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HttpServletRequest - 기본 사용법" 강의 내용 중 질문
처음 http://localhost:8080/request-header?username=hello 로 URL 입력 후 콘솔을 확인하면 아래와 같이 Header 편의 조회가 출력되었습니다.이후에 Postman을 통해서 다음과 같이 hello! 라는 메시지를 POST 방식으로 전송을 한 후 콘솔을 확인해 보니 아래와 같이 출력되었습니다.이때 Postman을 통해 보낸 방식에서 cookie가 조회되지 않는 이유는 Postman을 사용해서 POST 요청을 할 때 쿠키 설정을 따로 해주지 않아서 그런거고 크롬에서 URL을 검색해서 GET 방식으로 조회할 때는 크롬이 자동으로 쿠키를 할당해준건거요...??
-
미해결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자격증 준비하기
강의 연장 요청 드립니다.
강의 기간이 얼마 남지 않아 강의 연장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오토캐드 60강 완성] 프로멘토에게 배우는 2D 도면 작성 / 편집 / 출력과 찐 실무 꿀 팁
오토캐드 갱신
제가 작년에 직업훈련을 받기 위해 교육용 오토캐드를 사용한 적이 있는데 현재 프로그램이 만료가 된 상태입니다. 교육용 서류도 없는데 다시 갱신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
해결됨[리뉴얼] 맛집 지도앱 만들기 (React Native & NestJS)
pgadmin 서버생성 오류
서버 생성할때 말씀해주신대로usernamepassword에 postgres를 입력하니에러가 뜨네요.... 새로운 user 를 그전에 생성해는 과정이 필요하나요?아님 설치할때 postgres라는 이름의 계정이 생성되던데 그걸 이용할까요?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어떤 부분이 문제일까요?
http://boj.kr/f9e04dedecf9402eb6e1bcb1042dcfa6선생님 안녕하세요.선생님이 작성해주신 답이랑 비교해봤을 때, 차이가 나는 부분은 if문을 통해 idx가 a[i].first보다 큰지 작은지를 가른뒤, 계산해주는 부분밖에 없는 것 같습니다. 선생님께서는 a[i].second - a[i].first 또는 idx 이런식으로 직접 해주셨고, 저는 s라는 변수에 a[i].first 또는 idx 를 담아줘서 계산해준 것 밖에 차이가 없다고 생각하는데요.어떤부분이 달라서 정답이 아니라고 나오는 걸까요?? (if(a[i].second <= idx) continue; 이부분은 문제에 웅덩이는 겹치지 않는다는 조건이 있어서 넣지않았습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assertThat import, RunWith annotation 관련 문의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혹시 여기서 import 활성화를 위해서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setting 설정은 Gradle에서 실행하도록 설정해놨음)
-
미해결리눅스 성능 분석 시작하기
좀비프로세스,자식프로세스
안녕하세요 강사님다른분들의 글을 보다 궁금한점이 있어 여쭤봅니다 고아프로세스는 부모 프로세스가 죽은것이고, 좀비 프로세스는 부모프로세스가 죽은것은 아니고자식프로세스를 호출을 못하는것을 좀비 프로세스라고 하는것인가요?그리고 호출을 못한다는 것은 자원회수도 안되고 아무것도 안된다로 이해하였는데 맞을까요? 추가로 SWAP IN이 되어도 SWAP 영역에서 지워지진 않는다 라고 말씀을 주셨고해당 영역을 swap cached라고 하셨는데요, 가끔 보면 top을 보면 메모리 가용영역을 보면 swap부분이 안지워진걸 보고 아 이게 그거구나라고 이해를 하였습니다 그런데 그럼 swap cached는 언제 없어지는 건가요?? 리부팅 시 없어지는 건가요? 혹시 고아프로세는 어떠한 방식으로 현업에서 확인을 하셨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17강. TCP 통신 장애 관련 질문드립니다.
강의에서 소개해주신 TCP 장애(Re-transmission, Out of order)에 관해서 질문 드리려고 합니다.Server와 Client구조에서 Server는 Client에게 1~100을 송신한다고 하면 (TCP 통신)통신 장애(Re-transmission, Out of order)가 발생한 경우 Client는 1, 2, 3 ... ,100을 순차적으로 받지 못하고 1, 2, 3, 3, 5, 4 ... 99, 98, 100이런 식으로 값을 받을 수 있다고 강의에서 설명해주셨습니다.그리고 위와 같이 통신 장애가 발생하면 TCP, 즉 L4 layer에서 통신 장애가 발생한 부분을 자동으로 처리(후처리) 해준다고 말씀하셨는데,그렇게 TCP layer에서 후처리 해주면 Client는 값을 정상적으로 받게 되는 건가요?추가로 이런 보정 작업이 100%로 Client가 값을 정상적으로 받는 것을 보장해주는 것인지 궁금합니다지식이 부족해서 명확하게 질문드리지 못한 점 정말 죄송합니다.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리뉴얼] 파이썬입문과 크롤링기초 부트캠프 [파이썬, 웹, 데이터 이해 기본까지] (업데이트)
강의 크롤링 엑셀 파일로 저장하는 것까지 추가해 봤습니다.
