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MySQL on Docker
docker에서 percona 컨테이너 생성시
안녕하세요. 현재 mac m1으로 docker에 percona를 강사님과 같은 방식으로 설치하려고 하는데요. 오류가 발생하면서 percona를 설치할수 없다고 합니다.docker images를 조회하면 percona가 있는데요..그냥 mysql로 설치해서 사용해도 될까요?최대한 강사님과 같은 버젼으로 진행하고 싶습니다..
-
해결됨[유니티 레벨 업!] 모듈식으로 개발하는 퀘스트&업적 시스템
퀘스트의 상태인 QuestState를 다른 스크립트에서 받을 수 있나요
이 수업 내용을 토대로 프로젝트에 적용중입니다. 구현중인 내용이 퀘스트의 상태에 따라 대화문이 다르게 출력되도록 하고싶은데 대화문을 출력하는 코드에서 퀘스트의 현재 상태를 가져오지 못합니다. 이렇게 현재 구현했고 SerializeField 를 통해 불러오고 싶은 스크립터블 오브젝트 Quest를 참조했습니다.그런데 QuestGetDialogue()이 코드를 호출했을 때 퀘스트를 받고 난 후에도 Running 상태의 코드를 출력하지 않고 if(quest.State == QuestState.Inactive) { dialogueEvent.dialogues = DataBaseManager.instance.GetDialogue((int)quest.InactiveQuestline.x, (int)quest.InactiveQuestline.y); Debug.Log(quest.State); }여전히 이 코드를 받아옵니다. Debug.Log 를 통해 확인해봤을 때 Quest System에 등록된 퀘스트는 제대로 상태가 변하는데 이 스크립트에서 변한 상태를 못 받아오는거 같아 질문드립니다. ㅠㅠ
-
미해결탄탄한 백엔드 NestJS, 기초부터 심화까지
error_code : Property 'user' does not exist on type 'Request<ParamsDictionary, any, any, ParsedQs, Record<string, any>>'.ts(2339)
안녕하세요! 저와 같은 수강생 여러분, 반갑습니다.분명 저와 같은 에러를 겪고 분투하는 사람을 위해서 제 경험을 공유 드립니다. 저 같은 경우 선생님 코드를 그대로 따라 진행을 했었는데요.특히나 CustomDecoration 부분에 있어서 그대로 따라 진행을 했습니다. 정확히 이 부분에서 에러가 발생을 하더라구요.return request.user as CatCurrentDto; 에러의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Property 'user' does not exist on type 'Request<ParamsDictionary, any, any, ParsedQs, Record<string, any>>'.ts(2339) 해결방안은 선생님이 보여주신 nestJS의 공식문서를 참고해서 다시 적어보았는데요. Request를 제거해주시면 저 부분이 잡힙니다. 버전이 자꾸 바뀌기때문에 매개변수, 메소드, 각각의 요구되는 필드값 또한 바뀌는것 같습니다. 무언가 잘 안될때는 제공해주신 공식문서 찾는것도 좋은 방법인거 같습니다. 저와 같은 에러를 만나신분에게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었음좋겠습니다. 아래는 전체 로직 입니다. [user.decorator.ts] -> 제공된 소스코드 수정한 코드import { CatCurrentDto } from './../../cats/dto/cats.current.dto'; import { createParamDecorator, ExecutionContext } from '@nestjs/common'; export const CurrentUser = createParamDecorator( (data: unknown, ctx: ExecutionContext) => { const request = ctx.switchToHttp().getRequest(); return request.user as CatCurrentDto; }, ); [user.decorator.ts] -> 제공된 소스코드import { CatCurrentDto } from './../../cats/dto/cats.current.dto'; import { Request } from 'express'; import { Cat } from '../../cats/cats.schema'; import { createParamDecorator, ExecutionContext } from '@nestjs/common'; export const CurrentUser = createParamDecorator( (data: unknown, ctx: ExecutionContext) => { const request: Request = ctx.switchToHttp().getRequest(); return request.user as CatCurrentDto; }, );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편)
