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한글 인코딩 설정이 안됩니다..
안녕하세요 ! IntelliJ로 라이브 코딩 따라하는데 아래처럼 한글이 깨져서요 [��ü �Ķ���� ��ȸ]-start[��ü �Ķ���� ��ȸ]-end 구글링해서 따라해봤는데 File Encoding > UTF-8 설정 완료 (Global, Project, Default 모두) idea.64.exe.vmoptions 파일 설정 -Xmx2048m -Dfile.encoding=UTF-8구성 편집에서 어떻게 encoding 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반응형 웹사이트 포트폴리오(Architecture Agency)
모바일 네비게이션 퍼블리싱 - 모바일트리거, GNB 보이기 감추기 부분 해결되지 않아 재 질문 드립니다ㅠㅠ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meta name="viewport" content="width=device-width, initial-scale=1"> <title>DesignWokrs Agency</title> <script src="./js/jquery-2.1.4.js"></script> <!-- page scroll Effects js&css --> <script src="./js/velocity/modernizr.js"></script> <script src="./js/velocity/velocity.min.js"></script> <script src="./js/velocity/velocity.ui.min.js"></script> <script src="/js/velocity/main.js"></script> <link rel="stylesheet" href="./js/velocity/velocity.css"> <!-- custom js&css --> <script src="./js/custom.js"></script> <!-- 순서가 중요함 pc버전인 스타일 css가 먼저우선시 되야함 --> <link rel="stylesheet" href="./style.css"> <!-- 모바일 부분만 반응 css --> <link rel="stylesheet" href="./responsive.css"> </head> <!-- 애니메이션 속성들 --> <!-- hijacking: on/off - animation: none/scaleDown/rotate/gallery/catch/opacity/fixed/parallax --> <body data-hijacking="on" data-animation="rotate"> <div class="container"> <section class="cd-section visible"> <div> <div class="content"> <img src="./images/temp-section-01.jpg"> </div> </div> </section> <section class="cd-section"> <div> <div class="content"> <img src="./images/temp-section-02.jpg"> </div> </div> </section> <section class="cd-section"> <div> <div class="content"> <img src="./images/temp-section-03.jpg"> </div> </div> </section> <section class="cd-section"> <div> <div class="content"> <img src="./images/temp-section-04.jpg"> </div> </div> </section> <section class="cd-section"> <div> <div class="content"> <img src="./images/temp-section-05.jpg"> </div> </div> </section> <section class="cd-section"> <div> <div class="content"> <img src="./images/temp-section-06.jpg"> </div> </div> </section> <section class="cd-section"> <div> <div class="content"> <img src="./images/temp-section-07.jpg"> </div> </div> </section> <header> <div class="gnb-inner"> <div class="logo"> <a href="#none"><img src="images/logo.png"></a> </div> <!-- 네비게이션 부분 --> <div class="gnb"> <div class="menu"> <a href="#none">Home</a> <a href="#none">About</a> <a href="#none">Project</a> <a href="#none">Plan & History</a> <a href="#none">Awards</a> <a href="#none">Location</a> <a href="#none">Contact</a> </div> <div class="slogan">We design places, not projects.</div> </div> <!-- 햄버거 버튼 --> <div class="trigger"> <span></span> <span></span> <span></span> </div> </div> </header> </div> <nav> <ul class="cd-vertical-nav"> <li><a href="#0" class="cd-prev inactive">Next</a></li> <li><a href="#0" class="cd-next">Prev</a></li> </ul> </nav> <!