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Flutter 3.0 앱 개발 - 10개의 프로젝트로 오늘 초보 탈출!
drift로 글 가져올때요
데이터를 get으로 호출해서 가져오는데... 늘 이렇게 여러줄로 가져오는데.. 원래 내부디비는 이렇게 나오는건가요?찾아도 잘 안나오네요..데이터를 저장하고 새로고침하면, 이런식으로 같은 데이터가 여러줄로 나오더라구요
-
미해결생성형 AI 기초와 동작 원리 이해
ChatGPT RLHF 관련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NLP 강의 들었었는데 쉽고 정확하게 강의해주셔서 이번에 새로나온 강의도 신청하게 되었습니다! ㅎㅎ질문 드립니다.1) RLHF에서 1단계는 GPT-3가 특정 질문에 대해 아무말 대잔치하며 생성했을 때, 인간이 선호하는 방식은 바로 이거야 라고 알려주어 아무말 대잔치를 못하도록 모델이 학습되는 과정(=SFT) 이라고 이해가 되는데 맞나요? 2) 2단계는 1단계에서 생성한 여러 답변들에 인간이 랭킹을 매긴다는 것을 이해했습니다. 인간이 매긴 랭킹들에 대한 데이터 셋을 RM(Reward Model)이 학습한다는건,예를들어 RM의 input은 1단계에서 GPT가 생성한 문장셋, output은 각 문장셋들에 대한 인간이 매긴 각 랭킹을 맞추도록 학습하는 과정이 맞나요? 3) 3단계는 "1단계에서 Fine-Tuned된 모델을 이제는 인간이 보상해주는 대신 2단계에서 생성한 RM이 인간역할을 하며 지도해준다" 라고 이해해도 될까요? 좋은 강의 다시 한번 감사합니다 :)
-
미해결[왕기초] 후디니 게임 이펙트 만들기
"Flipbook 추출하기 " 중복 영상제보 합니다.
Flipbook 추출하기 영상이 내용이Flipbook 언리얼 임포트 하기 영상과 동일합니다.즉 , Flipbook 언리얼 임포트 하기 영상이 없습니다.확인 바랍니다.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로그인 후에도 403 에러가 뜹니다.
안녕하세요강의를 진행하던 도중 로그인 후에 jwt는 제대로 발급이 되는데 그 후 발급된 토큰을 사용하여 user-service에 접근을 시도하면 403오류가 뜹니다. 강의대로 제대로 잘 했는데 무엇이 문제인지 모르겠습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코랩에서 사용가능한 RAM 초과로 셀 실행이 안되는경우..
코랩에서 사용가능한 RAM 초과로 셀 실행이 안되는경우..어떻게 해야할까요...? 모델 돌리는데 계속 런아웃 오류납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5회 기출유형 (작업형1) csv 파일을 어디에서 확인할 수 있나요??
5회 기출유형 (작업형1) csv 파일을 어디에서 확인할 수 있나요??캐글에 작업형2 csv 파일만 보입니다 ㅠㅠ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min-max scaler 혹은 standard scaler 가 효과적인 경우
수치형 변수 스케일링할 때 min-max scaler가 더 효과적인 경우,standard scaler가 더 효과적인 경우 좀 구분할 수 있을까요 ?
-
미해결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언어
6-1 강의 질문
반복문 while (status == 1) 일때조건문이 true여야 실행 되는 거 아닌가요? 근데 status 에 10, 20 이런식으로 입력해도 실행이 되는 이유를 모르겠어요..ㅠㅠ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예시문제 작업형3(신버전) 로지스틱회귀 강의 질문입니다.
