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이런 상황에선 어떻게 구현 하시는 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항상 감사합니다.JPA 와 디비를 배우면서 적용 하는 과정에서 궁금한게 생겼습니다. @Transactional public Post getPostDetail(Long postId) { Post post = postRepository.findById(postId) .orElseThrow(() -> new CustomException(ErrorCode.POST_NOT_FOUND)); post.incrementViewCount(); // 조회수 증가 return post; }상세글 조회 시 조회수가 +1 되는 간단한 로직을 가정하겠습니다.트래픽이 크다고 가정 할 시 해당 로직 대로 하면 조회 시 마다 DB에 부하가 예상되서 질문 드립니다. 해당 로직대로 해도 DB에 크게 부하를 주지 않는 수준인가요?Redis를 써서 조회수 만 따로 캐시로 저장을 한다면 DB랑 데이터가 정합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만약 조회수가 중요한 서비스라면 db 락을 이용하여 성능 저하를 감안 하고 하시는지..실무에선 어떻게 처리하시는 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일대다 단방향 관련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연관관계의 주인은 일반적으로 외래키가 있는 쪽에 설정하는 것이 좋다고 알고 있습니다. 강의자료에서 "일대다 단방향 관계에서는 1 쪽이 연관관계의 주인이 된다." 라는 것은 "항상" 참인건가요? 아니면 강의의 2:11 처럼 Member 가 Team 을 참조할 일이 없는 특수한 경우에는 "1쪽을 연관관계의 주인으로 둘 수도 있다" 라는 것인가요?만약, Member 엔티티에서 Team 을 참조하는 일대다 양방향인 상황이 생긴다면, "여전히 1쪽을 연관관계의 주인으로 둘 수도 있지만, 장단점을 고려했을때 다쪽을 연관관계의 주인으로 두는 다대일 양방향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 라고 이해하였는데 맞는 말일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soundAnimal메서드 질문드립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강의를 듣다가 궁금한게 생겨서 질문 드립니다. 앞에 수업에서는 부모 클래스는 자식 클래스가 누군지 모른다고 했었고 부모가 자식의 기능을 사용하려면 다운 캐스팅을 해서 사용 가능하다고 하셨는데, 이 코드의 메서드 파라미터 부분 (Animal animal)에서 Dog, Cat, Caw가 어떻게 상속 받은 자식 클래스인 걸 알고 작동하는지 궁금합니다ㅠㅠㅠㅠpackage poly.ex2;public class AnimalPolyMain1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Dog dog = new Dog();Cat cat = new Cat();Caw caw = new Caw();soundAnimal(dog);soundAnimal(cat);soundAnimal(caw);}//동물이 추가 되어도 변하지 않는 코드private static void soundAnimal(Animal animal) {System.out.println("동물 소리 테스트 시작");animal.sound();System.out.println("동물 소리 테스트 종료");}}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오타 제보입니다.
수강하고 있는 좋은 강의의 내용이 명확히 전달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오타 제보 드립니다. 생산자 소비자 문제1.pdf[오타]소비자 스레드는 데이터를 소비자 고,[변경]소비자 스레드는 데이터를 소비하고,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제네릭 코드에서 new 키워드를 사용할 수 없다면 불변 객체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나요?
불변 객체는 내부 필드에 변경이 생길 경우 새로운 객체를 반환해줘야 한다고 배웠습니다.제네릭 타입은 타입 소거 문제 때문에 new 키워드를 사용할 수 없는데... 이 경우 제네릭과 불변 객체는 공존할 수 없는 건가요?아래 코드와 같이 실습을 해봤는데 주석 처리한 부분을 어떻게 해결해야 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ㅠㅠ public class Box<T extends Animal> { private final T value; public Box(T value) { this.value = value; } public T get() { return value; } public Box<T> withName(String name) { //이 부분을 어떻게 처리해야할까요..? } }public class Animal { private final String name; private final int size; public Animal(String name, int size) { this.name = name; this.size = size; } public Animal withName(String name) { return new Animal(name, size); } public class Dog extends Animal { public Dog(String name, int size) { super(name, size); } @Override public Dog withName(String name) { return new Dog(name, getSize()); } }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Controller에서 Repository 참조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안녕하세요. 잘 보고 있습니다.컨트롤러에서 Repository에 바로 의존성이 있는 방식으로 사용하는 예제를 알려주셨는데 간단한 예시를 들어주시느라 사용하신 패턴이신가요? 아니면 어차피 페이징 기능은 레포지토리 단의 간단한 메서드로 충분히 수행되므로 서비스 레이어를 통한 매핑이 불필요해서 그러신건가요??
