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강의 소제목에는 비대칭키를 활용한 암호화라고 되어있는데
apiEncryptionKey.jks (개인키)와 이에 파생된 public.key (공개키)를 생성한 것 까지는 이해가 되었습니다.강의중 encrypt/decrypt 를 하는 과정에서 모두 apiEncryptionKey.jks (개인키)를 사용한 대칭키 방식을 사용한 것 같은데 비대칭키 전략을 사용하는 부분이 있나요? 아니면 비대칭키를 추후에 활용할 수 있도록 파생키를 생성하는 방법을 알려주신건가요?java key store를 통해 구성정보의 암/복호화에 대칭키 방식을 사용한건지 비대칭키 방식을 사용한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생성과 수정 API 응답, 그리고 그 응답 Dto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에 대한고민
안녕하십니까 강사님.저는 이제 5개월차가 된 신입? 백엔드 개발자 입니다.다름이 아니라 , 생성과 수정 API에 대한 응답으로 어떤 정보까지 넘기는것이 적합할지에 대해 고민을 하던 도중 강사님의 생각을 여쭤보고 싶어 질문을 드리게 되었습니다. Q1. 강사님 께서는 생성, 조회 , 수정, 삭제 API의 응답을 각각 어떻게 보내시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가장 먼저 조회의 경우는 말 그대로 path의 Entity 및 관련된 Entity 정보를 조합하여 응답 DTO로 변환하여 보내고 있습니다. 그런데 나머지 Write Operation에 대한 응답을 어디까지 보내야 하냐가 이슈 입니다.예를들면 엔티티의 생성의 경우 엔티티의 응답 DTO를 보내면 - 프론트에서 별도의 조회 API 호출 없이 바로 프론트가 화면에 뿌려줄 수 있으니깐 저는 생성의 경우에도 조회와 마찬가지로 Entity의 정보를 조합하여 응답 DTO로 변환하여 보내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부분이 Command Query Sperate 원칙에 어긋나는것 같아, 강사님께서는 혹시 생성한 Entity의 Key만 보내시는지, 아니면 Entity의 정보를 DTO로 변환하여 보내시는지 궁금합니다. 만약 정보를 다 보내신다면 이후에 별도로 조회API를 호출해야 하고 그 또한 비용일텐데 이러한 부분은 어떻게 하시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 이제 수정 API인데요,제가 다룬 비즈니스 로직의 경우 수정 비즈니스 로직이 다양하고 , 각 비즈니스 로직의 경우 다뤄지는 Entity의 종류가 다른 경우였습니다. (중심 Entity는 동일하지만, 연관된 Entity를 누구까지 건드리냐의 차이) 그래서 응답으로 보내기 모호한 점이 첫 번째 이유이고,애초에 수정 후에 프론트 화면에서 그 엔티티의 정보를 보여줄 필요가 없어서 라는 두번째 이유에 의해서 에초에 엔티티의 Id값도 보내지 않고 있었는데요,이 수정 API의 응답을 성렬님은 어떻게 진행하지는지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마지막으로 삭제의 경우는 정말, 프론트에게 보낼 응답이 없어도 되는 경우 라고 생각했는데요,팀장님의 의견은 만약에 나중에 삭제한 Entity를 복구하는 요구사항이 추가되는것을 고려하여Id 정도는 넘기자는 의견을 내어주셨습니다.마찬가지로 삭제의 경우도 어떤식으로 수행하시는지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 Q2. 마지막으로 Entity의 ResponseDto의 필드를 어떤식으로 구성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예를들면 저의 경우는 API는 프론트와 서버 간의 스펙이라고 생각하고, Entity의 단건조회의 경우는 단건 조회용 ResponseDto를, 전체조회의 경우는 전체 조회용 SummaryResponseDto를 별도로 만들어서 사용하고 있었습니다.(이런식으로 각 상황별 ResponseDto를 별도로 정의하고, 그 안에 관련된 Entity들의 필드를 직접 풀어넣는 방법) 저희 팀장님 께서는 프론트쪽도 일을 해오시다가 , 백엔드쪽 분야로 전향하신 케이스 인데요,그렇다 보니 어떻게 해야 프론트의 생산성이 올라가는지를 고려하시는 분 이셨고,팀장님의 생각은 서버에서 넘겨주는 응답에 일관성이 있어야 그 응답을 사용하는 프론트 측도 학습이 되고 놓치는 부분 없이 생산성이 올라간다는 의견이셨습니다. 그래서 Entity별로 당장 사용하지 않더라도 가능한 모든 필드를 담은 ResponseDto를 하나만 만들고,해당 ResponseEntity의 조합으로 각 API별 응답 Dto를 만들어서 사용하면 ,프론트 측 에서는 일관성 있는 응답값을 사용할 수 있다는 의견이셨습니다.물론 이 방법이 네트워크 패킷의 양을 쓸데없이 증가시킨다는 것을 알고 계시면서도,생산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부분이라고 생각하셨습니다. 