liveness probe 실습 로그 문의
안녕하세요. 수업이 쿠버네티스 개념을 잡는데 큰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 가르침 감사드립니다. <Pod - ReadinessProbe, LivenessProbe 실습> 영상 내용 중에 궁금한 점이 있어 문의드립니다. 영상 후반 부에 LivenessProbe 의 동작 확인을 위해서 /health 에 대한 응답을 500 으로 변경하는 부분인데요.로그와 events 의 내용들을 보면/health 가 Internal Server Error 를 반환LivenessProbe 가 3회 실패kubelet 이 pod 를 죽이고 새로 실행Failed connect to 10.98.134.186:8080; 연결이 거부됨pod 가 restart 되면서 정상적으로 응답을 반환순으로 동작을 하네요. 이 과정에서 4번째에 있는 연결이 거부됨 로그의 경우, kubelet 에 의해서 pod 가 restart 가 되면서 외부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Pod 가 없기 때문에 발생하는 걸로 이해를 했는데요.이 샘플은 livenessProbe 의 동작을 확인 하기 위한 샘플로써, readinessProbe 에 대한 설정이 없기 때문에 pod 이 restart 되는 동안에 service 에서 pod 의 연결을 해제하지 않고 일부러 외부 요청을 받는 상황을 가정하고 있는 건가요 ?? 본문 작성 후 추가)만약 컨테이너가 준비성 프로브를 지원하지 않는다면, 기본 상태는 Success 이다.출처: 쿠버네티스 공식 문서 - 프로브 종류에 보니까, 따로 컨테이너에 설정하지 않는 경우에는 prode 의 상태가 success 라고 하는데. 이것 때문에 일까요?샘플 예제에서는 livenessProbe 만 설정해두었고 .. readinessProbe 에 대한 설정은 없었기 때문에 readinessProbe 가 success 상태로 남아 있고 때문에 pod 가 service 와의 연결을 해제하지 않고 계속 붙어있는 상태 였기 때문에 Failed connect to 10.98.134.186:8080; 연결이 거부됨 을 로그에서 확인했다고 보면 맞을까요..? 아니면 단순하게 readinessProbe 가 없기 때문에 상태를 알 수 없어서 서비스와 파드의 연결을 해제하지 않고 유지했다고 봐야 할까요 ??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문득 ArrayList 에 대해 궁금해졌습니다.
[질문 내용]안녕하세요! ArrayList 에 대해 이것저것 찾아보던 중 이런 내용이 있었습니다. ArrayList,Map 은 동시성 이슈가 있어 ArrayList 대신 CopyOnWriteArrayList를 Map 대신 ConCurrentHashMap 을 쓰라는 내용이었습니다. 이에 대해 실제 스프링으로 개발할 때 위 내용이 어떻게 응용되는지 이해가 안되고 찾지 못해서 질문드립니다. 뭐 단순히 ArrayList 에 정수 넣고 실험해서 동시성 이슈가 있다라고 파악을 한다고 치더라도 뭐 어느 경우에 적용해야 하는지 이해가 안갑니다. 질문 요약 1) ArrayList 대신 CopyOnWriteArrayList 를 써야 하는 실무적인 실제 예를 들어주세요! 지금까지 영한님한테 배웠던 대로 양방향 관계에서 List = new ArrayList<>로 초기화 해줬는데 그러면 이는 유저가 많은 멀티스레드 환경에서 위험한 것 아닌가요?? public PostResponseDto showDetailsPost(final Long postId){ //Post + PostImage + Post 게시글 작성자 함께 영속화 Post post = findPostWithFetchMemberAndImage(postId); //첫 댓글 Reply (대댓글 X) + 부모댓글 작성자 함께 영속화 List<Reply> parentReply = replyRepository.findParentReplyByPostIdWithFetchMember(postId); List<ReplyResponseDto> replyResponseDtoList = new ArrayList<>(); //부모-> 자식 순으로 DTO 순서 저장. for(Reply parent: parentReply){ replyResponseDtoList.add(ReplyResponseDto.of(parent,makeNickNameForReply(parent),makeContentsForReply(parent)));위 코드는 List<ReplyResponseDto> 를 new ArrayList<>() 로 초기화 해서 add 로 넣어주는 부분이 있습니다. 이런 부분도 다 CopyOnWriteArrayList를 써야 하는 것인가요? 2) Map 도 마찬가지입니다. 실제 Map 대신 ConcurrentHashMap 을 써야 했던 실무적인 예를 들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딥러닝을 활용한 자연어 처리 (NLP) 과정 (기초부터 ChatGPT/생성 모델까지)
201_classify_text_with_bert_tfhub_Kor.ipynb 오류
