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method] static vs public static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참조형과 메서드 호출 강의를 듣다 궁금점이 생겨서 문의 남깁니다.MethodChange2.javapackage ref; public class MethodChange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Data dataA = new Data(); dataA.value = 10; System.out.println("메서드 호출 전: dataA.value = " + dataA.value); changeReference(dataA); System.out.println("메서드 호출 후: dataA.value = " + dataA.value); } private static void changeReference(Data dataX) { dataX.value = 20; } Method2.javapackage ref; public class Method2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udent student1 = createStudent("학생1", 15, 90); Student student2 = createStudent("학생2", 16, 80); printStudent(student1); printStudent(student2); } static Student createStudent(String name, int age, int grade) { Student student = new Student(); student.name = name; student.age = age; student.grade = grade; return student; } static void printStudent(Student student1) { System.out.println("이름:" + student1.name + " 나이:" + student1.age + " 성적:" + student1.grade); } } MethodChange2의 changeReference 메소드는 private static인데, 왜 Method2의 printStudent 메소드는 static인지 이유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MemberApp에서 Bean에서 불러오는 과정에서 스프링으로 실행이 안되는 것 같아 질문 드립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Spring Bean이란 정확이 어떤 개념인가요?제가 이해한 Bean은 스프링 컨테이너가 관리해주는 하나의 객체 or 클래스 라고 이해했는데. 영한님 강의에서 본 것 과 같이 스프링 컨테이너란 객체를 생성해서 의존성을 주입해주는것, 생명주기관리 등을 담당하는것이며 빈은 스프링 컨테이너에 의해 관리 당하는 객체인가요? 빈에 대해 이해하고싶습니다. 영한님 강의를 듣고 똑같이 구현결과 제 컴파일러에서는 Bean과 관련된 로그가 안뜹니다https://drive.google.com/file/d/1_Wm8yj0VdLKFo-JI6aNlBo67jN2ctb1U/view?usp=drive_link강의를 듣는 중에 똑같이 실행을 했는데 빈에서 불러오는 로그가 뜨지 않아서 괜찮은건지 질문드립니다. MemberApp과 OrderApp둘 다 동일한 증상이 나타납니다. 인텔리제이를 사용하지 않는 이유는 군대 사지방이라 깔지를 못합니다..ㅜ @Bean(name="otherName")이렇게 해서 Run해보면 오류가 나서 Bean으로 잘 된 것 같은데 혹시 몰라서 질문 드립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상속 관련해서 질문 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다형성 오버라이딩 까지 강의를 보고 질문 드립니다.지금까지 상속 관계에 대해 배웠을 때처음에 든 생각은 상속이 tree 관계도를 만든다고 생각했습니다.(예를 들어서 부모에게 자식이 여러 명 있을 수 있는 것처럼요)그런데 수업에서 배운 내용을 보니힙 영역에서 한 인스턴스 안에 부모가 한 명 있고 자식이 둘 이상인 경우는 존재하지 않는 것처럼 보였습니다.물론 class 영역에서 한 부모를 여러 자식이 상속하는 경우는 가능하겠지만 instance를 만들 때는 자식 인스턴스를 만들 때마다 부모가 복제되서 생기는 것 같았습니다. 매소드 오버라이딩 부분을 보니까 한 인스턴스 안에 부모가 있을 때 자식이 여럿 있으면 안 될 것 같다는 확신이 들었습니다. 그게 맞다면 어느 자식의 method로 오버라이딩 되어야 할 지 정하기 어렵기 때문입니다. 만약 제가 데이터를 저장할 때어떤 사람의 인적 정보를 person class에 저장하고사람의 직업이 여러 개일 수 있으니까 직업들을 job1, job2 class라고 정의한다면-----------------------------------| person 부모class - job 1 자식 class | - job 2 자식 class-----------------------------------이런 식으로 한 인스턴스 안에 데이터를 저장하는 것이 메모리를 효율적으로 쓰는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java는 이런 걸 지원하지 않는 것처럼 보였습니다. 제 생각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PostConstruct어노테이션의 초기화 콜백 메서드에 대해서 확답이 필요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초기화 콜백에 관한 강의를 듣고 정리해본 결과 지금 예제에서는 외부에서 주입 받는 객체가 없기 때문에 의존성 주입은 없고 url필드의 값 주입만 있는 것 같습니다.그런데 @PostConstruct 어노테이션의 역할은 설정 정보에 있는 빈 객체가 생성되고, 빈 간에 의존성이 모두 주입된 직후 실행될 초기화 콜백 메서드를 지정하는 것이라고 이해했습니다.이때 예제에서처럼 실질적으로 의존성이 존재하지 않아도 해당 어노테이션이 붙어있는 메서드가 있다면, 빈 생성 후 필드 값 주입을 마치고 똑같이 초기화 콜백을 수행하는 것이 맞나요?그리고 @PostConstruct어노테이션의 쓰임으로는 어떠한 의존성이나 필드에 대해서 생성자로 초기화하기 까다롭거나 적절하지 않을 때, 혹은 그래야만 하는 상황에(앞서 생성자를 통해 의존성을 주입받아야만 사용할 수 있는 의존성(필드)일 때) 추가적으로 초기화하기 위해 사용하는 걸로 이해해도 될까요?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Test Results 만 뜹니다.
