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잘 이해가 가지 않아서 여쭤봅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스프링부트 + JPA 1편에 이어서 하시는것 같은데 controller 모델이 있지만 api Controller를 다시 만들어서 사용하는 이유가 무엇일까요? 따라하고나서 배운것을 찬찬히 보고있는데 개념이 헷갈립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양방향 연관관계와 연관관계의 주인 2 -주의점, 정리 (재질문, 내용 보강)
안녕하십니까 선생님 다름이아니오라 em.flush(), em.clear()를 했을 때와 안했을 때 query를 호출하는 경우와 호출되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 이해가 잘 되지 않아 질문드립니다. Team team = new Team(); team.setName("TeamA"); em.persist(team);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Username("member1"); member.setTeam(team); em.persist(member); em.flush(); em.clear(); Team findTeam = em.find(Team.class, team.getId()); List<Member> members = findTeam.getMembers(); for (Member m : members) { System.out.println("m = " + m.getUsername()); } tx.commit(); 위 코드에서em.flush(); em.clear();이 경우에서 em.flush(), em.clear() 를 하지 않으면 컨텍스트에 올라간 객체들은 Team(member 없음), Member 이렇게 존재하게 되는데,em.find(Team) 을 통해서 얻어온 Team에는 Member가 없는 상황이라고 생각합니다.이후 team.getMembers() 를 진행하면 Member 가 없는 상황이기에 쿼리가 발생하면서 DB에서 조회할 것 이라고 생각하나, 쿼리를 실행하지 않고 바로 요소가 비어있는 Persistentbag(Collection 구현체) 를 반환합니다.그렇기 때문에 for ( var m : team.getMembers() ) 을 순회하면 team.getMembers() 가 비어있기 때문에 반복문이 실행되지 않아 표준출력이 발생하지 않습니다.이와 마찬가지로 em.flush(), em.clear() 를 해줬을 때, em.find()를 통해 team을 호출하면 team 객체를 가져오는 쿼리를 실행하게 되는데, 이때도 team 에대한 정보만 조회하기에 Team에는 Member가 없는 상황이라고 생각합니다.이후 team.getMembers() 를 하면 마찬가지로 Persistentbag(Collection 구현체) 을 반환하는데 이 비어있는 Collection 에 대해서 for ( var m : team.getMembers() ) 을 진행하면 member에 대한 query를 진행하여 member정보를 얻어옵니다.정리해보자면 em.flush(), em.clear() 한 경우와 안한 경우 모두 team.getMembers()의 반환값으로 빈 Persistentbag 을 반환하는데, 어떤 기준으로 동작방식이 (쿼리가 실행되고 안되고) 달라지는지 궁금합니다ㅠ추측을 해보자면...em.flush(), em.clear() 한 경우에는Persistentbag<ProxyMember> 이고em.flush(), em.clear() 안한 경우에는Persistentbag<Member> 이고,Persistentbag.iteration() 함수 내부에서<E> 가 ProxyMember 일 경우에 hasNext() == false 면 Query 를 진행해서 db에서 조회 해보고,<E> 가 Member(순수한 객체) 일 경우에는 hasNext() == false 면 그냥 query없이 return 하게되는 걸까요..?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38분쯤 Member와 AddressEntity 중 연관관계 주인을 Member로 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Entity public class AddressEntity { //... } // 2. Member에 단방향 연관관계 매핑 @Entity public class Member { //... @OneToMany(cascade = CascadeType.ALL, orphanRemoval = true) @JoinColumn(name = "MEMBER_ID") private List<AddressEntity> addressHistory = new ArrayList<>(); }테이블의 경우 "다"쪽인 ADDRESS에 MEMBER의 외래키가 있습니다. 이 경우 Address가 연관관계의 주인이 되는 것을 권장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번 예제의 경우, "일"인 Member가 주인으로 설정된 이유가 무엇인가요? member를 주인으로 함으로써 AddressEntity의 생명주기를 함께 관리하기 위함인가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양방향 연관관계와 연관관계의 주인 2 -주의점, 정리
안녕하십니까 선생님 다름이아니오라 em.flush(), em.clear()를 했을 때와 안했을 때 query를 호출하는 경우와 호출되지 않는 경우에 대해서 이해가 잘 되지 않아 질문드립니다. Team team = new Team(); team.setName("TeamA"); em.persist(team);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Username("member1"); member.setTeam(team); em.persist(member); em.flush(); em.clear(); Team findTeam = em.find(Team.class, team.getId()); List<Member> members = findTeam.getMembers(); for (Member m : members) { System.out.println("m = " + m.getUsername()); } tx.commit(); 위 코드에서em.flush(); em.clear();를 했든 안했든 findTeam.getMembers(); 은 비어있는 상태 아닌가요..?둘다 비어있는 상태인데 했을 경우에는 query를 사용하고 안했을 경우에는 query를 호출하지 않는 이유가 궁금합니다.members 객체가 flush를 했을 때는 프록시 객체고 하지 않았을 경우는 실제 객체라서 그런걸까요?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정적 팩터리 메서드 사용 기준?
