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갑자기 @Test 시 junit 이 import 가 안돼요
plugins {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3.5.3'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1.7' } group = 'hello' version = '0.0.1-SNAPSHOT' java { toolchain { languageVersion = JavaLanguageVersion.of(21) } }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testRuntimeOnly 'org.junit.platform:junit-platform-launcher' } tasks.named('test') { useJUnitPlatform() }지금 Gradle.build 코드이고 이전까지 test 폴더 하위에서 test 시에는 import 가 잘 됐는데27강의 ApplicationContestInfoTest.java클래스에서는 안되네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콘솔창에 빈 등록 상태 로그가 안떠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강의 25강 6분 41초에 나타나는 AppConfig 클래스에서 등록한 빈이 콘솔 창에 나오던데제가 따로 실습하는 인텔리제이에서는 나오지 않습니다.혹시 인텔리제이 설정을 따로 바꿔야 하나요?참고로 저는 인텔리제이 커뮤니티 버전을 쓰고 있습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영상 편집에 오류가 있는것 같습니다.
3:10 MemberRegisterResponse 생성3:23 MemberRegisterResponse 생성같은 과정이 반복되는데 편집이 잘 못 된것 같습니다.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스프링부트 프로젝트를 windows로 빌드하고 실행한 이후..
[질문 내용]그 이후부터는 intellij에서 localhost:8080으로 접속이 안됩니다. 설정에서 이렇게 변경을 해도 프록시서버 설정을 바꿔야하는건지 알수가 없네요. 프로젝트 다시 만드는 방법보다 설정바꿔서 실행해보고 싶은데 어느 쪽을 변경해야하나요?
-
해결됨6주 완성! 백엔드 이력서 차별화 전략 4가지 - 똑같은 이력서 속에서 돋보이는 법
eventPublisher.publishEvent 시 @Transactional을 걸어야 하지 않나요?
딩코님! 강의 너무 잘 듣고 있습니다~! 강의를 따라가며 디비와 트랜잭션 그리고 락에 관해 심화 내용도 듣고 포폴도 하나하나 잘 채워가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딩코님이 내주신 과제 중에 의문이 있어 질문을 드리게 되었습니다. 1. 현재 학습 진도4주차 수강 후 락과 트랜잭션 최적화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여러가지 작업(일기 작성, 포인트 적립, AI 댓글 작성 예약, 알림 이벤트 발생)에 대해 facade 계층을 만들어 중요한 작업(일기 작성, 포인트 적립)에 대해서는 트랜잭션을 묶어 우선적으로 처리되게 하고 AI 댓글은 TaskScheduler로 특정 시간 후에 비동기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며 알림은 spring event로 after commit 후 처리하려 합니다. 2. 어려움을 겪는 부분현재 이벤트 발행 (트랜잭션 커밋 후 실행됨, after-commit)에 대해 의문이 있습니다.현재 딩코님이 올려주신 코드에는@Component @RequiredArgsConstructor @Slf4j public class ImprovedEventJoinWithExternalApiUpdateFacade { private static final String TEST_PHONE_NUMBER = "01012341234"; private final EventExternalUpdateService eventJoinService; private final ExternalEventApi externalEventApi; private final ApplicationEventPublisher eventPublisher; public void joinEvent(Long eventId, Long memberId) { // 1. 기존 서비스로 이벤트 참가 처리 EventWithLockParticipant participant = eventJoinService.joinEventWithTransaction(eventId, memberId); // 2. 외부 API 호출 ExternalEventResponse response = externalEventApi.registerParticipant( eventId, memberId, participant.getEvent().getName() ); if (!response.isSuccess()) { throw new RuntimeException("외부 API 호출 실패: " + response.getErrorMessage()); } // 3. 외부 API 응답으로 참가자 정보 업데이트 eventJoinService.updateExternalId(participant, response.getExternalId()); // 4. 이벤트 발행 (트랜잭션 커밋 후 실행됨) eventPublisher.publishEvent(new EventJoinCompletedEvent( eventId, participant.getEvent().getName(), TEST_PHONE_NUMBER )); } }이렇게 코드 내에 @Transactional이 걸려있지 않습니다. 