## 엑셀 시트 연습겸 추가했습니다. ##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import re from bs4 import BeautifulSoup import requests import openpyxl res = requests.get('https://davelee-fun.github.io/blog/crawling_stock_example.html') soup = BeautifulSoup(res.content, 'html.parser') items = soup.select('li.row_sty') excel_file = openpyxl.Workbook() excel_sheet = excel_file.active excel_sheet.title = 'Sheet1' excel_sheet.append(['회사명','주식 가격','변동율']) for i in items: a = i.select_one('div.st_name').get_text().replace(" ","").replace('\n','') b = i.select_one('div.st_price').get_text().replace('\n','').replace(" ","") c = i.select_one('div.st_rate').get_text().replace('\n','').replace(" ","") excel_sheet.append([a,b,c]) excel_file.save('stock.xlsx') excel_file.close()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DB insert 안됨
window command에서 h2.bat하고 db띄운 후그냥 창x눌러서 껐는데요 그다음 다시 커맨드 열어서 h2.bat하고 insert 쿼리 날렸는데insert가 반영이 안돼요jsessionid 처음 나왔던걸로 해도 안되고새로 나오는 것으로 해도 안되는데창을 새로 띄워도 원래 jsessionid로 해야 하는건가요? test.mv.db 파일도 새로 생성해야 하나요? 파일을 올리고 싶은데 첨부파일 넣는 곳이 없네요 어떻게 해야 하나요?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Bearer라는 단어로 작성하는 이유가 있나요?
항상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예전에 프론트 개발 할 때도 궁금했던 부분인데Bearer 를 굳이 작성하는 이유나 혹은 작성하게 된 관습의 기원이 궁금합니다.
-
해결됨우아한 고성능 프로그래밍 언어 Rust 입문 및 활용
trait를 인자로 받을 때 &impl과 &dyn차이
Trait강좌에서 &impl만을 사용해 trait를 구현한 객체를 함수인자로 전달 받았는데 &dyn을 사용했을 때 차이가 궁금합니다.정적 디스패치, 동적 디스패치라고는 나오는데 &dyn이 들어가야하는 곳에 항상 &impl도 동작할 것 같아 어떤 예에서 &dyn을 사용해야 하는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ㅠ강의 내용에는 나와있지 않은 부분이지만 강사님 경험상 dyn keyword를 사용해야만 하는 경우가 있으셨을까요??
-
미해결
@DataJpaTest에서 참조하는 Entity 관련 질문 있습니다
개발자 선배님들 안녕하세요. @DataJpaTest 관련해서 궁금한점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제가 작성한 User Entity에서 Address Entity를 FK로 참조하고 있습니다. 여기서 UserRepository의 테스트 코드를 작성할 때 AddressRepository도 @Autowired로 등록 후 Address를 먼저 save()로 insert 후에 User Insert 테스트를 작성해야 하나요??? 이러면 UserRepository의 테스트가 아니라 UserRepository, AddressRepository 두개의 테스트를 작성하는 것이라 좀 이상하다고 생각이 드네요.. 제가 작성한 코드입니다. package com.kh.bookfinder.repository;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assertThat;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assertThatThrownBy; import com.kh.bookfinder.entity.Address; import com.kh.bookfinder.entity.User; import com.kh.bookfinder.entity.UserStatus; import jakarta.persistence.EntityManager; import org.junit.jupiter.api.BeforeEach; import org.junit.jupiter.api.DisplayName;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autoconfigure.jdbc.AutoConfigureTestDatabase;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autoconfigure.jdbc.AutoConfigureTestDatabase.Replace;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autoconfigure.orm.jpa.DataJpa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dao.DataIntegrityViolationExcep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ActiveProfiles; impor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TestPropertySource; @ActiveProfiles("test") @DataJpaTest @TestPropertySource(locations = "classpath:application-test.properties") @AutoConfigureTestDatabase(replace = Replace.NONE) public class UserRepositoryTest { @Autowired 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Autowired AddressRepository addressRepository; Address givenAddress; @BeforeEach public void setup() { givenAddress = Address.builder() .si("서울특별시") .gu("강남구") .dong("역삼동") .roadFullAddress("역삼역") .build(); addressRepository.save(givenAddress); } @Test public void userInsertTest1() { // Given: User가 주어진다. User givenUser = User.builder() .email("user@mail.kr") .password("password") .phone("010-1234-5678") .nickname("nickname") .status(UserStatus.ADMIN) .address(givenAddress) .build(); // When: save() 메서드를 호출하여 User를 저장한다. User actual = this.userRepository.save(givenUser); // Then: actual은 givenUser와 