제목 그대로 언제 사용하시는지에 대해 얘기를 나눠보고 싶어 질문 남깁니다.제 경우는 영속성 계층에 새로운 객체가 추가될 때 (RDB에 레코드를 추가할 때) new 키워드를 사용하여 id 값을 생성자로 받지 않는 생성자를 열어두고,존재하는 도메인 엔티티 혹은 영속성 엔티티를 영속성 계층으로부터 불러올 때는 정적 팩터리 메서드를 사용하는데강의를 진행하시면서 습관적으로 생성자 대신 static 메서드를 통해 생성 하시더라구요, 강사님만의 명확한 기준이 있으신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ProductRepository에 @Repository 어노테이션을 붙인 이유
스프링 컨테이너가 뜰 때 Jpa의 Repository 인터페이스 하위 타입을 스캔하여 빈으로 등록하는 것으로 알고 있어서 ProductRepository가 자동으로 스캔이 될텐데 @Repository 어노테이션을 붙이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ProductNumberFactory 클래스는 어떤 Layer 객체로 봐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먼저 항상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저도 작은 경험 이지만 개발을 하면서 서비스 단의 로직을 분리 (강의에서 말씀 해주신 것 처럼 책임을 분리할 정도)해야 하는 상황인 경우, 이렇게 하는게 맞는지는 모르겠으나, Point1. ServiceUtil 클래스를 정의하여 컴포넌트로 주입받아 사용하거나 (실무에선 이렇게 사용)Point2. 학습시에는 Facade 패턴을 이용하여 서로 다른 서비스들의 상위 퍼사드 객체를 만들어서 사용한 적이 있습니다.(물론 퍼사드 패턴의 경우, 두 로직이 완전히 다른 맥락인 경우에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강의 예제와 같이 결합도가 높은 경우가 아니라..)그런데, 강의에서는 Factory 객체를 만들어서 (마치 제가 ServiceUtil을 만들어서 사용하는 것 처럼 - 사실 이름만 다르지 같습니다)사용하시는 모습을 보여주셨는데, Q1. 강사님께서는 실무에서 서비스의 책임을 분리할 때 주로 이런식으로 Factory 클래스를 분리하여 사용하시는지 궁금하고, Q2.그렇게 Factory 클래스로 책임을 분리했을 때, 이 Factory 클래스는 Controller / Service/ Repository 그 어느것도 아니게 되는데, Spring WEB mvc 레이어 아키텍쳐 상으로 어떤 Layer의 어떤 입장의 객체로 인지하고 사용해야 하는지 여쭙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실무에서 @DynamicInsert, @DynamicUpdate 사용하나요?
