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실전 jOOQ! Type Safe SQL with Java
R2DBC 환경에서 jOOQ generate 된 Dao를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jOOQ generate을 통해서 생성된 Dao를 기반으로 R2DBC 환경에서 테스트를 진행할 때 findAll(), findById() 등 뒤에 fetch()가 붙어서 Blocking 방식으로 DB에 접근하게 되어 있었습니다.fetch() 코드를 들어가서 확인하였을 때 아래와 같았습니다. @Blocking <E> @NotNull List<E> fetch(RecordMapper<? super R, E> var1) throws DataAccessException; 그래서, jOOQ 공식 사이트에서 찾아보았을 때 아래와 같이 reactor fecth()가 가능하다는 것은 확인하였습니다.https://www.jooq.org/doc/latest/manual/sql-execution/fetching/reactive-fetching/ Dao을 적용해서 Reactor 방식으로 진행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요??또한, Reactor Fetch 방식으로 실행하였을 때 디버깅 로그가 찍히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데 이것에 대해서도 해결 방법이 있을까요???Configuration이 적용되지 않는 것 같아서 아래와 같이 설정도 해보았지만 적용되지는 않았습니다. import io.r2dbc.spi.ConnectionFactory; ... @Configuration public class JooqConfig { public final ConnectionFactory connectionFactory; public JooqConfig(ConnectionFactory connectionFactory) { this.connectionFactory = connectionFactory; } ... @Bean public DSLContext jooQDSLContext() { DSLContext dsl = DSL.using(connectionFactory).dsl(); dsl.configuration().set(PerformanceListener::new); dsl.settings().withRenderSchema(false); return dsl; }
-
미해결프로젝트로 배우는 Python 챗봇 & RAG - LangChain, Gradio 활용
RateLimitError
학습 관련 질문이 있으시면, 상세하게 남겨주세요.문제가 발생한 부분의 코드를 함께 올려주세요.수업 영상 몇 분/초 구간인지 알려주세요. 섹션1-3번째 강의 16분쯤에서 llm.invoke(prompt_text) 이 코드 작성부터 RateLimitError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Cell In[17], line 1 ----> 1 llm.invoke(prompt_text) File c:\Users\lhm22\AppData\Local\pypoetry\Cache\virtualenvs\qa-bot-nop3jHt_-py3.9\lib\site-packages\langchain_core\language_models\chat_models.py:170, in BaseChatModel.invoke(self, input, config, stop, kwargs) 159 def invoke( 160 self, 161 input: LanguageModelInput, (...) 165 kwargs: Any, 166 ) -> BaseMessage: 167 config = ensure_config(config) 168 return cast( 169 ChatGeneration, --> 170 self.generate_prompt( 171 [self._convert_input(input)], 172 stop=stop, 173 callbacks=config.get("callbacks"), 174 tags=config.get("tags"), 175 metadata=config.get("metadata"), 176 run_name=config.get("run_name"), 177 run_id=config.pop("run_id", None), 178 **kwargs, 179 ).generations[0][0],... (...) 1027 stream_cls=stream_cls, 1028 ) RateLimitError: Error code: 429 - {'error': {'message': 'You exceeded your current quota, please check your plan and billing details. For more information on this error, read the docs: https://platform.openai.com/docs/guides/error-codes/api-errors.', 'type': 'insufficient_quota', 'param': None, 'code': 'insufficient_quota'}}Output is truncated. View as a scrollable element or open in a text editor. Adjust cell output settings... 이런 에러가 발생하네요.. 혹시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3-D INF로 fire_check를 초기화해야 하는 이유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안녕하세요 큰돌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큰돌님이 fire_check배열을 INF로 초기화해줘야 하는 이유가 불이 아것도 없을 때 때문이라고 하셨는데 그불이 없는 위치는 지훈이가 갈 수 있는거 아닌가요?왜 INF로 초기화를 해줘야 하는 지 잘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ㅠㅠㅜ 전체적인 예시를 통해서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완전 정복 [6.x 개정판]
