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회원 관리 예제 - 웹 MVC 개발
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혹시 제가 폴더 명이나 파일 위치가 잘못 된 걸까요..?https://drive.google.com/file/d/150XPoxwV1oDeLVp8b2oAuuNBADwwXIEl/view?usp=drive_link
-
해결됨2주만에 통과하는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2024년)
2강 20:28초에서 설명하고 있는 최적화 방법에 관하여
강사님! 20 팩토리얼에 2가 몇 번 곱해져있는지 설명해주시는 부분에서 질문이 있습니다. 마지막에 20을 2의 제곱수로 나눴을 때 몫의 정수 부분 합이 2가 몇 번 곱해져 있는지 나타내는 수라고 알려주셨는데요. 이게 어떤 원리인지 궁금합니다. 그러니까 수학적으로 왜 이렇게 같을 수 있는지 알고싶어요!
-
해결됨넓고 얕게 외워서 컴공 전공자 되기
CPU 연산체계에 대해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강의를 들으면서 CPU 연산체계가 궁금해서 찾아보니 한 번 연산(1클럭)에서 다룰수 있는 숫자의 크기라고 나오더라구요.그러면..예를 들어 32bit 연산체계의 CPU에서는 정수 기준 +-21억(31bit) 사이의 숫자를 input 하나에 담아서 계산할 수 있는건가요? 그렇다면..덧셈 소개하는 강의에서 input 하나에 0,1 로 예시를 들어주셨던 부분에서는 1bit 연산체계의 CPU라고 보면 될까요?
-
해결됨
스프링 용어 질문드립니다.
김영한 강사님의 스프링 강의 듣다가 궁금한 것이 생겼습니다.타임리프와 템플릿엔진을 인터넷에 검색해봐도 제대로 된 정의 설명이 없는데, 이 2개의 단어는 정확히 무슨 뜻인가요?
-
미해결Three.js로 시작하는 3D 인터랙티브 웹
3D 공간에서 움직이는 캐릭터 3 에서 y좌표가 이상해요
3D 공간에서 움직이는 캐릭터 3 강의에서 function checkIntersects() { console.log(item.point)} 위 코드에서 마우스를 화면상 위로 down & move 하면, y 좌표가 계속 증가하고, 아래쪽으로 하면 y좌표가 계속 감소하는데,실제로는 y좌표는 0으로 고정되어야 하는것 아닌가요?x좌표와 z좌표는 당연히 변경되는게 맞는데, y좌표가 왜 그런건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이상하게도 일률적으로 y좌표 같이 증가하거나 감소하는것도 아니고, 한번씩 튀는경우도 생기구요.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8주차 개념강의 영화수집 질문드립니다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선생님 안녕하세요 우선http://boj.kr/e25eb9ed4cf34c26bf2c12eff66b4e22강의를 들으면서 나름대로 짜봤더니 시간초과가 나는데 선생님의 코드로 main 부분을 바꾸면 시간초과가 안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부족한 지식에 해답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ㅠㅠ
-
해결됨2주만에 통과하는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2024년)
11653번 (2강 최적화) 질문이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완전탐색(?)을 이용해 작성하였는데요, 말씀하신 최적화 방법(약수를 구할때는 해당 수의 제곱근까지만 구해도 약수의 개수와 약수를 구할 수 있다)으로 어떻게 코드를 최적화 할 수 있을지 잘 모르겠습니다. let input = readLine().map { Int($0)! }! var answer: [Int] = [] var previous = input func check(i: Int, divided: Int) -> Bool { if divided % i == .zero { answer.append(i) previous = divided / i return true } else { return false } } if input == 1 { } else { for i in 2...(input) { var flag = true repeat { let check = check(i: i, divided: previous) flag = check } while flag } answer.compactMap { print(String($0)) } }
-
해결됨독하게 시작하는 C 프로그래밍
C언어와 파이썬
