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섹션 10. Comparable
public class MyUser implements Comparable<MyUser> { private String id; private int age; public MyUser(String id, int age) { this.id = id; this.age = age; } public String getId() { return id; } public int getAge() { return age; } @Override public int compareTo(MyUser o) { return this.age < o.age ? -1 : (this.age == o.age) ? 0 : 1; }MyUser의 멤버 변수는 private인데 compareTo(MyUser o)에서 this.age는 본인의 값을 가져다 쓴다고 쳐도 o.age로 호출이 어떻게 가능한 건가요??
-
미해결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version 컬럼이 증가하지 않는 이유
현재 강의 내용을 바탕으로 OptimisticLock 을 구현중인데,version이 증가하지 않는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도메인은 이렇습니다.@Entity @Table(name = "appointment") public class Appointment extends BaseEntity { ... @OneToMany(mappedBy = "appointment") private List<AppointmentUser> appointmentUsers = new ArrayList<AppointmentUser>(); @Version private Long version; 그리고, 레포지토리는 이렇습니다.public interface AppointmentRepository extends JpaRepository<Appointment, Long> { ... @Lock(LockModeType.OPTIMISTIC) @Query("SELECT au FROM Appointment a " + "JOIN a.appointmentUsers au " + "WHERE au.id = :appointmentUserId ") AppointmentUser findByIdWithOptimisticLock(Long appointmentUserId); } 그리고, 서비스 계층 메서드는 이렇습니다.@Transactional(readOnly = true) @Service public class AppointmentUserService { ... @Transactional public void updateAuthority(Long appointmentId, Long loginMemberId, Long targetMemberId) { Member loginMember = memberRepository.getById(loginMemberId); Member targetMember = memberRepository.getById(targetMemberId); Appointment appointment = appointmentRepository.getById(appointmentId); AppointmentUser loginAppointmentUser = appointmentUserRepository.getByMemberAndAppointment(loginMember, appointment); AppointmentUser targetAppointmentUser = appointmentUserRepository.getByMemberAndAppointment(targetMember, appointment); validateIsAdminMember(loginAppointmentUser.getId()); MemberAuthority targetAuthority = targetAppointmentUser.getMemberAuthority(); targetAppointmentUser.updateAuthority(MemberAuthority.getAnotherAuthority(targetAuthority)); appointmentUserRepository.save(targetAppointmentUser); } private void validateIsAdminMember(Long loginAppointmentUserId) { if (appointmentRepository.findByIdWithOptimisticLock(loginAppointmentUserId).getMemberAuthority() != MemberAuthority.ADMIN) { throw new NotAdminMemberException(); } } }위 updateAuthority 메서드 내에서 validateIsAdminMember를 호출하여, validateIsAdminMember 안에 있는 findByIdWithOptimisticLock을 통하여 Version을 올려주어서 낙관적 락을 성공적으로 구현할 수 있을 줄 알았는데 테스트를 해보니 아래와 같이 실패합니다.. @Test void 동시성_테스트() throws InterruptedException { Logger logger = Logger.getLogger(MultiThreadTest.class.getName()); ExecutorService executorService = Executors.newFixedThreadPool(2); CountDownLatch latch = new CountDownLatch(2); AtomicReference<Boolean> flag = new AtomicReference<>(false); executorService.execute(() -> { try { logger.log(Level.INFO, "첫 번째 요청 시작: member1 -> member2"); logger.log(Level.INFO, "버전1전" + appointmentRepository.getById(1L).getVersion()); appointmentUserService.updateAuthority(1L, 1L, 2L); logger.log(Level.INFO, "버전1완" + appointmentRepository.getById(1L).getVersion()); logger.log(Level.INFO, "첫 번째 요청 완료: member1 -> member2"); } catch (Exception e) { logger.log(Level.SEVERE, "첫 번째 요청 중 예외 발생", e); flag.set(true); } finally { latch.countDown(); } }); executorService.execute(() -> { try { logger.log(Level.INFO, "두 번째 요청 시작: member2 -> member1"); logger.log(Level.INFO, "버전2전" + appointmentRepository.getById(1L).getVersion()); appointmentUserService.updateAuthority(1L, 2L, 1L); logger.log(Level.INFO, "버전2완" + appointmentRepository.getById(1L).getVersion()); logger.log(Level.INFO, "두 번째 요청 완료: member2 -> member1"); } catch (Exception e) { logger.log(Level.SEVERE, "두 번째 요청 중 예외 발생", e); flag.set(true); } finally { latch.countDown(); } }); latch.await(); };위와 같이, 두 개의 스레드에서 진행을 하였고, 각 스레드 내에서 updateAuthority()를 실행 전후에 version을 찍어보았으나, 찍힌 4개의 version 모두 0이 나왔고 또한, 동시성 제어도 안되는 상황입니다.왜 0이 나오는걸까요.. 궁금합니다!(컴파일 에러는 없습니다)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1 - 언리얼 C++의 이해
Unhandled Exception: EXCEPTION_ACCESS_VIOLATION reading address 0x0000000000000004
UE_LOG(LogTemp, Log, TEXT("%s 수업에 입장합니다.")); f로그에 %s등을 넣고 뒤에 *Name을 뺴먹고 Interface 호출시 잘못된 액세스 오류 발생하였습니다. %s를 지워주니까 잘 동작합니다!좋은 강의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미해결[라이브 멘토링] 유니티 뱀파이어 서바이벌 장르 모작
폴더 이름 제일 앞에 @를 붙이는 이유가 궁굼해요
보통 회사들이 폴더 이름 앞에 @붙여 사용하는지 궁굼하고 왜 붙이는지도 궁굼합니다.
