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만들면서 배우는 리액트: 컴포넌트 설계와 리팩토링
콘솔 에뮬레이터 cmder이 회사 컴퓨터에서 차단 당해요
이 에뮬레이터 사용하지 않고 터미널 이용해도 수업 진행에 지장 없을까요?
-
미해결풀스택을 위한 도커와 최신 서버 기술(리눅스, nginx, AWS, HTTPS, 배포까지) [풀스택 Part3]
[CTRL] + c
- 본 강의 영상 학습 관련 문의에 대해 답변을 드립니다. (어떤 챕터 몇분 몇초를 꼭 기재부탁드립니다)- 이외의 문의등은 평생강의이므로 양해를 부탁드립니다- 현업과 병행하는 관계로 주말/휴가 제외 최대한 3일내로 답변을 드리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CTRL] + c 를 사용하면 foreground 에서 실행되고 있는 프로세스를 종료시켜주신다고 하셨는데 만약에 foreground에서 돌아가고 있는 프로세스가 여러개일 경우 어떤 프로세스가 종료되나요? 가장 직전에 실행한 프로세스가 종료될까요?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동적경로 사용 오류
안녕하세요. Route 부분에 오류가 생겼는데 어떤 부분이 잘못되었는지 모르겠어서 질문 남깁니다.Route 함수에 path 경로를 설정할 때, 동적경로를 설정하고 싶으면 ":"과 함께 파라미터의 값을 적어주는 것으로 압니다. 강사님께서 적은 코드와 제 코드가 다른 점이 없는데, 저는 해당 url에 접근했을 때 url경로에 ':'이 포함되어서 나옵니다. 구글링+gpt를 사용해서 해당 오류를 고치려고 해보았지만 찾을 수 없는 상태입니다. 어떤 부분이 문제일까요? import "./App.css"; import { useReducer, useRef, createContext } from "react"; import { Routes, Route } from "react-router-dom"; import Home from "./Pages/Home"; import New from "./Pages/New"; import Diary from "./Pages/Diary"; import Edit from "./Pages/Edit"; import Notfound from "./Pages/Notfound"; function reducer(state, action) { switch (action.type) { case "CREATE": return [action.data, ...state]; case "UPDATE": return state.map((item) => String(item.id) === String(action.data.id) ? action.data : item ); case "DELETE": return state.filter((item) => String(item.id) !== String(action.data.id)); default: return state; } } const mockData = [ { id: 1, createdData: new Date("2024-06-12").getTime(), emotionId: 1, content: "1번 일기 내용", }, { id: 2, createdData: new Date("2024-06-11").getTime(), emotionId: 2, content: "2번 일기 내용", }, { id: 3, createdData: new Date("2024-05-11").getTime(), emotionId: 3, content: "3번 일기 내용", }, ]; export const DiaryStateContext = createContext(); export const DiaryDispatchContext = createContext(); function App() { const [data, dispatch] = useReducer(reducer, mockData); const idRef = useRef(3); // 새로운 일기 추가 const Create = (createdData, emotionId, content) => { dispatch({ type: "CREATE", data: { id: idRef.current++, createdData, emotionId, content, }, }); }; // 기존 일기 수정 const Update = (id, createdData, emotionId, content) => { dispatch({ type: "UPDATE", data: { id, createdData, emotionId, content, }, }); }; // 기존 일기 삭제 const Delete = (id) => { dispatch({ type: "DELETE", data: { id, }, }); }; return ( <> <DiaryStateContext.Provider value={data}> <DiaryDispatchContext.Provider value={{ Create, Update, Delete }}> <Routes> <Route path="/" element={<Home />} /> <Route path="/new" element={<New />} /> <Route path="/diary/:id" element={<Diary />} /> <Route path="/edit/:id" element={<Edit />} /> <Route path="*" element={<Notfound />} /> </Routes> </DiaryDispatchContext.Provider> </DiaryStateContext.Provider> </> ); } export default App;
-
해결됨Real MySQL 시즌 1 - Part 1
실제 프로젝트에서의 데이터 타입 환경
안녕하세요.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너무 감사합니다.)일단 char와 varchar에 대해서는 저는 이전부터 고민이 많았는데요. 이번 강의를 보면서 기존 인터넷에서 보던 자료와 상충하는 내용이 발생하여 질문을 드리고 싶습니다.(물론 '누구의 자료가 잘못됐다'라는 것이 아니라 초보자인 제 입장에서 정말 궁금해서 질문을 드린다는 말씀을 드리고 싶습니다!)사실 내용을 여럿 찾아봤는데 결과적으로 char를 써야 할 경우 TRIM을 통해 공백을 지워야 하기 때문에 그러한 연산이 더 들어가므로 varchar를 쓰는 것이 귀찮음도 없고 좋다라는 글을 보았던 것 같습니다.(백엔드 개발자의 입장에서도 편리하다고 생각합니다.)하지만 varchar를 쓸 경우 말씀해주신 것처럼 데이터의 길이가 기존보다 클 경우 기존 데이터를 삭제하고 새로 옮겨야 하는 비효율적인 작업이 증가할 뿐더러 데이터 페이지의 파편화가 발생할 수 있다는 생각도 정말 충분히 납득이 가는 설명이었습니다.실제로 웬만해서는 char보다는 varchar를 쓰는 편일까요? 아니면 trim의 연산을 하는 것을 감안하고 char를 쓰는 편일까요?
-
미해결웹디자인개발기능사 [2025년] 실기전체 (카톡질문가능)
웹디자인기능사 실기 감점 요인 질문!
강사님. 완벽히 준비하지 못했지만 월요일에 시험 치르고 왔습니다.ㅎㅎ ㅠㅠ아마 완벽히 준비를 못해서 불안한 마음에 이 글 남기는게 더 크지 싶습니다^^;;;이번으로 자격증 취득이 끝이 나야 할텐데요...ㅠㅠ포토샵 실습을 못해서 학생 때, 잠깐 포토샵 사용한 기술로 사진 크기 줄이는거만 어찌저찌 해서 5mb 이하로 용량 맞춰서 제출했네요.ㅠㅠ(실격 안 당하려고 무진장 애썼다능...) 제가 어떤 시험이든 준비하는 스타일이 합격선 이상으로 준비해서(모든 유형 마스터, 다 완성가능해야함) 시험을 치러야 마음이 편한 인간 부류인데...ㅋㅋㅋ이 시험은 아무리 강의를 본들, 코드 작성을 따라보고 친들, 이거는 제 스스로가 유형별로 만들어보지 않으면 시험합격하긴 어렵더라구요. 그리고 공부법도 시험친후 파악했구요ㅋㅋㅋ ㅠㅠ60점만 넘으면 되긴 하는데... 강사님처럼 완벽하게 하진 못했구요.ㅠ메뉴 마우스 오버 시에 색 바뀌는거랑 메뉴 마우스 올리면 배경이랑 서브메뉴 나오면서 주메뉴하고 서브메뉴 같은 색으로 바뀌게끔 작성하고 나오긴 했는데...ㅠ 감점 있을까요?ㅠㅠ그리고 나머지 배너, 공지사항 갤러리도 허접하게 했지만 그래도 하고는 나왔습니다.ㅠ슬라이드는 그래도 하고 나오긴 했어요. 문제는 이미지 용량을 무지 줄여서 좀^^;; 이것도 감점사유가 되나요?ㅠㅠ암튼...ㅠㅠ 어떤것들이 감점 요인으로 작용할까요?ㅠㅠ 넘 불안해요.이번으로 끝내고 싶은 마음이 간절하다보니 이렇게 글 남깁니다.아무튼 이런 좋은 강의 만들어주셔서 감사하고, 좋은 결과 나오면 다시한번 더 글 남기도록 할게요:)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ps) 참고로 a2 유형이었고, 아! 그리고 팝업도 하고 나왔습니다! 완벽히 준비하지 못해서 느낌이 애매하다 보니...ㅋ 글 작성하면서는 결과가 나쁘지는 않을 것 같은데... ㅜㅜ 그래도 이게 결과라는게 불확실하다보니까...ㅠ 감점이 어떻게 들어가는지 궁금하네요. 그리고 유형별로 슬라이드 내용을 포토샵으로 하면 안되는 유형도 있더라구요.아! 마지막으로 이건 건의사항인데요^^;;; 저희 강의에서 요약정리로 슬라이드 css, javascript 사용해서 보여주셨잖아요~ 메뉴도 유형별로 정리하는것도 나쁘지 않을 것 같습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표본표준편차 vs 모표준편차