안녕하세요?201_classify_text_with_bert_tfhub_Kor.ipynb 소스 수행 시 아래와 같은 오류가 납니다.구글 colab gpu에서 돌리고 있습니다. (오류 이미지도 같이 첨부합니다.)왜 오류가 나는지 답변 부탁 드립니다. ValueError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ipython-input-17-3b4b1d94b15e> in <cell line: 1>() ----> 1 classifier_model = build_classifier_model() 2 bert_raw_result = classifier_model(tf.constant(text_test)) 3 4 print(bert_raw_result) 5 print(tf.sigmoid(bert_raw_result)) 7 frames/usr/local/lib/python3.10/dist-packages/keras/src/backend/common/keras_tensor.py in __array__(self) 59 60 def __array__(self): ---> 61 raise ValueError( 62 "A KerasTensor is symbolic: it's a placeholder for a shape " 63 "an a dtype. It doesn't have any actual numerical value. " ValueError: Exception encountered when calling layer 'preprocessing' (type KerasLayer). A KerasTensor is symbolic: it's a placeholder for a shape an a dtype. It doesn't have any actual numerical value. You cannot convert it to a NumPy array. Call arguments received by layer 'preprocessing' (type KerasLayer): • inputs=<KerasTensor shape=(None,), dtype=string, sparse=None, name=text> • training=None
-
미해결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언어
8분 33초경 질문
int f(int)[]; int(*f(int))[]; int g(int)(int); int(*g(int))(int); 안에서 밖으로 해석하는 게 좋다고 하셔서 그렇게 하고 있습니다.그렇게 하면 다른 건 다 해석이 되는데 위의 네 개의 예시만 해석이 안됩니다.맨 뒤에 괄호가 붙은 걸 어떻게 해석해야 할지 모르겠습니다. https://www.inflearn.com/questions/22987 링크의 질문하신 분이 해석한 것 처럼 하면*(asterisk)가 없는 건 해석이 되는데 있는 건 또 해석이 안됩니다. int f(int)[];는 반환값이 int[] 이고 int g(int)(int);는 반환값이 "parameter가 int고 반환값도 int인 함수" 인걸로 해석이 되는데*가 붙으면 해석이 안되네요 항상 좋은 답변 정말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어노테이션 질문이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질문이 있습니다 API 강의 듣다가 궁금증이 생겨서 질문을 남기게 되었습니다. @RequestParam 은 매개변수의 값을 반환하는건가요?@RequestMapping("/save") public ModelAndView save(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 String username = request.getParameter("username"); int age = Integer.parseInt(request.getParameter("age")); ... }이 코드를@PostMapping("/save") public String save(@RequestParam("username") String username, @RequestParam("age") int age, Model model) { ... }요렇게 바꿔줄 수 있는 역할이 @RequestParam 인 건가요? 그리고 RequestParam 을 쓸때 달아주는 어노테이션이 @ResponseBody 인건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for문 중첩(피라미드 *)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반복문 문제풀이2 7분 29초>j <= i 부분이 이해가 안됩니다.i가 i++로 증감이 되지만 j도 마찬가지로 j++로 증감되어서 i가 1일 때 j도 1i가 2일 때 j도 2i가 3일 때 j도 3 인 거 아닌가요??
-
미해결자바스크립트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코딩테스트 대비)
코드 리뷰 부탁드립니다.