그런데 이벤트 리스너에는@Component @RequiredArgsConstructor @Slf4j public class EventJoinEventListener { private final KakaoTalkMessageApi kakaoTalkMessageApi; @Async @TransactionalEventListener(phase = TransactionPhase.AFTER_COMMIT) public void handleEventJoinCompleted(EventJoinCompletedEvent event) { try { kakaoTalkMessageApi.sendEventJoinMessage( event.getPhoneNumber(), event.getEventName() ); } catch (Exception e) { log.error("알림 발송 실패. eventId={}, eventName={}", event.getEventId(), event.getEventName(), e); } } } 이렇게 transaction이 커밋된 후에 실행되도록 AFTER_COMMIT이 걸려있는데, 이렇게 되면 이벤트 리스너가 제대로 실행이 안되지 않나요? 제대로 이벤트 리스너가 실행이 되려면 joinEvent부터 @Transactional이 걸려있어야 하지 않나요?3. 시도해보신 내용따로 간단하게 코드를 작성하여 테스트해보았습니다. @RequiredArgsConstructor @Component public class StudyFacade { private final StudyService studyService; private final ApplicationEventPublisher eventPublisher; // @Transactional : 주석 처리하면 밑에 eventEvent가 실행되지 않음 public void execute() { studyService.saveStudy(); eventPublisher.publishEvent("event published"); } @Async @TransactionalEventListener(phase = TransactionPhase.AFTER_COMMIT) public void executeEvent(String event) { System.out.println("event = " + event); } } @RequiredArgsConstructor @Service public class StudyService { private final StudyRepository studyRepository; @Transactional public void saveStudy() { studyRepository.save(new Study("test")); } } 실제로 execute 메서드의 @Transactional을 주석처리하면 밑의 이벤트 리스너인 executeEvent가 실행이 되지 않더라구요. 이러면 ImprovedEventJoinWithExternalApiUpdateFacade의 joinEvent부터 트랜잭션을 걸어야 하니까 딩코님이 말씀하신 트랜잭션을 최대한 작게 나누는 트랜잭션 최적화가 어렵지 않나요? 항상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Kevin의 알기 쉬운 Spring Reactive Web Applications: Reactor 2부
window 예제 1번 request(n) * maxSize 부분을 잘 모르겠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그림 속 예시에서 request(2) * maxSize(3) = upStream request(6) 으로 표현되어 있는 예시 코드에서는 이것이 잘 활용되는 모습이 안보여서 어디에 사용되는건지, 어떻게 사용되는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MemberInfoUpdateRequest, MemberRegisterRequest의 패키지 위치
학습중에 MemberInfoUpdateRequest, MemberRegisterRequest와 같은 객체들은 어댑터에서도 사용하고, 애플리케이션에서도 사용하고, 도메인 내부로직에도 사용하는데 도메인 패키지 내에 위치하는게 맞는지 의문이 들어서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테스트 코드 실행 시 콘솔창에 나타나는 경고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Section4 에 19강 관심사의 분리 강의를 듣다가 테스트를 해보니 콘솔창에 이런 경고문이 나타나요혹시 그 이유와 해결 방법 알려주실 수 있나요?Mockito is currently self-attaching to enable the inline-mock-maker. This will no longer work in future releases of the JDK. Please add Mockito as an agent to your build as described in Mockito's documentation: https://javadoc.io/doc/org.mockito/mockito-core/latest/org.mockito/org/mockito/Mockito.html#0.3WARNING: A Java agent has been loaded dynamically (/Users/parkboseung/.gradle/caches/modules-2/files-2.1/net.bytebuddy/byte-buddy-agent/1.17.6/17b32fd9f57deef02842f7f05abc4ad8127fe34e/byte-buddy-agent-1.17.6.jar)WARNING: If a serviceability tool is in use, please run with -XX:+EnableDynamicAgentLoading to hide this warningWARNING: If a serviceability tool is not in use, please run with -Djdk.instrument.traceUsage for more informationWARNING: Dynamic loading of agents will be disallowed by default in a future releaseJava HotSpot(TM) 64-Bit Server VM warning: Sharing is only supported for boot loader classes because bootstrap classpath has been appended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고급편
@Aspect 어노테이션으로 생성된 Advisor의 Bean 저장 여부
