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현재 index.html이 뜨지 않고, 이전에 실행한 index.html화면이 뜹니다.
밸리데이션 프로젝트 index.html 입니다. 이 상태로 실행했는데 화면에는 폼 프로젝트 화면이 뜹니다. (이 프로젝트 실행전에 폼프로젝트를 실행했었습니다.)새로고침을 해도, 다시 시작해도, 새화면에서 띄워도 마찬가지입니다. index.html 파일을 삭제하고 새로 만들면 정상 화면이 뜨는데 이유가 뭘까요? (다른 프로젝트 실행때도 동일한 현상이 계속 나타났었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8:16초 컨트롤러의 파라미터에 질문이 있습니다.
이전 버전에서는 파라미터로 HttpServletRequest와 Response를 받았는데 V3버전부터 반환을 ModelView로 하는 이유와 그 파라미터로 맵이 사용되는 이유 그리고 맵의 키 벨류가 String 인데 각각이 어떤 값이 매칭되는건지 이해가 안됩니다. 지금 다시 복습하는 부분인데 다시 봐도 모르곘습니다…
-
해결됨설계독학맛비's 실전 Verilog HDL Season 2 (AMBA AXI4 완전정복)
dma의 read/write data width
안녕하세요 제공해 주신 코드를 수정해서 rdma와 wdma의 data width를 서로 다르게 설계해보았는데요.AWSIZE와 ARSIZE을 다르게 설정해도 큰 값으로 통일되어 error가 발생하더라구요. data width를 서로 다르게 설계하면 axi spec에 위배되는 것인가요? 잠깐 알아본 바로는 위와 같이 read/write의 width가 다른 data를 전송하고 싶은 경우 경우 큰 쪽의 data width에 맞춘뒤 narrow burst라는 것을 활용해서 data width보다 작은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방법이 있던데 이것을 사용해야 하는 것인가요?
-
미해결실무자를 위한 구글애널리틱스(GA4+GTM) 활용법(25년 Update)
추천 이벤트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자동으로 수집되는 이벤트향상된 측정 이벤트추천 이벤트맞춤 이벤트이렇게 4개의 이벤트가 있다고 이해 했습니다.이 중 1,2번 항목은 자동으로 수집되며 GA4에서 정의된 이벤트 이름으로 접근, 사용할 수 있다고 이해 했습니다.4번은 사용자가 직접 커스텀 하여 만드는 것이기 때문에 어떻게 사용 해야 하는지를 이해 하고 있습니다.그런데 3번에 대해, 구글에서 해당 이벤트 이름과 관련해 데이터를 수집해 제공해 주는 것인지요? 아니라면 사용자가 직접 이벤트를 만들어야 하는데 관련한 항목,즉 예를 들어 login에 대해 이벤트를 만들어 추적하고자 한다면, 트리거 요소나 매개변수 설정 등 원하는 항목들은 사용자가 직접 커스텀 하고대신, 이벤트 이름은 추천 이벤트의 테이블에 명시된 설명과 부합되는 login 이라는 이벤트 이름을 정의하여야 한다.그래야지 내가 원하는 이벤트의 value 뿐만 아니라 GA4의 머신러닝 기반의 분석에 활용되어 추가적인 분석 리포트로 제공되거나 탐색의 세그먼트 등에 활용되어 진다.이렇게 이해를 해야 할까요? 정확하게 어떻게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한 이해가 잘 와닿지 않아서 사용 프로세스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강의 자료 관련 문의
혹시 위 사진에 있는 이런 페이지(?)들 링크는 없는지 궁금해서 질문 남깁니다!!
-
해결됨2025년 CPPG 개인정보관리사 자격증 취득하기 (개정안 반영)
안전성 확보조치 기준이 언제 버전인지 궁금해요
2조의 정의와제5조의 3항의 내용이 고시 제2023-6호, 2023.9.22 시행 및 일부개정 버전과 다른거 같아서욤.. 국가법령정보센터에서 법령체계도로 봤을 때 저는 9월 22일 시행자료가 최신인 것으로 이해했는데 혹시 다른 버전이.. 어딘가 있나요?
