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강의 수강 후 질문
안녕하세요 강의를 모두 수강후 , 강의를 통해 MSA관련 배운부분을 적용시키기 위해 프로젝트를 진행했습니다!Spring Cloud를 활용하고 서비스를 모두 개발완료 후 배포를 진행중입니다. 현재 마이크로 채팅 서비스가 ec2 a인스턴스에있고 gateway는 b인스턴스에 있고 모두 docker로 배포를 진행했습니다. eureka서버는 b인스턴스에 있고 gateway를 비롯해서 모든 마이크로서비스가 정상적으로 등록된 상태입니다.그러던중에, 아래와 같은 에러가 gateway 로그에 찍혔습니다. ec2 보안그룹도 정상적으로 포트를 열어줬고, 외부에서 접근이 가능하게 docker로 포트 매핑도 진행했고 , 방화벽도 문제가없는데 원래 gateway에서 ==> 다른 인스턴스에 있는 마이크로서비스를 연결을 하지못하는걸까요? 구글링을 많이해봤지만, 비슷한 내용이 없고 해결하기가 어려워 질문 남깁니다ㅜㅜ+)추가로 라우팅도 정상적으로 되어 매칭이 됬다는 로그도 나오는 상태에서 finishConnect(..) failed: Connection refused 에러가 생깁니다..a.w.r.e.AbstractErrorWebExceptionHandler : [1e416af9] 500 Server Error for HTTP GET "/plant-chat-service/chatroom/exist/seller?tradeBoardNo=2&memberNo=1" io.netty.channel.AbstractChannel$AnnotatedConnectException: finishConnect(..) failed: Connection refused: /172.18.0.5:46183 Suppressed: reactor.core.publisher.FluxOnAssembly$OnAssemblyException: Error has been observed at the following site(s): *__checkpoint ⇢ org.springframework.boot.actuate.web.trace.reactive.HttpTraceWebFilter [DefaultWebFilterChain] *__checkpoint ⇢ org.springframework.cloud.gateway.filter.WeightCalculatorWebFilter [DefaultWebFilterChain] *__checkpoint ⇢ org.springframework.boot.actuate.metrics.web.reactive.server.MetricsWebFilter [DefaultWebFilterChain] *__checkpoint ⇢ HTTP GET "/plant-chat-service/chatroom/exist/seller?tradeBoardNo=2&memberNo=1" [ExceptionHandlingWebHandler] Original Stack Trace: Caused by: java.net.ConnectException: finishConnect(..) failed: Connection refused at io.netty.channel.unix.Errors.newConnectException0(Errors.java:155) ~[netty-transport-native-unix-common-4.1.85.Final.jar!/:4.1.85.Final] at io.netty.channel.unix.Errors.handleConnectErrno(Errors.java:128) ~[netty-transport-native-unix-common-4.1.85.Final.jar!/:4.1.85.Final] at io.netty.channel.unix.Socket.finishConnect(Socket.java:359) ~[netty-transport-native-unix-common-4.1.85.Final.jar!/:4.1.85.Final] at io.netty.channel.epoll.AbstractEpollChannel$AbstractEpollUnsafe.doFinishConnect(AbstractEpollChannel.java:710) ~[netty-transport-classes-epoll-4.1.85.Final.jar!/:4.1.85.Final] at io.netty.channel.epoll.AbstractEpollChannel$AbstractEpollUnsafe.finishConnect(AbstractEpollChannel.java:687) ~[netty-transport-classes-epoll-4.1.85.Final.jar!/:4.1.85.Final] at io.netty.channel.epoll.AbstractEpollChannel$AbstractEpollUnsafe.epollOutReady(AbstractEpollChannel.java:567) ~[netty-transport-classes-epoll-4.1.85.Final.jar!/:4.1.85.Final] at io.netty.channel.epoll.EpollEventLoop.processReady(EpollEventLoop.java:489) ~[netty-transport-classes-epoll-4.1.85.Final.jar!