-
미해결
Southwest Airlines PWM Terminal
Traveling is made simple by the welcoming and accommodating Southwest Airlines PWM Terminal in Portland. The airport's friendly staff and well-planned layout make it simple and speedy for passengers to board flights. By stopping by the terminal, travelers to and from Portland may experience a stress-free and delightful journey, highlighting Southwest's commitment to dependability and accessibility.It's perfect for comfortable travel because to its fast operations and laid-back ambiance. During the whole check-in process and the flight, passengers gain access to Southwest's well-known politeness and commitment to making flying easier.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실무에서 매핑 테이블은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요?
토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던 중 궁금한 내용이 생겨서 질문 드립니다.과거 Mybatis와 같은 것을 활용해 진행할 때는코드 매핑 테이블에 코드값 (기본키)과 코드명 이렇게 있고특정 테이블에서는 이러한 코드 값 키를 들고 있어 서브쿼리를 활용해 코드 명을 가져오는 방식으로 활용했습니다.JPA에서 위 구조를 활용하려면 특정 엔티티에 코드 엔티티를 넣고 서로 연관관계를 걸어 준 후에 fetch join으로 select 하는게 베스트 일까요?
-
해결됨Django REST Framework 핵심사항
vscode 실행안됨
안녕하세요.현재 상황은VueDjAgency-ch0 디렉터리에서 vscode 실행가상환경 만들고python = 3.10, django = 4.0, pillow, djangorestframework 설치완료했습니다.1월 경에 올리신 CDN 에러 해결 코드도 수정했습니다.python manage.py runserver 하면무한 로딩되고 페이지에는 아무것도 뜨지 않습니다.어떻게 해야할까요?
-
미해결Kevin의 알기 쉬운 Spring Reactive Web Applications: Reactor 1부
백프레셔 전략 관련해서
폐기와 드랍의 차이를 정확히 모르겠습니다. subscriber 입장에선 버퍼가 다시 비어져 있을 때 처리는 똑같아 보이는데 폐기는 publisher 에서 데이터 삭제를 의미하고 drop 은 데이터 건너 뛰기로 이해 하면 될까요?
-
해결됨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CI/CD 입문·실전
파일 작성시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ㅎㅎ yml 파일 작성시 저렇게 노란색으로 나오는데 왜나오는 건가요? 없앨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
미해결실습으로 배우는 그라파나 - {{ x86-64, arm64 }}
Prometheus 서버가 자꾸 죽습니다.