안녕하세요!좋은 강의 잘 들었습니다! 실무에서 JPA를 사용하면서 궁금한점이 있어서요실무에서는 @DynamicInsert, @DynamicUpdate 사용하고 있는데영한님은 한번도 안쓰시더라구요..!실무에서는 어떻게 사용하시는지 궁금합니다!@DynamicInsert, @DynamicUpdate 사용하지 않으면 어떻게 사용하는지도 궁금합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실무에서 @DynamicInsert, @DynamicUpdate 사용하나요?
안녕하세요!좋은 강의 잘 들었습니다! 실무에서 JPA를 사용하면서 궁금한점이 있어서요실무에서는 @DynamicInsert, @DynamicUpdate 사용하고 있는데우빈님은 한번도 안쓰시더라구요..!실무에서는 어떻게 사용하시는지 궁금합니다!@DynamicInsert, @DynamicUpdate 사용하지 않으면 어떻게 사용하는지도 궁금합니다.
-
해결됨호돌맨의 요절복통 개발쇼 (SpringBoot, Vue.JS, AWS)
로그아웃 기능
안녕하세요 호돌맨님 강의 너무 잘 듣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로그아웃 기능에 대해서 질문이 있습니다.@PostMapping("/auth/logout") public ResponseEntity<Object> logout(UserSession userSession) { ResponseCookie cookie = ResponseCookie.from("SESSION", "") .path("/") .maxAge(0) .build(); return ResponseEntity.ok() .header(HttpHeaders.SET_COOKIE, cookie.toString()) .build(); }현재 컨트롤러만 만들었고 쿠키 maxAge에 0값을 주는 방법으로 로그아웃 되는 건 확인했습니다.궁금한 건 로그아웃 할 때 user가 가지고 있는 session 리스트와 sessionRepository에서session을 지워주는 것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만약 지워주는 방식으로 한다며 자동으로 만료되는 쿠키에 session에 대해선 어떻게 처리하나요?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private method 테스트문의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 강의에서 private method 테스트를 해야되는 상황이라면객체를 분리해야되는 상황이라고 말씀을 주셨는데실무에서는 꼭 분리를 해야되는 상황이 아닐수도 있을텐데1)실무에서는 private method 에 대한 테스트는 거의 작성안하나요? 2)레거시 프로젝트를 맡았을때 public method 에 대한 테스트를 작성하기에는 많은 작업이 필요하다면 private method 라도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게 좋을거 같은데 이런 경우도 작성을 안하나요?3) private 함수를 변경하는경우 해당함수만 테스트하고 싶을거 같은데 이런경우는 어떻게하나요?
-
미해결[초급] 찍어먹자! 코틀린과 Spring Security + JWT로 회원가입 만들기
스프링 시큐리티 예외 RestControllerAdvice로 처리
스프링 시큐리티가 던지는 예외는 RestControllerAdvice로 처리하려면 따로 설정을 만져야하는걸로 아는데 강사님 강의에서는 별다른 설정없이 이런식으로 예외처리가 되고있는데 어느 부분때문에 가능한건가요 ? ㅠㅠ혹시 로그인시 서비스단에서 token 생성 처리를 하고있어서 예외처리가 될수있는건가요 ??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member 만 persist 했는데 ITEM 에도 데이터 삽입되는 이유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수업 듣던중 궁금한 것이 생겨 질문 남깁니다!member만 persist 했는데 ITEM 에도 데이터가 인서트 되는 것은 JPA가 상속관계임을 인지하고 알아서 값을 넣어주는 건가요??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controller, service dto 분리에대해 질문드립니다.
포스, 키오스크, 이외 다른 주문 엔드포인트로부터 주문이 들어왔을때 똑같은 서비스를 사용할 경우 그 서비스에서 사용하는 서비스dto로 변환해주어야 하기 때문에 컨트롤러 dto와 서비스dto를 분리해주는게 좋다로 이해했는데 맞을까요?