예를들어 다음과 같이 각 Entity의 응답 Dto의 조합별로 API의 ResponseDto를 만들 수 있습니다.ResponseDto{ UserDto{ id : 1, name : “aaa” … // User엔티티의 거의 모든 필드 } ItemDto{ id : 2, name : “bbb”, … // Item엔티티의 거의 모든 필드 }} 저는 이러한 부분에 대해 생각해 본 적이 없이,그냥 제가 “해당 API를 호출하는 화면에서 필요한 정보들만을 담아 |(혹은 여러 화면에서 쓰인다면 여러개를 고려) ResponseDto를 각각 만들어서” 넘겼는데요 강사님께서는 이러한 ResponseDto를 구성하는 부분에 있어서상황별로 필드를 재구성 하여 ResponseDto를 정의하여 사용하시는 편 인지아니면 생산성을 고려하여 각 Entity별 Dto를 만들고, 이들을 조합하여 ReponseDto를 정의하시는 편 이신지 혹은 다른 규칙이 있으신지 궁금합니다. 물론 그렇다고 , 팀장님의 의견에서 전체조회시 사용하는 DTO와 단건조회시 사용하는 DTO가 동일하더라도,전체조회 후 단건조회를 기존 Front가 가지고 있는 값을 그대로 쓰지 말고.,단건 조회용 API를 다시 호출하자 입니다!그저 핵심은 프론트가 다루는 ResponseDto의 일관성을 위해서 입니다 (결론은 생산성을 위해) 항상 좋은 강의,그리고 무엇보다도 강상님의 의견과 고민을 강의에 녹여주셔서정말 감사할 따름입니다. 덕분에 함께 고민하고 많이 배우는거 같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현업에서 제네릭 쓰나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가끔 오류날 때 recompile 해보곤 하는데..G:\spring\spring-data-project\jpashop\src\main\java\jpabook\jpashop\api\MemberApiController.java:uses unchecked or unsafe operations.Recompile with -Xlint:unchecked for details. 이게 뭔가하고 찾아보니, @Data @AllArgsConstructor static class Result<T>{ private int count; private T data; }여기 이 부분이..물론 파란색이라 에러같은 느낌은 아니고, 그냥 안내 정도로 보이긴 하는데,https://bgpark.tistory.com/33 근데 제가 언뜻 왠만하면 제네릭 쓰지 말라고 들었던거 같긴 한데 기억이.. 잘못들었는지 왜곡되었는지..옛날 라이브러리들은 제네릭으로 구현된게 많아서 그냥 그거 쓰고 제네릭으로 따로 구현하지 말랬던거 같은데.. 제가 잘못 기억하고 있는 거겠죠?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프레젠테이션 레이어 테스트 코드 작성시 코틀린 non-nullable
안녕하세요.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요청 객체를 테스트(ex. 신규상품을 등록할때 타입은 필수 값이다.) 할 때에 코틀린을 사용하는 경우 productType은 non-nullable 입니다. data class ProductCreateRequest( @field:NotNull(message = "상품 타입을 선택해주세요.") val type: ProductType, @field:NotNull(message = "판매 상태를 선택해주세요.") val sellingStatus: ProductSellingStatus, @field:NotBlank(message = "상품명을 입력해주세요.") val name: String, @field:Positive(message = "상품 가격을 입력해주세요.") val price: Int, ) 이런 경우 enum 타입은 bean Validation에서 NotNull이나 NotBlank에 대한 테스트는 불가능한 상태인데요. 이렇게되면 테스트 가능한 것들만 하는게 맞는건가요?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강의에 사용된 코드는 제공되지 않나요
보통 강의는 github 주소가 제공되는데강의에 사용된 코드는 제공되지 않나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카테고리 관련 질문드립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 )[질문 내용]그러면 ManyToMany는 안쓴다고 하셨는데 .보통 카테고리는 실무에서 다는 알수 없겠지만 대략적으로 이해될수 있게 어떤 형식으로 entity를 구성하는지 알수있을까요보통 3뎁스 정도로 잡는다고 한다면요 ..실무에 이번에 jpa도입 할려고 하는데 카테고리는 어떤식으로 하는지 궁금합니다 .Mybatis를 주로 쓰고 관계형 테이블에서는 대충 감이 오는데 엔티티로 할려니 어떤식일까 강의 듣는 내내 .. 궁금해서요 ...id , parentid, level, name 등이 있다고 가정한다면요 ..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JPQL을 사용할 때 질문 있습니다.