AI가 만든 질문들을 풀던 도중 아래와 같은 문제가 나왔습니다.AI가 만든 질문 : 스프링의 자동 프록시 생성기는 @Aspect 어노테이션이 붙은 빈에 대해 어떤 역할을 수행할까요?참고로 정답은 : 빈을 어드바이저로 변환 이었습니다.@Bean fun advisor3(trace: LogTrace) : Advisor { // pointcut val pointcut = AspectJExpressionPointcut() // noLog라는 메서드에는 advice를 적용하지 않는다. pointcut.expression = ("execution(* com.example.demo.advanced.app..*(..)) && !execution(* com.example.demo.advanced.app..noLog(..))") // advice val advice = LogTraceAdvice(trace) return DefaultPointcutAdvisor(pointcut, advice) }강의중에 나온것 처럼 의도적으로 Advisor를 Bean에 등록하면 스프링 컨테이너에 Adivisor가 bean으로 등록되는건 알겠습니다.@Aspect class LogTraceAspect( private val trace: LogTrace ) { @Around(" execution(..something 이부분은 생략합니다 )") fun execute(joinPoint: ProceedingJoinPoint): Any? { .. } } 그런데 위 코드처럼@Aspect 어노테이션을 사용해도 advisor가 스프링 컨테이너에 bean으로 저장되는건가요?어드바이저 빌더 내부에 저장만 되는건지 혹은 bean으로 저장도 되는건지 궁금합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MemberRegister가 Member 엔티티의 C/U/D 작업을 모두 담당하나요?
안녕하세요, 토비님. 현재 MemberRegister 인터페이스는 register 뿐만 아니라 활성화/비활성화, 정보 업데이트 등의 오퍼레이션을 제공하고 있는데요,해당 인터페이스에 작성된 주석은 회원의 등록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한다여서 'register를 제외한 오퍼레이션은 다른 인터페이스에 위치해야 하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듭니다.혹은 회원 등록 외 오퍼레이션이 해당 인터페이스에 존재하는게 의도하신 바지만, 주석 내용이 수정되지 않은 걸까요? 궁금한 점을 요약해서 정리하자면, xxxFinder는 조회와 관련된 오퍼레이션을, xxxRegister는 생성/수정/삭제와 관련된 오퍼레이션을 가지는 걸까요? 완강 후 회사에서 강의로 알려주신 것들을 이것저것 적용해보며 재밌게 일하고 있습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앤터티 필드 선언시 Integer 사용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Item 클래스에서 price와 quantity의 데이터 타입을 int가 아닌 Integer로 선언하셨는데 Integer로 선언하신 이유가 궁금해요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완전 정복 [6.x 개정판]
68. 인증 이벤트 - AuthenticationEventPublisher 활용 강좌 음성 문제
68. 인증 이벤트 - AuthenticationEventPublisher 활용 강좌 중간중간에 음성이 나오지 않아 글 작성 합니다.
-
해결됨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같은 계층에서의 의존성 관리 질문
안녕하세요 Toby!먼저 좋은 강의 올려주셔서 감사 말씀 드립니다.열심히 강의를 듣던 와중에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회원 애플리케이션 기능 추가 강의에서 보면,MemberModifyService 클래스에서 MemberFinder 빈을 주입받아 사용하도록 구현해주셨습니다. 관련해서 같은 application 계층에서 서로 DI 받는 구조로 구성하게 될 경우, 발생하는 순환 참조와 같은 문제점들에 대해서는 어떻게 관리하는게 좋을까요? 그리고 그런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도록 예방하기 위해서는 어떤 방법이 있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welcome-page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보통 tomcat을 사용하면 web.xml에 welcome-page 관련한 설정을 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 스프링부트 내장 톰캣 또한 자동으로 welcome-page가 /webapp/index.html으로 설정이 되어 있어서 index.html이 렌더링 되는지 아니면 다른 곳에 welcome-page가 설정되어 있는지 궁금하여 문의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application.properties 수정을 해줘도 에러가 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에러메시지와 AutoAppConfig, AppConfig를 보여드릴게요 ***************************APPLICATION FAILED TO START***************************Description:Parameter 0 of constructor in hello.core.member.MemberServiceImpl required a single bean, but 2 were found: - memoryMemberRepository: defined by method 'memberRepository' in class path resource [hello/core/AutoAppConfig.class] - memberRepository: defined by method 'memberRepository' in class path resource [hello/core/AppConfig.class]This may be due to missing parameter name informationAction:Consider marking one of the beans as @Primary, updating the consumer to accept multiple beans, or using @Qualifier to identify the bean that should be consumedEnsure that your compiler is configured to use the '-parameters' flag.You may need to update both your build tool settings as well as your IDE.