspenseQuery({ queryKey: ['upload', slug], queryFn: async (presentationId: number) => { // 프록시 api const response = await fetch(`/api/presentations/${presentationId}`, { method: 'GET', }); if (response.ok) return await response.json(); }, }); return <>...</>; }; export default EditPresentation; 원래 이론대로라면 서버 컴포넌트의 <Suspense />에useSuspenseQuery의 queryFn이 걸려야 하는데, 브라우저 새로고침을 하게 되면 실행은 잘 되면서 동시에 아래의 에러가 발생합니다…(제 생각은) 클라이언트 컴포넌트도 어쨌든 처음에 서버를 거치게 되는데, 아마 서버에서는 프록시를 사용한 api를 읽어내지 못해서 발생하는 문제 같긴 한데,,, 혹시 이런 경우에는 어떻게 처리하는게 좋을까요...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