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죽음의 Spring Batch: 새벽 3시의 처절한 공포는 이제 끝이다.
예제 궁금증
실제로 실행을 못해보는환경이라서 질문하는건데,JobLauncher를 활용한 REST API 구현의 예제같은경우 컨트롤러 하나를 생략없이 다 표현한거같은데 jobRegistry 는 di받지않았는데 어떻게 실행하는거임?빼먹은건가? job = jobRegistry.getJob(jobName);
-
미해결죽음의 Spring Batch: 새벽 3시의 처절한 공포는 이제 끝이다.
TransactionManager 분리
TransactionManager 분리에 대해서 이해가 잘 가지 않는게 있어. 실제 운영 환경에서는 배치와 비즈니스 데이터 DB를 분리하는게 필수라고 했잖아?근데 이 분리의 단위가 배치용 메타데이터 저장만 분리를 하는게 맞는거야? 현재 사이드 프로젝트에서 멀티모듈 구조에 (MSA는 아님) API 모듈과 배치 모듈을 따로 분리한 상태야.유저 데이터에서 생일을 뽑아서 내일 생일인 유저에게 FCM 을 발송하는 배치를 만드는데,이때 만들어준 예제처럼 @BatchDataSource와 비즈니스 로직용 @Primary DataSource를 분리하게 되면,API 모듈용 DB Connnection을 배치에서도 똑같이 갖다 쓰는거 아니야 ?? 즉, 배치에서 API 쪽 커넥션을 가져다 써서 배치가 돌 때 커넥션이 고갈날 수 있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어지금 이해한 바로는 @BatchDataSource, @BatchTransactionManager를 분리하고 주입해줘도 Reader -> Processor -> Writer 에는 @Primary 걸 쓰는것 같은데 맞아 ?나는 DB 분리와 함께, 비즈니스 로직에 대한 커넥션, 트랜잭션도 배치용으로 분리하고 싶은데 이럴땐 어떻게 해야해?특히나 배치에서도 JpaTransactionManager를 쓰고 싶은 경우에는 어떻게 해야해 ?원하는 바는, API 처리용 DB 커넥션은 커넥션대로 있고, 배치 메타데이터용 커넥션 따로, 배치에서 라이브 DB에서 유저 데이터를 가져오는 커넥션 따로 구성하고 싶어 (배치가 API 모듈 에 영향을 주지 않았으면 해서,,,) 혹시 내가 강의를 제대로 이해를 못한거라면 알려줘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변환된 문자열: 까지 작성하는게 맞나요?
20:40 정답변환된 문자열:Nc sc 1이게 맞을까요?띄어쓰기는 따로 명시되어 있는게 아니면위에 It is 8 띄어쓰기가 그대로 적용된걸까요?기출보니 완전 멘붕이네요ㅜㅎㅎ..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macOS Docker kafka 오류 관련
질문은 아니고 kafka 개발환경 세팅 시에 저랑 같은 문제 겪으신 분들 계시면 참고하시라고 공유 드립니다. macOS 15.6.1 버전(m4 Pro 칩)에서 도커로 kafka 컨테이너 띄울 때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했어요. # A fatal error has been detected by the Java Runtime Environment: # # SIGILL (0x4) at pc=0x0000ffff9ad3fc5c, pid=1, tid=7 # # JRE version: (21.0.4+7) (build ) # Java VM: OpenJDK 64-Bit Server VM (21.0.4+7-LTS, mixed mode, sharing, tiered, compressed oops, compressed class ptrs, g1 gc, linux-aarch64) # Problematic frame: # j java.lang.System.registerNatives()V+0 java.base@21.0.4 https://issues.apache.org/jira/browse/KAFKA-19007이래저래 찾아보다가 그냥 3.9.1 버전으로 받아서 띄워봤는데 잘 됐어요. 같은 문제 겪으신 분들도 그렇게 해보시기를 권해드립니다.
-
미해결죽음의 Spring Batch: 새벽 3시의 처절한 공포는 이제 끝이다.
