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기본 키 매핑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기본 키 매핑에서 @GeneratedValue 전략으로 IDENTITY, SEQUENCE, TABLE, AUTO의 특징은 이해했습니다. 하지만 어떤 경우에 어떤 전략이 유리할지 모르겠습니다. AUTO를 사용하지 않고 명시적으로 IDENTITY 또는 SEQUENCE 전략을 채택해야하는 경우가 있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섹션2부터의 PPT 강의자료는 어디서 다운 받나요??
섹션2부터의 PPT 강의자료는 어디서 다운 받나요??
-
미해결프로젝트로 배우는 Python 챗봇 & RAG - LangChain, Gradio 활용
LECL 문법을 통한 RAG chain 구성
위 코드에서는 # Prompt와 ChatModel을 chain으로 연결 document_chain = create_stuff_documents_chain(llm, prompt) # Retriever를 chain에 연결 retriver_chain = create_retrieval_chain(retriever, document_chain) response = retriver_chain.invoke({"input": message}) return response['answer']를 통해서 답변을 구성했는데. rag_chain = {'context':retriever, 'input': message} | rag_prompt | llm 위와같이 LECL 방식을 통한 response를 구성하고싶은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
해결됨데이터분석 준전문가(ADsP) 자격증 대비
2과목 분석과제 도출방법 하향식 접근방식 영상이 이전 영상과 동일합니다.
2과목 분석과제 도출방법 하향식 접근방식 영상이 이전 영상과 동일합니다.
-
미해결캐글 설문조사로 데이터 분석 입문하기
q1_cols를 작성하는 부분에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q1_cols = answer["Q1"].value_counts().sort_index().index.tolist()def show_countplot_by_qno(qno, fsize=(10, 6), order=None): if not order: order = answer[qno].value_counts().index.tolist() plt.figure(figsize=fsize) sns.countplot(data=answer, y=qno, order=order,palette="Blues_r" ).set_title(question[qno]) show_countplot_by_qno("Q1", order=q1_cols)not order 일 때는 tolist() 안해도 출력이 되는데왜 order를 변수로 넣을 때는 tolist() 안하면 에러가 발생하는지 궁금합니다.tolist() 붙여봐도 달라진게 없는것 같은데 어떤 방식인지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PM을 위한 데이터 리터러시(프로덕트 데이터 분석)
4-8. 지표정의하기 연습문제
안녕하세요 카일님 🙂 지표에 대해 항상 어렵게 생각하였는데, 쉽게 강의해주셔서 많은 도움이 되고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연습문제에 대한 답변은 아래와 같습니다. 각 기능들이 잘 동작하는지 확인을 하려면 CTR(클릭률) 대비 메인page > 상세page로 가는 PV의 전환률의 퍼센트가 높은지 확인해야 할 것 같습니다. 페이지 전환률이 높다면 해당 기능이 잘 작동한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고객이 검색이란 ACTION 이후 나온 필터된 페이지 내에서 CTR(클릭률)이 높다면 검색 기능에 만족했다고 생각합니다. 기능에 불만족 스러웠다면 스크롤 후 백그라운드로 이동 또는 스크롤 후 재검색 또는 앱이탈 비율이 높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검색필터기능의 활성화 지표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검색 후 나온 페이지 내 필터 클릭률(CTR / PV)로 확인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또한, 고객이 필터를 몇 번 클릭했는지에 따라 필터 기능이 잘 사용되는지 확인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리텐션이 가장 중요할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셀러(가게), 바이어(이용자), 중간업체(배송대행사)가 유지되어야 해당 서비스가 꾸준하게 이용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용자의 리텐션을 높이기 위해서는 서비스(배송의 퀄리티, CS, 음식의 퀄리티)를 유지해야 구매율도 유지되고 서비스 제공자(가게, 배송대행사)도 유지될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알고리즘 성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기존서비스 대비 추천 알고리즘의 클릭률(CTR)/PV과 구매전환률을 확인해야 할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알고리즘이 정확하지 않다면 해당 영역을 클릭하거나 구매로 전환될 가능성이 적을 것 같다고 생각합니다.리텐션, WAU이라고 생각합니다. 예를들어 '쿠팡' 또는 '유튜브' 서비스를 빗대자면 고객이 일주일에 1번 이상은 들어와야 서비스를 해지하지 않고 사용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그 외에 확인해야 할 지표는 체류시간과 가입전환율을 볼 것 같습니다. 온보딩 과정 중 온보딩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하여 튜토리얼 퍼널을 조사해볼 것 같습니다. 슬랙을 예시로 들자면 어느 단계에서 사람들이 스킵을 하는지, 이탈률이 생기는 지를 확인하여 지표를 볼 것 같습니다.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오큰수 질문
안녕하세요 큰돌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혹시 오큰수 문제가 2주차 그래프이론, DFS, BFS에 분류된 이유가 뭘까요?? 풀이 방법은 스택인데 그래프에 분류된 이유가 궁금합니다 :)