영상 안 보고 풀어봤는데 while문 하나로만 풀었습니다. 부탁드려요// N일 동안 매출기록을 주고 연속된 K일 동안의 최대 매출액이 얼마인지 구하라. function solution(n = 0, k = 0, arr = []) { let answer = 0; let left = 0; let right = 0; let sum = 0; while (right < n) { // 0~k-1 까지 right로만 움직임. if (right < k) { sum += arr[right++]; answer = sum; } else if (right >= k) { sum -= arr[left++]; sum += arr[right++]; if (sum > answer) answer = sum; } } return answer; } console.log(solution(10, 3, [12, 15, 11, 20, 25, 10, 20, 19, 13, 15])); // 56 // 11 20 25 => 56
-
미해결파이썬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코딩테스트 대비)
스도쿠 검사 코드 확인
저는 처음 풀 때 겹치면 안되는 조건때문에 set으로 했고 이전에 배운 dx dy를 사용하여 칸마다 계산하는 것을 했는데 혹시 이런 방식도 되는지 여쭤봐도 될까요? a=[list(map(int,input().split())) for _ in range(9)]dx=[0,3,6,0,3,6,0,3,6]dy=[0,0,0,3,3,3,6,6,6]for i in range(9): b=set() c=set() for j in range(9): b.add(a[i][j]) c.add(a[j][i]) if len(b)!=9 or len(c)!=9: print("NO") break d=set() for k in range(3): #가로 for l in range(3): #세로 d.add(a[k+dx[i]][l+dy[i]]) if len(d)!=9: print("NO") breakelse: print("YES")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학습방향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mvc강의를 2편까지 모두 듣고 야생형코스를 따라가려고 jpa1편을 수강중입니다.현재 섹션2까지 들었는데 도메인 분석과 엔티티설계시 강사님께서 설명해주신 다대다관계, 연관관계 메서드 등 확실히 이해는 안가지만 이런게 있구나 하며 넘어가도 되는걸까요?이 강의에서는 jpa를 알아가보는 것보다 스프링에서 jpa를 어떻게 쓰는지만 알고 이 강의 듣고 기본편으로 넘어가도 되는걸까요?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트랜잭션 시작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pdf에 @Transactional 설명하는 부분에서 테스트 시작 전에 트랜잭션을 시작하고~ 라는 말이 있는데, 여기서 말하는 트랜잭션이 시작한다는게 무엇을 시작한다는 건가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알고 있던 내용과 달라서 조금 혼동됩니다.
안녕하세요 영한님. 자바를 복습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이번 파트 정말 이해가 잘 되게 설명해주셔서 내용을 이해하는데는 어려움이 없었는데 기존에 알고 있던 지식때문인지 혼동되는 부분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기존에 알고 있는 지식은 자식 인스턴스 생성시 '부모의 필드 값과 가상 메서드 테이블 등의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의 인스턴스 생성'이었습니다. 그런데 이번 강의 내용에선 '외부에서 볼때는 하나의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것 같지만 내부에서는 부모와 자식 모두 생성되고 공간도 구분'이라고 하셨습니다. 그렇다면 이 문장을 '부모부터 자식 클래스까지의 모든 인스턴스를 생성'이라고 봐야하나요? 아니면 '부모부터 자식까지의 모든 메타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의 인스턴스를 생성'이라고 봐야하나요? 뒤에서 배울 super()를 통해 자식 인스턴스 생성시 부모 생성자를 필수로 호출하므로 '모든 인스턴스'를 생성하는 것도 말이 될 거 같지만 만약 모든 인스턴스를 메모리에 생성한다면 메모리가 비효율적으로 사용되는 것도 같아 이 부분이 좀 헷갈립니다.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3: 유니티 엔진
딕셔너리 new 로 생성하는 것에 대한 에러?
안녕하세요유니티짱 폴더를 강의와 같이 정리하다 보니, 위 경고 메시지가 떴습니다. 그런데 해당 위치는 Dictionary 등 유니티 모노비헤비어 에서 상속받은 게 아닌데... 왜 뜨는 걸까요? 그것도 유니티짱 경로 정리 하다가 그런 경고가 갑자기 뜨는 이유를 알 수가 없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Period, Duration
안녕하세요 강의 듣던중 궁금한게 생겼는데Period, Duration을 사용하지 않고LocalDateTime으로만 대체 가능한거 아닌가요 ?? 특별히 Period, Duration 객체를 사용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 대체가 가능하다면용도가 달라서 만든 객체라고 생각하면 될까요 ??
-
해결됨장래쌤과 함께하는 쉽고 재미있는 SQL 이야기
ELT 함수와 FIELD함수 질문입니다.