오타(?) 발견
킬구형 강의 자료 중간에 이상한 문구 발견해서 제보해강의 회차: 5장. 작전4: Flow - 배치의 흐름을 지배하라 (분기점에서 생사를 쥐락펴락하라 ☠🏴☠)이상한 문장: 즉, Spring Batch의 암시적 전환 규칙 대상에서 제외된다는 뜻이다.재시도Claude는 실수를 할 수 있습니다. 응답을 반드시 다시 확인해 주세요.강의 자료 중간에 LLM에서 가져온 내용을 잘못 편집한 것 같아.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인텔리제이 샘플코드 실행 안됨 오류
안녕하세요! 올인원 자바와 스프링 부터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강좌 듣고 있는 수강생입니다. 강의 영상에 나온 것처럼 Java SE11 설치하고IntelliJ Community Edition 설치한 후새 프로젝트 눌렀을 때 Java SE 11 인식은 잘 하는 것 같은데, test 로 제목만 변경해서 생성했을 땐 샘플코드가 실행되지 않습니다.. 이럴 경우엔 어떻게 하면 좋을 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코틀린에서 value class 적용 시 문제
안녕하세요 코틀린으로 현재 강의를 수강하고 있는 수강생입니다. 현재 자바로 작성된 코드를 보고 설명과 함께 어떤 이유로 이런 코드를 작성한 것인지 생각하며, 코틀린으로 이 개념을 적용하면 어떻게 작성할 수 있을지 DDD와 클린 아키텍처를 코틀린 문법 활용하여 구상하는 연습 중입니다. 현재 Member 도메인 코드 개선 강의에서 value class 적용하여 필드의 값이 바뀌는 문제(email자리에 nickname이 오더라도 같은 String이라 컴파일 에러가 안 남)를 해결하려 시도했습니다 package org.example.splearn.domain @JvmInline value class Email( val value: String, ) @JvmInline value class Nickname( val value: String, ) @JvmInline value class PasswordHash( val value: String, ) class Member private constructor( val email: Email, var nickname: Nickname, var passwordHash: PasswordHash, var status: MemberStatus, ) { fun activate() { check(status == MemberStatus.PENDING) { "회원이 PENDING 상태가 아닙니다" } this.status = MemberStatus.ACTIVATE } fun deactivate() { check(status == MemberStatus.ACTIVATE) { "회원이 ACTIVE 상태가 아닙니다" } this.status = MemberStatus.DEACTIVATED } fun verifyPassword( password: String, passwordEncoder: PasswordEncoder, ): Boolean = passwordEncoder.matches(password, this.passwordHash.value) fun changeNickname(nickname: String) { this.nickname = Nickname(nickname) } fun changePassword( password: String, passwordEncoder: PasswordEncoder, ) { this.passwordHash = PasswordHash(passwordEncoder.encode(password)) } fun isActive(): Boolean = this.status == MemberStatus.ACTIVATE companion object { fun create( memberCreateRequest: MemberCreateRequest, passwordEncoder: PasswordEncoder, ): Member = Member( email = memberCreateRequest.email, nickname = memberCreateRequest.nickname, passwordHash = PasswordHash( passwordEncoder.encode(memberCreateRequest.password.value), ), status = MemberStatus.PENDING, ) } } 강의대에서는 static 메소드인 of에서 MemberCreateRequest를 파라미터로 사옹하고 있습니다. 코틀린이라 companion object를 사용했구요 그러던 중 "헥사고날 아키텍처의 특성을 고려하면 의존성 외부 로직인 dto가 내부로 향해야 하고 따라서 도메인이 dto에 의존하는 것이 괜찮을까" 하는 의문이 들었습니다. companion object { fun create( email: Email, nickname: Nickname, password: String, passwordEncoder: PasswordEncoder, ): Member = Member( email = email, nickname = nickname, passwordHash = PasswordHash( passwordEncoder.encode(password), ), status = MemberStatus.PENDING, ) }그래서 코드를 수정해 보면 이런 식으로 수정해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이에 대해서 토비님 의견이 어떠신지 여쭙고 싶습니다
-
해결됨백엔드 개발자 성능 개선 초석 다지기
thread pool
common pool을 사용하지 않도록 thread pool을 설정 해야 된다고 주의사항을 적어주셨는데 그 이유는 무엇인가요?그리고 둘의 차이는 onPool-worker-3, pool-1-thread-8 이라고 알려주셨는데 차이가 이거밖에 없는건가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Arrays.sort
[질문 내용]MyUser에서 compareTo를 Override한 뒤Arrays.sort(array);System.out.println(Arrays.toString(array));을 했을때 나이 순으로 정렬이 되는데이게 어떻게 이렇게 되는건지 잘 이해가 되질 않습니다.sort가 내부에서 compareTo를 호출하고array가 MyUser타입이기 때문에 MyUser에서 Override한 compareTo를 호출하는건가요?
-
미해결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원더랜드(프림)
제가 다익스트라 알고리즘이랑 헷갈려서 질문드립니다.프림에서는 아무 정점(ex.1번노드)를 시작 정점으로 잡고 pQ.poll하면 선생님 로직은 poll된 노드는 무조건 최소값이다라고 확정짓고 ch배열에 1로 하시는 거에서 혼동이 옵니다.아직 다른 정점들을 다 방문하지 않았는데 왜 최소값으로 단정짓는지 모르겠습니다.만약 시작 정점을 1로 하고 1에 연결된 다음 노드들이 1이 아닌 다른 노드들에서 오는 값이 최소일 거라는 가능성은 왜 배제된거죠?