/:4.1.85.Final] at io.netty.channel.epoll.EpollEventLoop.run(EpollEventLoop.java:397) ~[netty-transport-classes-epoll-4.1.85.Final.jar!/:4.1.85.Final] at io.netty.util.concurrent.SingleThreadEventExecutor$4.run(SingleThreadEventExecutor.java:997) ~[netty-common-4.1.85.Final.jar!/:4.1.85.Final] at io.netty.util.internal.ThreadExecutorMap$2.run(ThreadExecutorMap.java:74) ~[netty-common-4.1.85.Final.jar!/:4.1.85.Final] at io.netty.util.concurrent.FastThreadLocalRunnable.run(FastThreadLocalRunnable.java:30) ~[netty-common-4.1.85.Final.jar!/:4.1.85.Final] at java.base/java.lang.Thread.run(Thread.java:831) ~[na:na]
-
미해결FreeRTOS 프로그래밍
8kHz로 반복되는 고부하 작업을 처리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강의 수강한지 얼마 안되었습니다만,고부하의 드론 제어를 8kHz의 속도로 수행해야 하는 상황입니다.RTOS의 스케줄링 틱은 1kHz인데 강의 내용중에ISR에서 하위의 태스크로 작업을 옮기는 deffered Interrupt에 대한 내용이 있어서 아래와 같은 순서로 작업을 진행하면 어떨까요? 커스텀 보드이고 STM32H750VBT 칩에480MHz 까지 사용가능합니다. 외부타이머로 8kHz마다 인터럽트 발생타이머 콜백에서 하위 태스크로 문맥전환(이때 타이머 콜백은 종료)고부하 드론 제어코드 실행다른 하위 태스크로 복귀이해는 이런식으로 되었는데 틀린점있으면 지적 해주시면 감사합니다
-
미해결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언어
코드
전 이렇게 코딩을 했는데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데 뭐가 문제인 건가요?그리고 bool 타입을 쓴 이유와 작동원리가 이해가 잘 되지 않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질문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LottoGenerator의 클래스에서Random random = new Random(); 보통 private final은 절대 바꾸지 않을떄 사용하는건데이 랜덤 생성을 private final로 주신 이유가 뭔가요?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Flutter 3.0 앱 개발 - 10개의 프로젝트로 오늘 초보 탈출!
appBar bottom에 preferredSize 구성시 child 에 Row 로 TabBar 설정하면 TabBar 안보이는 경우
이때 row에 mainAxisSize: MainAsixSize.min 과 같이 사이즈를 설정하면 TabBar 가 보입니다.
-
미해결[핵집] 2025 빅데이터 분석기사(필기)_과목 3~4
해당 Ppt 교안 자료(3~4) 요청의 件
안녕하세요 금일부터 3~4안 진행합니다.해당 관련 자료 송부 요청드립니다.메일 주소 : khandong109@naver.com 감사합니다.
-
해결됨파이썬 API 마스터! FastAPI
엔드포인트와 HTTP 메서드! / 질문
강의 상에 설명으로는 이해가 부족하여 질문 합니다. 1. 앞에 작성한 코드에 코드명이 따로 안나와 있어서 앞 선 코드가(import logging으로 시작하는 코드) main.py가 맞을까요?실행 결과가 강의 창(16:14)만으로는 이해가 안되어서 main.py를 'uvicorn main:app' 으로 실행한 후에 client.py를 터미널 상에 실행하면 되는건가요?ps. 강의자료를 github주소로 기재해주신다고 하셨는데 github주소를 찾을 수 없어서 추가로 문의 드립니다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2 - 언리얼 게임 프레임웍의 이해
ClassFinder 질문
ClassFinder 사용 중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경로를 지정할 때 클래스일 경우 _C를 마지막에 붙여야 하는 것으로 배웠고 잘 사용하고있었습니다 🙂 다만 갑자기 궁금한 점은 ABGameMode.cpp에선 DefaultPawnClassRef와 PlayerControllerClassRef의 경로엔 _C를 안붙여야 WorldSetting이 제대로 세팅 되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위 상황 때문에, 어떠한 점을 기준으로, 클래스 레퍼런스 중에서도 경로에 _C를 붙여야할지 혹은 말아야할지 헷갈리게 되었습니다.. ㅠ
-
미해결실리콘밸리 엔지니어와 함께하는 Redis
수업자료 한번에 다운 받을 수 없을까요?