invalidateHttpSession, clearAuthentication 메서드에 관하여
안녕하세요 강의 잘 수강하고 있습니다. 질문이 있어 글 남기게 되었습니다. SecurityContext 는 기본적으로 SecurityContextHolder에 의해 관리되며, 기본적으로 ThreadLocal 변수에 저장된다고 알고 있습니다. TreadLocal 은 스레드별로 독립적으로 생성되는 변수라고 알고 있는데, 그러면 invalidateHttpSession 메서드는 서버의 세션을 무효화하는 기능이고, clearAuthentication 메서드는 현재 스레드의 SecurityContext 에서 Authenitcation 을 삭제하는거라고 이해하면 될까요?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OAuth2
컨트롤러에서 Authentication이 null 일 때
"/home" 으로 리다이렉트 할 떄 Authentication 이 null로 가져와지는 문제가 있습니다.왜 그럴까?OAuth2AuthenticationToken 은 Principal의 하위 클래스입니다. 이는 ServletRequestMethodArgumentResolver 에서 잡아서 resolve 해줍니다.그런데 여기서 resolve 하는 과정에서 SecurityContext로부터 Authentication 을 꺼내는데 익명사용자일 경우 null 로 반환하게 됩니다. 인증되지 않았다는 것이죠.아까 우리는 인증을 했지만 이 결과가 장기적인 저장을 담당하는 SecurityContextRepository에 저장이 제대로 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CustomOAuth2LoginAuthenticationFilter 의 부모인 AbstractAuthenticationProcessingFilter 가 사용하는 securityContextRepository가 RequestAttributeSecurityContextRepository 또는 NullSecurityContextRepository(예전버전 기준) 로 되어 있습니다.이렇게 되어 있으면 다시 "/home" 으로 리다이렉트되어 요청될 때 SecurityContextHolderFilter에서 인증 결과를 못 불러오는 문제가 생깁니다.실습의 편의상 세션에 저장하는게 좋은데, filter.setSecurityContextRepository(HttpSessionSecurityContextRepository()) 코드를 추가하셔서 설정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다시 요청이 들어왔을 때 SecurityContextHolderFilter를 거치면서 세션의 Authentication 을 꺼내서 SecurityContext에 담아주기 때문에 성공적으로 인증된 OAuth2AuthenticationToken 을 바인딩 받으실 수 있을겁니다.
-
미해결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Docker 입문/실전
디렉토리를 만들고 -v 옵션 사용 시
kimhj@MacBook-Pro-2 ~/desktop/bootProjectEx/dockerStudy/docker-mariadbEx (algorithmMac) $ ls kimhj@MacBook-Pro-2 ~/desktop/bootProjectEx/dockerStudy/docker-mariadbEx (algorithmMac) $ mkdir mariadbEx_data kimhj@MacBook-Pro-2 ~/desktop/bootProjectEx/dockerStudy/docker-mariadbEx (algorithmMac) $ ls mariadbEx_data kimhj@MacBook-Pro-2 ~/desktop/bootProjectEx/dockerStudy/docker-mariadbEx (algorithmMac) $ cd mariadbEx_data kimhj@MacBook-Pro-2 ~/desktop/bootProjectEx/dockerStudy/docker-mariadbEx/mariadbEx_data (algorithmMac) $ vi empty.txt kimhj@MacBook-Pro-2 ~/desktop/bootProjectEx/dockerStudy/docker-mariadbEx/mariadbEx_data (algorithmMac) $ ls empty.txt $ docker run -v /Users/kimhj/desktop/bootProjectEx/dockerStudy/docker-mariadbEx/mariadbEx_data:/var/lib/mysql -e MARIADB_ROOT_PASSWORD=1234 -d -p 3307:3306 mariadb 68669f8d37eb3f6dcff172cca30174958796351621cda19cd0eeff502094f8a2 kimhj@MacBook-Pro-2 ~/desktop/bootProjectEx/dockerStudy/docker-mariadbEx/mariadbEx_data (algorithmMac) $ docker ps CONTAINER ID IMAGE COMMAND CREATED STATUS PORTS NAMES 68669f8d37eb mariadb "docker-entrypoint.s…" 5 seconds ago Up 5 seconds 0.0.0.0:3307->3306/tcp great_hawking 위 코드 처럼 디렉토리를 미리 생성하여 그 디렉토리에 empty.txt를 작성한 후-v 옵션을 통해 실행시키니 강의의 흐름과 달리디렉토리에 mariadb 관련 파일과 empty.txt 가 모두 존재하여 문의 드렸습니다(개인 프로젝트 중 추가적인 공부 목적으로 이 강의를 듣고 있어서 mysql 대신 mariadb를 사용하였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섹션 4. Lotto 문제 오름차순 정렬