함수 개념과 기능이 상이하여 질문드립니다.ELT()함수는 나열된 값 중에서 지정한 위치의 값을 반환하는 함수이고,FIELD()함수는 나열된 값 중에서 지정한 값이 있는 위치를 반환하는 함수라고 배웠습니다. 그런데 ELT()함수 기능 자체에는 지정한 위치의 값을 반환하는 것이지, 값을 변경하는 함수가 아닌데ELT(NTILE(3) OVER(ORDER BY salary DESC), '상', '중', '하') AS grp해당 코드를 통해 1은 '상', 2는 '중', 3은 '하'로 변경됩니다.(NTILE(3) OVER(ORDER BY salary DESC), '상', '중', '하'로 인해 이름이 바뀌는 것이라고 해도, ELT자체는 특정 위치의 값을 호출하는 함수인데, 지정 위치 숫자도 없고, 어떻게 이런 결과가 가능한지 이해가 안 갑니다!) 또한 FIELD()함수 기능 자체에는 위치를 반환하는 것이지, 호출 순서를 나열하는 것이 아닌데,ORDER BY FIELD(dept_id, 'MKT', 'HRD', 'SYS')해당 코드를 통해 'MKT', 'HRD', 'SYS' 순서로 데이터가 호출됩니다.(ORDER BY에 의해 순서가 정렬되는 것이라고 해도, FIELD자체는 위치를 호출하는 함수인데, 어떻게 이런 결과가 가능한지 이해가 안 갑니다!) ELT()와 FIELD()함수 자체는 각각 위치의 값을 반환하는 기능, 위치를 반환하는 기능이 있으나,ELT()는 값을 변경할 수 있고,FIELD는 호출 순서를 지정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고 추가적으로 이해하면 되는 걸까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setter 주입 시의 생성자
클래스에 생성자가 단 1개 존재하는 경우 @Autowired를 생략할 수 있다고 하셨는데, 이는 생성자 주입을 하는 경우에만 해당하는걸까요? setter 주입을 하기 위해 OrderServiceImpl에 setter를 정의하고 각 setter에 @Autowired를 붙였다면, 이때는 생성자 주입이 아닌 setter 주입이 이뤄지는 걸까요? 제가 추가적으로 OrderServiceImpl의 생성자에 출력문을 두었더니 memberRepository에 스프링 컨테이너에 존재하는 MemoryMemberRepository 객체의 주소값이 들어왔습니다... 생성자 주입도 이뤄지고 setter 주입도 이뤄지는 건가요...?public Ord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System.out.println("OrderServiceImpl.OrderServiceImpl"); System.out.println("memberRepository = " + memberRepository);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this.discountPolicy = discountPolicy; }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낙관적 락에 대해 질문이 있습니다.
Hibernate는 @Version을 사용하고, Lock 옵션을 @Lock(LockModeType.OPTIMISTIC)을 사용할 경우에 NONE 모드와 다르게 엔티티를 수정하지 않고 단순히 조회만 해도 버전을 확인한다고 강사님 JPA 책에 작성되어있습니다. 실제 코드로 구현해보니 버전만 확인하는거 같더라구요그 사이에 다른 트랜잭션이 해당 엔티티를 수정하여 버전이 변경되어도 ObjectOptimisticLockingFailureException 예외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간단하게 로직을 설명드리면 트랜잭션 A가 옵티미스틱 락 모드로 회원을 조회합니다. version = 0트랜잭션 A를 5초 대기합니다.트랜잭션 B가 회원을 수정하여 버전이 변경됩니다. version = 1트랜잭션 B가 종료됩니다.5초가 지나 트랜잭션 A가 종료됩니다.트랜잭션 A가 종료될 때 옵티미스틱 락 모드라서 마지막에 버전을 확인합니다.select version as version_ from member where id=?그런데 트랜잭션 A가 종료될때에 회원 버전이 다르지만 예외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러면 OPTIMISTIC의 용도가 트랜잭션을 커밋할 때 버전 정보를 조회해서 현재 엔티티의 버전과 같은지 검증한다. 만약 같지 않으면 예외가 발생한다고 작성되어있는데 예외가 발생하지 않는다면 강사님께서 설명해주신 조회한 엔티티는 트랜잭션이 끝날 때까지 다른 트랜잭션에 의해 변경되지 않아야한다. 조회 시점부터 트랜잭션이 끝날때까지 조회한 엔티티가 변경되지 않음을 보장한다.이 말의 다른 의미가 어떤건지 궁금합니다 !아니면 제가 테스트를 잘못하고 있는 걸까요..? 아래는 로직에 대한 간단한 코드입니다.도메인package org.example.stock_rt_1.domain; import jakarta.persistence.*; import lombok.Getter; import lombok.NoArgsConstructor; @Entity @Getter @NoArgsConstructor public class Member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ublic Long id; private long personId; private int age; @Version private Long version; public Member(long personId, int age) { this.personId = personId; this.age = age; } public void addAge() { ++this.age; } }리포지토리package org.example.stock_rt_1.repository; import jakarta.persistence.LockModeType; import