수업자료를 매번 다운받고 아이패드에 넣고 하는 작업이 번거롭네요 ㅠ 한번에 다운받고 싶어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NotEmpty 속성 적용 관련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api/v1/members 에서는 NotEmpty를 멤버 클래스에서 적용함 public class Member { ~~ 중략 @NotEmpty private String name; ~~ 중략 } /api/v2/members 를 테스트 하면서 멤버 클랫스에서는 @NotEmpty 를 제거하고 MemberApiController 내부에 이너 DTO 클래스에 @NotEmpty 속성을 넣으면 API 에서 빈값을 넣어도 그냥 통과시켜 버립니다. public class Member { //중략 private String name; //@NotEmpty 제거 //중략 } public class MemberApiController { //중략 @Data static class CreateMemberRequest { @NotEmpty private String name; } //중략 } 강사님의 의도는 V2가 엔티티에 독립성은 보장 프레젠테이션 레이어의 체크 사항을 엔티티 레벨로 가져오지 않고 DTO를 사용하여 결합을 느슨하게 하려고 보이는데 그러한 의도로 코드 수정하면 원하는 결과가 나오지 않습니다.
-
미해결실습으로 배우는 선착순 이벤트 시스템
docker compose up 실행 오류
version: '2' services: zookeeper: image: wurstmeister/zookeeper container_name: zookeeper ports: - "2181:2181" kafka: image: wurstmeister/kafka:2.12-2.5.0 container_name: kafka ports: - "9092:9092" environment: KAFKA_ADVERTISED_HOST_NAME: 127.0.0.1 KAFKA_ZOOKEEPER_CONNECT: zookeeper:2181 volumes: - /var/run/docker.sock:/var/run/docker.sock 강의자료 내용대로 작성하고 실행했는데 다음과 같은 오류가 계속 발생하는데 원인을 모르겠습니다. 도커 로그인을 했는데도 계속 발생하네요. 오류 원인이 뭘까요? $ docker-compose up -d kafka Pulling zookeeper Pulling kafka Error zookeeper ErrorError response from daemon: pull access denied for wurstmeister/kafka, repository does not exist or may require 'docker login': denied: requested access to the resource is denied
-
미해결[개정판] 파이썬 머신러닝 완벽 가이드
5.6 실습코드 오류질문
이렇게 nan으로 다 뜨는데 이유가 무엇일까요.. 이렇게 에러가 뜹니다. 참고로 주신 코드 그대로 돌렸습니다ㅠ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HandlerExceptionResolver 시작 8분 7초에서 질문입니다.
package com.example.exception.resolver; import jakarta.servlet.http.HttpServletRequest; import jakarta.servlet.http.HttpServletResponse; import lombok.extern.slf4j.Slf4j; impor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HandlerExceptionResolv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servlet.ModelAndView; import java.io.IOException; @Slf4j public class MyHandlerExceptionResolver implements HandlerExceptionResolver { @Override public ModelAndView resolveException(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Object handler, Exception ex) { try { if (ex instanceof IllegalArgumentException) { log.info("IllegalArgumentException resolver to 400"); response.sendError(HttpServletResponse.SC_BAD_REQUEST, ex.getMessage()); return new ModelAndView(); } } catch (IOException e){ e.printStackTrace(); } return null; } } package com.example.exception.api; import lombok.AllArgsConstructor; import lombok.Data; import lombok.extern.slf4j.Slf4j; import org.springframework.http.HttpStatus;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PathVariable;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questParam; 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RestController; import org.springframework.web.server.ResponseStatusException; @Slf4j @RestController public class ApiExceptionController { @GetMapping("/api/members/{id}") public MemberDto getMember(@PathVariable("id") String id) { if (id.equals("ex")) { throw new RuntimeException("잘못된 사용자"); } if (id.equals("bad")) {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잘못된 입력 값"); } return new MemberDto(id, "hello " + id); } @Data @AllArgsConstructor static class MemberDto { private String memberId; private String name; } } if (ex instanceof IllegalArgumentException) {위에 코드가 "ex" 객체가 IllegalArgumentException 클래스의 인스턴스인지를 확인합니다.근데 ex객체가 어디 선언되어있나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스프링DB 2 :: 테스트 - 데이터 베이스 연동 오류
추가 질문입니다. @Data 보다는 @Getter @Setter를 쓰는게 좋다고 하셔서@Getter @Setter를 쓰고 별도 생성자도 만들었는데.......@Getter @Setter를 @Data로 변경 햤을 때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 이유를 알려주세요. https://www.inflearn.com/questions/1258907/%EC%8A%A4%ED%94%84%EB%A7%81db-2-%ED%85%8C%EC%8A%A4%ED%8A%B8-%EB%8D%B0%EC%9D%B4%ED%84%B0-%EB%B2%A0%EC%9D%B4%EC%8A%A4-%EC%97%B0%EB%8F%99-%EC%98%A4%EB%A5%98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서블릿 필터 - 인증 체크 강의 질문있습니다.