-
미해결
spring Security 구현중 Servlet.service() for servlet [dispatcherServlet] in context with path [] threw exception 에러 발생
https://github.com/myungkeun02/spring_blog_3공부하고있는 코드입니다.제목 그대로 포스트맨으로 테스트중에Servlet.service() for servlet [dispatcherServlet] in context with path [] threw exception라는 에러가 발생합니다.구글링해서 문제가 발생할만한 부분을 모두 찾아 보았지만 해결이 안되어 글 올려봅니다.해결해주시는분께 아메리카노 쏩니다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회원가입 member 오류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프로젝트 먼저 첨부합니다.https://drive.google.com/file/d/1xDPF5Zfm4ou2KgjOeroxDoAaXHuuiE9s/view?usp=sharing 중복회원예외와 회원가입 테스트에서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org.springframework.dao.InvalidDataAccessResourceUsageException: could not prepare statement [Table "MEMBER" not found (this database is empty); SQL statement:select m1_0.id,m1_0.name from member m1_0 where m1_0.name=? [42104-224]] [select m1_0.id,m1_0.name from member m1_0 where m1_0.name=?]; SQL [select m1_0.id,m1_0.name from member m1_0 where m1_0.name=?] Caused by: org.hibernate.exception.SQLGrammarException: could not prepare statement [Table "MEMBER" not found (this database is empty); SQL statement:select m1_0.id,m1_0.name from member m1_0 where m1_0.name=? [42104-224]] [select m1_0.id,m1_0.name from member m1_0 where m1_0.name=?] Caused by: org.h2.jdbc.JdbcSQLSyntaxErrorException: Table "MEMBER" not found (this database is empty); SQL statement:select m1_0.id,m1_0.name from member m1_0 where m1_0.name=? [42104-224] 이 오류가 뜨기 전에도 실행은 되나, 테이블이 생성이 되지 않았는지 h2에서 select * from member; 했을 때 아무것도 나오지 않는 문제가 있었습니다. 더하여 http://localhost:8080/ 이 연결거부됐다고 나오면서 아예 접속이 되지 않습니다. 어떤 부분에 오류가 있을까요? 계속 다른 오류들이 나오면서 조금씩 수정해봤던 것이라 어디서부터 잘못된지도 잘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설계독학맛비's 실전 FPGA를 이용한 HW 가속기 설계 (LED 제어부터 Fully Connected Layer 가속기 설계까지)
axi4-lite 질문
안녕하세요 맛비님. AXI4_Lite 관련 질문을 드리게 되었습니다.1. 스위치나 버튼의 상태를 알려주는 reg의 값과 주소를 알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5장과 8장을 통합한 프로젝트를 만들려고 합니다. 각 스위치의 ON/OFF 상태를 UART로 상태를 print하는 것을 하려고 합니다.xilinx에서 제공하는 IP의 datasheet는 아래 페이지에서 원하는 IP를 검색하여 하는 것이 맞나요?https://www.xilinx.com/support.html#documentation
-
미해결[리뉴얼] React로 NodeBird SNS 만들기
[도메인 연결하기] 로그인 완료 후에 getServerSideProps 실행되지만,회원정보가 null 이 표시 되는 이유를 몰라서 질문드립니다.
React로 Nodebird sns를 시청하고 나서 개인 프로젝트를 만들고 나서 배포하는 과정에서 막히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기존에 localhost:3060 에서 로그인 완료후 메인화면으로 이동시 메인화면 서버사이드 렌더링이 실행됩니다.export const getServerSideProps = wrapper.getServerSideProps(async (context) => { const cookie = context.req ? context.req.headers.cookie : ''; axios.defaults.headers.Cookie = ''; if (context.req && cookie) { axios.defaults.headers.Cookie = cookie; } context.store.dispatch({ type: LOAD_MY_INFO_REQUEST, }) context.store.dispatch(END); await context.store.sagaTask.toPromise(); })그래서,const dispatch = useDispatch(); const { me } = useSelector((state) => state.user); me에 데이터가 들어있습니다. [도메인 연결하기] 영상 시청후Route 53, 가비아 주소, 탄력적 ip 주소를 사용하여 백엔드/ 프론트 서버를 실행하였습니다. 회원가입 후 로그인하고 나서 메인 화면으로 이동되면 쿠키가 저장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하지만로그인 후 메인 화면으로 이동하면, 메인page에 서버사이드 렌더링 코드(getServerSideProps)가 실행하고, export const getServerSideProps = wrapper.getServerSideProps( async (context) => { const cookie = context.req ? context.req.headers.cookie : ""; axios.defaults.headers.Cookie = ""; if (context.req && cookie) { axios.defaults.headers.Cookie = cookie; } context.store.dispatch({ type: LOAD_MY_INFO_REQUEST, }); context.store.dispatch(END); await context.store.sagaTask.toPromise(); } ); const dispatch = useDispatch(); const { me } = useSelector((state) => state.user); 이때 로그인한 사용자의 데이터 정보가 null로 표시됩니다.