안녕하세요. 현재 스프링 부트 3.2.0을 사용하고 있고요,pdf를 보고 주의 주신 대로 Gradle로 맞추었는데요 강사님처럼 이렇게 하위로 테스트가 개별 통과되었는지 보이지 않고,저는 위와 같이 Test Results만 뜨는 상황인데요..! 개별 메서드도 확인할 수 있게 바꿀 방법이 없을까요..?ㅠㅠ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Autowired 필드명 매칭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필드명을 변경해서도 fixDiscountPolicy랑 rateDiscountPolicy로 오류가 나왔습니다그래서 혹시나 해서 AutoAppConfige에 있는 excludeFilters까지 주석으로 처리하니 에러가 발생하지않았습니다왜 excludeFilters를 주석처리하니까 에러가 해결되었는지가 궁금합니다.해당 excludeFilter는 Configuration쪽을 자동등록하지않기 위함으로만 알고있습니다.package hello.core;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mponentSca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nfigur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FilterType; @Configuration // @Component가 들어가있는 대상을 빈으로 자동등록 @ComponentScan( // basePackages = "hello.core.member", // 해당 패키지의 위치부터 찾아가기 시작 / 지정하지않으면 라이브러리 포함 전부다를 뒤지게 된다 // basePackageClasses = AutoAppConfig.class, // 지정한 클래스의 패키지부터 지정하지않으면 해당 클래스의 package가 시작위치 // excludeFilters = @ComponentScan.Filter(type = FilterType.ANNOTATION, classes = Configuration.class) // Configuration.class는 자동등록을 제외시켜주는 부분 // Configuration은 현재 AppConfig에서 수동등록할 때 사용하고 있어서 // 자동등록시 포함하면, 에러가 발생하거나 꼬일수있다. ) // 자동으로 등록하기 위해서 필요 public class AutoAppConfig { }
-
해결됨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문제와 풀이3 - productAdminEx 문제 질문입니다.
package inflearn.array.ex;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ProductAdminEx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상품 관리 프로그램 만들기 -> 처음에 for문으로 구성했으나 null 출력이 많은듯... int maxNumber = 10; String[] productNames = new String[maxNumber]; int[] productPrices = new int[maxNumber]; int productCount = 0; 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 for (int i = 0; i < 10; i++) { System.out.println("1. 상품 등록 | 2. 상품 목록 | 3. 종료"); System.out.print("메뉴를 선택하세요: "); int menu = scanner.nextInt(); scanner.nextLine(); if (menu == 1) { if (productCount > 10) { System.out.println("더 이상 상품을 등록할 수 없습니다."); } System.out.print("상품 이름을 입력하세요: "); productNames[i] = scanner.nextLine(); System.out.print("상품 가격을 입력하세요: "); productPrices[i] = scanner.nextInt(); productCount++; } else if (menu == 2) { if (productCount == 0) { System.out.println("등록된 상품이 없습니다."); continue; } else { System.out.println(productNames[i]); } for (int j = 0; j < productCount; j++) { System.out.println(productNames[j] + ": " + productPrices[j] + "원"); } } else { System.out.println("프로그램을 종료합니다"); break; } } } }이렇게 for문을 썼을 때, 상품을 등록하고 2번 프로그램 목록보기를 선택하면 null 이 섞여나오는데 이유를 알고 싶습니다!강의에서는 while문을 통한 무한루프를 사용하였는데 for문으로도 풀어보다 궁금해서 질문 올립니다!=========================================[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Autowired 필드 명, @Qualifier, @Primary 강의중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의를 들으면서 라이브 코딩을 하며 오류가 계속 발생해 문의드립니다.