안녕하세요. 섹션 4의 문제와 풀이2의 로또 번호 자동 생성기 관련 질문 드립니다.답안은 이해했고, 추가로 로또 번호를 오름차순으로 정렬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런데 오류가 뜨면서 해결이 되지 않아 질문 드립니다.(1) LottoGenerator 클래스 생성자의 반환값에 넣었을 경우 안되는 이유// 로또 번호 생성자 public int[] generate() { lottoNumbers = new int[6]; count = 0; while (count < 6) { // 1. 1부터 45 사이의 숫자 생성 int number = random.nextInt(45) + 1; // 2. 중복되지 않은 경우에만 배열에 추가 -> 3. 메서드 추가 if (isUnique(number)) { lottoNumbers[count] = number; count++; // while문은 변수 증가 시켜줘야 한다 } } // 4. 로또 번호 반환 return Arrays.sort(lottoNumbers); }(2) LottoGeneratarMain 클래스의 배열에서 정렬할 경우 안되는 이유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LottoGenerator generatorObj = new LottoGenerator(); int[] lottoNumbers = Arrays.sort(generatorObj.generate()); 그렇다면 오름차순으로 정렬하기 위해서 어떻게 해야 하나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수치형을 스캐일링 할 수 있는 방법 중 선택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질문과 관련된 영상 위치를 알려주면 더 빠르게 답변할 수 있어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민맥스, 스탠다드, 로버스트를 어떨 때 사용하면 좋을지 알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로버스트는 이상치 존재 시 정교해질 수 있는 장점 정도만 알고 있는데 쉽게 구분하는 방법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
[코드] timer.h / 질문아니에요
#include <iostream> #include <vector> #include <algorithm> #include <random> #include <chrono> using namespace std; class Timer { using clock_t = chrono::high_resolution_clock; using second_t = chrono::duration<double,ratio<1>>; chrono::time_point<clock_t> start_time = clock_t::now(); public: void elapsed() const { chrono::time_point<clock_t> end_time = clock_t::now(); cout << chrono::duration_cast<second_t>(end_time - start_time).count() << endl; } };질문 아니에요. 복붙 위한 글 작성입니다.다른분들이 이렇게 올려주신 경우 편해서 저도 남깁니다.
-
미해결[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1: C++ 프로그래밍 입문
virtual 과 에러에 대한 질문이 있습니다.
exercise_A 문제풀이를 하면서 knight 를 delete 했음에도 불구하고 player타입으로는 해당 메모리를 접근할 수 있다는것에 충격먹어 virtual에 대해 궁금한게 생겨 이것저것 시도해보고 있습니다. #include <iostream> using namespace std; class AA { public: int _Aa = 10; public: void Info() { cout << "AA의 _Aa : " << _Aa << endl; } void Set() { cout<< "test" << endl; } }; class BB : public AA { public: int _Ba = 44; public: virtual void Info() { cout << "BB의 _Aa : " << _Aa << endl; } }; int main() { AA* A1 = new BB(); AA* A2 = A1; delete A1; // BB클래스의 void Info() 에 virtual을 붙이면 왜 중단점 에러가 발생? A1 = nullptr; A2->Info(); } delete A1; 부분에서 "중단점 명령(__debugbreak() 문 또는 유사한 호출)이 ConsoleApplication38.exe에서 실행되었습니다." 라는 에러가 뜹니다. BB 클래스의 void Info() 함수에 virtual 을 붙인 이후로 이러한 에러가 뜨는데, 저 위치에 vitrual을 붙인 것이 왜 이러한 에러를 유발하는지 궁금합니다. 만약 virtual을 AA 클래스의 Info() 함수에 붙인다면, 'A2->Info();' 부분에서 BB 클래스의 Info() 함수를 호출하게 되므로 메모리 엑세스 위반까지는 이해를 했으나, virtual이 BB 클래스의 Info() 함수에 붙일 경우에는 delete A1; 부분에서 왜 에러가 뜨는지 알고싶습니다.