[back logs]왜 me가 null 인지 ? 무엇이 문제인지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 진행 순서[로그인 화면]: 아이디와 비밀번호 를 입력하고 확인 버튼을 누른다. 메인화면에서 서버사이드 렌더링 코드부분 실행하여 회원정보를 불러온다. (LOAD_MY_INFO_REQUEST) export const getServerSideProps = wrapper.getServerSideProps(async (context) => { const cookie = context.req ? context.req.headers.cookie : ''; axios.defaults.headers.Cookie = ''; if (context.req && cookie) { axios.defaults.headers.Cookie = cookie; } context.store.dispatch({ type: LOAD_MY_INFO_REQUEST, }) context.store.dispatch(END); await context.store.sagaTask.toPromise(); }) export default Blog;const dispatch = useDispatch(); const { me } = useSelector((state) => state.user); 3. [메인화면] 회원정보를 불러와 회원정보가 null 이여서 로그아웃 버튼으로 변경되지 않습니다. (me 정보가 null 여서 버튼이 변경되지 않습니다.) 쿠기는 유지되어서 로그인 화면으로 가서 로그인 할시 "로그인하지 않은 사용자만 접근 가능합니다" 안내창이 나옵니다.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LIS 예시 문제 boj 11053에서 lower_bound()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lower_bound()를 사용하는 방법으로 boj 11053을 풀면 답은 맞지만 로직 흐름이 맞지 않는 테스트 케이스가 있습니다. 410 20 30 11위 input을 입력하면 출력으로10 0 0 0 10 20 0 0 10 20 30 0 10 11 30 0 이렇게 나옵니다. 이러한 경우를 고려하지 않아도 괜찮나요?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로그인 성공 후 어떻게 진행되는지 이해가 안갑니다.
@Override protected void successfulAuthentication(HttpServletRequest req, HttpServletResponse res, FilterChain chain, Authentication auth) throws IOException, ServletException { String userName = ((User) auth.getPrincipal()).getUsername(); UserDto userDetails = userService.getUserDetailsByEmail(userName); byte[] secretKeyBytes = Base64.getEncoder().encode(environment.getProperty("token.secret").getBytes()); SecretKey secretKey = Keys.hmacShaKeyFor(secretKeyBytes); Instant now = Instant.now(); String token = Jwts.builder() .subject(userDetails.getUserId()) .expiration(Date.from(now.plusMillis(Long.parseLong(environment.getProperty("token.expiration_time"))))) .issuedAt(Date.from(now)) .signWith(secretKey) .compact(); res.addHeader("token", token); res.addHeader("userId", userDetails.getUserId()); } 여기서 로그인 성공 후 토큰이 발급된 뒤에 @Component@Slf4jpublic class AuthorizationHeaderFilter extends AbstractGatewayFilterFactory<AuthorizationHeaderFilter.Config> { Environment env; public AuthorizationHeaderFilter(Environment env) { super(Config.class); this.env = env; } public static class Config { // Put configuration properties here } @Override public GatewayFilter apply(Config config) { return (exchange, chain) -> { ServerHttpRequest request = exchange.getRequest(); if (!request.getHeaders().containsKey(HttpHeaders.AUTHORIZATION)) { return onError(exchange, "No authorization header", HttpStatus.UNAUTHORIZED); } HttpHeaders headers = request.getHeaders(); Set<String> keys = headers.keySet(); log.info(">>>"); keys.stream().forEach(v -> { log.info(v + "=" + request.getHeaders().get(v)); }); log.info("<<<"); String authorizationHeader = request.getHeaders().get(HttpHeaders.AUTHORIZATION).get(0); String jwt = authorizationHeader.replace("Bearer", ""); // Create a cookie object// ServerHttpResponse response = exchange.getResponse();// ResponseCookie c1 = ResponseCookie.from("my_token", "test1234").maxAge(60 60 24).build();// response.addCookie(c1); if (!isJwtValid(jwt)) { return onError(exchange, "JWT token is not valid", HttpStatus.UNAUTHORIZED); } return chain.filter(exchange); }; } private