-
해결됨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EntityManager를 쓰는데, DB가 다르면 EntityManager도 2개 주입받아야 해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예를 들면 좀 회사의 기존 서비스에서 아예 새로운 서비스말고 기존의 서비스를 활용해서 뭔가 고객에게 제공해 주고 싶다, 하면 기존DB랑 새로 추가 해야 할 DB랑 다를 수 있잖아요.근데 EntityManager는 우리 눈에는 안보이지만, 자동으로 DataSource 주입 받잖아요.DataSource가 제가 기억하기로 말 그대로 데이터의 근원, h2 이런 것 들에 대한 연결할 수 있는 정보? 들을 얻어오는 걸로 기억을 해서, DB가 다르면 저것도 다를 수 있잖아요. 또 DB의 계정마다도 다를 것 같고.. 그러면 EntityManager가 2개 생기나요? 이번엔 같은 DB에 테이블만 다른거니 JPA 내부적으로 sql만 좀 다르게 짤거니까 상관 없어 보이지만..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Unable to build Hibernate SessionFactory오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10월 16, 2023 11:17:27 오후 org.hibernate.jpa.internal.util.LogHelper logPersistenceUnitInformationINFO: HHH000204: Processing PersistenceUnitInfo [name: hello]10월 16, 2023 11:17:27 오후 org.hibernate.Version logVersionINFO: HHH000412: Hibernate ORM core version 6.3.0.Final10월 16, 2023 11:17:27 오후 org.hibernate.jpa.boot.internal.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 lambda$normalizeConnectionAccessUserAndPass$6WARN: HHH90000021: Encountered deprecated setting [javax.persistence.jdbc.user], use [jakarta.persistence.jdbc.user] instead10월 16, 2023 11:17:27 오후 org.hibernate.jpa.boot.internal.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 lambda$normalizeConnectionAccessUserAndPass$12WARN: HHH90000021: Encountered deprecated setting [javax.persistence.jdbc.password], use [jakarta.persistence.jdbc.password] instead10월 16, 2023 11:17:27 오후 org.hibernate.jpa.boot.internal.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 normalizeDataAccessWARN: HHH90000021: Encountered deprecated setting [javax.persistence.jdbc.url], use [jakarta.persistence.jdbc.url] instead10월 16, 2023 11:17:27 오후 org.hibernate.jpa.boot.internal.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 normalizeDataAccessWARN: HHH90000021: Encountered deprecated setting [javax.persistence.jdbc.driver], use [jakarta.persistence.jdbc.driver] instead10월 16, 2023 11:17:27 오후 org.hibernate.cache.internal.RegionFactoryInitiator initiateServiceINFO: HHH000026: Second-level cache disabled10월 16, 2023 11:17:27 오후 org.hibernate.engine.jdbc.connections.internal.DriverManagerConnectionProviderImpl configureWARN: HHH10001002: Using built-in connection pool (not intended for production use)10월 16, 2023 11:17:27 오후 org.hibernate.engine.jdbc.connections.internal.DriverManagerConnectionProviderImpl buildCreatorINFO: HHH10001005: Loaded JDBC driver class: org.h2.Driver10월 16, 2023 11:17:27 오후 org.hibernate.engine.jdbc.connections.internal.DriverManagerConnectionProviderImpl buildCreatorINFO: HHH10001012: Connecting with JDBC URL [jdbc:h2:tcp://localhost/~/jpashop]10월 16, 2023 11:17:27 오후 org.hibernate.engine.jdbc.connections.internal.DriverManagerConnectionProviderImpl buildCreatorINFO: HHH10001001: Connection properties: {password=****, user=sa}10월 16, 2023 11:17:27 오후 org.hibernate.engine.jdbc.connections.internal.DriverManagerConnectionProviderImpl buildCreatorINFO: HHH10001003: Autocommit mode: false10월 16, 2023 11:17:27 오후 org.hibernate.engine.jdbc.connections.internal.DriverManagerConnectionProviderImpl$PooledConnections <init>INFO: HHH10001115: Connection pool size: 20 (min=1)10월 16, 2023 11:17:27 오후 org.hibernate.engine.jdbc.dialect.internal.DialectFactoryImpl