안녕하세요 선생님다름이 아니라 현재는 프로그래밍 분야와 다른 분야에서 일하고 있지만 차차 준비를 해서 언젠가는 해당 분야로 직무를 변경하여 일하고 싶어 선생님의 강의를 수강하고 있는 직장인입니다.제가 처음 C언어를 배운 것은 2015년도 였고 그때 포인터를 마주하고 C언어 및 프로그래밍의 벽을 느껴 공부를 포기했었습니다. 그 이후로도 몇번이고 공부하고자 마음을 먹었지만 코드를 따라치고 기본적인 문법을 익혀 예제를 푸는 것 만으로는 실질적으로 코드 자체가 이해가 가지 않아서 중간에 학습을 포기하였습니다.최근에는 선생님의 C언어 강의를 들으면서 차근차근 공부를 하고 있습니다. 강의 내용이 어렵긴하지만 그래도 기초적인 것부터 설명해주셔서 너무 감사하게 수강 중입니다. 선생님이 말씀하신대로 프로그래밍언어 공부는 단순히 문법을 익히는 것 뿐만아니라 컴퓨터 구조와 메모리를 어떻게 쓰는 지 아는 것이 중요하고 이런 학습 방법이 도움이 더 많이 되는 것 같습니다. 아직도 잘은 모르지만 뭔가 하나하나 개념이 잡힌다고나 할까요? 그런데 최근 고민이 있습니다. 제 지인들은 다들 4년제 컴퓨터공학과를 나와서 일을 하고 있습니다. 제가 지인들에게 학습 방법, 로드맵에 대해서 질문을 하면 다들 C언어를 공부하는 것 보다는 Python을 공부하는 것이 더 좋다고 합니다. 실질적으로 c언어를 써서 개발하는 부서는 많지도 있고 요샌 대부분 Python을 사용하여 업무를 한다고 하더라구요. 제가 미리 말씀을 안드렸는데 현재 저는 반도체 기업에서 일을 하고 있고 제 지인들도 반도체 기업의 SW직무이고 저 또한 프로그래밍 능력을 쌓아 C++로 코딩테스크를 본 뒤에 사내 직무 이동 프로그램을 통해 SW직군으로 이동할 계획입니다.또한 지인들이 Python 은 인터프리터 언어(메모리 관리를 안해도 되는 언어)라서 요새는 C++까지 넘어가지 않아도 된다고들 하더라구요. 그래서 C는 어려우니 굳이 힘빼지말라는 말도 들었습니다. 또한 현업에서 일하시는 분들도 운영체제, 자료구조,네트워크 같은 과목을 두루두루 깊게 공부한 사람들이 적다고도 들었습니다.저는 현재 C언어를 공부하면서 어렵지만 배우는 것도 많고 뭔가 뜬구름 잡던게 하나하나 알아가는 느낌이라서 좋은데 제 지인들이 코딩테스트도 Python으로 봐라 C는 어렵고 어차피 현업가면 Python을 쓴다고 해서 제가 올바른 방향으로 학습을 하고 있는것인지 의문이듭니다. 제가 코딩 테스트를 C++로 보려는 이유는 인터프리터 언어인 Python보다 컴파일러 언어인 C++을 공부해야지(C++이 조금 더 어렵긴하지만) 컴퓨터가 메모리를 어떻게 쓰는 지 알게 되고 나추후에 더 도움이 된다고 생각해서 C++로 준비하고 있는데 제가 삽질을 하고 있는 건 아닌지 선생님의 의견이 궁금합니다.또한 제가 만약 C언어를 공부후에 선생님께서 자료구조, 운영체제, 네트워크는 필수로 공부하라고 들었던 것 같은데 맞을까요? 그렇다면 자료구조, 운영체제, 네트워크 중 공부 순서가 있을까요?위의 3가지 과목 이외에 추가적으로 공부해야할 과목과 공부순서가 있을까요? 이론공부의 커리큘럼이 공부합니다.그리고 현재 선생님의 유튜브 채널 멤버쉽도 구독 중인데 시간되시면 이 내용에 대한 선생님의 생각을 한번 유튜브에서 말씀해주시면 저처럼 갈피를 못잡고 있는 사람들에게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저에 대한 직접적인 언급은 뺴고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강사님 유효성 검증의 분리에 대해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저희만의 서비스에 특화된 비즈니스 검증로직은 따로 서비스나 도메인에서 분리해서 검증하라고 하셨는데, 정확히 이해가 가지 않아서 좀더 질문 드립니다.예를 들어, 패스워드 검증 로직이 있다고 하면, 저희만의 서비스는 패스워드 검증을( 영문,특문 혼합 8자이상)이라고 정했을때, 컨트롤러의 요청 부분에서는 @NotBlank를 처리하고, 서비스나 도메인에서 위의 패스워드 검증 로직을 진행하라는 말씀인가요??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완전 정복 [6.x 개정판]
hasRole 과 hasAuthority 의 차이
안녕하세요 hasRole 과 hasAuthority 의 차이가 없는 거 같아서 질문 드립니다.기능 상 차이가 없다면 용도의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프로그래밍 시작하기 : 파이썬 입문 (Inflearn Original)
안녕하세요 강의 자료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강의 자료 부탁드립니다.szhxyn@gmail.com 입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
영상재생이 안됩니다.
엣지에서는 되는데 크롬에서 안됩니다.쿠키 다 지우고 다시 해봤는데도 안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Enum 클래스- 상수가 인스턴스를 생성할때, 그 인스턴스는 또 상수를 갖고 있고 객체를 생성하고 무한 생성(참조)하지 않나요?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public class ClassGrade {public static final ClassGrade BASIC = new ClassGrade();public static final ClassGrade GOLD = new ClassGrade();public static final ClassGrade DIAMOND = new ClassGrade();}안녕하세요. 열거형 파트 부분에서 상수가 인스턴스를 생성할때public static final ClassGrade BASIC = new ClassGrade(); 이렇게 생성하면,그 BASIC 이 참조하는 인스턴스는 내부에 상수(BASIC, GOLD, DIAMOND)를 또 갖고있는데, 그 상수가 인스턴스를 무한 생성하게 되지 않나요? 않는다면 이유는 뭔가요?