-
해결됨프론트엔드 개발자를 위한, 실전 웹 성능 최적화(feat. React) - Part. 2
Material--icons_4.0.0.woff2
Material--icons_4.0.0.woff2 는 리소스 크기가 3mb인데 해당 폰트는 font-display:block으로 하지 않는이상 폰트 다운드로 전에 영어를 출력시키거나 안보이도록 해야하는되 이 부분 레이아웃 시프트 발생하지 않도록 cls 잡는 방법이 무엇이 존재할까요???
-
미해결반응형 웹사이트 포트폴리오(Architecture Agency)
파일 내 index.html에 대한 오류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 <title>DesignWokrs Agency</title> <script src="/js/jquery-2.1.4.js"></script> <!-- page scroll Effects js&css --> <script src="./js/velocity/modernizr.js"></script> <script src="/js/velocity/velocity.min.js"></script> <script src="./js/velocity/velocity.ui.min.js"></script> <script src="./js/velocity/main.js"></script> <link rel="stylesheet" href="./js/velocity/velocity.css"> <!-- Smooth scrolling --> <!-- <script src="./js/jquery.scrollTo.min.js"></script> --> <!-- custom js&css --> <script src="./custom.js"></script> <!-- 순서가 중요함 pc버전인 스타일 css가 먼저우선시 되야함 --> <link rel="stylesheet" href="./style.css"> <!-- 모바일 부분만 반응 css --> <link rel="stylesheet" href="./responsive.css"> </head> <!-- 애니메이션 속성들 --> <!-- hijacking: on/off - animation: none/scaleDown/rotate/gallery/catch/opacity/fixed/parallax --> <body data-hijacking="on" data-animation="rotate"> <div class="container"> <section class="cd-section visible" id="home"> <div> <div class="content"> <img src="./images/temp-section-01.jpg"> </div> </section> <section class="cd-section" id="about"> <div> <div class="content"> <img src="./images/temp-section-02.jpg"> </div> </div> </section> <section class="cd-section" id="project"> <div> <div class="content"> <img src="./images/temp-section-03.jpg"> </div> </div> </section> <section class="cd-section" id="plan"> <div> <div class="content"> <img src="./images/temp-section-04.jpg"> </div> </div> </section> <section class="cd-section" id="awards"> <div> <div class="content"> <img src="./images/temp-section-05.jpg"> </div> </div> </section> <section class="cd-section" id="location"> <div> <div class="content"> <img src="./images/temp-section-06.jpg"> </div> </div> </section> <section class="cd-section" id="contact"> <div> <div class="content"> <img src="./images/temp-section-07.jpg"> </div> </div> </section> <header> <div class="gnb-inner"> <div class="logo"> <a href="#none"><img src="images/logo.png"></a> </div> <!-- 네비게이션 부분 --> <div class="gnb"> <div class="menu"> <a href="#home">Home</a> <a href="#about">About</a> <a href="#project">Project</a> <a href="#plan">Plan & History</a> <a href="#awards">Awards</a> <a href="#location">Location</a> <a href="#contact">Contact</a> </div> <div class="slogan">We design places, not projects.</div> </div> <!-- 햄버거 버튼 --> <div class="trigger"> <span></span> <span></span> <span></span> </div> </div> </header> </div> <nav> <ul class="cd-vertical-nav"> <li><a href="#0" class="cd-prev inactive">Next</a></li> <li><a href="#0" class="cd-next">Prev</a></li> </ul> </nav> <!-- .cd-vertical-nav --> </body> </html>>/* pc버전 */ /* Google Web Font : Montserrat */ @import url('https://fonts.googleapis.com/css?family=Montserrat:200,300,400,500&display=swap'); @import url('https://fonts.googleapis.com/css?family=Manrope:300,400,500,600&display=swap'); @import url('https://fonts.googleapis.com/css2?family=Source+Sans+Pro:wght@200;300;400;600;700;900&display=swap'); @import url('https://fonts.googleapis.com/css2?family=Overpass&display=swap'); /* FontAwesome CDN 4.7 */ @import url('https://stackpath.bootstrapcdn.com/font-awesome/4.7.0/css/font-awesome.min.css'); /* Reset