constructDialectWARN: HHH90000025: H2Dialect does not need to be specified explicitly using 'hibernate.dialect' (remove the property setting and it will be selected by default)10월 16, 2023 11:17:29 오후 org.hibernate.engine.transaction.jta.platform.internal.JtaPlatformInitiator initiateServiceINFO: HHH000489: No JTA platform available (set 'hibernate.transaction.jta.platform' to enable JTA platform integration)10월 16, 2023 11:17:29 오후 org.hibernate.resource.transaction.backend.jdbc.internal.DdlTransactionIsolatorNonJtaImpl getIsolatedConnectionINFO: HHH10001501: Connection obtained from JdbcConnectionAccess [org.hibernate.engine.jdbc.env.internal.JdbcEnvironmentInitiator$ConnectionProviderJdbcConnectionAccess@5dc769f9] for (non-JTA) DDL execution was not in auto-commit mode; the Connection 'local transaction' will be committed and the Connection will be set into auto-commit mode.10월 16, 2023 11:17:29 오후 org.hibernate.engine.jdbc.spi.SqlExceptionHelper logExceptionsWARN: SQL Error: 42122, SQLState: 42S2210월 16, 2023 11:17:29 오후 org.hibernate.engine.jdbc.spi.SqlExceptionHelper logExceptionsERROR: Column "start_value" not found [42122-214]10월 16, 2023 11:17:29 오후 org.hibernate.engine.jdbc.connections.internal.DriverManagerConnectionProviderImpl$PoolState stopINFO: HHH10001008: Cleaning up connection pool [jdbc:h2:tcp://localhost/~/jpashop]Exception in thread "main" jakarta.persistence.PersistenceException: [PersistenceUnit: hello] Unable to build Hibernate SessionFactory at org.hibernate.jpa.boot.internal.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persistenceException(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java:1563) at org.hibernate.jpa.boot.internal.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build(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java:1484) at org.hibernate.jpa.HibernatePersistenceProvider.createEntityManagerFactory(HibernatePersistenceProvider.java:55) at jakarta.persistence.Persistence.createEntityManagerFactory(Persistence.java:80) at jakarta.persistence.Persistence.createEntityManagerFactory(Persistence.java:55) at jpashose.jpashop.JpaMain.main(JpaMain.java:12)Caused by: org.hibernate.exception.SQLGrammarException: Unable to build DatabaseInformation [Column "start_value" not found [42122-214]] [n/a] at org.hibernate.exception.internal.SQLExceptionTypeDelegate.convert(SQLExceptionTypeDelegate.java:66) at org.hibernate.exception.internal.StandardSQLExceptionConverter.convert(StandardSQLExceptionConverter.java:58) at org.hibernate.engine.jdbc.spi.SqlExceptionHelper.convert(SqlExceptionHelper.java:108) at org.hibernate.engine.jdbc.spi.SqlExceptionHelper.convert(SqlExceptionHelper.java:94) at org.hibernate.tool.schema.internal.Helper.buildDatabaseInformation(Helper.java:194) at org.hibernate.tool.schema.internal.AbstractSchemaMigrator.doMigration(AbstractSchemaMigrator.java:98) at org.hibernate.tool.schema.spi.SchemaManagementToolCoordinator.performDatabaseAction(SchemaManagementToolCoordinator.java:286) at org.hibernate.tool.schema.spi.SchemaManagementToolCoordinator.lambda$process$5(SchemaManagementToolCoordinator.java:145) at java.base/java.util.HashMap.forEach(HashMap.java:1337) at org.hibernate.tool.schema.spi.SchemaManagementToolCoordinator.process(SchemaManagementToolCoordinator.java:142) at org.hibernate.boot.internal.SessionFactoryObserverForSchemaExport.sessionFactoryCreated(SessionFactoryObserverForSchemaExport.java:37) at org.hibernate.internal.SessionFactoryObserverChain.sessionFactoryCreated(SessionFactoryObserverChain.java:35) at org.hibernate.internal.SessionFactoryImpl.