18분 4초에서 6초 사이 로그인 하면 상품목록으로 바로 보여야 하는데 제코드는 홈 화면으로 갑니다.return "redirect:"+redirecURL;를 작성하면 로그인 전화면이 보여줘야 하는데 안보여집니다.
-
미해결스프링 배치
DB 스키마 없음
안녕하세요. 아직 학습을 많이 듣진 않았지만 당장 회사 업무에 들어간 신입이라 여쭤봅니다! 프로젝트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스프링 부트 2.1MyBatis티베로스프링 배치 4.1XML로 빈 등록 및 Job & 스텝 등록 강의 초반에 DB를 사용하게 되면 DB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스키마가 꼭 있어야한다고 했는데, 테이블을 아무리 뒤져봐도 배치에 대한 스키마가 보이지 않습니다.또한 job key(job_name, job_parameters)가 정확한진 모르겠으나 xml 잡 정의에 <job id="jobid"> 이런식으로 정의되어 있는데(job paramaeters 는 JVM 아규먼트로 받음) 같은 파라미터와 job를 id로 돌려도 잘 돌아갑니다. 제가 초반부에 수업 내용을 듣기로는 job_key가 동일하면 중복으로 안 돌아간다고 들었습니다. 이런 경우 DB를 사용하지 않는 것이 맞나요? 그리고 또 DB를 사용하지 않게 된다면 job_key도 영향이 없는 것이 맞을까요? 코드로 예시를 보여드리고 싶지만 회사 코드라 공개하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ㅠㅠ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서블릿 필터 - 인증 체크 질문입니다.
public class LoginController { private final LoginService loginService; private final SessionManager sessionManager; @PostMapping("/login") public String loginV3(@Valid @ModelAttribute LoginForm form, BindingResult bindingResult, HttpServletRequest request) { if (bindingResult.hasErrors()) { return "login/loginForm"; } Member loginMember = loginService.login(form.getLoginId(), form.getPassword()); if (loginMember == null) { bindingResult.reject("loginFail", "아이디 또는 비밀번호가 맞지 않습니다."); return "login/loginForm"; } //로그인 성공 처리 //세션이 있으면 있는 세션 반환, 없으면 신규 생성 HttpSession session=request.getSession(); //세션에 로그인 회원 정보 보관 session.setAttribute(SessionConst.LOGIN_MEMBER,loginMember); return "redirect:/"; }@Slf4j public class LoginCheckFilter implements Filter { private static final String[] whitelist={"/","/members/add","/login","/logout","/css/*"} @Override public void doFilter(ServletRequest request, ServletResponse response, FilterChain chain) throws IOException, ServletException { HttpServletRequest httpRequest=(HttpServletRequest) request; String requestURI = httpRequest.getRequestURI(); HttpServletResponse httpResponse=(HttpServletResponse) response; try{ log.info("인증체크 필터 시작{}",requestURI); if (isLoginCheckPath(requestURI)){//화이트 리스트가 아닐 때 true반환 로그인 상태가 필요한 사이트이라면 log.info("인증체크로직실행{}",requestURI); HttpSession session = httpRequest.getSession(false); if (session==null || session.getAttribute(SessionConst.LOGIN_MEMBER)==null){ log.info("미인증 사용자 요청{}",requestURI); //로그인으로 redirect httpResponse.sendRedirect("/login?redirectURL="+requestURI);//로그인 되면 다시 반환된 페이지로 로그인 return; } } //화이트 리스트일 때 chain.doFilter(request,response); }catch (Exception e){ throw e;//예외 로깅 가능하지만, 톰캣까지 에외를 보내주어야 한다. }finally { log.info("인증체크필터종료{}",requestURI); } { } }public String loginV3( 안에 HttpSession session=request.getSession(); 세션이 없으면 무조건 생성인데요.class LoginCheckFilter는 httpRequest.getSession(false);이거는 왜 false인가요? 로그인과 관련된 페이지 잖아요. 로그아웃의 경우 없애버릴꺼여서 세션을 만들지 않는것까지 이해했는데요.
