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데이터베이스의 작동 방식
강의 내용과는 조금 별개로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지금 테스트환경에서는 userModel을 한두개 생성해서 테스트하지만, 실제로 네임드 앱들은 유저의 수가 수억개씩 존재하는데, 그렇게되면 데이터베이스가 특정 PostModel에 해당하는 하나의 user객체를 식별하는데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나요?그 시간 차이가 미비해서 따로 신경쓰지 않아도 되는건지, 혹은 컴퓨터만의 쿼리 탐색 방법이 따로 존재하는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도메인 객체의 의존관계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appconfig로 의존관계를 주입해서 di를 진행하고, dip를 만족한다고 배웠습니다. 그런데 지금까지으 예제에서 service나 repository의 의존관계를 다루었지만 도메인은 다루지 않을 것같아서요.만일 member 도메인 객체가 주문 히스토리 데이터를 가져야할 때, order 도메인을 의존해야하면, 이때도 따로 도메인에 대한 interface를 만들고 appconfig를 이용해 의존관계를 주입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부트 - 핵심 원리와 활용
그라파나 설치
curl -O https://dl.grafana.com/enterprise/release/grafana-enterprise-10.4.1.darwin-amd64.tar.gz Warning: Failed to open the fileWarning: grafana-enterprise-10.4.1.darwin-amd64.tar.gz: Read-only file systemcurl: (23) Failure writing output to destination 설치가안됩니다.(맥 os입니다)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Flutter 3.0 앱 개발 - 10개의 프로젝트로 오늘 초보 탈출!
속도 이슈
안녕하세요.맥북 사양이 낮아서 그런지 시뮬레이터를 켜두면 렉이 심해서 코드를 작성할때마다 재시작을 하고 있는데부팅하는데 시간이 꽤 걸려서요.혹시 시물레이터를 계속 켜두면서 컴퓨터에 부담이 덜가는 방법이 있을까요?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코드팩토리 디스코드https://bit.ly/3HzRzUMFlutter 강의를 구매하시면 코드팩토리 디스코드 서버 플러터 프리미엄 채널에 들어오실 수 있습니다! 디스코드 서버에 들어오시고 저에게 메세지로 강의를 구매하신 이메일을 보내주시면 프리미엄 채널에 등록해드려요! 프리미엄 채널에 들어오시면 모든 질의응답 최우선으로 답변해드립니다!
-
해결됨실전! Querydsl
lombok의 @ToString이 가지는 이점
lombok의 @ToString으로 설정해주는 것보다 인텔리제이가 단축키로 toString을 오버라이드 하는 것이 더 간단해보이는데 @ToString이 가지는 이점이 있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예외 계층 main
강의자료에서 예외 계층2- 활용 직전에 있는 MainV3의 main()에 대한 질문입니다.main() 옆에 throws xxException을 지우셨는데, 체크 예외를 발생시키는 메서드를 호출하기 때문에 throws를 생략하면 안 된다고 생각했는데, 삭제하신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public class MainV3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 }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Spring boot, db연동 안될 때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강의 내용 따라서 타이핑 후에 h2.bat을 실행 시킨 후 jpashopapplication.java 또한 실행시키고 db사이트 내에서 refresh했을 때 db가 연동되지 않는데 이 경우엔 어떻게 해야 할지 궁금합니다.아래는 구글 드라이브 압축 파일 링크 올려놨습니다.답변 기다리겠습니다.https://drive.google.com/file/d/1mRpp0B2EkM1WAHF9GpwKsY4JrozX4_zQ/view?usp=drive_link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완전 정복 [6.x 개정판]
예외처리에 관해 이해가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예외를 처리하는 부분에서 이해가 잘 가지 않는 부분이 이렇게 질문을 드립니다.스프링 시큐리티의 FilterChainProxy의 끝단에 예외를 처리하는 ExceptionTranslationFilter가 존재합니다. 해당 필터가 인가 예외를 처리하는 것까지는 이해하였습니다. 그러나 인증예외를 다루는 것이 조금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스프링 시큐리티에서 제공하는 formLogin 인증을 포함한 모든 인증 방식은 ExceptionTranslationFilter앞에 존재합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증 필터들에서 발생하는 예외들을 ExceptionTranslationFilter에서 처리를 합니다. 기존의 저는 예외가 발생할 즉시 바로 자신을 호출한 객체에게 예외를 반환하며 프로세스가 진행한다 알고 있는데 이는 스프링 시큐리티에서 인증예외를 처리하는 흐름과는 정 반대의 흐름입니다. 혹시 인증 필터에서 해당 예외가 발생할시 예외를 Throw하는 것이 아닌 다른방식으로 예외를 감싸서 ExceptionTranslationFilter까지 흘러가는 건가요? 아니면 제가 놓치는 부분이 있는걸까요?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Mock과 Stub의 차이가 아직 잘 구분되지 않습니다.
