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Microservice 구현 (with EDA,Hexagonal, DDD)
음성 부분이 너무 깨지는데...
이런 부분은 빨리 보안해 주셔야 하지 않을까요?중간 내용이 알아 들을수 없어서 너무 답답 합니다.싼강의도 아니고... 만들어 진지 좀 된거 같은데 빠른 보안이 필요해 보입니다.그리고 인프런은 이런부분은 한번은 검증해야 하지 않나요.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왜 요청에다가 AthenticFilter를 적용할까요?
apigateway의 application.yml을 보면 get요청에는 authorizationHeaderFilter를 적용시키고 있습니다. authenticFilter는 그저 로그인 요청시 attempthAuthentication메소드와 successfulAthentication메소드를 통해 인증을 처리하고 response헤더에 토큰을 추가하는 역할입니다. 따라서 로그인 요청에만 적용하면 될 것 같은데, 깃허브의 최신코드 버전을 보면 거의 모든 요청에 authenticationFilter를 적용하고 있습니다. 왜 로그인요청이 아닌 다른 요청에다가 AthenticFilter를 적용할까요? apiGateway-service에서 GET요청만 AuthoriztionFilter를 적용하면 되지않나요??http.authorizeHttpRequests((authz) -> authz .requestMatchers(new AntPathRequestMatcher("/actuator/**")).permitAll() .requestMatchers(new AntPathRequestMatcher("/h2-console/**")).permitAll() .requestMatchers(new AntPathRequestMatcher("/users", "POST")).permitAll() .requestMatchers(new AntPathRequestMatcher("/h2-console/**")).permitAll() // .requestMatchers(new AntPathRequestMatcher("/welcome/**")).permitAll() // .requestMatchers("/**").access(this::hasIpAddress) .requestMatchers("/**").access( new WebExpressionAuthorizationManager("hasIpAddress('127.0.0.1') or hasIpAddress('172.30.1.48')")) .anyRequest().authenticated() )
-
해결됨[개정판] 파이썬 머신러닝 완벽 가이드
분류실습 중 데이터 분리 후 학습에 대해서 질문있습니다.
권철민 교수님! 늘 감사드립니다.늘 업데이트도 해주셔서 정말 감동입니다 :) 질문 있습니다!산탄데르 만족예측관련해서 주신 실습코드에 보면,XGBoost의 "early_stopping_rounds" 를 사용하기 위해학습데이터 셋 분리분리된 데이터에서 조기종료 검증셋 분리모델학습이렇게 구성되어있습니다. ## 1. 학습셋 분리 X_train, X_test, y_train, y_test = train_test_split(X_features, y_labels,test_size=0.2, random_state=0,stratify=y_labels) ## 2. X_train, y_train을 다시 학습과 검증 데이터 세트로 분리. X_tr, X_val, y_tr, y_val = train_test_split(X_train, y_train, test_size=0.3, random_state=0, stratify=y_train) ## 3. 모델 훈련 from xgboost import XGBClassifier from sklearn.metrics import roc_auc_score # n_estimators는 500으로, learning_rate 0.05, random state는 예제 수행 시마다 동일 예측 결과를 위해 설정. xgb_clf = XGBClassifier(n_estimators=500, learning_rate=0.05, random_state=156) # 성능 평가 지표를 auc로, 조기 중단 파라미터는 100으로 설정하고 학습 수행. xgb_clf.fit(X_tr, y_tr, early_stopping_rounds=100, eval_metric='auc', eval_set=[(X_tr, y_tr), (X_val, y_val)])여기서 질문이 있습니다.최종적으로 모델을 만들때는 X_train, y_train 셋으로 사용해야 더 많은 데이터로 학습을 하기에 성능이 좋지 않나요? 아무래도, X_tr 보단 X_train셋의 데이터가 많으므로 좋을거 같아서요.. 물론, 조기종료(early_stopping_rounds)를 사용하지 못하겠지만... 아니면 일단 조기종료를 통해 하이퍼파라미터를 찾고, 그 파라미터로 맨 마지막에 X_train을 사용하라는 의미로 생각해도 될까요?? 교수님께 늘 감사드리며, 24년도 늘 건강하고 행복한 일들로만 가득하길 기원합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미해결[아파치 카프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개념부터 컨슈머, 프로듀서, 커넥트, 스트림즈까지!
파티션 복제의 성능이슈는 없나요?