(체험) 제 3유형 (풀이용) 1번 문제에서 질문입니다. "개수를 세어서 크로스탭으로 만드는 함수가 있다"라고 말하시고 pd.crosstab 함수를 사용하시고, chi2_contingency 함수에 넣어서 카이제곱 통계량을 산출하셨습니다. 여기서 왜 크로스탭으로 만들어야하는지 이해가 안되서 질문을 드립니다. 카이제곱 통계량 계산시 chi2_contingency 함수에 입력 파라미터로 무조건 크로스탭 함수를 만들어서 넣어야 하기 때문인가요? 이해가 안가서 글남깁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h2 드라이버가 갑자기 사라졌다고 나와요 ㅠㅠ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 강의 잘 따라하고 있다가 orderV6 부분에서 갑자기 오류가 나옵니다 왜이럴까요ㅠㅠ? 셋팅이 바뀐 부분은 따로 없는 거 같습니다. yml부분데 h2.driver 부분이 오류가 나오네요ㅠㅠjava.lang.ClassNotFoundException: org.h2.Driver at java.base/jdk.internal.loader.BuiltinClassLoader.loadClass(BuiltinClassLoader.java:641) at java.base/jdk.internal.loader.ClassLoaders$AppClassLoader.loadClass(ClassLoaders.java:188) at java.base/java.lang.ClassLoader.loadClass(ClassLoader.java:520) at java.base/java.lang.Class.forName0(Native Method) at java.base/java.lang.Class.forName(Class.java:467) at org.springframework.boot.devtools.restart.classloader.RestartClassLoader.loadClass(RestartClassLoader.java:121) at java.base/java.lang.ClassLoader.loadClass(ClassLoader.java:520) at java.base/java.lang.Class.forName0(Native Method) at java.base/java.lang.Class.forName(Class.java:467) at org.springframework.util.ClassUtils.forName(ClassUtils.java:304) at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jdbc.DataSourceProperties.driverClassIsLoadable(DataSourceProperties.java:194) at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jdbc.DataSourceProperties.determineDriverClassName(DataSourceProperties.java:175) at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jdbc.PropertiesJdbcConnectionDetails.getDriverClassName(PropertiesJdbcConnectionDetails.java:49) at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jdbc.DataSourceConfiguration.createDataSource(DataSourceConfiguration.java:55) at org.springframework.boot.autoconfigure.jdbc.DataSourceConfiguration$Hikari.dataSource(DataSourceConfiguration.java:117) at java.base/jdk.internal.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0(Native Method) at java.base/jdk.internal.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NativeMethodAccessorImpl.java:77) at java.base/jdk.internal.reflect.DelegatingMethodAccessorImpl.invoke(DelegatingMethodAccessorImpl.java:43) at java.base/java.lang.reflect.Method.invoke(Method.java:568)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SimpleInstantiationStrategy.instantiate(SimpleInstantiationStrategy.java:140)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ConstructorResolver.instantiate(ConstructorResolver.java:647)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ConstructorResolver.instantiateUsingFactoryMethod(ConstructorResolver.java:639)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instantiateUsingFactoryMethod(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1334)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createBeanInstance(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1164)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doCreateBean(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561)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createBean(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521)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lambda$doGetBean$0(AbstractBeanFactory.java:325)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SingletonBeanRegistry.getSingleton(DefaultSingletonBeanRegistry.java:234)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doGetBean(AbstractBeanFactory.java:323)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getBean(AbstractBeanFactory.java:199)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config.DependencyDescriptor.resolveCandidate(DependencyDescriptor.java:254)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ListableBeanFactory.doResolveDependency(DefaultListableBeanFactory.java:1443)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ListableBeanFactory.resolveDependency(DefaultListableBeanFactory.java:1353)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ConstructorResolver.resolveAutowiredArgument(ConstructorResolver.java:907)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ConstructorResolver.createArgumentArray(ConstructorResolver.java:785)