개인적으로 Mock은 상태를 (내가 작성한 값을) 반환하는 것, Stub은 상태가 (내가 작성한 구현대로) 반환되는 것이라고 정의를 내리고 있습니다. 이와 같은 표현으로 차이를 이해하고 있어도 괜찮을까요?아니면 좀 더 명확한 표현이 있을까요? Mock 객체에 우리가 원하는 행위를 정의(Stubbing)하면,그 객체는 이제 Mock 객체라고 해야하나요 아니면 Stub 객체라고 해야하나요? 아래 코드를 보고 Mock 객체인 mailSendClient의 send 메서드에 대한 Stubbing이 이루어졌다. 라고 하면 맞는 표현인가요?@ExtendWith(MockitoExtension.class) class MailServiceTest { @Mock private MailSendClient mailSendClient; @Mock private MailSendHistoryRepository mailSendHistoryRepository; @InjectMocks private MailService mailService; @DisplayName("메일 전송 테스트") @Test void sendMail() { // given when(mailSendClient.send(anyString(), anyString(), anyString(), anyString())) .thenReturn(true); // when boolean result = mailService.sendMail("", "", "", ""); // then assertThat(result).isTrue(); // verify(mailSendHistoryRepository, times(1)) // .save(any(MailSendHistory.class)); } } mailSendClient는 Mocking하더라도 상태검증을 할 수도 있고, Stubbing하더라도 행위검증을 할 수도 있지 않나요?이 둘의 차이는 Mockist와 Classicist의 차이이지, Mock과 Stub의 차이라고 할 수 없지 않을까요?
-
해결됨[초급편] 안드로이드 커뮤니티 앱 만들기(Android Kotlin)
게시판 글 읽기
안녕하세요 게시글을 파이어베이스 보드에서 가져오는건 되는데 게시글을 클릭하면 튕기는 에러가 발생해서 질문올립니다..어느 부분이 잘못된 건지를 모르겠습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dt 에러 질문
앞에까진 잘 됐는데,연/월/일 추출하려고하는데 이런 에러가 뜨는데요 ㅠ왜그런걸까요 ..ㅠㅠ
-
해결됨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4 - 게임플레이 어빌리티 시스템
private를 잘 안 쓰시는 이유?
교수님 강의를 듣다 보니 private를 써도 되지 않나 싶은 곳에서도 전부 protected를 쓰시는 것을 보고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예시로 4강에서 JumpAndWaitForLanding 클래스를 만들 때도 이 클래스는 제 생각에 더 파생되지 않을 것 같은데... 생각이 들었지만 protected를 사용하셨습니다 파생 클래스가 없다면 둘이 큰 차이는 없을 것 같다고 생각하지만 protected를 많이 사용하시는 이유와 스토리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파이썬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코딩테스트 대비)
뒤집은 소수 문제
2는 소수이기 때문에 for i in range(2, x//2+1): 이 구문에서 return False 가 아닌 True로 나오게 해야 하는거 아닌가요?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13강 데이터 베이스 연결문제..?
13강을 듣고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했는데 이름과 나이를 등록하면 둘다 빈칸으로 떠요. 터미널에서 mysql 조회해보면 이름 나이 다 잘 뜨는데 왜 그럴까요? 수정,삭제 기능도 안되구요ㅠㅠ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displayInfo 메소드에 배열 인스턴스 문의
Book 클래스 displayInfo 메소드에 book1 ~ book3 까지 각각 인스턴스를 넣어 정상적으로 출력이 되었습니다 void displayInfo(){ System.out.println("제목:" + title + ", 저자:" +author+ ", 페이지:" + page); } --- Main 메소드 --- book1.displayInfo(); book2.displayInfo(); book3.displayInfo(); 만약 displayInfo 메소드에 Books 인스턴스 배열을 매개 변수로 넣고 for문으로 처리하고 싶으면 어떻게 코드 수정을 해야 할까요? 뾰족한 수가 생각이 안나 스스로 해보는 중인데 ㅠㅠ 되지 않네요 혹시 가능할까요..? Book 클래스 displayInfo 메소드에 아무 매개변수를 배열 인자를 받아야 뭐 해결이 될거 같은데..ㅠ < 시도중인 코드> === Book 클래스 displayInfo 메소드=== void displayInfo(Book[] books){ for(int i=0; i <= books.length;i++){ System.out.println("제목:" + books[i].title + ", 저자:" +ooks[i]. author+", 페이지:" + ooks[i]. page); } } === 메인 메소드 === Book book1 = new Book(); Book book2 = new Book("Hello Java", "Seo"); Book book3 = new Book("JPA 프로그래밍","Kim", 700); Book[] books = {book1, book2, book3}; books.displayInfo();
-
미해결실전! Querydsl
contextLoads() 테스트 오류 질문드립니다.