-
미해결[켠김에 출시까지] 유니티 방치형 키우기 게임 (M1 + C1)
5월 5일 수업은 진행이 안된건가요?
아직 업로드가 안되길래 여쭤봅니다
-
미해결설계독학맛비's 실전 Verilog HDL Season 2 (AMBA AXI4 완전정복)
Skid buffer에서 Valid side, Data side에 F/F이 존재하는 이유
=================현업자인지라 업무때문에 답변이 늦을 수 있습니다. (길어도 만 3일 안에는 꼭 답변드리려고 노력중입니다 ㅠㅠ)강의에서 다룬 내용들의 질문들을 부탁드립니다!! (설치과정, 강의내용을 듣고 이해가 안되었던 부분들, 강의의 오류 등등)이런 질문은 부담스러워요.. (답변거부해도 양해 부탁드려요)개인 과제, 강의에서 다루지 않은 내용들의 궁금증 해소, 영상과 다른 접근방법 후 디버깅 요청, 고민 상담 등..글쓰기 에티튜드를 지켜주세요 (저 포함, 다른 수강생 분들이 함께보는 공간입니다.)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질문글을 보고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남겨주시면 답변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 맛비님.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궁금한 것이 있는데요.전 강의에서 다룬 Valid / Ready I/F에서 Ready signal이 Combinational logic이어서 여러 개를 cascade하였을 때 클럭 타이밍을 맞추기 어려울 수 있어 이를 방지하기 위해 Skid buffer를 사용한다...로 이해하고 있습니다. Q. 이번 강의에서 왜 5개의 F/F을 사용했는지 이해가 잘 되지 않습니다. Valid side와 Data side F/F없이 Ready side에서만 F/F을 사용하여 Ready 신호를 PIPE/SKID 처리하면 되지 않나요?
-
미해결
get 방식과 post 방식 질문드립니다.
public class OrderController { private OrderService orderService; private MemberService memberService; private ItemService itemService; @GetMapping(value = "/order") public String createForm(Model model) { List<Member> members = memberService.findMembers(); List<Item> items = itemService.findItems(); model.addAttribute("members", members); model.addAttribute("items", items); return "order/orderForm"; } @PostMapping("/order") public String order(@RequestParam("memberId") Long memberId, @RequestParam("itemId") Long itemId, @RequestParam("count") int count) { orderService.order(memberId, itemId, count); return "redirect:/orders"; } } 제가 http관련 수업을 들었지만, 코드로 적용할 때, 좀 헷갈리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GetMapping은 기본적으로 "order" url에 이동했을 때, 실행되는 것이 맞나요?order 페이지로 이동했을 때, 자동으로 createForm 메소드가 실행돼서 모델에 members와 items를 담고 order/orderForm으로 전달하는 절차가 맞나요? 반대로 @PostMapping은 기본적으로 "order" url에서 값의 전달이나 변경이 있을 때, 실행되는 것이 맞나요?order url에서 값을 입력하고 버튼과 같은 동작을 누르면, 그 때 order 메소드가 실행돼서 매개변수로 넘어온 memberId, itemId, count로 주문해서 저장하는 것이 맞나요? 결론적으로 차이점을 말하자면, get방식은 해당 url로 접속했을 때 실행되는 것이고, post는 해당 url에서 값을 변경이나 전달할 때 실행되는 것이 맞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