안녕하세요 8회 응시생입니다..표본표준편차와 모표준편차의 차이에 대해서 인지하고있으며 numpy의 기본값 -> 모표준편차pandas의 기본값 -> 표본표준편차 (ddof=1) 인걸로 알고있습니다.기출 2회 유형 문제에선 표본표준편차를 기준으로 구하라고하셨는데요시험에서도 그렇게 나온건가요?따로 그런말이없으면80%를 나누기전(전체데이터셋) -> 모표준편차80프로의 표준편차 -> 표본표준편차 로 구하는게 정석인가요? 답변 미리 감사드립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주구매상품, train test 갯수 다름
train에서 주구매상품은 42종류고 test에서 주구매상품은 41종류입니다 이것을 확인하고 종류갯수가 달라서 라벨 인코딩을 해준것인가요? 지금까지는 확인하지 않고 object형 라벨 인코딩 해주었는데 train이 '소형가전' 이 하나 더 있는데 따로 어떤 처리를 해준 건가요?
-
해결됨직장인에게 꼭 필요한 파이썬-아래아한글 자동화 레시피
페이지 단설정 매크로스크립트 미작동
안녕하세요 일코님 페이지의 단을 1단으로 변경하기 위해서,한글에서 매크로 녹화를 하여 스크립트를 아래와 같이 땄습니다. HAction.GetDefault("MultiColumn", HParameterSet.HColDef.HSet); with (HParameterSet.HColDef) { Type = ColDefType("Newspaper"); CreateItemArray("WidthGap", 1); WidthGap.Item(0) = MiliToHwpUnit(115.6); LineType = HwpLineType("None"); HSet.SetItem("ApplyClass", 868); HSet.SetItem("ApplyTo", 2); } HAction.Execute("MultiColumn", HParameterSet.HColDef.HSet); 이 매크로를 사용하기 위해서 hwp.HAction.GetDefault("MultiColumn", hwp.HParameterSet.HColDef.HSet) hwp.HParameterSet.HColDef.Type = hwp.ColDefType("Newspaper") hwp.HParameterSet.HColDef.CreateItemArray("WidthGap", 1) hwp.HParameterSet.HColDef.WidthGap.Item(0) = hwp.MiliToHwpUnit(115.6) hwp.HParameterSet.HColDef.HSet.SetItem("ApplyClass", 868) hwp.HParameterSet.HColDef.HSet.SetItem("ApplyTo", 2) hwp.HAction.Execute("MultiColumn", hwp.HParameterSet.hwp.HColDef.HSet) 이렇게 코드를 작성했는데요. 문제는 두번째 줄인 hwp.HParameterSet.HColDef.Type 이부분과네번째 줄 hwp.HParameterSet.HColDef.WidthGap.Item(0) 입니다. 두번째 줄을 실행했을 때 AttributeError: '<win32com.gen_py.HwpObject 1.0 Type Library.HColDef instance at 0x1617095373456>' object has no attribute 'Type' 이러한 에러메시지가 뜨고 네번째 줄은 hwp.HParameterSet.HColDef.WidthGap.Item(0) = hwp.MiliToHwpUnit(115.6)IndentationError: unexpected indent 이렇게 나오는데요.. 뭐가문제일까요? 늘 친절하고 자세하게 답변해주셔서 정말 감사합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전처리시 컬럼삭제에 따른 성능차이 질문
예를들어 기출6회 작업형2유형 풀이시에 Heat_Load 를 예측하도록 되어있습니다. 예를들어 train 과 test 컬럼에서 nunique 로 값을 확인하고 실제 row수만큼의 빈도수가 발생하는 Cool_Load 값이 있는데요. 이 컬럼은 삭제하는것이 더 효율적인 머신러닝 성능이 나오더라구요. 하여 전처리시 컬럼을 삭제처리하는 기준을 nunique 로 임의로 판단해도 될지 혹시 강사님은 컬럼삭제의 기준을 어떤식으로 잡는지 궁금합니다. 아니면 그대로 진행하는게 더 나을지 판단이 잘 안서서 질문드려 봅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get_dummies 와 스케일링, 라벨인코딩 사용법의 차이