현재 저는 MyBatis를 사용하고 있습니다.그래서 xml을 작성할 때 먼저 DB에 쿼리를 작성하고 인덱스를 사용했는지원하는 인덱스가 사용됐는지 등등 EXPLAIN 으로 확인해보고 작성을 합니다. 제가 JPQL을 실무에서 사용해보지 않아서 궁금증입니다.그런데 JPQL로 작성하게 되는 상황이라면 SQL을 작성해보고 -> JPQL로 만드시나요? 아니면 다른 방법을 사용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h2에 Member 테이블이 생성되지 않아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이렇게 컴파일 할 때 테이블이 실행되는 줄이 강의처럼 출력되지 않고 h2 에도 실제로 만들어지지 않아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비밀번호 해결 문제입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 비밀번호가 맞지 않는다고 하는데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까요?? ㅠㅠㅠ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스프링부트 2.x버전에서 복합키 매핑 오류 관련 문의
(기존의 질문드렸던 내용https://www.inflearn.com/questions/1022839/%EB%B3%B5%ED%95%A9%ED%82%A4-%EB%81%BC%EB%A6%AC%EC%9D%98-%EB%A7%A4%ED%95%91-%EC%A7%88%EB%AC%B8-%EB%93%9C%EB%A6%BD%EB%8B%88%EB%8B%A4의 추가 질문 입니다.) 안녕하세요.항상 좋은 강의감사드립니다! 😉😉현재 회사에서 팀내사용을 목적으로 백엔드 프로젝트를 제작 중인 개발자입니다.기존에 복합키 끼리의 매핑 관련해 질문을 드렸었습니다.해당 부분은 스프링부트 3.x버전으로 진행했는데 이번에 운영목적으로 사용될 서버가 java11까지만 지원해 어쩔 수 없이 java17에서 java11로, 스프링 부트는 3.x에서 2.x버전으로 버전 변경을 진행했습니다. 근데 버전을 변경하고 나서 해당 복합키 매핑 관련진행시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BeanCreation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entityManagerFactory' defined in class path resource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orm/jpa/HibernateJpaConfiguration.class]: Invocation of init method failed; nested exception is org.hibernate.AnnotationException: referencedColumnNames(company_code) of com.0.0.entity.Contract.company referencing com.0.0entity.Company not mapped to a single property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initializeBean(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1804) ~[spring-beans-5.3.26.jar:5.3.26]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doCreateBean(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620) ~[spring-beans-5.3.26.jar:5.3.26]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createBean(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542) ~[spring-beans-5.3.26.jar:5.3.26]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lambda$doGetBean$0(AbstractBeanFactory.java:335) ~[spring-beans-5.3.26.jar:5.3.26]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SingletonBeanRegistry.getSingleton(DefaultSingletonBeanRegistry.java:234) ~[spring-beans-5.3.26.jar:5.3.26]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doGetBean(AbstractBeanFactory.java:333) ~[spring-beans-5.3.26.jar:5.3.26]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getBean(AbstractBeanFactory.java:208) ~[spring-beans-5.3.26.jar:5.3.26] 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AbstractApplicationContext.getBean(AbstractApplicationContext.java:1156) ~[spring-context-5.3.26.jar:5.3.26] 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AbstractApplicationContext.finishBeanFactoryInitialization(AbstractApplicationContext.java:910) ~[spring-context-5.3.26.jar:5.3.26] 