@Component public class OrderServiceImpl implements OrderService {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private final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Autowired public Ord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this.discountPolicy = discountPolicy; } @Override public Order createOrder(Long memberId, String itemName, int itemPrice) { Member 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memberId); int discountPrice = discountPolicy.discount(member, itemPrice); return new Order(memberId, itemName, itemPrice, discountPrice); } //테스트 용도 public MemberRepository getMemberRepository() { return memberRepository; } }@Component @Primary public class RateDiscountPolicy implements DiscountPolicy { private int discountPercent = 10; @Override public int discount(Member member, int price) { if (member.getGrade() == Grade.VIP) { return price * discountPercent / 100; } else { return 0; } } }@Component public class FixDiscountPolicy implements DiscountPolicy { private int discountFixAmount = 1000; //1000원 할인 @Override public int discount(Member member, int price) { if (member.getGrade() == Grade.VIP) { return discountFixAmount; } else { return 0; } } } 이렇게 작성이 되어있지만 AutoConfigTest에서 NoSuchBeanDefinitionException 가 발생해 문의드립니다.public class AutoAppConfigTest { @Test void basicScan() { 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utoAppConfig.class); MemberService memberService = ac.getBean(MemberService.class); assertThat(memberService).isInstanceOf(MemberService.class); OrderServiceImpl bean = ac.getBean(OrderServiceImpl.class);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bean.getMemberRepository(); System.out.println("memberRepository = " + memberRepository); } }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NoSuchBeanDefinitionException: No qualifying bean of type 'hello.core.order.OrderServiceImpl' available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ListableBeanFactory.getBean(DefaultListableBeanFactory.java:341)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ListableBeanFactory.getBean(DefaultListableBeanFactory.java:332) 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AbstractApplicationContext.getBean(AbstractApplicationContext.java:1191) at hello.core.scan.AutoAppConfigTest.basicScan(AutoAppConfigTest.java:24) at java.base/java.lang.reflect.Method.invoke(Method.java:568) at java.base/java.util.ArrayList.forEach(ArrayList.java:1511) at java.base/java.util.ArrayList.forEach(ArrayList.java:1511)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다형성 질문입니다
Parent parent = new child(); 라고하면 parent가 child의 기능을 가질수 있다는건데,new child()는 child()의 객체의 참조값을 가지니까 parent가 접근할수있다는것을 이해했는데parent는 생성자를 안만들어줬는데도 접근할수가있나요? Parent parent = new Parent(); 같이 객체를 만들어줬을때 저장이되면서 참조값을 parent에 전달한다고 알고있는데 Parent parent = new child(); 는 child의 참조값만 알고 Parent는 모르는거아닌가요? 상속이라고해도 parent는 객체를 안만들어줬지 않나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store를 Map으로 지정한 이유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MemoryMemberRepository에 있는 private static Map<Long, Member> store = new HashMap<>(); @Override public void save(Member member) { store.put(member.getId(), member); }이 부분에 대해 질문사항이 있습니다.Member에는 id, name, grade의 필드가 있고, 예를 들면 (1L, "memberA", Grade.VIP)의 형식으로 저장이 될 것인데, 굳이 store를 Map형식으로 선언하여서, save메서드에서 store.put(member.getId(), member)의 형식으로 저장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요약하자면Member에는 id, name, grade의 정보가 있는데 굳이 save메서드에서 member.getId()를 통해 id를 한 번 꺼내고, member와 같이 굳이 키와 쌍의 값으로 저장을 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그저 member만 저장하면 되므로 Map을 쓸 필요가 없지 않나 라는 의문점이 듭니다. Map을 쓴다고 하였을 때, Map의 구현체들 중에서 HashMap을 사용한 이유가 궁금합니다.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질문합니다.