-
미해결
파이썬 그래프 scipy
파이썬에서 import scipy.stats as stats를 활용해서 이산확률분포의 그래프를 그리는 문제인데요 1개의 동전을 계속하여 3회 던져서 앞면의 수의 횟수 X의 분포함수를 구하고 분포함수의 그래프를 그리는 문제인데 그래프가 자꾸 잘 안 그려져서요,,, 혹시 아시는 분 있을까요? import scipy.stats as stats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동전을 던지는 횟수tosscoin = 3# 이항 분포를 생성합니다.binomial_distribution = stats.binom(n=tosscoin, p=0.5)# 이항 분포에서 각 앞면이 나온 횟수에 대한 확률을 계산합니다.x_values = range(tosscoin + 1)prob_distribution = [binomial_distribution.pmf(x) for x in x_values]# stem plot 그리기plt.stem(x_values, prob_distribution, basefmt=" ", bottom=0, use_line_collection=True)plt.xticks(x_values)plt.yticks([1/8, 4/8, 7/8, 1], ['1/8', '4/8', '7/8', '1']) # y 축 눈금 값 설정 아래의 그래프 처럼 생성되어야하는데 잘 안돼서,,,올려봅니다,,
-
해결됨[리뉴얼] 타입스크립트 올인원 : Part1. 기본 문법편
타입스크립트교과서 p39 쪽 코드가 이해가 안되요
const func: (amount: number, unit: string) => string = (amount, unit) => amount + unit; gpt 이용해서 물어봐도 잘 이해가 안되서 질문남겨요! 이해가 안되는 부분은string = (amount, unit) 이 부분인데, 책 p40을 보면함수 리터럴 타입에서는 반환값의 표기법이 다르다는 점을 기억하세요. 콜론, 대신 => 를 사용한다고 써있네요 질문을 쓰다보니 이해가 되는것 같은데,func 함수는number 타입인 amount와 string 타입인 unit 을 받아서 string 타입을 반환한다이게 맞을것 같은데, 혹시 맞을까요?..
-
미해결CS 지식의 정석 |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workbeanch 실습이 진행이 안되네요 ㅠ
워크 벤치를 운영체제에 맞게 설치했는데도 자동으로 스캔된 서버가 안보이네요;실습은 아래 사진에 보시는 것처럼 erd 실습을 위해 테이블 만드는 단계까지 진행했습니다.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git허브 비밀번호 맞게해도 안되시는 분들
출처 : https://velog.io/@rxdryd/git-clone-%EC%98%A4%EB%A5%98 2021/08/13일부터 비밀번호 가아닌 git tokken입력 방식으로 변경된다고 하네요 출처:https://hoohaha.tistory.com/37참고하셔서 깃 토큰 생성 후아이디는 기존과 동일하게 입력하시구 비밀번호에서 git tokken입력하시면 됩니다.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궁금한점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강사님 !!리액트 + 스프링부트 웹개발 강의이지만스터디용으로리액트 네이티브에서 해당 스프링부트 어플리케이션 API 를 활용해도 되는 부분인가요???
-
미해결처음하는 플러터(Flutter) 기초부터 실전까지 [풀스택 Part4] (쉽고 견고하게 단계별로 다양한 프로젝트까지)
강의 노트를 보고 싶은데 어디서 봐야되요.
강의노트... 못 찾겠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Configuration이 없을때의 싱글톤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1. @Configuration을 붙이지 않으면 TestConfig 자체와 @Bean 메서드들의 반환 객체를 싱글톤 빈으로 등록하지만 의존 관계에서의 객체 호출은 일반 객체를 생성한다.2. 한 @Bean의 일부가 return new Component2(component1()) 라면 Component2는 싱글톤 빈으로 등록되지만 의존 관계에서의 호출인 componenet1은 빈으로 등록이 안되고 일반객체가 생성된다.3. https://www.inflearn.com/questions/475367여기 답변에서 David님께서 "TestConfig 내 객체 생성 메서드의 경우 호출시 싱글톤을 보장하지 않고 매번 새로운 객체를 생성합니다." 라고 하셨는데 의존 관계 주입일때는 1,2번의 이해를 바탕으로 해결했습니다. 그런데 의존 관계 주입이 아닌 객체를 생성해 싱글톤 빈으로 등록하는 경우에도 싱글톤을 보장하지 않는다는게 말이 헷갈려서 질문드립니다. 아래 코드의 경우에서 component2 component2_2가 각각 싱글톤 빈으로 등록된다는 뜻인가요? public class Config { @Bean public Component2 component2() { return new Component2(componenet1()); } @Bean public Component2 component2_2() { return component2(); } @Bean public Component1 component1() { return new Component1(); } 1,2번은 해주신 답변으로부터 이해를 했는데 3번을 잘모르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