안녕하세요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복제강의 수강중 궁금한점이리더 - 팔로워 간의 복제시 팔로워에서 리더의 오프셋을 확인해 차이점이 있다면 팔로워로 저장한다고 이해했는데요.이러한 복제 과정으로 인해 리더파티션에 이슈가 생길만한 케이스가 있는지 궁금합니다.기본적으로 리더 파티션이 프로듀서 - 컨슈머와의 통신을 담당하기에 팔로워 파티션에서 복제과정을 담당하게 되는 형태인것 같아 문제가 없을것 같긴한데 .. 꼭 이렇게 생각하고 넘어가면 문제가 생기더라구요 ㅎ..혹시 복제과정이 리더 파티션 성능에 영향을 주게될만한 이슈가 있을지 우려되서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눈떠보니 코딩테스트 전날
코딩 처음인데 환경 세팅을 어떻게하는지 모르겠어요
VScode만 써봤는데 다른것 같더라고요. 어떤 환경에서 코딩하는건지 설명해주는 영상은 없나요?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Mvc방식에서 메서드의 파라미터에 Model model을 사용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그리고 api방식에서의 질문이 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뒷 내용이 어려워서 다시 복습하는중인데 파라미터에 Model model을 사용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파라미터로 받지 않고 메서드 내부에서 Model model;model.addAttribute(모델데이타, value); 이렇게 사용할 수 는 없는건가요? 그리고 api통신에서 어노테이션에 @ResponseBody를 확인하면 html로 반환하지 않는다고 인식 후 return이 스트링인지 객체인지 확인 후 어떤 형식으로 반환할지 정해지는것인가요?객체를 반환할 때 서버에 반환하던 웹 브라우저에 반환하던 스프링은 누구에게 반환을 하는건지 몰라도 되는것인가요? 예를 들면 현 강의에서는 웹 브라우저에 반환을 하였지만 리액트를 이용할 때는 노드환경(노드환경을 서버로 이해하였습니다.)에 반환을 하는 방식인데 스프링은 요청한 주체와 반환되는 값이 어디로 가는지는 알 필요가 없는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인자로 전달되는 request, response 객체는 참조값으로 공유되는건가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FrontControllerServletV2 에서 호출한 MemberListControllerV2 인스턴스 내부에서 인자로 받은 요청 객체에 members 값을 setAttribute 로 설정한것을 봤습니다. 이후 해당 인스턴스에서 반환한 MyView 객체를 통해 render를 수행하던데, 이때 req 에는 MemberListControllerV2에서 요청객체에 설정했던 members 값이 들어가는 것 같던데 원리가 무엇인가요?.. 저는 요청,응답 객체를 다른 인스턴스에 인자로 전달(복사)한다고 생각했습니다. 어떻게 frontControllerServletV2에서 MemberListControllerV2 에서 설정한 members 객체를 사용할 수 있는 건가요?
-
해결됨C개발자를 위한 최소한의 C++
차이점을 잘 모르겠습니다.
주신 프로그램 중 constructSelect.cpp 에서 디폴트 생성자를 지우면 에러가 발생하는데 virtualFunction 에서는 디폴트 생성자가 없어도 동작합니다. constructSelect.cpp 에서 선언 방식이 아닌 new 연산자를 사용해서 해봐도 에러가 발생하고객체 내에 멤버메서드가 없어서 그런가 해서 멤버를 만들어도 에러가 발생합니다VirtualFunction 내의 소멸자의 virtual 을 제거해도 이건 잘 작동합니다.눈으로 봐서는 도저히 차이점을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ModelAttribute 사용 이유가 헷갈립니다.
@Slf4j @Controller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LoginController { private final LoginService loginService; @GetMapping("/login") public String loginForm(@ModelAttribute("loginForm") LoginForm form) { return "login/loginForm"; } @PostMapping("/login") public String login(@Valid @ModelAttribute LoginForm form, BindingResult bindingResult) { if (bindingResult.hasErrors()) { return "login/loginForm"; } Member loginMember = loginService.login(form.getLoginId(), form.getPassword()); if (loginMember == null) { // 정보 불일치 시... // reject : 글로벌 오류 bindingResult.reject("loginFail", "아이디 또는 비밀번호가 맞지 않습니다."); return "login/loginForm"; } // 로그인 성공 처리 // TODO return "redirect:/"; // 성공 시 홈으로 리다이렉트 } }안녕하세요 '로그인 기능' 강의를 듣고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을 올립니다. @GetMapping("/login") public String loginForm(@ModelAttribute("loginForm") LoginForm form) { return "login/loginForm"; }위 메서드는 "/login"이라는 GET 요청이 오면 loginForm 파일을 실행하게 됩니다. 따라서 단지 화면을 출력하는 역할에 불과한데, 왜 @ModelAttribute("loginForm") LoginForm form을 작성하신건지 이해가 잘 가지 않습니다. @GetMapping("/login") public String loginForm() { return "login/loginForm"; }그냥 위처럼 작성하면 안되는건가요? 만약 PostMapping처럼 데이터를 저장하는 요청이라면, ModelAttribute를 통해 LoginForm의 인스턴스를 저장하는 것이 이해가 가지만,GetMapping에는 왜 작성하신건지 이해가 잘 안갑니다 ㅠㅠ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스프링메세지 소스 사용 오류
@SpringBootTest public class MessageSourceTest { @Autowired MessageSource ms; @Test void helloMessage() { String result = ms.getMessage("hello", null, null); assertThat(result).isEqualTo("안녕"); } }를 실행했더니org.opentest4j.AssertionFailedError: Expecting: <"??">to be equal to: <"안녕">but was not.필요:"안녕"실제 :"??" 2024-04-07 17:34:37.790 INFO 6288 --- [extShutdownHook] o.s.s.concurrent.ThreadPoolTaskExecutor : Shutting down ExecutorService 'applicationTaskExecutor'오류가 뜹니다. 이유가 뭔가요?