-
미해결실전! Querydsl
fetchjoin 미적용 쿼리
@PersistenceUnit EntityManagerFactory emf; @Test public void fetchJoinNo() { em.flush(); em.clear(); Member findMember = queryFactory.selectFrom(member).where(member.name.eq("kim")).fetchOne(); boolean loaded = emf.getPersistenceUnitUtil().isLoaded(findMember.getCart()); assertThat(loaded).as("패치조인미적용").isFalse(); } // select // m1_0.member_id, // m1_0.city, // m1_0.street, // m1_0.zipcode, // m1_0.cart_id, // m1_0.member_login_id, // m1_0.member_login_pw, // m1_0.name // from // member m1_0 // where // m1_0.name=? // -> 분명히 fetch join 미적용인데 select 절에 연관 entity 가 같이 조회되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현재 Cart 엔티티는 member 와 @OneToOne 관계이고 @FetchJoin.LAZY 로 설정되어 있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OAuth2
인증 코드를 통해 발급 받은 토큰의 관리
안녕하세요 강사님 OAuth2 로그인을 구현하고 회원 탈퇴를 위해 구글과 카카오의 unlink API를 호출하려는데, 소셜 로그인 과정을 시큐리티가 자동으로 처리해주고 있어서 API 호출에 필요한 토큰이 관리되고 있지 않은 상황입니다. 이럴 때 어떤 방식으로 토큰을 받아야 하는지 궁금합니다.제가 생각해본 방법은 다음 두가지가 있습니다.첫 번째 방법 : 인증 코드를 직접 요청하고, 반환 받은 인증 코드로 토큰 또한 직접 요청두 번째 방법 : 설정해둔 리다이렉트 URI에 대한 처리를 직접 구현 후, 인증 코드를 받고, 해당 인증 코드로 토큰을 직접 요청혹시 이중에 맞는 방법이 있는지, 아니면 시큐리티의 자연스러운 흐름안에서 토큰을 받을 방법이 있을까요?보통 어떤식으로 토큰 값을 받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실전 jOOQ! Type Safe SQL with Java
pojo 에 setter 가 없는 경우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강사님. jooq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현재 update 부분 강의를 들으면서 실습해보고 있는데 Actor 에 setter 메소드들이 없어서 dao 를 통한 update를 하는데 다소 어려움이 생겼습니다. insert 의 경우는 생성자에 데이터를 넣어서 잘 넘어갔는데, update 에서는 setter 가 없으니까, insert 한 값을 Actor 객체로 반환 받아서 그 객체에 있는 setter 를 이용해 update 하는 방식이 불가능하다 보니 "setter 는 어디로 갔는가?" 생각이 들더라구요. 실습중인 jooq 버전은 3.19.5 이고, 아래는 Actor pojo 파일 구조 입니다.
-
해결됨[인프런 X VMware Tanzu] Spring Boot 밋업 with Josh Long
한국어 더빙이 안되는것 같네요~
한국어 더빙이 안되는것 같은데요~ 다른 언어는 다 되는데 한국어를 선택하면 영어로 나오네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이상한게 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Team team = new Team(); team.setTeamNm("Team"); em.persist(team); Members members = new Members(); members.setName("good"); members.setHelloTeam(team); em.persist(members); em.flush(); em.clear(); Members finMembers = em.find(Members.class, members.getId()); List<Members> result = finMembers.getHelloTeam().getMembers(); System.out.println("aaaaaaaaaaaaaaaaaaaa="+result.size());뭔가 이상해요 em.flush(); em.clear(); 을 안쓰면finMembers까지는 null 이 아닌데results 까지는 null입니다. 왜 이런거예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질문의 질 문의
전에 질문 드린바와 같이(아래 링크 참조)https://www.inflearn.com/community/questions/1427027?focusComment=380094private Date deliveryPlanDate; @Column(name = "delivery_plan_date") private Date planDate;개발하는데 있어서 이런거에 너무 집착하는게 아닐까 걱정됩니다.제가 경력이 4년(php만 사용)이어도 자바 백엔드 개발자로 농담삼아서 신분세탁하러 이직한다고 퇴사하고 자바, 스프링 공부 한답시고 직접 개발하면서 부족한 부분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복습하는 식으로 하는데, 저런 네이밍 규칙때문에 너무 발목을 잡고 있는거 같아 자괴감이 듭니다. 너무 쓸데 없는거에 집착하는건지 현실적으로 피드백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db컬럼 명과 class 멤버 명 통일성