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AbstractApplicationContext.refresh(AbstractApplicationContext.java:583) ~[spring-context-5.3.26.jar:5.3.26] at org.springframework.boot.web.servlet.context.ServletWebServerApplicationContext.refresh(ServletWebServerApplicationContext.java:147) ~[spring-boot-2.7.10.jar:2.7.10] 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efresh(SpringApplication.java:731) ~[spring-boot-2.7.10.jar:2.7.10] 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efreshContext(SpringApplication.java:408) ~[spring-boot-2.7.10.jar:2.7.10] 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un(SpringApplication.java:307) ~[spring-boot-2.7.10.jar:2.7.10] 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un(SpringApplication.java:1303) ~[spring-boot-2.7.10.jar:2.7.10] 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un(SpringApplication.java:1292) ~[spring-boot-2.7.10.jar:2.7.10] at com.0.0.0.main(DzscrapingStlmApplication.java:10) ~[main/:na]Caused by: org.hibernate.AnnotationException: referencedColumnNames(company_code) of com.0.0.entity.Contract.company referencing com.0.0.entity.Company not mapped to a single property at org.hibernate.cfg.BinderHelper.createSyntheticPropertyReference(BinderHelper.java:203) ~[hibernate-core-5.6.15.Final.jar:5.6.15.Final] at org.hibernate.cfg.ToOneFkSecondPass.doSecondPass(ToOneFkSecondPass.java:104) ~[hibernate-core-5.6.15.Final.jar:5.6.15.Final] at org.hibernate.boot.internal.InFlightMetadataCollectorImpl.processEndOfQueue(InFlightMetadataCollectorImpl.java:1750) ~[hibernate-core-5.6.15.Final.jar:5.6.15.Final] at org.hibernate.boot.internal.InFlightMetadataCollectorImpl.processFkSecondPassesInOrder(InFlightMetadataCollectorImpl.java:1694) ~[hibernate-core-5.6.15.Final.jar:5.6.15.Final] at org.hibernate.boot.internal.InFlightMetadataCollectorImpl.processSecondPasses(InFlightMetadataCollectorImpl.java:1623) ~[hibernate-core-5.6.15.Final.jar:5.6.15.Final] at org.hibernate.boot.model.process.spi.MetadataBuildingProcess.complete(MetadataBuildingProcess.java:295) ~[hibernate-core-5.6.15.Final.jar:5.6.15.Final] at org.hibernate.jpa.boot.internal.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metadata(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java:1460) ~[hibernate-core-5.6.15.Final.jar:5.6.15.Final] at org.hibernate.jpa.boot.internal.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build(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java:1494) ~[hibernate-core-5.6.15.Final.jar:5.6.15.Final] at org.springframework.orm.jpa.vendor.SpringHibernateJpaPersistenceProvider.createContainerEntityManagerFactory(SpringHibernateJpaPersistenceProvider.java:58) ~[spring-orm-5.3.26.jar:5.3.26] at org.springframework.orm.jpa.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createNativeEntityManagerFactory(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java:365) ~[spring-orm-5.3.26.jar:5.3.26] at org.springframework.orm.jpa.AbstractEntityManagerFactoryBean.buildNativeEntityManagerFactory(AbstractEntityManagerFactoryBean.java:409) ~[spring-orm-5.3.26.jar:5.3.26] at org.springframework.orm.jpa.AbstractEntityManagerFactoryBean.afterPropertiesSet(AbstractEntityManagerFactoryBean.java:396) ~[spring-orm-5.3.26.jar:5.3.26] at org.springframework.orm.jpa.