CSS */ * {box-sizing: border-box;} ul { list-style: none;} a {text-decoration: none;} /* Default CSS */ body{ font-family: 'Montserrat', sans-serif; color: #222; font-size: 15px; margin: 0; height: 100vh; background-color: #fff; } /* Entire Layout(전체적인 레이아웃) */ .cd-section { height: 100vh; } .cd-section > div { height: 100%; position: relative; } .content { background-color: #ddd; position: absolute; /* 연산함수 calc를 이용하여 섹션내에 삐저나오지 않고 들어오게함 */ width: calc(100% - 40px); height: calc(100% - 80px); left: 20px; bottom: 20px; /* 넘치는 부분 끊기 */ overflow: hidden; } /* Header */ header { position: fixed; top:0; left: 0; width: 100%; } .gnb-inner { /* bd+tab =보더 생성 */ /* border: 1px solid #000; */ width: calc(100% - 40px); margin: auto; height: 60px; /* 높이값만큼 주면 중앙 정렬 */ line-height: 60px; } .logo { float: left; } .gnb { float: right; } .menu { display: block; } .menu a{ } .gnb a {} .slogan { font-size: 16px; font-style: italic; } .trigger { display: none; $(function() { /* Trigger */ $('.trigger').click(function(){ $(this).toggleClass('active') $('.gnb').toggleClass('active') }) // 중복되는 선택자 콤마로 이어감 $('section, .menu a').click(function(){ // 모바일에서 여백 섹션을 눌렀을 때 서브메뉴가 안으로 들어감 $('.gnb').removeClass('active') }) // // Smooth Scrolling // $('.menu a').click(function(e){ // // ||:쉬프트 +원표시 0.9초동안 슬라이딩 // $.scrollTo(this.hash || 0, 900); // })/* 모바일전용 */ /*pc min:최소너비 */ /* 모바일 기준 최대넓이 768을 넘지 못한다 */ @media (max-width: 768px) { /* Entire Layout(전체적인 레이아웃) */ .cd-section { height: auto; } .cd-section > div { height: auto; } .content { position: static; width: 100%; height: 100%; left: 20px; bottom: 20px; } /* Header */ .menu { display: block; } .slogan { display: none; } .gnb { background-color: #fff; position: fixed; top: 0; right: -270px; width: 250px; height: 100vh; /* 왼쪽,위아래,퍼짐정도 */ box-shadow: -5px 0 10px rgba(0, 0, 0, 0.1); transition: 0.5s; } .gnb.active { right: 0; } .menu { line-height: 40px; /* 메뉴를 전체적으로 내림 */ margin-top: 60px; } .menu a { text-align: right; display: block; padding-right: 20px; color: #000; font-size: 20px; } /* Trigger */ .trigger{ display: block; width: 24px; height: 14px; position: absolute; right: 20px; top: 20px; } .trigger span { position: absolute; height: 1px; width: 100%; background-color: #000; transition: 0.5s; } .trigger span:nth-child(1) { top: 0; } .trigger span:nth-child(2) { top: 50%; width: 80%; } .trigger span:nth-child(3) { top: 100%; } .trigger.active span:nth-child(1) { top: 50%; transform: rotate(45deg); } .trigger.active span:nth-child(2) { top: 50%; width: 80%; opacity: 0; } .trigger.active span:nth-child(3) { top: 50%; transform: rotate(-45deg); } } 비쥬얼 스튜디오 오픈 서버로는 현재까지 작업 내용이 잘 표시되지만 폴더내에서 index 클릭 시 메인페이지 이미지가 표시 되지 않고 모바일로 변경시 사진과 같은 오류 문구와 함께 햄버거 버튼에 적용했던 효과들이 작동되지않습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대응표본검정 검정통계량
안녕하세요대응표본검정을 할 때, μd는 문제에서 주어지는 건가요? μd = (after - before)의 평균: 인자를 ttest_rel(df['after'], df['before']) 조건에 명시된 순으로 로 넣고μd = (before- after)의 평균: ttest_rel(df['before'], df['after']) 로 넣는게 맞나요?pvalue는 같지만 검정통계량(statistic)이 음수 양수로 나오는데, 검정통계량을 묻는다면 출력된 그대로 넣으면 되는걸가요..? 대응표본 검정은 무조건 단측 검정인건가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원핫인코딩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질문과 관련된 영상 위치를 알려주면 더 빠르게 답변할 수 있어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원핫인코딩 말고 라벨인코딩을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라벨인코딩 말고 원핫인코딩을 사용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
미해결그림으로 배우는 HTML/CSS, 입문!
