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신규 개정판] 이것이 진짜 엑셀자동화다 - 기본편
mouseInfo
import pyautogui pyautogui.mouseInfo() 이렇게 해서 실행하면터미널에 This probably means that Tcl wasn't installed properly.계속 이렇게만 뜹니다ㅜㅜ뭐가 문제인걸ㄲㅏ요?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
해결됨초보자를 위한 BigQuery(SQL) 입문
4-7. 조건문 연습 문제 5번에 관한 질문
안녕하세요.조건문 연습 문제 5번의 선생님께서 쓰신 정답에 관해 질문입니다.select 안에, 포획 날짜를 표시하기 위해 원래 basic.trainer_pokemon 안에 존재하는 catch_datetime을 쓰셨는데, Asia/Seoul 시간대로 변경되지 않은 상태를 그대로 쓰신 이유가 있을까요?SELECT id, trainer_id, pokemon_id, catch_datetime, IF (DATE(catch_datetime, "Asia/Seoul") > "2023-01-01", "Recent", "Old") as recent_or_old FROM `basic.trainer_pokemon` if 함수 내에서 수정한 날짜를 보여주기 위해, 똑같이 수정한 날짜를 썼는데, 문제 없을까요?SELECT id, trainer_id, pokemon_id, DATE(catch_datetime, "Asia/Seoul") as corrected_catch_date, IF (DATE(catch_datetime, "Asia/Seoul") > "2023-01-01", "Recent", "Old") as recent_or_old FROM `basic.trainer_pokemon` 미리 감사합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data.csv 어디서 받나요?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질문과 관련된 영상 위치를 알려주면 더 빠르게 답변할 수 있어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작업형1 모의문제 3 하려는데 data.csv 파일이 아닌 members.csv 파일이 받아집니다.어디서 받을 수 있나요?
-
미해결IoT(사물인터넷)지식능력검정 자격증 대비
수업자료 다운이 불가합니다. 섹션 16
섹션 16. 사물인터넷과 빅데이터빅데이터 분석기법빅데이터 활용 사례 2개의 챕터에서 위와 같은 에러 메세지 나오면서 '수업자료' 가 다운이 불가합니다.조치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2 - 언리얼 게임 프레임웍의 이해
enhanced input 키 동시입력
안녕하세요 교수님, void APACharacterPlayer::Move(const FInputActionValue& Value) { FVector2D MovementVector = Value.Get<FVector2D>(); const FRotator Rotation = Controller->GetControlRotation(); const FRotator YawRotation(0, Rotation.Yaw, 0); FVector ForwardDirection = FRotationMatrix(YawRotation).GetUnitAxis(EAxis::X); FVector RightDirection = FRotationMatrix(YawRotation).GetUnitAxis(EAxis::Y); if (bIsRunning) { if (MovementVector.Y != 0) MovementVector.Y = 0; if (MovementVector.X == -1) MovementVector.X = 1; AddMovementInput(ForwardDirection, MovementVector.X); } else { if (MovementVector.Y != 0 || MovementVector.X == -1) bCanSprint = false; else bCanSprint = true; AddMovementInput(ForwardDirection, MovementVector.X); AddMovementInput(RightDirection, MovementVector.Y); UE_LOG(LogTemp, Log, TEXT("X = %f y = %f"),ForwardDirection.X, RightDirection.Y); } } 위 코드는 3인칭 게임플레이를 위해 강의 기반으로 작성한 코드입니다. bCanSprint 및 Running 로직은 무시하셔도 됩니다.