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afterPropertiesSet(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java:341) ~[spring-orm-5.3.26.jar:5.3.26]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invokeInitMethods(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1863) ~[spring-beans-5.3.26.jar:5.3.26]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initializeBean(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1800) ~[spring-beans-5.3.26.jar:5.3.26] ... 16 common frames omitted 이러한 오류가 발생하면서 빌드가 진행되지 않습니다.버전 문제라고 생각한 이유는 코드를 그대로 보존 후(jakarta-> javax import변경) 진행했는데 java17에서는 오류없이 진행되고 java11에서는 위와같은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BeanCreation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entityManagerFactory' defined in class path resource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orm/jpa/HibernateJpaConfiguration.class]: Invocation of init method failed; nested exception is org.hibernate.AnnotationException: referencedColumnNames(company_code) of com.0.0.entity.Contract.company referencing com.0.0entity.Company not mapped to a single property오류가 발생합니다.해당 오류가 발생하는 원인과 해결방법을 알 수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그래서 DB에 저장할 객체에는 상속 관계 안쓴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SQL 중심적인 개발의 문제점' 강의를 복습하다가 짚고 넘어갈 부분이 생겨 질문드려요.각각의 테이블에 따른 조인 SQL 작성 등 때문에 번잡해서 DB에 저장할 객체에는 상속 관계를 잘 안쓴다고 강의에서 설명하십니다.현재 맥락에서 말하는 상속 관계란 왼쪽 그림과 같은 '객체에서의 상속 관계'를 의미하는 것이 맞겠죠?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궁금한게 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여기 강의에 보면 검은색 화면에 노트같은거 있는데 그건 혹시 제공이 되지 않나요 ??? erd라던가 설명 보니깐 그거 보면서 보면 괜찮을꺼 같아서요
-
미해결실전! Querydsl
@Type(JsonType.claa) 어노테이션 인식 불가 문제.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강사님.Entity 가 가지고 있는 필드중에 아래와 같은 필드가있습니다.//Entity @Type(JsonType.class) @Column(name ="INFO", columnDefi...) private Setting setting; ..위와 같이 엔티티에 oracle 19c 의 VARCHAR2 타입에 json check 를 활용하여 json 타입의 필드를 사용하고있습니다. 아래와 같이 JPA 를 활용하여 데이터를 업데이트할때는 시리얼라이제이션에서 별다른 문제가없는데요Entity a = em.find(id); a.setSetting(settingDto); 이후에 정상적인 업데이트 쿼리후 Setting 객체가 json String 형태로 INFO 컬럼에 정상적으로 업데이트됨.문제는 QueryDSL 형태로 update를 할때입니다.queryFactory.update(entity) .set(qEntity.setting, settingDto) .execute()위와같이 변경하여 업데이트를 시도하면 org.hibernate.type.descriptor.java.spi.JdbcTypeRecommendationException: Could not determine recommended JdbcType for 'com. .. .Setting'오류가 발생합니다. 추측하건데 @Type(JsonType.clss) 관련 Entity 의 컬럼 어노테이션을 참조하지 못하는것 같은데 혹시 문제를 겪어보셨거나 해결에 도움이 될만한 내용이있을까해서 질문드려봅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git add . 에서 오류가 발생하는데 어떤 문제인가요??
그리고 파일들을 보니까 다 빨간색으로 변해있더라고요 언제부터 변했는지는 모르겠어요. 우선 git 명령어 치기 전까지는 괜찮았어요 오류를 찾아보니까 해당 파일에 .git 파일을 지우고 다시 하라고 했던 것 같은데그런 파일은 없더라고요오류에 대해 잘못 찾았나 봐요 ㅎㅎ; -------------------.git 폴더는 다시 보니까 숨긴 항목으로 숨겨져 있었네요...git 폴더 지우고 다시 처음부터 했더니 이상 없습니다!