Mono<Void> onError(ServerWebExchange exchange, String err, HttpStatus httpStatus) { ServerHttpResponse response = exchange.getResponse(); response.setStatusCode(httpStatus); log.error(err); byte[] bytes = "The requested token is invalid.".getBytes(StandardCharsets.UTF_8); DataBuffer buffer = exchange.getResponse().bufferFactory().wrap(bytes); return response.writeWith(Flux.just(buffer));// return response.setComplete(); } private boolean isJwtValid(String jwt) { byte[] secretKeyBytes = Base64.getEncoder().encode(env.getProperty("token.secret").getBytes()); SecretKey signingKey = new SecretKeySpec(secretKeyBytes, SignatureAlgorithm.HS512.getJcaName()); boolean returnValue = true; String subject = null; try { JwtParser jwtParser = Jwts.parserBuilder() .setSigningKey(signingKey) .build(); subject = jwtParser.parseClaimsJws(jwt).getBody().getSubject(); } catch (Exception ex) { returnValue = false; } if (subject == null || subject.isEmpty()) { returnValue = false; } return returnValue; }여기로 넘어 오는 게 맞나요?그리고 그 뒤에 어떻게 진행되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
r-value reference와 std::move
안녕하세요! 항상 수고 많으십니다.r-value 레퍼런스와 move 함수에 대해 궁금한 것이 몇 있는데 나름 찾아봤지만 해소되지않은 부분이 있어 이렇게 여쭤봅니다. 아래와 같이 &&를 통해 r-value를 받고있는데요,{ int && ref = 5; cout << ref << endl; //ok ref = 3; // ok cout << &ref << endl; //ok } { ref; //error, 정의된 scope 밖 }원래 r-value이던 5는 잠시 레지스터든 어디에 임시 생성됐다가 표현식(;)이 끝나면 바로 사라질 예정이었지만l-value로 바뀌어 메모리에 직접 저장되는 형식으로 되어,l-value처럼 작동한다는 것이 적절한 이해인가요?(scope안에서는 계속 데이터 유효, scope 밖은 자동소멸 등..) move함수에 대해서, move는 인자로 들어간 것을 r-value로 리턴하여 소유권을 이전, 및 자신의 소유권은 박탈해줍니다.다음의 예시에서,string&& s가 r-value인 abc를 받고있는데요,이때 b는 move(s)를 통해 abc에 대한 소유권을 이전받고,s는 소유권을 박탈당해서 코드 실행시 다음의 결과가 나옵니다.b는 abc를 정상출력,s는 소유권을 박탈당해 아무것도 출력안함.즉 move가 소유권 이전, 박탈을 잘 해주는데요,한편, (15.4강 2:54부근)에서 가운데를 보면 res1이 move를 통해 r-value로 리턴되고 res2로 소유권(포인팅 주소) 이전 및 자신은 박탈 되는 것 처럼 보입니다.명확히 확인해보기 위해 저 주황줄 코드가 호출하는 생성자에 아래와 같이res1의 m_ptr의 주소를 찍어봤는데와 같이 널포인터(소유권상실)가 아닌 가지고 있던 주소를 계속 가지고 있습니다. 저희가 50번째 줄에 널포인터를 직접 넣기 전에도 소유권 박탈은 안 된 모습인데 move를 통해 소유권이 상실되는 string케이스와는 대비가 되는 모습입니다.string과 달리 사용자 정의 자료형은 이전이나 박탈은 사용자가 직접 정의 해줘야한다는 시각으로 이해하면 될까요?그리고 move를 통해 r-value로 바뀐다고 하는데 그렇다면 바로 위의 예시에서 res1는 r-value가 돼서 언뜻 보면 26번줄 이후로는 소멸될 것 같지만AutoPtr클래스인 res1에 테스트 멤버함수를 만들어 호출해봐도 정상적으로 작동이 됩니다. (i'am --> i'm 오타입니다)--> res1 test 멤버함수 --> 32번째 줄 test 멤버함수 호출이것을 토대로 생각해보면 res1에 대해 res1자체를 r-value로 수정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은 변경되는 것이 아닌 res1를 r-value로 가공한 걸 잽싸게 넘겨주고 자신은 바뀌는 것 없이 끝인 개념인가요?의 경우위에 해당하는 r-value 복사생성자로 이동합니다.이렇게 얕은복사가 진행됩니다.----------------------------------------------------이번에는 위에 move함수를 뺐는데요, 그러면에 해당하는 l-value복사생성자가 호출됩니다.실제로 30번 줄에 의해와 같은 깊은복사가 일어나게 됩니다.그래서 r-value를 써서 소유권 이전 등으로 얕은복사로 리소스를 적게쓰자가 지향점이겠으나그냥 단순히 아까 깊은복사가 일어나는 l-value복사생성자의 내용을처럼 그냥 얕은복사가 일어나도록 하는 코드로 갈아끼우면 되는 것 아닌가요?물론 저렇게는 오류가 나서처럼 const를 빼주면 정상작동합니다.위 실행결과 -->결과도 의도하는 얕은복사가 이루어지는데이런 방법이 왜 잘못된 건지 알고싶습니다.질문글이 좀 많이 길어 죄송한 면이 있네요.항상 친절한 답변 감사합니다.감사합니다.3번 질문에 해당하는 코드입니다.