-
미해결죽음의 Spring Batch: 새벽 3시의 처절한 공포는 이제 끝이다.
오타 발견
가령 다음과 같이 getExecutionContextSerializer() 메서드를 오버라이드하면g에 볼드처리안됨--원시적 침투 예제의 BatchConfig에서 DefaultBatchConfiguration 상속을 제거하고@EnableBatchProcessing을 추가하자. 다음과 같이 말이다.예제밑의 예제가 그냥 기존 DefaultBatchConfiguration 방식만 나와있음아마 기존과 수정을 두개 다 표시하는식으로 하고싶었을거같음--JobContext/StepContext: Late-Binding의 최종 무기고키룩형 JobContext/StepContext가 존재하면 배치 스코프가 활성화된 상태라는 것은 알겠어. 근데 이 JobContext/StepSontext 대체 어디에 써먹는거지? 단순히 활성화를 의미하는게전부인가?키룩형 -> 갈매기가 되고싶은 내면의 소리일수있음괜찮음 주변에 돌멩이 지망생도 있고 독수리 지망생,딸기우유 지망생도 있어서 이해할수있음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기출) 2025년 1회 (1/3) 9:55 for 문
보통 for 문작성할 때 아래 예시 처럼 작성하는데for(;;++i) 인 경우에는 반복문 실행하기전에 i를 1 크게하고 반복문을 시작하나요?예시int 1;for(i=0;i<10;i++)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스레드 풀과 Executor 프레임워크1][문제와 풀이] `log("일부 작업이 실패했습니다.");` 실행되는 경우가 있을까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문제와 풀이 정답 코드에서if (inventoryResult && shippingResult && accountingResult) { log("모든 주문 처리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습니다."); } else { log("일부 작업이 실패했습니다."); }else 블록이 실행되는 케이스가 있을까요?future.get() 했을 때의 결과가 모두 true가 나오거나 예외가 터져서 else 블럭은 실행되지 못하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이렇게 이해한 것이 맞을까요?예제를 간결하게 하기 위해 예외 처리는 제외하셨다고 적어주셨는데 혹시 이와 관련된 부분일까요?
-
미해결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이런 코드는 어떤가요?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Scanner in = new Scanner(System.in); solution(in.nextInt(), 1, 1, 0); in.close(); } public static void solution(int target, int start, int value, int prevValue) { if (target >= start) { System.out.print(value + " "); solution(target, start + 1, value + prevValue, value); } } }다음과 같이 풀어보았는데요, 재귀와 메모이제이션을 비슷하게 구현한것 같아서요. 이렇게 작성하면 어떨지 문의드려요!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안녕하세요 코틀린으로 강의 수강 시 도메인 코드 질문드립니다
좋은 추석 보내고 계신가요?현재 코틀린으로 강의를 따라해 보고 있습니다. class Member private constructor( val email: String, var nickname: String, var passwordHash: String, var status: MemberStatus, ) { fun activate() { check(status == MemberStatus.PENDING) { "회원이 PENDING 상태가 아닙니다" } this.status = MemberStatus.ACTIVATE } fun deactivate() { check(status == MemberStatus.ACTIVATE) { "회원이 ACTIVE 상태가 아닙니다" } this.status = MemberStatus.DEACTIVATED } fun verifyPassword( password: String, passwordEncoder: PasswordEncoder, ): Boolean = passwordEncoder.matches(password, this.passwordHash) fun changeNickname(nickname: String) { this.nickname = nickname } fun changePassword(password: String) { this.passwordHash = password } companion object { fun create( email: String, nickname: String, password: String, passwordEncoder: PasswordEncoder, ): Member = Member( email, nickname, passwordEncoder.encode(password), MemberStatus.PENDING, ) } }이러한 식으로 작성하였는데 자바에서는 const로 선언한 객체나 변수가 아닌 이상 기본적으로 가변입니다. 그런데 코틀린에서는 val, var 키워드에 따라서 var로 선언해야 가변 타입이 됩니다. Member 도메인 모델 확장 챕터 수강하고 있는데 이 경우는 도메인에서 가변 속성을 미리 정의하고 해당 속성들을 var로 선언하는 것이 맞을지, 혹은 val을 통해 불변성을 확보하고 새 객체를 생성하여 변경을 처리하는 것이 적합할지 궁금합니다.코틀린에서 도메인 코드를 작성할 때 자바와 다른 문법&개념과 도메인 중심 설계가 종종 난해할 때가 있네요.