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ConstructorResolver.instantiateUsingFactoryMethod(ConstructorResolver.java:542)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instantiateUsingFactoryMethod(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1334)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createBeanInstance(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1164)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doCreateBean(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561)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createBean(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521)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lambda$doGetBean$0(AbstractBeanFactory.java:325)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SingletonBeanRegistry.getSingleton(DefaultSingletonBeanRegistry.java:234)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doGetBean(AbstractBeanFactory.java:323)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getBean(AbstractBeanFactory.java:199)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doGetBean(AbstractBeanFactory.java:312)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getBean(AbstractBeanFactory.java:199) 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AbstractApplicationContext.getBean(AbstractApplicationContext.java:1231) 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AbstractApplicationContext.finishBeanFactoryInitialization(AbstractApplicationContext.java:949) 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AbstractApplicationContext.refresh(AbstractApplicationContext.java:624) at org.springframework.boot.web.servlet.context.ServletWebServerApplicationContext.refresh(ServletWebServerApplicationContext.java:146) 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efresh(SpringApplication.java:754) 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efreshContext(SpringApplication.java:456) 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un(SpringApplication.java:334) 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un(SpringApplication.java:1354) 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un(SpringApplication.java:1343) at jpabook.jpashop.JpashopApplication.main(JpashopApplication.java:14) at java.base/jdk.internal.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0(Native Method) at java.base/jdk.internal.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NativeMethodAccessorImpl.java:77) at java.base/jdk.internal.reflect.DelegatingMethodAccessorImpl.invoke(DelegatingMethodAccessorImpl.java:43) at java.base/java.lang.reflect.Method.invoke(Method.java:568) at org.springframework.boot.devtools.restart.RestartLauncher.run(RestartLauncher.java:50)
-
미해결프로그래밍 시작하기 : 파이썬 입문 (Inflearn Original)
강의자료 부탁드립니다
다운이 안됩니다.byerlaekdnjs@naver.com
-
미해결Airflow 마스터 클래스
dag 파일 오류수정 적용방법
안녕하세요 실습중에 오류 발생해서 질문드립니다. dag파일 잘못 작성하여 dag import error가 발생한 경우,dag파일을 수정하고 적용시키기 위해서는 매번 docker compose down 후, compose up으로 재기동 해줘야하나요? 간단한 오탈자 수정하는데도 재기동이 필요한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샘플데이터 주소복사...
선생님, input 에서 저렇게 저는 안되던데 ...다른 설정을 해야할까요? 화면도 실제랑 강의랑 좀 달라서 어려움이 있습니다 ㅠㅠ 확인 부탁드립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노션 주소 공유가 될까요?
선생님 안녕하세요, 강의 보니까 노션에 정리 해 두셨던데 노션 제 페이지에 저도 저렇게 정리 하려고 하는데 , 혹시 노션링크 받을 수 있을까요? 예전에 보니 본인 페이지를 공유 할수도 있더라고요 ㅎㅎ 캐글 매번 들어와야 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지 않을까 해서 여쭤봅니다~!
-
해결됨
코딩테스트 하는데 답변써넣었더니 런타임 오류
public int[] solution(long n) { String stringValue = String.valueOf(n); String[] splitValue = stringValue.split(""); List<Integer> list = new ArrayList<>(); for (int i = 0; i < splitValue.length; i++) { list.add(Integer.valueOf(splitValue[i])); } Collections.reverse(list); int[] answer = new int[list.size()]; for (int i = 0; i < list.size(); i++) { answer[i] = list.get(i); } return answer; }이렇게 입력하고 돌렸더니 런타임 오류가 뜨는데 뭐가 문제인지 모르겠어요ㅠㅠ
-