<main.cpp>#include "AutoPtr.h" #include "Resource.h"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template<class T> void MySwap(T& a, T& b) { //T tmp = a; //a = b; //b = tmp; T tmp{ std::move(a) }; a = std::move(b); b = std::move(tmp); } int main() { { AutoPtr<Resource> res1(new Resource(1000000)); cout << res1.m_ptr << endl; AutoPtr<Resource> res2 = res1; cout << res1.m_ptr << endl; cout << res2.m_ptr << endl; } return 0; } <AutoPtr.h>#pragma once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template<class T> class AutoPtr { public: T* m_ptr; public: AutoPtr(T* ptr = nullptr) : m_ptr(ptr) { std::cout << "AutoPtr default constructor " << std::endl; } ~AutoPtr() { std::cout << "AutoPtr destructor " << std::endl; if (m_ptr != nullptr) delete m_ptr; } AutoPtr(AutoPtr& a) : m_ptr(a.m_ptr) { a.m_ptr = nullptr; // really necessary? std::cout << "AutoPtr move constructor " << std::endl; } AutoPtr& operator = (const AutoPtr& a) { std::cout << "AutoPTr copy assignment " << std::endl; if (&a == this) // prevent self-assignment return *this; if (m_ptr != nullptr) delete m_ptr; // deep copy m_ptr = new T; *m_ptr = *a.m_ptr; return *this; } AutoPtr(AutoPtr&& a) : m_ptr(a.m_ptr) { a.m_ptr = nullptr; // really necessary? std::cout << "AutoPtr move constructor " << std::endl; } AutoPtr& operator=(AutoPtr&& a) { std::cout << "AutoPtr move assignment " << std::endl; if (&a == this) return *this; if (!m_ptr) delete m_ptr; //shallow copy m_ptr = a.m_ptr; a.m_ptr = nullptr; return *this; } void test() { std::cout << m_ptr << " i'am here " << std::endl; } T& operator*() const { return *m_ptr; } T* operator->() const { return m_ptr; } bool isNull() const { return m_ptr == nullptr; } };<Resource.h>#pragma once #include <iostream> class Resource { //private: public: int* m_data = nullptr; unsigned m_length = 0; public: Resource() { std::cout << "Resource constructed" << std::endl; } Resource(unsigned length) { std::cout << "Resource length constructed" << std::endl; this->m_data = new int[length]; this->m_length = length; } Resource(const Resource& res) { std::cout << "Resource copy constructed" << std::endl; Resource(res.m_length); for (unsigned i = 0; i < m_length; ++i) m_data[i] = res.m_data[i]; } ~Resource() { std::cout << "Resource destroyed" << std::endl; if (m_data != nullptr) delete[] m_data; } Resource& operator = (Resource& res) { std::cout << "Resource copy assignment" << std::endl; if (&res == this) return *this; if (this->m_data != nullptr) delete[] m_data; m_length = res.m_length; m_data = new int[m_length]; for (unsigned i = 0; i < m_length; ++i) m_data[i] = res.m_data[i]; return *this; } void print() { for (unsigned i = 0; i < m_length; ++i) std::cout << m_data[i] << " "; std::cout << std::endl; } void setAll(const int& v) { for (unsigned i = 0; i < m_length; ++i) m_data[i] = v; } };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username] 경로와 home 경로로 라우팅할 때 오류
"홈탭 만들면서 Context API" 강좌를 듣고 localhost3000/home에 들어가면 localhost3000/[username] 경로로 들어가지다가(화면에 '프로필 페이지'라고 뜨는 것을 보니 이런 것 같습니다! ) 화면이 빈 화면으로 바뀝니다.. 그리고 왼쪽 섹션에 있는 프로필을 클릭하면 아래와 같은 오류가 뜹니다 ㅠ 무슨 문제일까요? 오류 내용 : ⨯ Error: Cannot find module '/Users/ryuhojun/Documents/z-com/.next/server/app/(afterLogin)/[username]/page.js'Require stack:- /Users/ryuhojun/Documents/z-com/node_modules/next/dist/server/require.js- /Users/ryuhojun/Documents/z-com/node_modules/next/dist/server/load-components.js- /Users/ryuhojun/Documents/z-com/node_modules/next/dist/build/utils.js- /Users/ryuhojun/Documents/z-com/node_modules/next/dist/server/dev/hot-middleware.js- /Users/ryuhojun/Documents/z-com/node_modules/next/dist/server/dev/hot-reloader-webpack.js- /Users/ryuhojun/Documents/z-com/node_modules/next/dist/server/lib/router-utils/setup-dev-bundler.js- /Users/ryuhojun/Documents/z-com/node_modules/next/dist/server/lib/router-server.js- /Users/ryuhojun/Documents/z-com/node_modules/next/dist/server/lib/start-server.js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필드 오류 메세지를 골라 쓸수는 없나요?