-
미해결[초급] 찍어먹자! 코틀린과 Spring Security + JWT로 회원가입 만들기
2.5강에서 포스트맨 오류와 전에 실습한 내용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강의 내용을 최대한 놓치지 않고 다 작성한 것 같은데 포스트맨에 나오는 내용이 다릅니다..[22:12:33.504][WARN ][org.springframework.web.servlet.mvc.method.annotation.ExceptionHandlerExceptionResolver.logException:line207] - Resolved [jakarta.validation.ConstraintDefinitionException: HV000243: Constraint ConSilkTea.SmallRecordServer.common.annotation.ValidEnum references constraint validator type ConSilkTea.SmallRecordServer.core.annotation.ValidEnumValidator, but this validator is defined for constraint type ConSilkTea.SmallRecordServer.core.annotation.ValidEnum.]이건 로그에 나온겁니다..전에 했던 블로그 api랑 충돌이 일어나는 것 같은데서버 하나당 api는 1개 밖에 사용을 못할까요?다중으로 사용하고 싶다면 어떻게 변경을 하면 좋을지 몰라 질문 남깁니다
-
미해결[초급] 찍어먹자! 코틀린과 Spring Security + JWT로 회원가입 만들기
TokenProvider의 Key 관련하여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너무 잘 보고있습니다.`JwtTokenProvider.kt` 생성 중, 궁금한 것이 있어 질문 남깁니다. createToken에서 signWith에 사용하는 key를 private val key by lazy { Keys.hmacShaKeyFor(Decoders.BASE64.decode(secret)) }yml파일에 쓴 key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아닌, 아래와 같이 한번 더 decode를 거치는 것으로 보여지는데요. signwith를 통해 또 다시 HS256으로 인코딩 하는데, 그 전에 한번 더 디코딩한 키를 넣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setter 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강의에서는 setter를 사용하지 않고 하는게 바람직하다고 언급하신적이 있습니다. public static OrderItem createOrderItem(Item item,int orderPrice,int count){ OrderItem orderItem=new OrderItem(); orderItem.setItem(item); orderItem.setOrderPrice(orderPrice); orderItem.setCount(count); item.removeStock(count); return orderItem; }이것은 영한님 강의의 OrderItem이라는 중간테이블을 생성해주는 것이였습니다. 위에서 set,set,set 이 많이 나오는데 이게 아마 builer패턴? 으로 위 코드에서 setter를 지워주는것 맞져?? 그러면 Order의 연관관계 편의 메서드인 아래 코드는 또 어떻게 바꿔야 할까 public void addOrderItem(OrderItem orderItem){ orderItem.setOrder(this); this.orderItems.add(orderItem); }이거는 또 어떻게 바꿔야 할까요?? 실무에서는 이런 것까지도 set을 안쓰나요? 아니면 뭐set 대신 이름만 inItOrder로 바꿔야 하는 것인가요? 질문 2) 솔직히 set을 왜 안써야 하는지 감이 안옵니다. 다른 개발자가 무작정 set을 호출할수 있다는게 단점이라고 하신 것 같은데 그러면 뭐 cancelOrder 이런 메서드로 바꾸면 다른 개발자가 이걸 호출할수도 있지 않나요?? 질문 3) 가끔 보면 이런 코드가 있습니다. public void initPost(Post post) { if(this.post == null) this.post = post; }이것은 init 이기때문에 단순히 null 인지 체크해주는 것인가요??가끔 이렇게 매개변수들어온게 null 인지 체크하는 로직이 들어있는게 있더라고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영한님 죄송합니다. 답변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습니다 ㅠ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페치 조인 질문있습니다! - 인프런 | 질문 & 답변 (inflearn.com) 이것을 작성했었던 글쓴이인데 아직 이해가 덜되어서 질문합니다! 제 질문과 영한님의 답변을 요약하면제 질문은 1대 다 에서는 fetch join을 고려하고 다대1에서 batch size를 이용해서 최적화하는게 좋았는데 다대1에서 그러면 역으로 1대다기준으로 fetch join 쓰면 안되냐는게 질문이였고 그에 대한 영한님의 답변은 다쪽(위에 질문에서는 중간테이블) 을 기준으로 조회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는데 그 경우는 1쪽기준으로 페이징을 한다면 다쪽에서 페이징이 모호하다. 라는 것이였습니다.(제가 제대로 이해한 것 맞겠죠?)@Query("select pc from Person_Club pc join fetch pc.club where pc.person.id=:personId ORDER BY pc.club.name DESC") List<Person_Club> findTop5ByPersonIdOrderByClubName(@Param("personId") Long personId,Pageable pageable);위 코드는 정확히 기억이 안나는데 Person_Club은 person과 Club의 다대다 중간테이블로 만들었고 where 절 로 persinID를 받아서 범위를 제한하고 페이징을 했던걸로 기억하는데 이런 경우는 1쪽기준으로 페이징을 한다면(where 절로 범위 제한) 다쪽에서 페이징이 모호해지지 않지 않나요?? 부족한 설명죄송합니다