발생한 문제는 키의 동시 입력을 받을 때 입니다. 왼쪽 방향키를 누른 채로 오른쪽 방향키를 누르면 MovementVector 값이 1.0 으로 변해서 오른쪽으로 잘 이동 하는데, 오른쪽 방향키를 누른 채로 왼쪽 방향키를 누르면 벡터 값이 변하지 않아 계속 오른쪽으로 갑니다. 똑같이 앞 방향키를 누른 채로 뒷 방향키를 누르면 뒤로 가지는데, 뒷 방향키를 누른채로는 앞으로 갈 수가 없습니다. 물론 따로따로 한 버튼씩 서로 역이 되는 방향키를 누를 때는 값이 알맞게 잘 변경됩니다. 원하는 로직은 두 가지 중에 하나입니다.동시입력이 들어왔을 경우 마지막 입력 방향으로 이동동시입력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들어왔을 경우 상쇄되어 정지 로직을 어떻게 수정해야 할까요? 동시입력(오른쪽 홀드+왼쪽이동, 뒤쪽홀드 + 앞쪽이동) 할 때만 벡터값이 제대로 변하지 않는 이유를 못 찾겠습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모의문제 작업형 1 데이터 수 출력
정말 기초적인 것일거 같은데 데이터 수 출력할때 len과 sum을 활용하는데 어떨때는 sum으로 해야 답이 나오고 어떨때는 len으로 해야 답이 나오는데 언제 써야 하는지 정확히 이해가 안되요. 문제2) 주어진 데이터에서 결측치가 30%이상 되는 컬럼을 찾고 해당 컬럼에 결측치가 있는 데이터(행)를 삭제 함.그리고 30% 미만, 20% 이상인 결측치가 있는 컬럼은 최빈값으로 값을 대체하고'f3'컬럼의 'gold' 값을 가진 데이터 수를 출력하세요! import pandas as pd df = pd.read_csv('members.csv') # print(len(df)*0.3) df.isnull().sum()# f1 삭제, f3 최빈값 대체 df = df.dropna(subset=['f1']) df['f3'] = df['f3'].fillna(df['f3'].mode()[0]) df.isnull().sum() print(len(df['f3'] == 'gold'))print(sum(df['f3'] == 'gold'))이때 len으로 하면 답이 69개가 나오고, sum으로 하면 56개가 나오는데 답은 sum으로 할때 맞더라구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노션 링크로도 공유가능한가요?
강의자료의 pdf내용을 제 옵시디언에 옮기고 있는데 복붙으로는 좀 번거로운 요소가 발생해서마크다운으로 된 걸 복사하면 좋을 것 같아서요
-
미해결Java TPC 실전프로젝트 (Java API 활용)
질문있습니다
JSONArray를 마지막에 JSONObject로 한번 더 감싸는 이유가 뭔가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Repository에서 체크 예외를 사용하면
이전에 체크 예외, 언체크 예외 강의때 예외가 종속이 되서 언체크 예외로 보통 한다고 하셨는데요. 그럼 리포지토리를 체크 예외로 구현해놨으면 서비스에서 @Transaction 애노테이션을 추가해도 롤백 처리가 안된다는 건가요??회사에서 back-to-back으로 서비스 단에서 다른서버로 API를 호출할 때 롤백을 해야 하는 경우, 롤백처리를 어떻게 해야 하나요??이런 경우에는 서버에서 내려주는 응답을 보고 언체크 예외를 발생시켜서 트랜잭션이 롤백할 수 있게 해줘야 하는건가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주 테이블 대상 테이블이 뭔가요?
더 자주 접근하는 테이블을 주 테이블이라고 일컫는건가요?
-
미해결유니티 2D RPG 게임 만들기
섹션4에서 Exp_Slider 연동하는 강의 내용이 없습니다.
섹션 4에서 Exp_Slider 연동하는 강의 부분이 없는데,섹션 4의 마지막 강의에서 갑자기 Exp_Slider가 움직이고, 정상적으로 움직이지 않는다고 하면서(4강_4(NPCUI) 강의 20분) 넘어갑니다. 강의 내용이 중간에 없어진 것 같습니다.확인 부탁 드려요.
-
미해결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
선택정렬 코드리뷰 가능하신가요?