-
미해결자바 개발자를 위한 코틀린 입문(Java to Kotlin Starter Guide)
코틀린에서 상속 시, 주의점에 대한 질문
태현님, 안녕하세요. 뭔가 하나 더 궁금해져서 질문을 드리게 되었습니다!아래의 두 클래스가 있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package me.sungbin.lec10 open class Base( open number: String = "100", ) { init { println("Base Class") println(number) } }package me.sungbin.lec10 class Derived( override val number: String, ) : Base() { init { println("Derived Class") } }그리고 실제로 아래와 같이 Derived 클래스의 생성자를 호출하면 number값으로는 null이 출력됩니다. 여기서 궁금한 것은 number는 non-nullable한 타입인데 null이 왜 출력이 될까? 라는 궁금증이 생겼는데요..그래서 GPT한테 물어보니 아래와 같은 답변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레퍼런스 타입(예: String) → JVM 기본값 null이 출력됩니다. (Kotlin의 Non-null 보장도 생성 중(super 생성자 실행 중)에는 예외적으로 깨질 수 있습니다.)이렇게 들으니 뭔가 이해가 된 듯 보이는데 이게 GPT 피셜이다보니 태현님의 의견이 듣고 싶어져서 질문을 남깁니다!
-
미해결죽음의 Spring Batch: 새벽 3시의 처절한 공포는 이제 끝이다.
멀티모듈에서 DB 커넥션 풀 분리
DataSource에 대한 질문 배치를 적용중인데, 멀티모듈에서 배치용 Application을 따로두고, 배치용 yaml에서 datasource를 두었고, api쪽도 yaml에서 datasource를 보고 있다.이때 , 아래와 같이 Config에서 Bean을 통해 Datasource을 생성, JobRepository에 전달해주지 "않아도" 커넥션이 분리가 되는가?API 쪽 디비와, 배치 디비의 커넥션풀을 따로 쓰고싶은데 아래와 같이 별도 세팅 없이 yaml만으로 분리는 안되는지 궁금하다...@Configuration class JpaConfig { @Bean @ConfigurationProperties("spring.datasource") fun batchDataSource(): DataSource { return HikariDataSource() } @Bean fun jobRepository( batchDataSource: DataSource, transactionManager: PlatformTransactionManager, ): JobRepository { return JobRepositoryFactoryBean().apply { setDataSource(batchDataSource) setDatabaseType(DatabaseType.POSTGRES.name) setTransactionManager(transactionManager) afterPropertiesSet() }object } }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스프링 DB연결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자바부터 강의를 듣고있는데 언어가 이해가 되는부분이 있고 안되는 부분이있는데 이거는 앞에가서 다시 학습을 하고와야하나요!?지금 스프링입문은 여기서 다이해하고 다음 강의로 넘어가야 하는 건가요!?
-
해결됨자바 개발자를 위한 코틀린 입문(Java to Kotlin Starter Guide)
내용 이해 질문
태현님 안녕하세요, 간만에 강의를 듣던 중 해당 개념에 대해 제가 잘 이해하고 있는지에 대해 여쭤보고자 질문을 드립니다.제가 헷갈리는 부분은 open 에 대한 것과 상속에 대한 주의점인데요.package me.sungbin.lec10 open class Base( open val number: Int = 100, ) { init { println("Base Class") println(number) } }package me.sungbin.lec10 class Derived( override val number: Int, ) : Base() { init { println("Derived Class") } }open 키워드는 기본적으로 상속을 받을 클래스에 붙여주며, abstract 과 같이 반드시 구현해야 하는 클래스에는 따로 명시적으로 붙여주지 않는 것으로 이해가 되었습니다.예시의 Base 클래스와 Derived 클래스에서 getMember() 호출 시, 초기 값이 나온 부분은 실제 Derived 클래스에서 생성자를 호출하고 그 생성자가 상위 클래스 생성자를 호출하고 그 생성자에서 number를 출력하려고 하는데 해당 number는 오버라이딩 되었으니, 하위 클래스의 number를 출력해야 하나, 해당 하위 클래스 생성자 호출 전이므로 초기 값 0이 나온다?라고 이해하면 좋을까요?제가 이해한게 잘 맞는지 혹은 잘못되게 생각한 부분이 있는지 확인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실무에서 이런 케이스를 겪어본 적이 없어서 헷갈리는 것 같아서 이번 기회에 제대로 알아가보려구요!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가 아니가 article_id로 count를 뽑아줘야 할까요?
@Query( value ="select count(t.article_id) from ( " + " select article_id from article where board_id = :boardId " + "limit :limit " + ") t", nativeQuery = true ) Long count(@Param("boardId") Long boardId, @Param("limit") Long limit);위와 같이count(*)가 아니라 count(t.article_id) 처럼 alias도 붙여야 하고, 모든 걸 뽑는 게 아니라 딱 서브쿼리 안에서 추출한 article_id만 count로 뽑아줘야 테스트가 통과되더라고요.이유가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