-
미해결실전! Querydsl
Response에 값이 채워지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제가 지금 진행 중인 프로젝트가 있는 데 어려움을 겪어서 질문 드립니다!queryDsl을 사용해서 DTO로 바로 조회도 되고 값이 담겨져 있는 것도 로그를 찍어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근데 PostMan이나 스웨거로 값을 반환받았을 때 isAuthenticated 값은 잘 채워져서 나오는 데 CulturalEventDetail값이 자꾸 null로 반환이 됩니다! 아무리 찾아봐도 답이 안 나와서 질문 드립니다..아래는 코드 입니다! @Getter @Builder @NoArgsConstructor @AllArgsConstructor @ToString public class CulturalEventDetailsResponseDTO { private CulturalEventDetail culturalEventDetail; private boolean isAuthenticated; } public CulturalEventDetailsResponseDTO getCulturalEventDetails(final int culturalEventId, final int userId) { return queryFactory.select(Projections.fields(CulturalEventDetailsResponseDTO.class, culturalEvent.culturalEventDetail, visitAuth.isAuthenticated)) .from(culturalEvent) .leftJoin(visitAuth) .on( culturalEvent.id.eq(visitAuth.culturalEvent.id), visitAuth.user.id.eq(userId)) .where( culturalEvent.id.eq(culturalEventId) ) .fetchOne(); } public CulturalEventDetailsResponseDTO getCulturalEventDetails(final int culturalEventId, final User user) { final CulturalEventDetailsResponseDTO culturalEventDetails = culturalEventQueryRepository.getCulturalEventDetails(culturalEventId, user.getId()); culturalEventRepository.updateVisitCount(culturalEventId); log.info("culturalEventDetails = {}", culturalEventDetails); return culturalEventDetails; } 2023-11-12T04:44:46.017+09:00 INFO 10556 --- [nio-8080-exec-1] e.c.c.s.c.CulturalEventService : culturalEventDetails = CulturalEventDetailsResponseDTO(culturalEventDetail=CulturalEventDetail( category=CONCERT, d, ....), isAuthenticated=true) @RestController @RequiredArgsConstructor @RequestMapping("/cultural-event") public class CulturalEventController { private final CulturalEventService culturalEventService; @GetMapping("/{culturalEventId}") public ResponseEntity<CulturalEventDetailsResponseDTO> getCulturalEventDetails(final @PathVariable int culturalEventId, final @AuthenticationPrincipal User user) { return ResponseEntity.ok(culturalEventService.getCulturalEventDetails(culturalEventId, user)); }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h2 데이터베이스 연결 문제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비슷하지만 없는 것 같습니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강의 극 초반인데 h2 데이터베이스 문제로 시작도 못 하구 있습니다. ㅠㅜ영한쌤과 같은 버전으로 하려고 했는데 start.spring.io에서는 2.2.1이 안되더라구요ㅠㅜ 그래서 3.xx 버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h2데이터베이스도 2.1xx 버전을 깔았습니다.근데 자꾸 h2연결이 안되어서 run도 안되고 데이터베이스 연결도 안 되더라구요ㅠㅜdb이름도 datajpa, data-jpa 등등 바꿔서도 해보고 이름도 바꿔서도 해보고 해도 안되네요.그리고 db파일은 생성이 원래 되었었는데, 지금 현재 안되서 프로젝트와 db파일을 지우고 첨부터 다시 해보고를 반복하면서 지웠었는데, 이제는 아예 생성이 안되더라구요...ㅎㅎ어떻게 해야할까요>?ㅠㅜ h2연결이 안되서 강의 진도를 못 나가고 있습니다.h2데이터베이스는 어떻게 생성을 하는건가요? 그냥 yml설정해주고 빌드를 하고 h2 console에 연결 하면 생기는 건가요? 아니면 생긴걸 확인하고 console로 들어가는건가요?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