작업형 2유형을 풀이하게되면get_dummies 로 한방에 처리하거나민맥스스케일러, 라벨인코더로 처리하는 경우가 있는데요 둘 중 어느것을 써야 더 효율적일지는 상황에 따라 달라지는건지요? 결과값은 같은건지요 ?둘다 머신러닝이 납득할 수 있는 숫자로 인코더 되는 역할로 여겨지는데요. get_dummies 만 사용해서 풀이해도 괜찮을지, 혹은 민맥스 스케일러나 라벨인코더를 사용하는게 나을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스케일러랑 인코더는 세트로 사용해야 하는지, get_dummies 를 혼용하여 사용하기도 하는지 궁금합니다. 결론적으로 minmaxscaler, labelencoder 는 어떤걸 효율적으로 해주고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지 큰 차이가 없으면 get_dummies 로 사용해도 되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get_dummies 는 숫자형과, 오브젝트형이 포함된 전체 테이블을 넣어서 인코딩 하면 되는지도 궁금합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캐글 T2 - 2 당뇨병
안녕하세요! 캐글 당뇨병 문제에서 Glucose, BloodPressure, SkinThickness, Insulin, BMI에서 이상치가 있는 부분을 처리하셨는데 저는 초보라 시험장에서 describe 만으로 저 데이터에 이상치가 있다는 것을 모를거 같은데 이상치 처리 하지않고 그냥 모델 학습시켜서 제출해도 괜찮을까요? 감점이 클까요? ㅜㅜ
-
해결됨[리뉴얼] 맛집 지도앱 만들기 (React Native & NestJS)
아이콘이 빌드 후 깨졌던 이유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5-3강 16분정도에서 react-native-community/slide을 설치후 pod install을 하고 다시 빌드를 하면 아이콘이 깨졌던 이유가 뭔지 궁금합니다.또한 xcode에서 copy bundle resourcse에서 icon들 추가해주면 아이콘이 다시 나오게 되는 것도 설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당:)
-
미해결
Kotlin : 바텀네비게이션 요소가 안보이는 이슈
<!-- activity_webView.xml --> <?xml version="1.0" encoding="utf-8"?> <layout xmlns:tools="http://schemas.android.com/tools" xmlns:android="http://schemas.android.com/apk/res/android" xmlns:app="http://schemas.android.com/apk/res-auto"> <data> <variable name="user" type="com. ~" /> </data> <androidx.constraintlayout.widget.ConstraintLayout android:id="@+id/container" android:layout_width="match_parent" android:layout_height="match_parent" android:paddingTop="?attr/actionBarSize"> <com.google.android.material.bottomnavigation.BottomNavigationView android:id="@+id/nav_view" android:layout_width="0dp" android:layout_height="wrap_content" android:layout_marginStart="0dp" android:layout_marginEnd="0dp" android:background="?android:attr/windowBackground" app:layout_constraintBottom_toBottomOf="parent" app:layout_constraintLeft_toLeftOf="parent" app:layout_constraintRight_toRightOf="parent" app:menu="@menu/bottom_nav_menu" /> <fragment android:id="@+id/nav_host_fragment_activity_main" android:name="androidx.navigation.fragment.NavHostFragment" android:layout_width="match_parent" android:layout_height="match_parent" app:defaultNavHost="true" app:layout_constraintBottom_toTopOf="@id/nav_view" app:layout_constraintLeft_toLeftOf="parent" app:layout_constraintRight_toRightOf="parent" app:layout_constraintTop_toTopOf="parent" app:navGraph="@navigation/mobile_navigation" /> </androidx.constraintlayout.widget.ConstraintLayout> </layout>로 특정 액티비티 전용 xml파일에 입력을 하였습니다(Android studio에서 선택하면 기본적으로 생성해주는 Bottom navigation 프로젝트의 코드를 따왔습니다). 