-- .cd-vertical-nav --> </body> </html>/* 모바일전용 */ /*pc min:최소너비 */ /* 모바일 기준 최대넓이 768을 넘지 못한다 */ @media (max-width: 768px) { /* Entire Layout(전체적인 레이아웃) */ .cd-section { height: auto; } .cd-section > div { height: auto; } .content { position: static; width: 100%; height: 100%; left: 20px; bottom: 20px; } /* Header */ .menu { display: block; } .slogan { display: none; } .gnb { background-color: #fff; position: fixed; top: 0; right: 0; width: 250px; height: 100vh; /* 왼쪽,위아래,퍼짐정도 */ box-shadow: -5px 0 10px rgba(0, 0, 0, 0.1); } .menu { line-height: 40px; /* 메뉴를 전체적으로 내림 */ margin-top: 60px; } .menu a { text-align: right; display: block; padding-right: 20px; color: #000; font-size: 20px; } /* Trigger */ .trigger{ display: block; width: 24px; height: 14px; position: absolute; right: 20px; top: 20px; } .trigger span { position: absolute; height: 1px; width: 100%; background-color: #000; transition: 0.3s; } .trigger span:nth-child(1) { top: 0; } .trigger span:nth-child(2) { top: 50%; width: 80%; } .trigger span:nth-child(3) { top: 100%; } .trigger.active span:nth-child(1) { top: 50%; transform: rotate(45deg); } .trigger.active span:nth-child(2) { top: 50%; width: 80%; opacity: 0; } .trigger.active span:nth-child(3) { top: 50%; transform: rotate(-45deg); } }$(function(){ // Trigger $('.trigger').click(function(){ $(this).toggleClass('active') }) })대상이 수동으로 처리되어 수동 이벤트 수신기 내부의 Default를 방지할 수 없습니다라는 문구가 뜹니다.말씀해주신대로 active 클래스를 지우고 다시 작성해보고커스텀 js의 문법도 맞추었는데 햄버거 버튼에 마우스 클릭 시 X표시로 변경되지 않습니다 ㅠㅠ 계속 똑같은 질문 드려 죄송합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작업형3 범주형 변수 인코딩
안녕하세요 선생님,작업형3 범주형 변수 인코딩 질문드립니다. [예시문제 작업형3(신버전)]의 6:37 부분을 보면 Gender는 인코딩이 되지않아서 C로 감싸주시더라구요. 근데 [시험응시전략] 강의에서는 '회귀, 로지스틱 회귀에서 숫자이지만, 범주형 변수로 명시된 것이 있다면 C()로 감싸서 처리할 것, 범주형 변수 object 값이 문자로 있다면 알아서 바꿔준다'라고 말씀하셨어요. 이부분이 헷갈립니다.1) [시험응시전략]에서 말씀대로라면 [예시문제 작업형3]의 Gender는 C 처리할 필요없이, 알아서 바뀌는게 아닌가요? 2) 캐글에 T3-2-example-py 을 보면, 여기서는 gender를 C로 감싸서 인코딩 해주지 않으셨더라구요. 기준이 헷갈립니다.
-
미해결실무자를 위한 구글애널리틱스(GA4+GTM) 활용법(25년 Update)
utm term 검색을 하고 싶은데 '수동'을 검색했을 때 아무것도 나오지 않아요
제목과 동일합니다 utm term 값을 검색하고 싶은데 세션 소스 검색에서 '수동' 검색 시 아무것도 나오지 않아 문의합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기출 2회 문제 3번
'age'컬럼의 이상치를 모두 더하시오! print(sum(df['age']<lower) + sum(df['age']>upper))컬럼의 이상치를 다 더한다는 의미를 이렇게 해석했는데,, # 이상치 age합 print(df[cond1|cond2]['age'].sum())왜 선생님은 '또는'이라는 조건을 사용하셨나요?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유저정보 수정 후 서버세션 업데이트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선생님여쭤보고 싶은 부분이 있습니다. 유저정보 수정 후 서버세션을 업데이트하려는데검색해도 생각처럼 잘 되지 않더라구요.혹시 업데이트 방법을 아실까해서 문의드립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3회기출 작업형 1 하드코딩
안녕하세요.섹션12 3회 기출유형 작업형 1 강의 9:54 경에서'하드코딩 하지말라' 라는 메시지가 나오는데,정답이 있는 작업형 1, 3은 정답만 맞으면 만점처리 되는거 아닌가요? 하드코딩을 하거나 눈으로 세거나 혹시 채점하면서코드문(풀이과정)까지 봐서, 답은 맞아도 풀이가 정답이 아니라면 틀릴수도 있나요...?아래 비슷한 질문이 있는거같은데, 응시자 유의사항 보면 정답만 맞추라는 뉘앙스인데,이번 8회 실기는 어떻게 해야하나요?