같다. assertThat(actual).isNotNull(); assertThat(actual).isEqualTo(givenUser); } @Test @DisplayName("email은 unique로 중복이 불가능하다") public void userInsertTest2() { // Given: email이 같은 User가 2개 주어진다. User givenUser1 = User.builder() .email("user@mail.kr") .password("password") .phone("010-1234-5678") .nickname("nickname") .status(UserStatus.ADMIN) .address(givenAddress) .build(); User givenUser2 = User.builder() .email("user@mail.kr") .password("password2") .phone("010-5678-1234") .nickname("nickname2") .status(UserStatus.ADMIN) .address(givenAddress) .build(); // When: save() 메서드를 호출하여 givenUser1를 저장한다. User actual = this.userRepository.save(givenUser1); // And: save() 메서드를 호출하여 givenUser2를 저장한다. // Then: Exception이 발생한다. assertThatThrownBy(() -> this.userRepository.save(givenUser2)) .isInstanceOf(DataIntegrityViolationException.class) .hasMessageContaining("Duplicate"); } @Test @DisplayName("nickname은 unique로 중복이 불가능하다") public void userInsertTest3() { // Given: email이 같은 User가 2개 주어진다. User givenUser1 = User.builder() .email("user@mail.kr") .password("password") .phone("010-1234-5678") .nickname("nickname") .status(UserStatus.ADMIN) .address(givenAddress) .build(); User givenUser2 = User.builder() .email("user2@mail.kr") .password("password2") .phone("010-5678-1234") .nickname("nickname") .status(UserStatus.ADMIN) .address(givenAddress) .build(); // When: save() 메서드를 호출하여 givenUser1를 저장한다. User actual = this.userRepository.save(givenUser1); // And: save() 메서드를 호출하여 givenUser2를 저장한다. // Then: Exception이 발생한다. assertThatThrownBy(() -> this.userRepository.save(givenUser2)) .isInstanceOf(DataIntegrityViolationException.class) .hasMessageContaining("Duplicate"); } }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미해결중급, 활용편 #1 DevOps : Infrastructure as Code with AWS and 테라폼
AWS Paramater store 실습도중 Error: creating SSM Parameter (test-key): 에러 발생
AWS Paramater store 실습도중 Error: creating SSM Parameter (test-key): 에러가 발생하여 질문 남깁니다. test-key.tf 파일에서ssm_parameter_key_id = "alias/deployment-common"내용에서 에러가 나는거 같습니다. 그래서 아래와 같이 keyid 값으로 변경하니 에러가 안나고 ssm 생성도 잘됩니다.ssm_parameter_key_id = "f5144bdc-2350-447a-a2f7-8473e0f3b4dc" terraform 문서에서도 key_id 값을 KeyID 또는 ARN을 명시하라고 나와 있는데요, 어떤것이 맞는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성공 상태가 맞을가요?,.,
만약에 어떤 사람이 주문을 한적이 없어서..주문 조회 api 결과가 정상적으로 다 수행됬지만.. 아무것도 없는 경우에는 클라이언트에게 적절한 결과 코드는 무엇일까요..200일까요 아니면 다른 코드일까요보통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습으로 끝장내는 웹 크롤링과 웹 페이지 자동화 & 실전 활용
선생님이랑 똑같이 적었는데 저는 왜 오류가 날까요?ㅠ
안녕하세요! 차근차근 잘 보고 있습니다.선생님이랑 똑같이 따라하고 있는데 저는 자꾸 에러가 나서요ㅠㅠ".logo_naver"가 없어진거 같아서 다른걸 붙여서 했는데도 오류가 나는데 뭐가 잘못된 걸까요ㅠㅠㅠㅠ답변이 선생님이랑은 다르게 이렇게 나와서요ㅠㅠ똑같이 따라하는데 뭐가 잘못된 건지 모르겠어요ㅠㅠ
-
미해결
강의 배속이 2배속이었다가 2배속 초과
2배속까지 되다가 어느 시점부터 2.25 2.5 2.75 3배속이 풀리는데왜 처음부터 3배속을 할 수는 없는건가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왜 2개 인가요...? 22:12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TeamA, TeamB, TeamC를 persist했는데...jpql이 select t from Team t를 하게 되면 teamA , B, C나와서 3개 아닌가요?
-
미해결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외부파일 질문
[질문 내용]application.properties가 윈도우환경에서는 무슨 파일로 저장해야하나요?텍스트 문서파일로 저장하고 그 안에 내용을 쓰니 빌드하면 이렇게 나옵니다2024-04-23T20:52:12.297+09:00 INFO 2056 --- [ main] hello.EnvironmentCheck : env url=null2024-04-23T20:52:12.299+09:00 INFO 2056 --- [ main] hello.EnvironmentCheck : env username=user2024-04-23T20:52:12.300+09:00 INFO 2056 --- [ main] hello.EnvironmentCheck : env password=null2024-04-23T20:52:12.436+09:00 INFO 2056 --- [ main] hello.ExternalApplication : Started ExternalApplication in 1.65 seconds (process running for 2.338)
-
해결됨개발자를 위한 쉬운 도커
docker 실행시 네트워크 질문
강사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docker 컨테이너 실행시, --network 옵션으로 네트워크를 지정해주지 않으면 디폴트로 'bridge' 라는 네트워크에 컨테이너가 실행되는건가요?? network 리스트에서 'bridge'라는 name을 찾아서 기본값으로 사용하는걸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