(See https://github.com/spring-projects/spring-framework/wiki/Upgrading-to-Spring-Framework-6.x#parameter-name-retention) package hello.core; import hello.core.member.MemberRepository; import hello.core.member.MemoryMemberRepository;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 @Configuration//설정정보니까 @ComponentScan//스프링빈을 쫙 긁어 가지고 자동으로 스프링 빈으로 끌어올려야 된다. ( basePackages = "hello.core.member",//이 위치에서부터 찾아서 들어가는 것 이렇게 해갖고 멤버부터 컴포넌트 스캔 대상이 된다 basePackageClasses = AutoAppConfig.class,//지정한 클래스의 패키지를 탐색 시작 위치로 지정한다. 지정 안하면 디폴트 excludeFilters = @ComponentScan.Filter(type = FilterType.ANNOTATION, classes = Configuration.class) )//컴포넌트 스캔을 사용하면 @Configuration 이 붙은 설정 정보도 자동으로 등록되기 때문에, AppConfig, TestConfig 등 앞서 만들어두었던 설정 정보도 함께 등록되고, 실행되어 버린다. 그래서 excludeFilters를 이용해서 설정정보는 컴포넌트 스캔 대상에서 제외했다. public class AutoAppConfig {//테스트 결과 memberService2, memoryMemberRepository 이두가지만 입력 됨 @Bean(name= "memoryMemberRepository") //@Primary //한 빈을 기본적으로 사용하고 싶다면 그 빈에 @Primary 어노테이션을 추가하세요. public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return new MemoryMemberRepository(); } }// 설정 정보 클래스의 위치를 프로젝트 최상단에 두는 것, 프로젝트 시작루트에 두는게 좋음, componentScane->스프링 빈 자동 등록 SpringBootApplication ctrl+클릭해보면 알수 있다. //컴포넌트 스캔 기본 대상 컨트롤러, 서비스, 리포지터리, 컨피규레이션 다 스프링 빈 등록 어노테이션 상속이나, 연동되는 기능없다.package hello.core; import hello.core.discount.DiscountPolicy; import hello.core.discount.RateDiscountPolicy; import hello.core.member.MemberRepository; import hello.core.member.MemberService; import hello.core.member.MemberServiceImpl; import hello.core.member.MemoryMemberRepository; import hello.core.order.OrderService; import hello.core.order.OrderServiceImpl;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Bea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Configuration;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Primary; @Configuration //안붙여도 스프링 컨테이너에 스프링 빈로 다 등록됩니다 애를 빼고 테스트시 순수한 앱구성이 출력됨 근데 이렇게 되면 다른 싱글톤이 깨짐 출력이 5개 전체 출력됨 public class AppConfig { //@Bean memberService -> new MemoryMemberRepository() //@Bean orderService -> new MemoryMemberRepository() 이렇게 하면 싱글톤이 깨지지 않을까요?? //이 골뱅이 빈이면 컨텐츠 앱이 들어와요 //call AppConfig.memberService //call AppConfig.memberRepository //call AppConfig.memberRepository //call AppConfig.orderService //call AppConfig.memberRepository //실제 테스트 돌려보니 //call AppConfig.memberService //call AppConfig.memberRepository -> 이게 세번호출되어야 하는데 한번만 호출 된 신기한 상황 스프링이 정말 어떠한 방법을 써서라도 싱글톤을 보장해 주는구나 라는 걸 아실 수 있음 //call AppConfig.orderService //appconfig에 비밀이 있다. //이 골뱅이 빈이 붙은 메서드마다 이미 스프링빈이 존재하면 존재하는 빈을 //반환하고 스프링빈이 없으면 새로 생성해서 스프링빈으로 등록해서 반환하는 코드가 동적으로 //만들어지는 거예요 이덕분에 싱글톤이 보장되는거에요 없으면 스프링빈등록, 있으면 기존에 꺼내서 반환 그렇기 때문에 세번 호출되는게 아니라 한번만 호출 이미 등록이 되있어서 // @Autowired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이렇게하면 Configuration 없애도 해결이됨 의존관계 주입 그러면 스프링에서 다시 끌어온 거를 집어넣어 주는 거거든요 @Bean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 멤버서비스가 빈의 이름 System.out.println("call AppConfig.memberService");//soutm return new Memb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ctrl+alt+m 리턴해서 new해서 반환하는 요 객체를 빈 객체로 등록해준다. 