질문 답변을 제공하지만, 강의 비용에는 Q&A는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다만 실습이 안되거나, 잘못된 내용의 경우는 알려주시면 가능한 빠르게 조치하겠습니다![질문 전 답변]1. 강의에서 다룬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법을 읽어보셨나요? [예](https://www.inflearn.com/blogs/1719)4.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질문 하기]안녕하세요. Prometheus, Grafana 수강생입니다.제공해주신 OVA 파일들로 VM을 실행해서 Prometheus와 Grafana를 실행해 실습도 열심히 하고 있습니다.그런데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나면 저절로 Prometheus 서버 pod가 자꾸 죽고 재실행도 안되어서 매우 불편합니다.pod/prometheus-server-74dbc948cf-vxwpn 1/2 CreateContainerError 0 (7m48s ago) 아래 두가지 sh 모두 동일합니다. 왜 잘 실행되던 서버가 아무것도 안했는데 왜 Prometheus만 자꾸 죽는걸까요..ㅜsh 등을 변경하거나 그런 것은 전혀 없습니다.1.prometheus-installer-15s.sh[root@m-k8s 2.2]# cat 1.prometheus-installer-15s.sh#!/usr/bin/env bash# scrape default is 1mhelm install prometheus edu/prometheus \--set pushgateway.enabled=false \--set alertmanager.enabled=false \--set nodeExporter.tolerations[0].key="node-role.kubernetes.io/master" \--set nodeExporter.tolerations[0].effect="NoSchedule" \--set nodeExporter.tolerations[0].operator="Exists" \--set nodeExporter.tolerations[1].key="node-role.kubernetes.io/control-plane" \--set nodeExporter.tolerations[1].effect="NoSchedule" \--set nodeExporter.tolerations[1].operator="Exists" \--set server.service.type="LoadBalancer" \--set server.service.loadBalancerIP="192.168.1.11" \--set server.global.scrape_interval="15s" \--set server.global.evaluation_interval="15s" \--set server.extraFlags[0]="web.enable-lifecycle" \--set server.extraFlags[1]="storage.tsdb.no-lockfile" \--namespace=monitoring \--create-namespace1.prometheus-installer-1m-default.sh #!/usr/bin/env bash# scrape default is 1mhelm install prometheus edu/prometheus \--set pushgateway.enabled=false \--set alertmanager.enabled=false \--set nodeExporter.tolerations[0].key="node-role.kubernetes.io/master" \--set nodeExporter.tolerations[0].effect="NoSchedule" \--set nodeExporter.tolerations[0].operator="Exists" \--set nodeExporter.tolerations[1].key="node-role.kubernetes.io/control-plane" \--set nodeExporter.tolerations[1].effect="NoSchedule" \--set nodeExporter.tolerations[1].operator="Exists" \--set server.service.type="LoadBalancer" \--set server.service.loadBalancerIP="192.168.1.11" \--set server.extraFlags[0]="web.enable-lifecycle" \--set server.extraFlags[1]="storage.tsdb.no-lockfile" \--namespace=monitoring \--create-namespace 해결 방법 꼭 알려주시길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초급편] 안드로이드 커뮤니티 앱 만들기(Android Kotlin)
firebase 설정 오류
안드로이드 스튜디오가 느린것같아서 어제 업데이트를 했는데 업데이트후 gradle 파일이 바뀌어서 그런지 적용 잘 안되는것 같은데 기존 방식대로 적용해도 되는건가요 ?
-
해결됨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Q타입 생성 확인 오류 질문입니다.
[질문 내용]pdf 파일을 보며 강의 듣기전 예습을 하고 있습니다.build.gradle 파일에 Querydsl 관련 설정을 pdf파일에 나와 있는 대로 밑에와 같이 추가했습니다.//Querydsl 추가implementation 'com.querydsl:querydsl-jpa'annotationProcessor "com.querydsl:querydsl-apt:${dependencyManagement.importedProperties['querydsl.version']}:jpa"annotationProcessor "jakarta.annotation:jakarta.annotation-api"annotationProcessor "jakarta.persistence:jakarta.persistence-api" (현재 저는 Gradle을 통해서 빌드중입니다) Gradle -> Tasks -> build -> clean실행 시에는 문제가 없는데Gradle -> Tasks -> other -> compileJava실행 시에Unable to load class 'javax.persistence.Entity'.This is an unexpected error. Please file a bug containing the idea.log file. 라는 오류가 뜹니다. 그래서 커뮤니티에 관련 질문들을 찾아 보았는데,build.gradle 파일에서 Querydsl 을 설정하는 부분을implementation 'com.querydsl:querydsl-jpa:5.0.0:jakarta' annotationProcessor "com.querydsl:querydsl-apt:$ {dependencyManagement.importedProperties['querydsl.version']}:jakarta" annotationProcessor "jakarta.annotation:jakarta.annotation-api" annotationProcessor "jakarta.persistence:jakarta.persistence-api"로 바꿔보라고 하신 내용이 있어서 바꿔보았습니다.그리고 gradle refresh를 눌렀을 때 오류가 발생했는데 지금은 되네요... pdf 파일 내용을 수정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배열을 이용한 구현 풀이 질문드립니다!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안녕하세요 큰돌님! 항상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다름이 아니라 제가 이 문제를 풀 당시, 입력의 범위도 작고 풀이가 딱히 생각이 나지 않아 배열을 이용해 쌩구현을 했습니다. 하지만 N과 J의 범위가 커지면 제가 풀이한 방법으로는 시간복잡도가 커져서 틀리게 되겠죠?만약, M이 1이고, N, J가 1000만일 때 최악의 경우 사과가 양 끝 인덱스(1번과 1000만번)에만 떨어진다면 시간복잡도는 1000만 * 1000만이 될까요? 코드: http://boj.kr/047fdd5efd2c4f37968a1764f52f9a40
-
미해결AWS Certified Solutions Architect - Associate 자격증 준비하기
수강연장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최근 취뽀하고 다시 AWS를 만질일이 생겨 공부하려고 하는데 수강 기간이 거의 끝나가네요.송구스럽지만 수강 기간 연장을 요청 드립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배달앱 클론코딩 [with React Native]
[질문은 아니고 에러 해결법] 혹시 iOS로 진행하시면서 Config가 안 먹히는 분들 써보세요.