-
해결됨C개발자를 위한 최소한의 C++
이동생성자 관련
안녕하세요. 선생님 이동 생성자 강의 내용 중 질문이 있습니다. (아래 코드 참고) delete pnData를 하면, 포인터 변수가 해제되어pnData = rhs.pnData;를 실행할 수 없는 것이 아닌지 궁금합니다. 실재로는 포인터 값은 그대로고, 가리키는 값(int 0)만 삭제되는 것인가요? 포인터 값은 놔두고 가리키는 값만 없애는 문법은 어떻게 되나요? delete를 안하고, pnData = nullptr; 로만 수정해도 됬을 것 같습니다. class TestData { public: TestData(){ pnData = new int(0); } ... TestData(TestData&& rhs) noexcept{ delete pnData; pnData = rhs.pnData; rhs.pnData = nullptr; } ... TestData& operator=(TestData&& rhs) noexcept{ delete pnData; pnData = rhs.pnData; rhs.pnData = nullptr; } }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로그인까지는 되는데 /welcome에서 403 Forbidden 에러가 뜹니다.
안녕하세요. 깃허브에서 spring boot 3.2 브랜치통해 코드를 작성했습니다. 그런데 회원가입, 로그인까지 해서 jwt토큰까지는 잘 받아오는데, 그 이후에 /welcome으로 헤더에 토큰으로 추가해서 요청을 보내도 403 forbidden에러가 뜹니다. 코드는 spring boot 3.2 브랜치와 동일합니다.
-
해결됨[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1: C++ 프로그래밍 입문
팩토리얼 함수 질문
처음 메인함수에서 factorial(5)를 실행하면팩토리얼 함수로 들어가서 return을 n * factorial(n - 1)이잖아요 그러면5 * factorial(4)니까 함수가 다시실행되서5 * 4 * factorial(3)이런식으로 계속 호출 되는건가요?그리고 리턴값이 왜 120이 나오는지 조금 헷갈립니다 처음factorial(5)를하면 5 * factorial(4)일텐데 이값을 리턴해주는게 아니고 또다시 함수가 호출되는거같은데 혹시 리턴값이왜 120이 나오는지 설명해주실 수 있으실까요 ㅠ
-
미해결[아파치 카프카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개념부터 컨슈머, 프로듀서, 커넥트, 스트림즈까지!
온 프라미스의 서버랙, 클라우드의 리전 장애에 대비할 수 있는 카프카 설정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2강에서 설명해주신 레플리케이션 설정을 통한 고가용성 외에 서버 랙, 리전 장애에도 대비할 수 있는 카프카 설정이 무엇인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데이터 분석 SQL Fundamentals
비상관 서브쿼리 'DALLAS' 문의
안녕하세요, 비상관 서브쿼리 강의에서 아래 where 절의 여러 컬럼에 대해 문의드립니다.dept 테이블에는 loc 컬럼이 없고, 'DALLAS' 또한 새로 생성된 컬럼으로 보이는데 이것이 어떻게 매핑되어 dept가 '20'만 남는 건지 궁금합니다. select * from hr.dept where (deptno, loc) in (select deptno, 'DALLAS' from hr.emp where sal < 1300)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프론트엔드 코스
localstorage.setItem 위치 질문
수업에서는 '카운트다운 시작' 버튼 눌러서 Starter 함수가 실행되면 로컬 스토리지가 setInterval 함수로 인해 비워지기 때문에, CounterMaker 함수 내에 if문을 작성하여 해결하고 있습니다.저는 이 방법 말고 사진처럼 starter 함수 내부에서 setInterval 함수(clearTimer라고 작성한..) 호출 위치를 조정하여 해결하였는데, 이 방법에 문제가 있을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현재 1강 테스트중 오류내용입니다.
MemberRepositoryTest를 작성하고 실행하면 자꾸 이 오류가 뜨는데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UX/UI 시작하기 : Adobe XD 입문(Inflearn Original)
텍스트툴 질문
안녕하세요. 툴 강의 듣다가 질문이 생겼습니다. 강의에서는 포인트 텍스트랑 영역 텍스트 버튼이 나오던데 저는 다른 버튼이 나오더라고요 (사진 첨부합니다)강의 내용과 이 세가지 버튼의 기능도 알고 싶습니다.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7-M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큰돌 강사님 v[y-1][x-1].push_back(z); 로 하면 틀리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 입력으로 들어오는 x가 열 아닌가요?? 처음 두 개의 정수는 나무의 위치 (x, y)를 의미하고, 마지막 정수는 그 나무의 나이를 의미한다 답변 미리 감사드립니다 😄
-
미해결실전! 스프링부트 상품-주문 API 개발로 알아보는 TDD
실무 Asserta 사용여부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의를보다가 validation 검사를Assert Class를 활용하여 하고 계시던데실무에서도 자주 쓰는 문법인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