<init>(SessionFactoryImpl.java:295) at org.hibernate.boot.internal.SessionFactoryBuilderImpl.build(SessionFactoryBuilderImpl.java:450) at org.hibernate.jpa.boot.internal.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build(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java:1479) ... 4 moreCaused by: org.h2.jdbc.JdbcSQLSyntaxErrorException: Column "start_value" not found [42122-214] at org.h2.message.DbException.getJdbcSQLException(DbException.java:502) at org.h2.message.DbException.getJdbcSQLException(DbException.java:477) at org.h2.message.DbException.get(DbException.java:223) at org.h2.message.DbException.get(DbException.java:199) at org.h2.jdbc.JdbcResultSet.getColumnIndex(JdbcResultSet.java:3492) at org.h2.jdbc.JdbcResultSet.getLong(JdbcResultSet.java:745) at org.hibernate.tool.schema.extract.internal.SequenceInformationExtractorLegacyImpl.resultSetStartValueSize(SequenceInformationExtractorLegacyImpl.java:110) at org.hibernate.tool.schema.extract.internal.SequenceInformationExtractorLegacyImpl.lambda$extractMetadata$0(SequenceInformationExtractorLegacyImpl.java:54) at org.hibernate.tool.schema.extract.spi.ExtractionContext.getQueryResults(ExtractionContext.java:50) at org.hibernate.tool.schema.extract.internal.SequenceInformationExtractorLegacyImpl.extractMetadata(SequenceInformationExtractorLegacyImpl.java:39) at org.hibernate.tool.schema.extract.internal.DatabaseInformationImpl.initializeSequences(DatabaseInformationImpl.java:66) at org.hibernate.tool.schema.extract.internal.DatabaseInformationImpl.<init>(DatabaseInformationImpl.java:60) at org.hibernate.tool.schema.internal.Helper.buildDatabaseInformation(Helper.java:185) ... 14 moreh2설정후 main돌려보면 자꾸 이런식으로 뜹니다 재설치도 많이해봤고 강의와 같은버젼으로 돌렸는데도 오류가 발생하는데왜이러죠 >?? public class Jpa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EntityManagerFactory emf = Persistence.createEntityManagerFactory("hello");EntityManager em = emf.createEntityManager();EntityTransaction tx = em.getTransaction();tx.begin();try { tx.commit(); } catch (Exception e) { tx.rollback();}finally {em.close();} emf.close();}} 이건 main코드입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Cannot resolve method 'assertThat' in 'Assertions' 해결법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testMember을 할 때 Assertion.assertThat을 하면 asserThat에서 빨간 밑줄이 뜹니다. 에러 내용은 Cannot resolve method 'assertThat' in 'Assertions'입니다. 질문들도 찾아보고 인터넷 해결법들도 시도해봤으나, 잘 맞지 않네요. 최대한 수업자료 따라가고 있는데, 하란 것들도 다 세팅했습니다. 유일하게 다른 점은 스프링부트의 버전인데, 공식 사이트에서 2.7 버전까지 밖에 안 떠서 2.7.16버전으로 시작했습니다. gradle세팅도 다 맞췄고요. 결과적으로 저는 그냥 Assertions.asserEquals를 사용하는 것으로 해결했습니다. 저랑 비슷한 문제 겪으시는 분들은 이렇게 하셔도 될 듯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버전 오류
현재 하이버네이트와 H2데이터베이스 버전 설정오류가 뜹니다.해결 방법을 알 수 있을까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다대다 관계의 주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8분20초 다대다 관계 설명을 듣다 궁금한점이 생겨 질문 올립니다. 다대다 양방향 관계에서는 주인을 어떤 원리로 정하는 것인가요?? 강사님께서 items 를 다대다 양방향 연관관계의 주인으로 설정하셨는데 그 원리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jpa 시작하기 애플리케이션 개발 부분
제가 지금 jpamain 을 추가하고 실행을 시켰는데 해당 에러가 뜹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