요거를 스프링 빈이라고 한다. }// 빈 이름은 항상 다른 이름을 부여 @Bean public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System.out.println("call AppConfig.memberRepository"); return new MemoryMemberRepository(); } @Bean public OrderService orderService() { System.out.println("call AppConfig.orderService"); return new OrderServiceImpl(memberRepository(),discountPolicy());//이렇게 주입된걸 넣어주면 테스트 통과됨, 주소값도 같음 } @Bean public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return new FixDiscountPolicy();// 할인 정책에대한 객체를 바꾼다. return new RateDiscountPolicy(); } }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applcation.properties 수정해도 에러가 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Parameter 0 of constructor in hello.core.member.MemberServiceImpl required a single bean, but 2 were found: - memoryMemberRepository: defined by method 'memberRepository' in class path resource [hello/core/AutoAppConfig.class] - memberRepository: defined by method 'memberRepository' in class path resource [hello/core/AppConfig.class]This may be due to missing parameter name information이런 에러메시지가 뜨고.. AutoAppConfig 클래스 @Bean(name= "memory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return new MemoryMemberRepository(); } 그리고 AppConfig 클래스 @Bean public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System.out.println("call AppConfig.memberRepository"); return new MemoryMemberRepository(); }이렇게 두 메서드 이름이 같아서 생기는 거 같은데 원래 여기 까지 들을때 다른 이름으로 수정 되어있어야 하나요?
-
미해결스프링부트 시큐리티 & JWT 강의
JWT를 구현한 다음 이 API를 호출해서 사용하는 것은 프론트엔드 쪽에서 하는 역할인가요?
안녕하세요. 현재 강의를 통해 JWT를 구현하여 전체적인 개념을 익힌 백엔드 개발 취준생입니다. 배운것을 저의 웹 프로젝트에 적용하려고 했지만 이 api를 호출해서 하는 것은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해서 하는 것이 있길래 백엔드 개발자라면 어디까지 구현해야할지가 참 어려운 것 같습니다. RestController로 API 개발까지는 수업을 통해 구현할 수 있지만 나머지를 웹에 적용하는 것은 어려운 것 같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프로젝트 오픈 에러
제공된 소스 폴더 itemservice-db-start 를 itemservice-db로 변경 후 openProject 하였더니 다음과 같은 빌드 에러가 납니다..질문 답변 봐도 별 내용 없는거로 보아 저만 이런거같은데 어떻게 해결하나요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콘솔창 한글 깨짐 해결법
[상황]분명 다른 강의들에선 한글 잘 나왔는데 왜 갑자기 한글이 깨질까? 달라진 점을 생각해보니 gradle로 설정을 바꾼 후로 깨진 것 같았음실제로 IntelliJ IDEA로 바꾸니까 한글 출력 잘됨.[이유]IntelliJ는 실행할 때 JVM 인코딩을 UTF-8로 설정해주지만, Gradle은 인코딩을 시스템 기본값에 맡기기 때문이라고 함 -gpt-[해결 방법]제어판 - 국가 또는 지역 - 관리자 옵션 - 시스템 로캘 변경 - Beta 체크박스 체크 후 재부팅다들 이것부터 해보시길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main 패키지와 test 패키지의 컴포넌트 스캔 범위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 @Test void findAllBean() { 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AutoAppConfig.class); // 생략... } @Component static class DiscountService { // 생략 }DiscountService.class를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의 인자로 대입하는 대신에, 클래스에 @Componant를 붙였는데 정상적으로 테스트가 통과됐어요.제가 알기로는 AutoAppConfig는 main 패키지에 속하며, DiscountService는 test 패키지에 속하니깐 DiscountService는 컴포넌트 스캔의 대상이 아니지 않나요? 그런데 어째서 정상적으로 의존관계 주입이 된 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