class Delivery { private Date deliveryPlanDate; @Column(name = "delivery_plan_date") private Date planDate; } 이럴땐 둘 중 어떤게 더 효율적인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OCP에서 궁금한게 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OCP를 공부하면서 궁금한점이 있습니다.Car 인터페이스를 implements 하는 GoodCar이라는 클래스에 Nav() 라는 네비게이션 기능을 추가하려면 Car 인터페이스에도 Nav()라는 함수를 추가해야 Driver가 사용가능할거 같습니다. 이러면 기존의 Car을 implements하는 클래스들이 매서드 미구현으로 에러가 발생합니다. 그래서 Car 인터페이스를 안바꾸려면 앞서 배운 fly 인터페이스처럼 따로 인터페이스를 만들면 구현은 가능할거 같은데, 이런 경우 OCP를 지킨다고 할 수 있나요? 아니면 다른 방법이 있을까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부모 객체, 자식 객체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이번에 JPA 로드맵을 다시 한번 복습을 하면서부모 객체, 자식 객체에 대한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부모 객체, 자식 객체 관계의 용어는 어떤 상황에서 사용해야 하는 건가요?연관 관계도 아닌 것 같고..상속 관계도 아닌 것 같고..(자바, 스프링 로드맵에서 강사님이 항상 강조하시는 말씀이 있죠.부모는 ~ 품을 수 있지만 자식은 ~ 품을 수 없다.근데 JPA에서는 전혀 다른 상황인 것 같아서요.) cascade와 orphanRemoval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cascade와 orphanRemoval 코드를 내부에 적은 객체 자체가 부모 객체가 되는 건가요? 예를 들면@Entity @Table(name = "orders") @Getter @Setter @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 public class Order { @Id @GeneratedValue @Column(name = "order_id") private Long id; @ManyToOne(fetch = LAZY) @JoinColumn(name = "member_id") private Member member; @JsonIgnore @OneToMany(mappedBy = "order", cascade = CascadeType.ALL, orphanRemoval = true) private List<OrderItem> orderItems = new ArrayList<>(); @JsonIgnore @OneToOne(fetch = LAZY, cascade = CascadeType.ALL, orphanRemoval = true) @JoinColumn(name = "delivery_id") private Delivery delivery; ...위의 코드에서cascade = CascadeType.ALL, orphanRemoval = true기능을 사용해서 생명주기의 책임이 있는Order 엔티티 객체가 부모 객체가 되고OrderItem과 Delivery 엔티티 객체가 자식 객체가 되는건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2편, I/O, 네트워크, 리플렉션
고급1편 안 듣고 고급2편 들어도 되나요?
고급2편 내용 먼저 들으려는데 멀티스레드 동시성 이거 무조건 들어야 고급 2편 들을 수 잇을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Override
[질문 내용]자식 클래스에서 부모 클래스를 상속받아 변수를 새로 재정의 할 때 왜 변수에는 @Override 어노테이션을 사용 할 수 없는 건가요? 생각해보니까 메소드 오버라이딩은 있어도 자식클래스에서 부모클래스의 동일한 변수는 왜 재정의가 안되는 거죠?
-
미해결나도코딩의 자바 기본편 - 풀코스 (20시간)
재생이 안됩니다ㅠㅠ
갑자기 모든 강의가 재생이 안됩니다ㅠㅠ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인텔리제이 SDK 오류
인텔리제이에서 java-mid2 폴더를 열면 파일들이 안보이는데 SDK 오류 같습니다. 어떤 버전의 SDK 써야 오류 안나나요? 지금은 Eclipse Termurin 21.0.4 -aarch64 설정되어 있네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한 엔티티에 같은 JoinColumn name이 있을경우 어떻게 처리하는지 궁금합니다.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user_id") private User createUser;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user_id") private User lastModifyUser;DB 한 테이블에 글 등록 유저 정보와 마지막 수정 유저 정보를 넣도록 설계했는데 아래와 같이 안되면 이럴때는 보통 설계를 어떻게 하나요??Caused by: org.hibernate.MappingException: Column 'user_id' is duplicated in mapping for entity 'study.factory.domain.Order' (use '@Column(insertable=false, updatable=false)' when mapping multiple properties to the same colum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