그런데 기본 프로젝트와는 다르게, 위처럼 직접 코드를 넣어주니까 Bottom navigation 바가 미리보기에 보이지 않습니다. fragment는 잘 보이는데 Bottom navigation만 보이질 않네요.<실제 모습> 이건 분명 @menu/bottom_nav_menu의 문제일것이라 생각하고 문제점을 찾아보려 했으나 보이질 않았습니다. 애초에 너무 자체가 간단한 코드의 복붙이어서 문제가 없어 보입니다.<!-- menu/bottom_nav_menu.xml --> <?xml version="1.0" encoding="utf-8"?> <menu xmlns:android="http://schemas.android.com/apk/res/android"> <item android:id="@+id/navigation_home" android:icon="@drawable/ic_home_black_24dp" android:title="@string/title_home" /> <item android:id="@+id/navigation_dashboard" android:icon="@drawable/ic_dashboard_black_24dp" android:title="@string/title_dashboard" /> <item android:id="@+id/navigation_notifications" android:icon="@drawable/ic_notifications_black_24dp" android:title="@string/title_notifications" /> </menu>혹시 무엇이 문제일지, 이런 경험이 있는 분이 계시다면 조언 부탁드리겠습니다
-
해결됨2시간으로 끝내는 코루틴
스프링 MVC 환경에서의 코루틴
안녕하세요.Spring MVC 환경에서 코루틴을 사용할 때 질문이 있습니다. (WebFlux 사용 X)다음과 같은 코드가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컨트롤러@GetMapping("/test") suspend fun test(): ApiResponse<Void> { testService.run() return ApiResponse.success(statusCode = HttpStatus.OK) }서비스class TestService( private val userRepository: UserRepository, ) { suspend fun run(): Triple<String, String, Int> { // 외부 API 호출 1 val nicknameDeferred = CoroutineScope(Dispatchers.IO).async { callApiForNickname() } // 외부 API 호출 2 val addressDeferred = CoroutineScope(Dispatchers.IO).async { callApiForAddress() } // Do something business logic // DB 호출 val duplicateCount = userRepository.findDuplicateCountById(1L) return Triple(first = nicknameDeferred.await(), second = addressDeferred.await(), third = duplicateCount) } }(callApiFor~() 메소드는 외부 API 호출이라고 가정하며 suspend function입니다)서비스 레이어에서는 2개의 외부 API 호출을 수행하고 DB호출을 한 후 리턴해주는 간단한 구조입니다. 질문초기에는 내부적으로 코루틴을 사용할 지 말지 결정할 수 없는 상황이 있기에 모든 컨트롤러 메소드를 suspend로 선언하는건 어떨까 합니다. (2번 질문의 성능 차이가 크지 않다면요^^) 이 부분에 대해 강사님의 생각과 실무에서는 보통 어떻게 하는지 궁금합니다.위 질문에 이어서, 코루틴이 전혀 사용되지 않는 상황에서 컨트롤러 메소드를 suspend로 선언하면 일반 메소드로 선언하는것과 성능차이가 어느정도 있을까요? (물론 트래픽 등 기타 상황별로 다르겠지만요)서비스 레이어를 보면 CoroutineScope을 통해 각 외부 API호출별로 루트 코루틴을 따로 만들고 있습니다. 