해결됨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BasicErrorController 질문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BasicErrorController 질문있습니다.저희가 직접만든 ErrorPageController 의 경우 오류 코드에 따라 맵핑되는 uri가 달라 각각 코드에 따라 다른 viewName을 리턴하여 각각 다른 화면을 보여주는 것이 가능해 보입니다.@Slf4j @Controller public class ErrorPageController { public static final String ERROR_EXCEPTION = "jakarta.servlet.error.exception"; public static final String ERROR_EXCEPTION_TYPE = "jakarta.servlet.error.exception_type"; public static final String ERROR_MESSAGE = "jakarta.servlet.error.message"; public static final String ERROR_REQUEST_URI = "jakarta.servlet.error.request_uri"; public static final String ERROR_SERVLET_NAME = "jakarta.servlet.error.servlet_name"; public static final String ERROR_STATUS_CODE = "jakarta.servlet.error.status_code"; @RequestMapping("/error-page/404") public String errorPage404(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 log.info("error-page404"); printErr(request); return "error-page/404"; } @RequestMapping(value = "error-page/500", produces = MediaType.APPLICATION_JSON_VALUE) public ResponseEntity<Map<String, Object>> errorPage500api( 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 log.info("API errorPage500"); Map<String, Object> result = new HashMap<>(); Exception ex = (Exception) request.getAttribute(ERROR_EXCEPTION); result.put("status", request.getAttribute(ERROR_STATUS_CODE)); result.put("message", ex.getMessage()); Integer statusCode = (Integer) request.getAttribute(RequestDispatcher.ERROR_STATUS_CODE); return new ResponseEntity<>(result, HttpStatus.valueOf(statusCode)); } @RequestMapping("/error-page/500") public String errorPage500(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 log.info("error-page500"); printErr(request); return "error-page/500"; } public void printErr(HttpServletRequest request) { log.info("ERROR_EXCEPTION : {}", request.getAttribute(ERROR_EXCEPTION)); log.info("ERROR_EXCEPTION_TYPE : {}", request.getAttribute(ERROR_EXCEPTION_TYPE)); log.info("ERROR_MESSAGE : {}", request.getAttribute(ERROR_MESSAGE)); log.info("ERROR_REQUEST_URI : {}", request.getAttribute(ERROR_REQUEST_URI)); log.info("ERROR_SERVLET_NAME : {}", request.getAttribute(ERROR_SERVLET_NAME)); log.info("ERROR_STATUS_CODE : {}", request.getAttribute(ERROR_STATUS_CODE)); log.info("dispatcherType = {}", request.getDispatcherType()); } } 하지만 BasicErrorController의 어떤 errorCode가 오더라도 전부 /error로 매핑이 되어 반환값도 viewName이 아니라 ModelAndView이어 이해해 약간의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일단 제가 추상적으로 생각했을때 BasicErrorController의 errorHtml에서 반환받는 ModelAndView를 Servlet에서 받아 ModelAndView에 있는 "error"라고 하는 viewName을 directory 이름 으로 사용하고 model에 들어있는 status를 조합하여 RequestDispatcher dispatcher = request.getRequestDispatcher(viewPath+"/"+model.getAttribute("status");이런느낌의 로직으로 처리한다 라고 이해하면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게 맞을까요??? 추상적으로 이런 느낌이겠지정도고 확신이 들지 않아 질문합니다. @Controller @RequestMapping({"${server.error.path:${error.path:/error}}"}) public class BasicErrorController extends AbstractErrorController { private final ErrorProperties errorProperties; public BasicErrorController(ErrorAttributes errorAttributes, ErrorProperties errorProperties) { this(errorAttributes, errorProperties, Collections.emptyList()); } public BasicErrorController(ErrorAttributes errorAttributes, ErrorProperties errorProperties, List<ErrorViewResolver> errorViewResolvers) { super(errorAttributes, errorViewResolvers); Assert.notNull(errorProperties, "ErrorProperties must not be null"); this.errorProperties = errorProperties; } @RequestMapping( produces = {"text/html"} ) public ModelAndView errorHtml(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 HttpStatus status = this.getStatus(request); Map<String, Object> model = Collections.unmodifiableMap(this.getErrorAttributes(request, this.getErrorAttributeOptions(request, MediaType.TEXT_HTML))); response.setStatus(status.value()); ModelAndView modelAndView = this.resolveErrorView(request, response, status, model); return modelAndView != null ? modelAndView : new ModelAndView("error", model); } @RequestMapping public ResponseEntity<Map<String, Object>> error(HttpServletRequest request) { HttpStatus status = this.getStatus(request); if (status == HttpStatus.NO_CONTENT) { return new ResponseEntity(status); } else { Map<String, Object> body = this.getErrorAttributes(request, this.getErrorAttributeOptions(request, MediaType.ALL)); return new ResponseEntity(body, status); } } //생략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Flutter 3.0 앱 개발 - 10개의 프로젝트로 오늘 초보 탈출!