스스로 디버깅 계속해보면서 구현해내는데는 성공했습니다만 정답이라고 할 수 있는 답안인가요?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싱글톤에서 ConcurrentHashMap을 쓰더라도 map객체가 공유됩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RestController @RequestMapping("/test") public class TestController { private Map<String, Object> map = new ConcurrentHashMap(); @ModelAttribute private void data() { map.put("data", "abcd"); } @GetMapping("/data1") public Response<Map<String,Object>> datas1() throws InterruptedException { map.remove("api"); synchronized (map) { map.put("api", "efgh"); } Thread.sleep(3000); return Response.success(map); } @GetMapping("/data2") public Response<Map<String,Object>> datas2() { map.remove("api"); synchronized (map) { map.put("api", "ijkl"); } return Response.success(map); } } 위와같이 @ModelAttribute를 메소드레벨에 선언하여 AOP의 안티패턴 느낌으로 사용해보려고 로직을 구현해봤는데싱글톤 동시성 문제를 고려해서 ConcurrentHashMap을 전역변수로 지정하고 사용하는데도data1 요청 후 3초가 지나기전 data2 요청을 하니data1 요청 결과가 data2 요청 결과로 찍힙니다.data1 작업이 종료 되기전(3초이내)에 data2 작업으로 map객체를 초기화 해버리는걸로 보아 map객체가 공유가 되고 있다는것인데...ConcurrentHashmap으로 이러한 동시성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이유가 뭐고,,, ConcurrentHashmap을 사용하여 처리할만한 적절한 코드가 있을까요?추가적으로 private ThreadLocal<Map<String, Object>> map = ThreadLocal.withInitial(ConcurrentHashMap::new); @ModelAttribute private void data() { map.get().put("data", "abcd"); } @GetMapping("/data1") public Response<Map<String,Object>> datas1() throws InterruptedException { map.get().put("api1", "efgh"); Thread.sleep(3000); return Response.success(map.get()); } @GetMapping("/data2") public Response<Map<String,Object>> datas2() { map.get().put("api2", "ijkl"); return Response.success(map.get()); }위와같이 ThreadLocal을 활용하면 이 문제가 해결되긴 합니다.가급적 AI 말고 우리의 리빙레전드 영한이형님께서 직접 답변 해주시길 부탁드리겠습니다 ㅠㅠ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알고리즘 교안 62 페이지 관련 질문드립니다!
알고리즘 교안 에서 질문드립니다!혹시 62 페이지 타입변환시 주의할점에서 p가 어떤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HTTP 의 Connectionless특성
안녕하세요! 궁금한게 있어서 문의드립니다.저는 지금까지 HTTP의 특징을 비연결성으로 배웠습니다... "HTTP/1.1부터는 keep-alive가 기본으로 세팅되어 자동으로 지속 연결이 된다." 라는 말을 저는HTTP 자체는 비연결성인데 HTTP 1.1 , HTTP 2.0등 이후 버전들이 성능개선을 위해 지속연결을 자동으로 사용한다 라고 말씀해주셨는데 그렇다면 HTTP는 연결성 아닌가요? 면접에서 HTTP의 특징을 물었을때 비연결성이다 라고 말하면 틀린건가요? 또한 둘 중 어떤게 맞는건지 궁금합니다HTTP는 무상태,비연결성 특징을 가진다. 왜냐하면 각 요청과 응답에 대해서 독립적으로 처리되기 때문이다. 또한 HTTP 1.0, 1.1 그 이상 버전에서도 TCP 지속연결 모델을 사용하지만 HTTP는 TCP위에서 동작하기 때문에 비연결성의 특징을 그대로 갖고 있다.HTTP는 무상태, 비연결성 특징을 가진다. 하지만 HTTP 1.0버전에서 비연결성의 단점이 드러났다. 따라서 1.1 버전 이상부터는 지속 연결을 사용하여 이러한 단점을 극복했다.
-
해결됨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파일 open시, 질문
혹시 intellij에서 프로젝트 open할 때,프로젝트 폴더가 아닌, build.gradle 파일을 선택해서 open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
해결됨개발자를 위한 쉬운 도커
도커 데스크탑 실행 오류
이 오류에 대해 해결책을 알 수 있을까요..?WSL 정상적으로 설치되어있습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RequestMapping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a/b/c"에 해당하는 URL 호출이 있다고하고, 클래스단위에서 "/a/b"를 RequestMapping으로 등록하고, "/c"를 메소드 단위에서 ReqeustMapping으로 등록하였을때, IntelliJ프로젝트 내 검색기능(cmd+shift+R)을 사용하여 "/a/b/c"와 맵핑되어있는 컨트롤러를 찾으려고 "/a/b/c"를 검색했을때 컨트롤러 검색이 되지않는데, 검색을 할 수 있는 방법이 따로 있을까요?정리하자면, 클래스, 메소드 단위로 RequestMapping을 쪼갰을때, 전체 경로에 매핑된 컨트롤러를 찾는 방법을 알고 싶습니다.