@SpringBootTest class QuerydslApplicationTests { @Autowired EntityManager em; @Test void contextLoads() { Hello hello = new Hello(); em.persist(hello); JPAQueryFactory query = new JPAQueryFactory(em); QHello qHello = new QHello("h"); Hello result = query .selectFrom(qHello) .fetchOne(); assertThat(result).isEqualTo(hello); } }강사께서 진행하신 테스트를 똑같이 따라했는데 계속해서 TransactionRequiredException이 발생했습니다. 결국 @Transactional을 붙여주니 테스트가 정상적으로 수행됐는데요, 강의에서는 @Transactional이 없이도 잘 동작했는데 왜 저는 그렇지 않은 이유가 무엇일까요? 참고로 Spring Boot 3.2.5 최신 버전 사용중입니다.
-
미해결ASP.NET Core MVC +ASP.NET Core +REST API +.NET 8.0
해당 코드가 작동하지 않는 이유
강의 들으면서 도움이 많이 되고 있습니다.중간까지의 과정을 복습하고싶어 필기와 기억을 토대로 코드를 작성했는데, 첫 수업 복습부터 난항을 겪고 있습니다. program.cs에 오류가 없음에도 작동하지 않아 고민입니다. 1강 강의 기준 똑같은 내용의 코드를 이미 만들어두었던 코드에서 가져와 붙여놓았을때에는 또 정상적으로 작동하는데, 무엇이 문제인지 도통 모르겠습니다.var builder = WebApplication.CreateBuilder(args); builder.Services.AddControllers(); var app = builder.Build(); app.MapControllerRoute( name: default, pattern: "{controller=Home},{action=Index}/{id?}"); app.Run();이게 문제가 발생하는 코드var builder = WebApplication.CreateBuilder(args); builder.Services.AddControllers(); var app = builder.Build(); app.MapControllerRoute( name: default, pattern: "{controller=Home}/{action=Index}/{id?}"); app.Run();이게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코드입니다.이럴 때에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왜 첫 코드가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을까요? 무엇을 놓친건지를 모르겠어요...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provider 가 안되요...
안녕하세요 provider 따라해보는중 다른데는 잘되는데 안되는곳이 있어 문의드립니다. "use client" import {createContext, ReactNode, useState} from "react"; const currentYear = new Date().getFullYear(); const currentMonth = new Date().getMonth() + 1; export const FilterContext = createContext({ year: currentYear, setYear: (value: number) => {}, month: currentMonth.toString().padStart(2, "0"), setMonth: (value: string) => {}, }); type Props = { children: ReactNode }; export default function FilterProvider({ children }: Props) { const [ year, setYear ] = useState(currentYear); const [ month, setMonth ] = useState(currentMonth.toString().padStart(2, "0")); return ( <FilterContext.Provider value={{ year, setYear, month, setMonth }}> {children} </FilterContext.Provider> ); } const { year, setYear, month, setMonth } = useContext(FilterContext); const [selectBox2, setSelectBox2] = useState(false); const [selectBox3, setSelectBox3] = useState(false); {Array.from({ length: year - 2019 }, (_, index) => year - index).map((item) => ( <li key={item} onClick={() => { setSelectBox2(false); setYear(item); console.log(item); }}>{item}</li> ))} {Array.from({ length: 12 }, (_, index) => (index + 1).toString().padStart(2, "0")).map((item) => ( <li key={item} onClick={() => { setSelectBox3(false); console.log("month",item); setMonth(item); }}>{item}</li> ))}yser, month 가 업데이트가 될질 않아서요. 콘솔에는 찍히는데 값이 변경이 안되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junit5쓴다는건가요ㅠ
강의 영상에서는 위와같이 구성해서 4를 제외 시켰자나요? 그런데 왜 강의 pdf 에서는 4를 쓴다는건가요?ㅠ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useMutation의 onError에 관하여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제로초님 항상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해당 강의에서 팔로우 api에 의도적으로 에러를 일으켜 보았는데, onError에서 캐치하지 못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const follow = useMutation({ mutationFn: (userId: string) => { // console.log('follow', userId); return fetch( `${process.env.NEXT_PUBLIC_BASE_URL}/api/users/${userId}/follow`, { credentials: 'include', method: 'post', } ); }, ... onError(error, userId: string) { ... } 그래서 밑에와 같이 바꾸어보니 onError에서 캐치하여 롤백이 정상적으로 되었습니다. mutationFn: async (userId: string) => { const response = await fetch( `${process.env.NEXT_PUBLIC_BASE_URL}/api/users/${userId}/follow`, { credentials: 'include', method: 'post', } ); if (!response.ok) { throw new Error('팔로우 실패'); } return response; },혹시 본 강의 코드대로 하면 onError에서 원래 캐치해야하는데 안 되는 것인지 아니면 수강생들에게 숙제로 낸 것인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