save it under ios folder as "Config.xcconfig" with the following content:#include? "tmp.xcconfig" ios폴더 들어가셔서 Config.xcconfig라는 새파일 만드시고 위 코드 넣으시면 동작합니다. 출처:https://www.npmjs.com/package/react-native-config
-
해결됨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버젼 관련 문제 인거 같은데 도와주세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이런 오류가 나는데.. 어떤 오류인지 잘 모르겠어요.. 버젼 관련인거 같은데 gradle.properties에 distributionUrl=https\://services.gradle.org/distributions/gradle-7.5-bin.zip 이걸로 바꾸긴 했는데 잘 되다가 갑자기 안되서 혹시 이거 문제 일까요??
-
해결됨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로그인 에러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제로초님 강의 듣던 중 동작이 원하는대로 안되어서 질문 드립니다.로그인 후 로그아웃 후 다른 아이디로 로그인 해도 로그아웃 버튼에는 전 계정의 정보가 뜹니다.아래는 로그인 모달의 코드입니다."use client"; import style from "@/app/(beforelogin)/_component/login.module.css"; import { ChangeEventHandler, FormEventHandler, useState } from "react"; import { redirect, useRouter } from "next/navigation"; import { signIn } from "next-auth/react"; export default function LoginModal() { const [id, setId] = useState(""); const [password, setPassword] = useState(""); const [message, setMessage] = useState(""); const router = useRouter(); const onSubmit: FormEventHandler<HTMLFormElement> = async (e) => { e.preventDefault(); setMessage(""); try { const response = await signIn("credentials", { username: id, password, redirect: false, }); console.log(response, "1"); router.replace("/home"); console.log("2"); } catch (err) { console.error(err); setMessage("아이디와 비밀번호가 일치하지 않습니다."); } }; const onClickClose = () => { router.back(); }; const onChangeId: ChangeEventHandler<HTMLInputElement> = (e) => { setId(e.target.value); }; const onChangePassword: ChangeEventHandler<HTMLInputElement> = (e) => { setPassword(e.target.value); }; return ( <div className={style.modalBackground}> <div className={style.modal}> <div className={style.modalHeader}> <button className={style.closeButton} onClick={onClickClose}> <svg width={24} viewBox="0 0 24 24" aria-hidden="true" className="r-18jsvk2 r-4qtqp9 r-yyyyoo r-z80fyv r-dnmrzs r-bnwqim r-1plcrui r-lrvibr r-19wmn03" > <g> <path d="M10.59 12L4.54 5.96l1.42-1.42L12 10.59l6.04-6.05 1.42 1.42L13.41 12l6.05 6.04-1.42 1.42L12 13.41l-6.04 6.05-1.42-1.42L10.59 12z"></path> </g> </svg> </button> <div>로그인하세요.</div> </div> <form onSubmit={onSubmit}> <div className={style.modalBody}> <div className={style.inputDiv}> <label className={style.inputLabel} htmlFor="id"> 아이디 </label> <input id="id" className={style.input} value={id} onChange={onChangeId} type="text" placeholder="" /> </div> <div className={style.inputDiv}> <label className={style.inputLabel} htmlFor="password"> 비밀번호 </label> <input id="password" className={style.input} value={password} onChange={onChangePassword} type="password" placeholder="" /> </div> </div> <div className={style.message}>{message}</div> <div className={style.modalFooter}> <button className={style.actionButton} disabled={!id && !password}> 로그인하기 </button> </div> </form> </div> </div> ); } 아래는 로그아웃 버튼의 코드입니다. "use client"; import { useRouter } from "next/navigation"; import style from "./logoutButton.module.css"; import { signOut } from "next-auth/react"; import { Session } from "@auth/core/types"; type Props = { me: Session | null; }; export default function LogoutButton({ me }: Props) { const router = useRouter(); const onLogout = async () => { try { const response = await signOut({ redirect: false, }); console.log("signout", response); router.replace("/"); } catch (err) { console.log(err); } }; console.log("me", me); if (!me?.user) { return null; } return ( <button className={style.logOutButton} onClick={onLogout}> <div className={style.logOutUserImage}> <img src={me.user?.image as string} alt={me.user?.email as string} /> </div> <div className={style.logOutUserName}> <div>{me.user?.name}</div> <div>@{me.user?.email}</div> </div> </button> ); } 로그아웃 버튼에는 알려주신대로 레이아웃의 const session = await auth();session을 prop으로 내려주어서 사용하였습니다.처음 test 계정으로 로그인 했을 때의 콘솔을 찍어보면이렇게 test 계정이 정상적으로 나옵니다.이후 로그아웃 후에(session token 쿠키는 정상적으로 지워진 상태입니다) test4 계정으로 다시 로그인 하면이렇게 콘솔에 me 데이터가 test로 찍혀있고 test4의 정보가 로그아웃 버튼에 있습니다. 하지만 서버쪽 콘솔은 이렇게 test4로 나옵니다.이 상태에서 페이지 새로고침을 하면 정상적으로 로그아웃 버튼에는 test4의 데이터가 다시 들어가게 됩니다.로그아웃을 누를 때 세션 토큰이 정상적으로 지워지는 것을 확인했고, 재 로그인을 했는데 서버쪽에는 test4데이터가 찍히고 클라이언트 콘솔에는 test데이터가 찍히는 이유가 궁금합니다..2. 틀린 아이디 비밀번호를 입력했을 때에 제로초님과 응답이 다르게 날라옵니다.로그인 시에 틀린 아이디 비밀번호를 입력시에 저는 401에러가 아닌 이런 응답이 날라옵니다.이 부분은 에러인지 아니면 버전이 달라서 응답이 다른 것 인지는 잘 모르겠습니다. error는 credentialSignIn으로 날라오지만 ok와 status는 true에 200으로 날라오는데, 버전차이인가요 ..? next-auth 버전은 5.0.0-beta.17 입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에어비엔비 가격 문제 중 오브젝트 컬럼 삭제 관련 문의입니다.
오브젝트 컬럼을 인코딩 하지 않고 삭제해도 성능에는 지장이 없나요?추가로 test에는 id를 쓸거라 pop으로 빼논 이유는저장해야되는 값에 id를 요구해서 그런건가요?test에 id값이 있으면 안되는 이유나 오류가 나는 이유가 train값이랑 컬럼이 동일해야 해서인가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섹션 2. 문제풀이 질문드립니다.
class Suttle<T extends BioUnit> 으로 상한이 정해져있고, 타입 매개변수로 받아서public class UnitPrinter { static <T extends Shuttle> void printV1(T t) { t.showInfo(); } static void printV2(Shuttle<?> t) { t.showInfo(); } } UnitPrinter를 구현할 때 직접 셔틀에 있는 메서드를 호출할 수 있기 때문에 위와 같은 코드로 구현했습니다.동작은 제대로 하지만, 혹시 문제점이 존재하는 코드인지, 실무에서 지양하는 코드 구현 방식인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7-E 메모리제이션 질문 있습니다.
큰돌님 안녕하세요?해당문제 메모리제이션 질문 있어서 들고 왔습니다. 아래는 제가 짠 코드고, 전체적인 로직은 해설하고 같은데 mem 쪽이 좀 달라서 질문 들고 왔습니다.http://boj.kr/5fac53ce112b4d7a8781f7c8f21ea24a 저는 mem 쪽을 아래와 같이 처리했는데요,&ret = dp[F][H];(ret !=0) return ret; 큰돌님 해설에는 조금 다르게 되어 있는 것 같아서요if(dp[whole][not_whole]) return dp[whole][not_whole];&ret = dp[whole][not_whole]; Q1. 왜 해설에서(ret !=0) return ret;이거를 쓰지 않는건가요? Q2. 아래 두 코드는 사실상 의미가 같은건가요?&ret = dp[F][H];(ret !=0) return ret;if(dp[whole][not_whole]) return dp[whole][not_whole];&ret = dp[whole][not_whole]; Q3. 강의 1분 54에서도 "dp가 있으면 그냥 dp를 반환한다"고 설명해주셨는데 위 질문과 관련이 있을까요?"dp가 있으면 그냥 dp를 반환한다"는 말도 이해가 어려워서 추가로 설명 받을 수 있을까요? 답변 미리 감사합니다.수강자 올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