-
해결됨[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몇 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루키스님.좋은 강의를 제공해주신 것에 대해 항상 감사드립니다.기존에는 서버의 코어 부분은 건드리지 않고 컨텐츠 부분만 직접 수정 및 추가하며 클라이언트와 연동해보는 사이드 프로젝트만 진행해보았고,서버 코어 부분에 대하여 좀 더 깊게 이해를 해보기 위해 다시 정주행을 하는 중 입니다.이유는 모르겠지만, 같은 내용의 강의를 계속해서 볼 때마다 점점 이해되는 범위가 달라지는 것이 느껴지는 것 같긴 하네요..이번에는 최대한 운영체제 같은 윗 분들의 사정(?)을 고려해보며 이해를 해보며 접근을 해보려고 하는데요.그러다 보니 몇 가지 의문점이 생겨 질문 드립니다. 1. 세션코드에서 Send부분에 lock안에서 enqueue를 하는 이유는 TCP 통신의 순서를 보장하기 위해서 인가요? 2. Recv부분은 왜 lock이 안걸려있는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검색해보거나 다른 분들 질문을 참고해보면, ReceiveAsync 부분이 1개의 스레드만 접근하는 것을 보장하기 때문이라고 하시는 것 같은데요.이 부분은 소켓API 부분에서 보장해주는 건가요?그렇다면 다른 SendAsync와 같은 부분과 다르게 버퍼를 읽던 중 다른 수신을 받게 되어도, 수신을 처리하는 스레드가 스레드풀에서 제공되는 것이 아닌, 현재 수신을 처리 중인 스레드가 완료 될 때 까지 어딘가에서 대기하고 있다가 한 번에 처리되는 건가요? 3. PacketSession의 OnRecv 부분에서 BitConverter.ToUInt16 메서드가 메서드 자체적으로 바이트 배열의 시작하는 인덱스에서 '2바이트'만큼을 부호없는 정수로 바꾸는 메서드라고 알아보았는데요.메서드 자체에서 '2바이트'라고 지정해둔 것은 보편적으로 패킷의 크기를 나타내는 헤더를 2바이트로 정하기 때문인가요? 4. 위처럼 OnRecv에서 패킷이 온전하게 도착하지 않았을 때, 단순히 writePos만 옮겨진 상태로 다음 패킷을 받을 때까지 기다리기만 해도 되는 것은, TCP 통신 자체가 '순서를 보장하기 때문에 앞에서 온전하게 받지 못한 패킷에 대해서 다른 패킷보다 먼저 다시 보내주고', '온전하게 도착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만 보내주기 때문'일까요?그리고 그렇다면 위처럼 순서를 보장해주고, 상대가 어디까지 받았는지, 어디를 못 받았는지 판단하는 것은 운영체제에서 알아서 처리되는 건가요?만약 상대가 못 받았을 경우 다시 보내줘야 한다면, 커널에서 패킷을 송신한 뒤에도 상대가 온전하게 받았다고 신호하기 전까지는 커널 상의 버퍼에 해당 패킷을 계속 저장해두고 있으려나요? 5. ArraySegment를 사용할 때, Array를 통해 배열의 시작 위치를 넘기고 어떤 위치부터 조회할 지(?) 조회할 위치를 넘기는 부분이 Offset인 것 같은데요.Offset을 0으로 두고 readPos및 writePos나 DataSize, FreeSize 등을 통해 패킷 시작 위치나 범위를 지정해주는 것은 Offset 값을 변경하며 이를 컨트롤 하는 것이 복잡하기 때문인가요? 처음 강의를 수강할 때에 비하면 강의 내용이 점점 머릿속에 그려지고 구조와 흐름이 얼추 잡혀가는 느낌이지만,누군가가 "너 한 번 혼자서 서버 만들어봐!!"라고 한다면 강의를 참고하거나 구글링 없이 혼자 서버 코어 단을 만들 수 있을 거라는 엄두가 나질 않는데요.6. 4년제 학부 졸업생의 수준에서 서버 코드를 보고 이 부분은 왜 이렇게 작성된 것인지, 어떤 흐름으로 코드가 실행되는지 정도만 이해하면 게임 서버 프로그래머로 취업하기엔 충분할까요...?아니면 정말 혼자 서버 코어 부분을 작성할 수 있을 정도가 되어야 하는건가요? 강의 들으며 궁금했던 부분을 싹 모아서 정리해보니 장문의 질문이 되어버렸네요 죄송합니다 ㅠㅠ다시 한 번 좋은 강의 제공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해결됨챗GPT와 파이썬으로 주식 자동매매 앱 및 웹 투자 리포트 만들기
같은 질문으로 받은 코드를 돌렸는데 최종 수익률이 다를 수도 있나요?
구현 코드는 달라질 수 있지만, 날짜 설정은 같으니까 최종 수익률은 같을거라고 생각했는데 제 챗gpt가 준 코드의 결과는 마이너스 수익률이네요코드 자체가 잘못된 걸까요?코드도 첨부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