안녕하세요.섹션7 의존관계 자동 주입 2번째 파트 옵션 처리 초반 에러코드 수정중에 아래와 같이 해결이 안되고 있습니다. package hello.core.member;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mponent; @Component public class MemberServiceImpl implements MemberService {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Autowired //ac.getBean(MemberRepository.class) public Memb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 @Override public void join(Member member) { memberRepository.save(member); } @Override public Member findMember(Long memberId) { return memberRepository.findById(memberId); } //테스트 용도 @Override public MemberRepository getMemberRepository() { return memberRepository; } } Caused by: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UnsatisfiedDependency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memberServiceImpl' defined in file [/Users/kssk3-/Desktop/study/core/out/production/classes/hello/core/member/MemberServiceImpl.class]: Unsatisfied dependency expressed through constructor parameter 0: No qualifying bean of type 'hello.core.member.MemberRepository' available: expected single matching bean but found 2: memoryMemberRepository,memberRepository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ConstructorResolver.createArgumentArray(ConstructorResolver.java:802)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ConstructorResolver.autowireConstructor(ConstructorResolver.java:241)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autowireConstructor(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1356)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createBeanInstance(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1193)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doCreateBean(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563)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createBean(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523)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lambda$doGetBean$0(AbstractBeanFactory.java:325)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SingletonBeanRegistry.getSingleton(DefaultSingletonBeanRegistry.java:234)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doGetBean(AbstractBeanFactory.java:323)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getBean(AbstractBeanFactory.java:199)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ListableBeanFactory.preInstantiateSingletons(DefaultListableBeanFactory.java:973)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AbstractApplicationContext.finishBeanFactoryInitialization(AbstractApplicationContext.java:946)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AbstractApplicationContext.refresh(AbstractApplicationContext.java:616)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efresh(SpringApplication.java:753)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efreshContext(SpringApplication.java:455)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run(SpringApplication.java:323)a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ContextLoader.lambda$loadContext$3(SpringBootContextLoader.java:137)at org.springframework.util.function.ThrowingSupplier.get(ThrowingSupplier.java:58)at org.springframework.util.function.ThrowingSupplier.get(ThrowingSupplier.java:46)at org.springframework.boot.SpringApplication.withHook(SpringApplication.java:1442)a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ContextLoader$ContextLoaderHook.run(SpringBootContextLoader.java:552)a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ContextLoader.loadContext(SpringBootContextLoader.java:137)a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ContextLoader.loadContext(SpringBootContextLoader.java:108)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cache.DefaultCacheAwareContextLoaderDelegate.loadContextInternal(DefaultCacheAwareContextLoaderDelegate.java:225)a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cache.DefaultCacheAwareContextLoaderDelegate.loadContext(DefaultCacheAwareContextLoaderDelegate.java:152)... 17 moreCaused by: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NoUniqueBeanDefinitionException: No qualifying bean of type 'hello.core.member.MemberRepository' available: expected single matching bean but found 2: memoryMemberRepository,memberRepository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config.DependencyDescriptor.resolveNotUnique(DependencyDescriptor.java:218)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ListableBeanFactory.doResolveDependency(DefaultListableBeanFactory.java:1418)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ListableBeanFactory.resolveDependency(DefaultListableBeanFactory.java:1348)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ConstructorResolver.resolveAutowiredArgument(ConstructorResolver.java:911)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ConstructorResolver.createArgumentArray(ConstructorResolver.java:789)... 41 more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컴포넌트스캔사용에 대해서
탐색 위치와 기본 스캔 대상에 대해서 강의를 듣다고 궁금한게 생겨서 글을 남겼습니다SpringBootApplication이 @ComponentScan을 가지고 있고 저희가 사용할려는 Config도 같은 위치에 있으면 굳이 @ComponentScan을 달아주지않아도 컴포넌트스캔은 동작하지않는거랑 만약에 같은 레벨의 위치에서 두개가 있다면 충돌이 발생할 것같은데 테스트 코드에서는 문제가없었습니다 혹시 그이유는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utoAppConfig.class);위의 코드처럼 AutoAppConfig.class라고 지정해서 일까요?? 그러면 이경우에는 CoreApplication은 사용되지않고 AutoAppConfig만 사용해서 동작하는 걸까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상속에서 생성자는 오버라이딩이 안됨
상속강의에서 생성자는 오버라이딩이 안된다고 하셨는데 그 이유를 알수있을까요?제 생각으로는 오버라이딩은 부모-자식관계에서 부모가 가지고있는 클래스의 정보(필드,메서드)를 넘겨주는거라면 생성자는 객체를 생성하는것이기 때문에 부모의 객체정보인 참조값을 자식에게 넘겨준다고 생각하면 말이안된다고 생각합니다. 이게 아니라면 다른이유가 있을까요?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컴포넌트 관련 질문있습니다.