-
미해결실리콘밸리 엔지니어가 가르치는 파이썬 기초부터 고급까지
파일 실행시
파일 실행시에 cmd a + shift + enter 하면 실행된다고 하셨는데, 우측 상단에 재생 버튼으로도 파일이 똑같이 실행되는건가요?평소에 우측 상단 실행버튼으로 파일 실행시켰었는데 알려주신 방법과 차이가 있는지 궁금해서요
-
해결됨[유니티 레벨 업!] 모듈식으로 개발하는 퀘스트&업적 시스템
Task의 IsEqual
Quest System 구현 강의 마지막에 Quest System Test를 실습하던중 제대로 작동하지 않아 문의 드립니다. 디버그를 찍어봤는데 Task Script의 IsTarget() 함수에서 targets.Any(x=>x.IsEqual(target))부분에서 false가 된것이 원인이었습니다. 자세히 보니 QuestSystemTest에서 Target을 TaskTarget형태로 넘겨주고, TaskTarget의 IsEqual에서 TaskTarget형식으로 받아서 문제가 된것이었습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아래와 같이 TaskTarget인지를 먼저 검사해야된다고 생각하는데,혹시 제가 놓친부분이 있다면 알려주세요public override bool IsEqual(object target) { if(target.Equals(this))return true; string targetAsString = target as string; if (targetAsString == null) return false; return value == targetAsString; }
-
해결됨Slack 클론 코딩[백엔드 with NestJS + TypeORM]
socket io 미 연결 문제 (nest & flutter)
안녕하세요! socket관련한 서비스를 진행해보고 싶어서 제로초님의 강의를 들은 수강생입니다.현재 nest & flutter를 이용하고 있는데, flutter에서의 연결 및 다른 tool에서 socket io 연결이 되지 않으며 “외부 사이트로는 접근이 불가능한 오류”가 생겨서 조심스럽게 여쭤봅니다. 현재 로직은 채팅을 생성시, 채팅을 보여주는 리스트가 실시간으로 새로고침이 되는 부분을 작업중입니다.하지만, postman, httpie, hoppscotch의 부분에서 연결이 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합니다.많은 방법을 찾아봤지만, 터미널에서 socket io cli를 통해서 로그는 볼 수 있지만, 다른 tool에서는 이용이 불가능한 방법에 대해서 알고 싶어서 질문드립니다!Socket io를 통해서 local, dev서버 연결 완료 하지만 postman의 socket io기능을 통해서 테스트를 진행하려고 할 때,postman으로 연결local에서는 문제가 없이 연길이 되지만, dev서버에서는 이러한 에러가 발생합니다. 또한 flutter 앱에서 연결을 하려면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오류 메시지 "WebSocketException: Connection to 'http://~~~~.com:81/socket.io/?EIO=4&transport=websocket#' was not upgraded to websocket"는 클라이언트가 WebSocket 연결을 시도하였으나, 서버가 해당 연결을 WebSocket 프로토콜로 업그레이드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upgrade가 되지 않았다고 나와서 ,ngnix의 socket 부분에서 upgrade부분도 잘 넣어줬는데, 오류가 해결되지 않아서... 고민 끝에 질문 올립니다.Ngnix 설정부터 2주정도 시간을 들였지만, 해결이 되지 않아서…여쭤봅니다.방화벽도 해제가 되어 있는데 연결이 안되고 있습니다..다음은 nest에서 작성한 코드 입니다![chat.gateway.ts]import { WebSocketGateway, WebSocketServer, SubscribeMessage, OnGatewayConnection, OnGatewayDisconnect, OnGatewayInit, ConnectedSocket, MessageBody, } from '@nestjs/websockets'; import { Server, Socket } from 'socket.io'; @WebSocketGateway() export class ChatGateway implements OnGatewayInit, OnGatewayConnection, OnGatewayDisconnect { @WebSocketServer() server: Server; afterInit(server: Server) { console.log('WebSocket initialized'); } handleConnection(client: Socket) { console.log(`Client connected: ${client.id}`); // 수정: client 객체 직접 출력 대신 id 출력 } handleDisconnect(client: Socket) { console.log(`Client disconnected: ${client.id}`); } @SubscribeMessage('sendMessage') handleMessage( @ConnectedSocket() client: Socket, @MessageBody() data: { message: string } ): void { console.log(`Received message from ${client.id}: ${data.message}`); this.server.emit('newMessage', data); // 모든 클라이언트에게 메시지 전송 console.log(`Received message: ${data.message}`); } } [main.ts]import { ConfigService } from '@nestjs/config'; import { NestFactory } from '@nestjs/core'; import { NestExpressApplication } from '@nestjs/platform-express'; import { DocumentBuilder, SwaggerModule } from '@nestjs/swagger'; import { join } from 'path'; import { AppModule } from './app.module'; import { HttpExceptionFilter } from './common/exceptions/http-exception.filter'; import { SuccessInterceptor } from './common/interceptors/success.interceptor'; import { IoAdapter } from '@nestjs/platform-socket.io'; import { CustomIoAdapter } from './adapters/custom-io.adapter'; async function bootstrap() { const app = await NestFactory.create<NestExpressApplication>(AppModule); app.useWebSocketAdapter(new CustomIoAdapter(app)); const configService = app.get(ConfigService); const port = configService.get('server.port'); const mongoUrl = configService.get('DB.MONGO_URL'); console.log('MongoDB URL:', mongoUrl); app.enableCors({ origin: true, credentials: true, }); app.useStaticAssets(join(__dirname, '..', 'client'), { prefix: '/api/v1/client', }); app.useGlobalInterceptors(new SuccessInterceptor()); app.useGlobalFilters(new HttpExceptionFilter()); app.setGlobalPrefix('api/v1'); const swagger_options = new DocumentBuilder() .setTitle('Nyam-Docs') .setDescription('API description') .setVersion('2.0.1') .addApiKey( { type: 'apiKey', name: 'x-token', in: 'header', description: 'Enter token', }, 'x-token', ) .addApiKey( { type: 'apiKey', name: 'x-type', in: 'header', description: 'Enter type', }, 'x-type', ) .build(); const document = SwaggerModule.createDocument(app, swagger_options); SwaggerModule.setup('api-docs', app, document); await app.listen(port, '0.0.0.0'); console.log(`Application Listening on Port : ${port}`); } bootstrap();다음은 custom한 io입니다[custom.io.adpter.ts]import { IoAdapter } from '@nestjs/platform-socket.io'; import { INestApplication, Injectable } from '@nestjs/common'; import { ServerOptions } from 'socket.io'; @Injectable() export class CustomIoAdapter extends IoAdapter { constructor(app: INestApplication) { super(app); } createIOServer(port: number, options?: ServerOptions): any { const serverOptions: ServerOptions = { ...options, cors: { origin: '*', // 모든 도메인에서 접근 허용 methods: ['GET', 'POST', 'PUT', 'DELETE'], credentials: true }, transports: ['websocket', 'polling'], //pooling 없으면 연결 안 됨(socket) allowEIO3: true // Engine.IO 3.x 버전 클라이언트 허용 }; return super.createIOServer(port, serverOptions); } } 혹시 해결방법을 아시거나, 도움을 주실만한 정보가 있으시다면 알려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코딩테스트 실전 모의고사(with C++) : 대기업 대비
전투게임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자바로 작성했는데, 시간 초과가 납니다. 어느 부분이 잘 못 작성한건지 궁금합니다. import java.io.*; import java.util.*; class Node implements Comparable<Node>{ int idx; char team; int power; Node(int idx, char team, int power){ this.idx = idx; this.team =team; this.power = power; } @Override public int compareTo(Node o) { return this.power - o.power; } }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v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n=sc.nextInt(); int[] answer = new int[n+1]; ArrayList<Node> list = new ArrayList<>(); for(int i=1; i<=n; i++) { char a = sc.next().charAt(0); int b=sc.nextInt(); list.add(new Node(i,a,b)); } Collections.sort(list); //정렬 HashMap<Character, Integer> map = new HashMap<>(); int j=0,total=0; for(int i=1; i<n; i++) { for(;j<n; j++) { if(list.get(j).power<list.get(i).power) { total+=list.get(j).power; //쫓아오는 학생의 파워를 누적합 char x =list.get(j).team; //쫓아오는 학생의 팀을 표시 map.put(x, map.getOrDefault(x, 0)+list.get(j).power); //해싱해준다. } else break; } answer[list.get(i).idx] = total - map.getOrDefault(list.get(i).team, 0); //전체 누적합에서 자신의 팀이 있다면 그 점수는 빼준다. } for(int i=1; i<=n; i++) System.out.println(answer[i]); } }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github 링크
화면 html 소스 같은 것들 때문에 github 주소는 없나요?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단일 스레드로 처리할 경우 속도 문제점 있나요?