-
미해결CPPG 자격증 취득 과정 (2025년)
교재 문의
첫강의 어디에 수업자료 이야기가 있나요? 다 들었는데 없는거 같아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Caw -> Cow 오타 안 고치신 건가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PDF 교안 최신버전(20240411 ver)으로 다시 확인해봤는데 Caw 오타 그대로인거 같아서 문의드립니다.
-
해결됨Real MySQL 시즌 1 - Part 1
RATERAL 사용할 때 마지막에 ON TRUE 가 있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는데 차이가 어떤 것인가요?
RATERAL 사용할 때 마지막에 ON TRUE 가 있는 것도 있고 없는 것도 있는데 차이가 어떤 것인가요?
-
미해결[신규 개정판] 이것이 진짜 크롤링이다 - 실전편 (인공지능 수익화)
NoSuchElementException 에러 해결은 되었는데, 정확한 원인은 ㅠㅠ
#드롭다운 메뉴 클릭 driver.find_element(By.CSS_SELECTOR,"#account > div.MyView-module__my_menu___eF24q.MyView-module__is_open____qWM1 > div > div > ul > li:nth-child(1) > a > span.MyView-module__item_text___VTQQM").click() CSS selector 제대로 한것 같은데 실행하면 하기와 같이 에러 발생합니다. 도움 부탁드립니다.---------------------------------------------------------------------------NoSuchElementException 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Cell In[5], line 1----> 1 driver.find_element(By.CSS_SELECTOR,\"#account > div.MyView-module__my_menu___eF24q.MyView-module__is_open____qWM1 > div > div > ul > li:nth-child(1) > a > span.MyView-module__item_text___VTQQM\").click()File c:\\Users\\visio\\AppData\\Local\\Programs\\Python\\Python312\\Lib\\site-packages\\selenium\\webdriver\\remote\\webdriver.py:741, in WebDriver.find_element(self, by, value)738 by = By.CSS_SELECTOR739 value = f'[name=\"{value}\"]'--> 741 return self.execute(Command.FIND_ELEMENT, {\"using\": by, \"value\": value})[\"value\"]File c:\\Users\\visio\\AppData\\Local\\Programs\\Python\\Python312\\Lib\\site-packages\\selenium\\webdriver\\remote\\webdriver.py:347, in WebDriver.execute(self, driver_command, params)345 response = self.command_executor.execute(driver_command, params)346 if response:--> 347 self.error_handler.check_response(response)348 response[\"value\"] = self._unwrap_value(response.get(\"value\", None))349 return responseFile c:\\Users\\visio\\AppData\\Local\\Programs\\Python\\Python312\\Lib\\site-packages\\selenium\\webdriver\\remote\\errorhandler.py:229, in ErrorHandler.check_response(self, response)227 alert_text = value[\"alert\"].get(\"text\")228 raise exception_class(message, screen, stacktrace, alert_text) # type: ignore[call-arg] # mypy is not smart enough here--> 229 raise exception_class(message, screen, stacktrace)NoSuchElementException: Message: no such element: Unable to locate element: {\"method\":\"css selector\",\"selector\":\"#account > div.MyView-module__my_menu___eF24q.MyView-module__is_open____qWM1 > div > div > ul > li:nth-child(1) > a > span.MyView-module__item_text___VTQQM\"}(Session info: chrome=125.0.6422.176); For documentation on this error, please visit: https://www.selenium.dev/documentation/webdriver/troubleshooting/errors#no-such-element-exceptionStacktrace:\tGetHandleVerifier [0x00007FF7C22C1F52+60322]\t(No symbol) [0x00007FF7C223CEC9]\t(No symbol) [0x00007FF7C20F7EBA]\t(No symbol) [0x00007FF7C2147676]\t(No symbol) [0x00007FF7C214773C]\t(No symbol) [0x00007FF7C218E967]\t(No symbol) [0x00007FF7C216C25F]\t(No symbol) [0x00007FF7C218BC80]\t(No symbol) [0x00007FF7C216BFC3]\t(No symbol) [0x00007FF7C2139617]\t(No symbol) [0x00007FF7C213A211]\tGetHandleVerifier [0x00007FF7C25D94AD+3301629]\tGetHandleVerifier [0x00007FF7C26236D3+3605283]\tGetHandleVerifier [0x00007FF7C2619450+3563680]\tGetHandleVerifier [0x00007FF7C2374326+790390]\t(No symbol) [0x00007FF7C224750F]\t(No symbol) [0x00007FF7C2243404]\t(No symbol) [0x00007FF7C2243592]\t(No symbol) [0x00007FF7C2232F9F]\tBaseThreadInitThunk [0x00007FF81527257D+29]\tRtlUserThreadStart [0x00007FF8161EAF28+40]"
-
미해결파이썬으로 10가지 게임 만들기 1편 [비전공자 초급 과정]
예제파일
예제파일은 어디있나요?