기존 스프링 빈 방식으로 등록을 하면 등록해야 할 스프링 빈이 수십,수백개가 되어 일일이 등록하기가 귀찮고, 설정 정보도 커지고 누락하는 문제가 발생하여 컴포넌트 방식을 사용한다고 배웠습니다. 그런데 컴포넌트 방식도 사용하려고 하면 @Component와 의존 관계 주입인 @Autowired를 넣어줘야 하는데, 동일한 문제가 발생하는게 아닌지 궁금합니다. 2.excludeFilters로 @Configuration 어노테이션이 붙은 클래스를 제거해주고 있는데, 앞서 정의했던 AppConfig 때문인가요? 만약 AppConfig가 없다고 가정하면 excludeFilters를 굳이 삽입하지 않아도 되는지 궁금합니다.@Autowired 과정이 getBean(MemberRepository.class)와 동일하다고 하는데,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필터 부분 코드가 전체적으로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package hello.core.scan.filter; import java.lang.annotation.*; @Target(ElementType.TYPE) @Retention(RetentionPolicy.RUNTIME) @Documented public @interface MyIncludeComponent { }여기서 target,retention,documented가 어떤 역할을 하는건가요?package hello.core.scan.filter; import org.junit.jupiter.api.Assertions;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NoSuchBeanDefinitionExcep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mponentSca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nfigur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FilterType;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assertThat; import static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mponentScan.Filter; public class ComponentFilterAppConfigTest { @Test void filterScan() { 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ComponentFilterAppConfig.class); BeanA beanA = ac.getBean("beanA", BeanA.class); assertThat(beanA).isNotNull(); Assertions.assertThrows( NoSuchBeanDefinitionException.class, () -> ac.getBean("beanB", BeanB.class)); } @Configuration @ComponentScan( includeFilters = @Filter(type = FilterType.ANNOTATION, classes = MyIncludeComponent.class), excludeFilters = @Filter(type = FilterType.ANNOTATION, classes = MyExcludeComponent.class) ) static class ComponentFilterAppConfig { } } 여기서도 beanA가 왜 추가되고, beanB가 왜 포함되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테스트 오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UnsatisfiedDependencyException: Error creating bean with name 'orderServiceImpl' defined in file [C:\Users\kyoun\OneDrive\바탕 화면\개발\core\out\production\classes\hello\core\order\OrderServiceImpl.class]: Unsatisfied dependency expressed through constructor parameter 0: No qualifying bean of type 'hello.core.member.MemberRepository' available: expected at least 1 bean which qualifies as autowire candidate. Dependency annotations: {}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ConstructorResolver.createArgumentArray(ConstructorResolver.java:802)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ConstructorResolver.autowireConstructor(ConstructorResolver.java:241)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autowireConstructor(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1356)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createBeanInstance(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1193)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doCreateBean(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563)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createBean(AbstractAutowireCapableBeanFactory.java:523)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lambda$doGetBean$0(AbstractBeanFactory.java:325)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SingletonBeanRegistry.getSingleton(DefaultSingletonBeanRegistry.java:234)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doGetBean(AbstractBeanFactory.java:323)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AbstractBeanFactory.getBean(AbstractBeanFactory.java:199)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ListableBeanFactory.preInstantiateSingletons(DefaultListableBeanFactory.java:973) 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AbstractApplicationContext.finishBeanFactoryInitialization(AbstractApplicationContext.java:946) at org.springframework.context.support.AbstractApplicationContext.refresh(AbstractApplicationContext.java:616) a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init>(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java:93) at hello.core.scan.AutoAppConfigTest.basicScan(AutoAppConfigTest.java:14) at java.base/java.lang.reflect.Method.invoke(Method.java:578) at java.base/java.util.ArrayList.forEach(ArrayList.java:1511) at java.base/java.util.ArrayList.forEach(ArrayList.java:1511)Caused by: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NoSuchBeanDefinitionException: No qualifying bean of type 'hello.core.member.MemberRepository' available: expected at least 1 bean which qualifies as autowire candidate. Dependency annotations: {}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ListableBeanFactory.raiseNoMatchingBeanFound(DefaultListableBeanFactory.java:1878)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ListableBeanFactory.doResolveDependency(DefaultListableBeanFactory.java:1404)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DefaultListableBeanFactory.resolveDependency(DefaultListableBeanFactory.java:1348)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ConstructorResolver.resolveAutowiredArgument(ConstructorResolver.java:911) a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support.ConstructorResolver.createArgumentArray(ConstructorResolver.java:789) ... 17 more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e -1이렇게 오류가 뜨는데 뭐가 문제일까요?