GameRoom을 하나의 스레드로 jobqueue를 사용해서 공유자원을 관리 하면 lock에서는 자유롭지만 하나의 스레드인 만큼 많은 처리를 해야할 경우 딜레이가 생길수도 있을거라고 생각하는데 lock을 타이트하게 거는 방법보다 하나의 스레드에서 처리하는게 속도가 더 빠른가요?하나의 스레드로 룸을 관리하니 결국 작업을 하나씩처리에 따른 속도 이슈가 없는지 궁굼합니다. 예를들어 갑자기 수많은 이용자가 들어와 엔터패킷을 탄다면 디비도 접근해야될때 이에 따른 실시간 처리 성능이 보장되는지 궁굽합니다.
-
미해결파이썬/장고 웹서비스 개발 완벽 가이드 with 리액트 (장고 4.2 기준)
관련 책이 언제 나올까요?
관련 도서 출간은 언제쯤 예상하시나요?건강하시길 바라요~
-
미해결GA4 마스터하기
실습 사이트 접속 불가 관련
안녕하세요.섹션 3. 이벤트 데이터 이해에서 'Data Layer Inspector' 설치 관련 문의드리고 싶습니다. 하기 사이트 검색하여도 접속이 불가하여 강의에서 안내주신 실습 내용을 따라할 수 없는데요. https://baeumkok.co.kr/ 혹시 제가 알고 있는 주소에 문제가 있는 것일까요?아니라면 웹사이트 자체 접근이 현재는 불가한 것 일까요?그렇다면 해당 부분의 경우 어떻게 실습을 따라가면 될지 안내 부탁드리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섹션26 FileIntercepter적용문의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코드팩토리 통합 링크https://links.codefactory.aiFlutter 강의를 구매하시면 코드팩토리 디스코드 서버 플러터 프리미엄 채널에 들어오실 수 있습니다! 디스코드 서버에 들어오시고 저에게 메세지로 강의를 구매하신 이메일을 보내주시면 프리미엄 채널에 등록해드려요! 프리미엄 채널에 들어오시면 모든 질의응답 최우선으로 답변해드립니다!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섹션26 FileIntercepter적용 질의
분명 postman으로 FormData로 설정하신후title,content,image를 보내셨는데 어떻게Nestjs에서 @Body()로 받을수 있나요 Http요청이니 req.body 형식으로 접근 가능한게 아닐까요??
-
미해결초보자도 할 수 있는 웹 취약점 진단(주요정보통신기반시설)
가성윈도우서버가 켜지지않아요어떻게해야될까요?
안녕하세요 window2000server구동하려는데 로딩중만뜨고 가성윈도우서버가 켜지지않아요어떻게해야될까요? OS 시스템 인증id : administrator패스워드 : P@ssw0rd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Scanner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 Scanner input = new Scanner(System.in); 이 둘의 차이가 있는 걸까요?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7: MMO 컨텐츠 구현 (Unity + C# 서버 연동 기초)
3D 위치 동기화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지금 파트 9까지 전부 수강하고 3D 게임을 제작하고 있습니다.현재 목표는 마우스로 우클릭를 하면 해당 좌표로 플레이어를 이동하는 것입니다.질문은 크게 두가지입니다. 현재는 클라이언트에서 마우스를 우클릭하면 Unity에서 제공하는 NavMesh를 통해 이동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서버에선Unity에서 제공하는 기능을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따로 길 찾기 연산을 해야 할 것 같은데 이 부분이 감이 안 잡힙니다...서버에서 길 찾기를 어떤 방식으로 해야할까요?클라에서 추출된 NavMesh를 서버쪽에서는 활용할 수 없을까요?? 가령 SharpNav등을 통해서요!무지한 질문을 많이 하는데 항상 성심껏 대답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