구글 페이지 개선하기 학습 중, 아이콘이 생성 안됩니다
안녕하세요.여지껏 잘 수강하고 있다가, 구글 페이지 개선하기 강의에서 막혀서 질문드립니다.알려주신대로 구글 머티리얼 주소를 알맞게 입력했는데,저는 돋보기 아이콘이 안뜨고 계속 영문으로만 나오는데 어떤게 문제일까요 선생님?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함수와 재귀함수
함수와 재귀 함수 강의도 13분 15초에 영상이 끝나는데 16분 51초까지 검은 화면이 나옵니다! 수정하면 좋을 것 같아요~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2회차때 합격하도록 열심히 공부하겠습니다. 함께 힘내주세요!!
-
해결됨디지털포렌식 입문자를 위한 디지털포렌식 전문가 2급 실기 시험대비 강의(Encase/Autopsy)
[공통] 2급 21회 시험 리뷰 강의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공통] 2급 21회 시험 리뷰 강의 수강중 궁금한게 있어 글 남깁니다. 가상화 파일 분석 방법 중 1. ftk imager로 필요한 파일을 추출해서 분석 2. 가상화 프로그램으로 로드해서 분석 3. 가상화 파일을 raw 파일로 변환후에 분석툴에서 분석 [질문1]예를들어 윈도우 shutdown 날짜를 확인하기 위해 레지스트리를 분석한다고 하면 방법 1인 ftk imager에서 하이브 파일을 추출해서 rega로 분석하는 경우와 방법 2인 vmware를 이용해서 가상머신으로 직접 들어가서 가상머신내 로컬에서 레지스트리 편집기에 들어가서 해당 정보를 확인하는 경우와 결과가 같은걸까요? [질문2] 만약에 두번째 분석방법을 선택한 경우에 증거 파일을 찾는 과정에서 vmware를 이용하여 로드한 이미지파일(vmdk)로 직접 접속해서 이것저것 열어보면서 증거를 찾아간다고 했을때 이미지 파일이 손상되는? 무결성이 깨지는..?(파일 접근 시간 등) 문제는 없는건지 궁금합니다. [질문 3] 만약에 문제가공모시에 이메일(아웃룩) 통신을 하였고 사용자(용의자)의 통신 IP를 물어보는 거라면 어디서 어떻게 확인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Vue3 완벽 마스터: 기초부터 실전까지 - "실전편"
페이지 공유 데이터 처리
안녕하세요.단계(step)가 존재하는 페이지 이동시 공유 데이터 처리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예를 들어A프로세스 처리를A-1, A-2, A-3의 페이지로 나뉘어 져 있으며각 페이지에 입력된 값으로 최종 처리하고또한 뒤로가기 하였을 경우 각 단계에서 입력된 값은 그대로 유지하여 노출해주어야 할경우입니다. 구글링을 해보면 전역 상태 값이 아니니 pinia 사용은 지양하는 듯하고localStorage와 같은 기능을 사용하더군요.이런 기능들을 사용하지 않고 vue3 자체 기능으로 사용할만한 것은 없는지 문의 드립니다.
-
해결됨파이썬 동시성 프로그래밍 : 데이터 수집부터 웹 개발까지 (feat. FastAPI, async, await)
TypeError: field Config is defined without type annotation
'FastAPI + MongoDB ODM 셋업' 강의 중 book.py 파일을 만든 뒤 서버를 실행할 때 아래와 같은 에러 메시지가 노출됩니다. TypeError: field Config is defined without type annotation Config에 type annotation이 정의되지 않았다고 하는데, 타입을 정의하거나 클래스 이름을 바꿔보는 등의 방법을 적용해보아도 같은 에러코드가 노출되고 있어 문의드립니다. 제가 사용하고 있는 환경의 python은 3.8버전이며, odmantic 등 라이브러리는 최신 버전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logit에서 잔차이탈도 구하기
3유형 로지스틱회귀에서 잔차이탈도를 구하려면 logit이 아닌 glm을 권장하셨는데요.logit에서 제공하는 llf에 -2를 곱한 값으로 잔차이탈도를 구한다면 굳이 glm 사용할 필요는 없지 않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