메세지를 관리하는 공통 관리팀에서필드에 대한 required 메세지 4가지를 정의해 놨다고 가정할 때required.item.itemName=상품 이름은 필수입니다. required.itemName=이름은 필수입니다. required.java.lang.String = 필수 문자입니다. required = 필수 값 입니다.아래 명령어는bindingResult.rejectValue("itemName","required");required.item.itemName으로 정의된 에러 메세지(상품 이름은 필수입니다.)만 불러 올 수 있는거죠?개발자가 네가지 오류 메세지 중에서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은 없나요?
-
미해결기출로 대비하는 개발자 전공면접 [CS 완전정복]
노션 공유 부탁드려요
노션 공유 요청 드렸는데 아직 받지 못해서 질문글 남깁니다.메일은 bsy1343@naver.com노션은 thedark1343@gmail.com 입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윤파고의 정보처리기사 DB/프로그래밍 All-In-One
강의 3분 50초 두번째 예제코드 질문드립니다.
int a, hap = 0; for(a=0; a<5; a++, hap += a) ;초기 hap = 0a = 0일 때, hap = 0+0 => hap = 0a = 1일 때, hap = 0 + 1 => hap = 1a = 2일 때, hap = 1 + 2 => hap = 3a = 3일 때, hap = 3 + 3 => hap = 6a = 4일 때, hap = 6 + 4 => hap = 1010 아닌가요? 결과가 동일하게 15라고 되어있는데 어떻게 15가 되는 것인지 이해가 안됩니다...ㅜㅜ혹시 a<=5의 오타일까요..?
-
미해결공공데이터로 파이썬 데이터 분석 시작하기
주피터 노트북 실행 했는데 앞에 *가 생기고 결과가 나오지 않아요
그림처럼 * 가생기고 밑에 결과가 나와야 하는데 나오지 않는 이유가 어떻게 될까요??
-
미해결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소수 뒤집기 문제 다른 방식으로 풀기
복잡하게 푼 것 같기는 한데, 혹시 어떻게 수정하면 정답이 될까요?인풋, 아웃풋은 잘 나오는데 채점 사이트에서는 오답이라고 뜹니다. import java.lang.reflect.Array;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Arrays; import java.util.Scanner; class Main { public String solution(int n, int[] intArr){ String answer = " "; int[] intPrimeArray= new int[n]; for(int i=0; i<n; i++){ int indexInt= intArr[i]; int remain; int reverse=0; while(indexInt > 0){ remain= indexInt%10; reverse= reverse*10 + remain; indexInt = indexInt/10; } intPrimeArray[i] = reverse; int flag= 0; if(intPrimeArray[i]==1) flag=1; for(int j=2; j<intPrimeArray[i]; j++){ if(intPrimeArray[i] % j ==0 ) flag=1; } if(flag==0) answer += intPrimeArray[i] + " "; } return answ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ain T = new Main(); Scanner sc= new Scanner(System.in); int n = sc.nextInt(); int[] intArr = new int[n]; for(int i=0; i<n; i++){ intArr[i]= sc.nextInt(); } System.out.println(T.solution(n, intArr)); } }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쿼리파라미터 타임리프 param에 대해 질문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h2 th:if="${param.status}" th:text="'저장 완료'"></h2>이거와 같이 status를 모델에 안담고 바로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그럼 item객체 모델도 model.addattribute 사용 안하고 바로 html에서 ${param.item.id}로 사용 할 수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