org.example.stock_rt_1.domain.Member; import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JpaRepository; import org.springframework.data.jpa.repository.Lock; import java.util.Optional; public interface Member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Member, Long> { @Lock(LockModeType.OPTIMISTIC) Optional<Member> findByPersonId(Long id); }서비스package org.example.stock_rt_1.service; import lombok.RequiredArgsConstructor; import org.example.stock_rt_1.domain.Member; import org.example.stock_rt_1.repository.MemberRepository;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Service; 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Transactional; import java.util.Optional; @Service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MemberService { public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Transactional public void addAge(long personId) { sleep(500); //findMember가 먼저 실행되야하기 때문에 넣었습니다. Member 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PersonId(personId).orElseThrow(); member.addAge(); } @Transactional public void findMember(long personId) { memberRepository.findByPersonId(personId); sleep(5000); } private void sleep(long mills) { try { Thread.sleep(mills); } catch (InterruptedException e) { System.out.println("e = " + e.getMessage()); } } }테스트코드package org.example.stock_rt_1.service; import org.example.stock_rt_1.domain.Member; import org.example.stock_rt_1.repository.MemberRepository; import org.junit.jupiter.api.DisplayName;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 @SpringBootTest class MemberServiceTest { @Autowired private MemberService memberService; @Autowired private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Test @DisplayName("회원 정보를 조회중 다른 트랜잭션에서 정보를 변경했다.") void addAge() throws InterruptedException { // given int personId = 5555; memberRepository.save(new Member(personId,15)); // when Thread selectThread = new Thread(() -> memberService.findMember(personId),"트랜잭션-A"); selectThread.start(); Thread updateThread = new Thread(() -> memberService.addAge(personId),"트랜잭션-B"); updateThread.start(); selectThread.join(); updateThread.join(); } }로그[트랜잭션-A] : select m1_0.id,m1_0.age,m1_0.person_id,m1_0.version from member m1_0 where m1_0.person_id=? Hibernate: select m1_0.id,m1_0.age,m1_0.person_id,m1_0.version from member m1_0 where m1_0.person_id=? [트랜잭션-B] : select m1_0.id,m1_0.age,m1_0.person_id,m1_0.version from member m1_0 where m1_0.person_id=? Hibernate: select m1_0.id,m1_0.age,m1_0.person_id,m1_0.version from member m1_0 where m1_0.person_id=? [트랜잭션-B] : update member set age=?,person_id=?,version=? where id=? and version=? [트랜잭션-B] : select version as version_ from member where id=? [트랜잭션-A] : select version as version_ from member where id=?
-
해결됨개발자를 위한 쉬운 도커
leafy 사이트 로그인 에러 문의
안녕하세요. leafy 사이트 로딩까지 하였고 DB 백엔드, 프론트엔드까지 도커실행 완료했어요.. 근데 사이트 로그인이 안되네요 ㅋㅋㅋ id : john123@qmail.compw: password123 이걸 아무리 여러번 쳐도 똑같아요.. 1. 궁금한게 postgre DB를 도커에서 다운받으면 초기 데이터가 들어가있는걸까요?? 이거 로그인이 안되서 postgre DB를 살펴보고 싶은데 docker 실행중인 DB 데이터 확인할수 있는 방법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