-
해결됨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조건문 문제와 풀이2 첫 번째 문제
이렇게 작성하면 틀린 코드 인가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섹션 9 정리한거 맞는지 확인 해주세요 !!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request 스코프 빈의 포록시 기반 동작 원리에 대해서 강의도 듣고, 따로 찾아봐서 정리했는데 맞는지 봐주세요. !! 스프링 컨테이너가 초기화될 때, ScopedProxyMode.TARGET_CLASS 설정을 사용하면, 스프링은 원본 클래스를 상속받는 프록시 클래스의 인스턴스를 생성한다. 이 프록시 클래스는 원본 클래스의 모든 메서드를 오버라이드하고, 오버라이드된 각 메서드에는 실제 원본 빈의 메서드를 호출하는 위임 로직이 포함되어 있다. 생성된 프록시 객체는 스프링 빈으로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되고, HTTP 요청이 있을 때, 클라이언트가 프록시 객체의 메서드를 호출하면, 메서드 내의 위임 로직이 활성화되어 실제 해당 HTTP 요청에 맞는 원본 빈의 해당 메서드를 (찾아) 실행한다. 만약, 해당 HTTP 요청에 맞는 실제 원본 빈이 스프링 컨테이너에 없으면, 위임 로직은 새로운 원본 빈 인스턴스를 생성하여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한 후, 그 인스턴스의 메서드를 실행한다.맞나욤.. ㅎㅎ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오버라이딩 된 메서드는 항상 우선권을 가진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안녕하세요.해당 부분들을 공부하면서 제 자신의 정리가 확실하지 않아서 여쭤보고 싶습니다.오버라이딩 된 Child.method()가 아닌 Parent.method()를 받으려면super와 부모클래스의 업캐스팅을 통하여 해결하면 되다고 이해하면 될지 여쭤봅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모르는 것을 배움에 있어 공부 방법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해당 강의를 모두 수강 후 객체지향 강의 듣기 전 다시 한번 복습을 하고 있는데 while 문 1 + 2 + 310 + 11 + 12이런 기본적인 문제도 이해가 되지 않아 while 문을 작성하는데 너무 많은 시간이 소유 됩니다..ㅠ 지금 상황에서 while문 강의등 기본 자바 강의의 모든 예제를 쉽게 풀 떄 까지 복습 후 다음 객체 지향을 수업을 들어야 할지 , 기본 구조만 이해하고 다음 강의를 들어도 될지 궁금합니다 정말 불안한 것은 내년 1월에 2개의 강의가 나오는데 이와 비슷하게 뒤로 갈 수록 객체지향 및 부족한 것들은 분명히 자꾸 누적일 될 것이고 다시 기본 자바 부터 듣어야 하나..? 언제 진도를 나가지..? 라는 생각이 들거 같습니다 ㅠ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다운캐스팅 질문
안녕하세요 <다형성과 캐스팅>을 듣다 질문이 생겨서 남겼습니다. package poly.basic; public class CastingMain1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부모 변수가 자식 인스턴스 참조(다형적 참조) Parent poly = new Child(); //x001 //단 자식의 기능은 호출할 수 없다 //poly.childMethod(); //다운캐스팅(부모 타입 -> 자식 타입) Child child = (Child)poly; //x001 child.childMethod(); } } <참고로 캐스팅을 한다고 해서 Parent poly의 타입이 변하는 것은 아니다. 해당 참조값을 꺼내고 꺼낸 참조값이 Child 타입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poly의 타입은 Parent로 기존과 같이 유지된다>이 부분을 해당 참조값(x001)을 꺼내고 꺼낸 참조값을 사용해 인스턴스 안에서 실행할 타입을(Parent -> Child) "나는 Child 클래스부터 시작해서 기능을 찾을거야~" 라고 컴파일러에게 알려준다. 따라서 poly의 타입은 Parent로 기존과 같이 유지된다. 이렇게 이해하면 될까요? "꺼낸 참조값이 Child 타입이 되는 것이다." 여기 해석이 조금 어렵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