각 외부 API들은 단순 조회 요청으로써 구조적 동시성이 필요하지 않다고 생각하기 때문인데요. 실무에서도 위와 같이 여러개의 외부 API호출을 병렬로 수행해야하는 경우 각 호출마다 CoroutineScope을 사용하여 개별로 루트 코루틴을 만들어서 사용하는지 궁금합니다.일반적인 웹 API 서버 개발을 수행할 때 구조적 동시성이 필요한 케이스가 있을까요? 어차피 추후 로직을 통해 반환값에 대한 검증을 수행한다고 생각해서요. 예를 들어 A, B, C를 코루틴으로 호출할 때 A가 실패해서 B, C를 취소하려해도 각 메소드의 레이턴시에 따라 취소될수도, 이미 완료됐을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실무에서 웹 API 비즈니스 로직 구성 시, 개별 루트 코루틴이 아닌 하나의 루트 코루틴으로 묶어서 구조적 동시성을 보장해야만 하는 상황이 있을지, 있다면 무엇일지 궁금합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이 코드는 순서에 따라 결과가 왜 다른가요?
스프링 데이터 JPA 실습하다가 궁금한점이 있어 질문드립니다.아래와 같은 코드를 실행하면 member 값이 null 나오고, Board와 Member 순서를 바꾸면 제대로된 값이 나오는데 왜 그런건가요? 강의를 듣다가 제가 놓친 부분이 있는거 같은데 어디를 놓친걸까요? 영속성 컨텍스트와 관련있는 걸까요? Board { ... // 단방향 관계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member_id") private Member member; ...} 이 상황에서 public String ....() { ... Board board = boardService.findBoard(boardId); Member member = memberService.getMemberByLoginId(memberName); ...} (참고로 둘다 service단에서는 @Transactional이 되어 있습니다. getMemberByLoginId의 경우 memberName과 LoginId를 비교해서 일치하는 member를 주는 메소드입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캐글 T2-1 타이타닉 질문있습니다.
EDA 단계에서 age, cabin에서 결측치가 있다는 것을 알았는데 혹시 이건 따로 처리를 하지 않아도 되는건가요? y = y_train["Survived"]# sex만 원핫인코딩 됨 features = ["Pclass", "Sex", "SibSp", "Parch"]X = pd.get_dummies(X_train[features])test = pd.get_dummies(X_test[features]) -> 이 4개 컬럼을 원핫인코딩 하셨는데 혹시 이 컬럼들을 선택한 기준이 있을까요? object가 아닌 열도 포함되어 있어서요 ! 나머지 cabin이나 embarked 같은 문자 데이터는 인코딩 안해도 되나요?
-
미해결CAN 통신 - 자동차 신입이 알아야 할 모든 것
무선통신
혹시 제가 무선통신 전공인데, can통신과 무선통신에서의 경험을 접목할 것이 있을까요?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nestjs 자료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고 하는데, 찾아봐도 도저히 못찾겠네요 어디서 찾을 수 있나요?
nestjs 자료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고 하는데, 찾아봐도 도저히 못찾겠네요 어디서 찾을 수 있나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작업형 2 제출형식
제출된 csv 파일로 평가한다고 나와있는데 체험환경에서 제출을 누르면 코드가 제출되는 것 같은데 그 코드안에 csv 파일이 생성되는 코드가 있으면 거기서 생성된 csv 파일로 채점되는 것인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Enum 질문
안녕하세요.Enum 메서드에서 toString()이 오버라이딩 되어서 BASIC, GOLD, DIAMOND가 변수명 그대로 찍혀 나온다고 말씀하셨는데 enum Grade에서 toString()을 재정의 하려고 하면 재정의 못하는 걸로 컴파일 에러가 나더라고요. 재정의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