환경설정 작업 오류
안녕하세요. 오늘 처음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다운받았고, 처음으로 플러터 sdk 다운받았습니다. 그런데 에뮬레이터를 실행하고 test_proj를 실행하는 과정에서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ㅠ..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요?4번째 Warning 부분이 빨간색으로 나오네요. Launching lib\main.dart on sdk gphone64 x86 64 in debug mode...Running Gradle task 'assembleDebug'...Warning: This version only understands SDK XML versions up to 3 but an SDK XML file of version 4 was encountered. This can happen if you use versions of Android Studio and the command-line tools that were released at different times.Checking the license for package Android SDK Tools in C:\Users\suhol\AppData\Local\Android\sdk\licensesLicense for package Android SDK Tools accepted.Preparing "Install Android SDK Tools (revision: 26.1.1)"."Install Android SDK Tools (revision: 26.1.1)" ready.Installing Android SDK Tools in C:\Users\suhol\AppData\Local\Android\sdk\tools"Install Android SDK Tools (revision: 26.1.1)" complete."Install Android SDK Tools (revision: 26.1.1)" finished.Checking the license for package Android SDK Build-Tools 30.0.3 in C:\Users\suhol\AppData\Local\Android\sdk\licensesLicense for package Android SDK Build-Tools 30.0.3 accepted.Preparing "Install Android SDK Build-Tools 30.0.3 (revision: 30.0.3)"."Install Android SDK Build-Tools 30.0.3 (revision: 30.0.3)" ready.Installing Android SDK Build-Tools 30.0.3 in C:\Users\suhol\AppData\Local\Android\sdk\build-tools\30.0.3"Install Android SDK Build-Tools 30.0.3 (revision: 30.0.3)" complete."Install Android SDK Build-Tools 30.0.3 (revision: 30.0.3)" finished.√ Built build\app\outputs\flutter-apk\app-debug.apkInstalling build\app\outputs\flutter-apk\app-debug.apk...Debug service listening on ws://127.0.0.1:50981/764n9IlfL4k=/wsSyncing files to device sdk gphone64 x86 64...Lost connection to device.adb.exe: device offline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수업내용 글들은 어디서 확인 할수있나여?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 [질문 내용]수업내용 글들은 어디서 확인 할수있나여?
-
미해결실전! Querydsl
querydsl countQuery
안녕하세요 강의에서와 같이 CountQuery를 적용하였습니다.기대 결과값 : 422개 실제 결과값 : 425개였습니다. sql을 날려서 확인해본 결과 실제 결과값은 leftJoin하여 중복되는 행의 개수만큼 추가되어 있더라구요. 내부적으로 distinct 되어서 422개를 조회하고 싶습니다.혹시 어떻게 해야될까요? 감사합니다. @Override public Page<ReputationPost> findByReputationIdAndUsable(ReputationPostsGetReqDto dto, List<String> keywordList, List<ReputationChannelReqDto> reputationChannelReqDtoList, Pageable pageable, boolean usable) { List<ReputationPost> content = jpaQueryFactory.selectDistinct(reputationPost) .from(reputationPost) .join(reputationPost.post, post).fetchJoin() .leftJoin(postKeyword).on(reputationPost.post.id.eq(postKeyword.post.id)) .leftJoin(memLawkitDoc).on(reputationPost.id.eq(memLawkitDoc.reputationPost.id)) .where( reputationIdEq(dto.getReputationId()), channelIdListIn(reputationChannelReqDtoList), keywordListIn(keywordList), durationEq(dto.getStartDate(), dto.getEndDate()), memLawkitDocStatus(dto.getMemLawkitDocStatusList()) ) .orderBy(getSorting(dto.getSortOption())) .offset(pageable.getOffset()) .limit(pageable.getPageSize()) .fetch(); JPAQuery<Long> countQuery = jpaQueryFactory.selectDistinct(reputationPost.count()) .from(reputationPost) .join(reputationPost.post, post) .leftJoin(postKeyword).on(reputationPost.post.id.eq(postKeyword.post.id)) .leftJoin(memLawkitDoc).on(reputationPost.id.eq(memLawkitDoc.reputationPost.id)) .where( reputationIdEq(dto.getReputationId()), channelIdListIn(reputationChannelReqDtoList), keywordListIn(keywordList), durationEq(dto.getStartDate(), dto.getEndDate()), memLawkitDocStatus(dto.getMemLawkitDocStatusList()) ); return PageableExecutionUtils.getPage(content, pageable, countQuery::fetchOne); }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프로젝트 생성 관련 질문
해당 강의는 강사님의 다른 강의들과는 다르게 spring.io를 이용하지 않고 인텔리제이에서 직접 프로젝트를 생성하시던데, 강사님이 사용하시는 버전과 제가 사용하는 인텔리제이 버전이 다른 것 같아서 프로젝트 생성시 어떻게 해야하는지 문의 드립니다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