-
미해결
jsp) 자바빈으로 값 전달이 안 되고 null로 뜨는 문제
이런 식으로 됩니다. join.jsp에서 회원가입 정보를 작성하고 등록 버튼을 누르면 join_process.jsp로 이동하는 방식입니다.joinBean.java와 joinBean.class 파일은 [톰캣경로/webapps/java_web_last/WEB-INF/classes/com/test]에 있고 다른 jsp 파일은 [톰캣경로/webapps/java_web_last]에 있습니다.vscode로 작업하고 있구요, 위치가 잘못된 걸까요? 뤼튼에 물어볼 때마다 코드는 문제가 없다고 뜨거든요.코드도 함께 첨부합니다. 잘 아시는 분들 도움 부탁드립니다. ㅠㅠ join.jsp join_process.jsp<%@ page contentType="text/html; charset=UTF-8"%> <%@ page import="com.test.joinBean" %> <%@ taglib prefix="c" uri="http://java.sun.com/jsp/jstl/core"%> <jsp:useBean id="joinBean" class="com.test.joinBean" scope="request" /> <jsp:setProperty name="joinBean" property="*" /> <html> <head> <title>회원 가입 확인</title> <link rel="stylesheet" href="bootstrap.min.css" /> </head> <body> <div class="container py-4"> <jsp:include page="/menu.jsp" /> <div class="p-5 mb-4 bg-body-tertiary rounded-3"> <div class="container-fluid py-5"> <h1 class="display-5 fw-bold">회원 가입 확인</h1> <p class="col-md-8 fs-4">Please confirm your registration information.</p> </div> </div> <div class="row align-items-md-stretch text-center"> <table class="table table-striped"> <tr> <th>아이디</th> <td><jsp:getProperty name="joinBean" property="id" /></td> </tr> <tr> <th>비밀번호</th> <td><jsp:getProperty name="joinBean" property="password" /></td> </tr> <tr> <th>성명</th> <td><jsp:getProperty name="joinBean" property="name" /></td> </tr> <tr> <th>성별</th> <td><jsp:getProperty name="joinBean" property="gender" /></td> </tr> <tr> <th>생일</th> <td><jsp:getProperty name="joinBean" property="birthyy" />년 <jsp:getProperty name="joinBean" property="birthmm" />월 <jsp:getProperty name="joinBean" property="birthdd" />일</td> </tr> <tr> <th>이메일</th> <td><jsp:getProperty name="joinBean" property="mail1" />@<jsp:getProperty name="joinBean" property="mail2" /></td> </tr> <tr> <th>전화번호</th> <td><jsp:getProperty name="joinBean" property="phone" /></td> </tr> <tr> <th>주소</th> <td><jsp:getProperty name="joinBean" property="postcode" /> <jsp:getProperty name="joinBean" property="addr1" /> <jsp:getProperty name="joinBean" property="addr2" /></td> </tr> </table> <div class="mb-3 row"> <div class="col-sm-12"> <div class="d-flex justify-content-center"> <form action="join_complete.jsp" method="post"> <input type="hidden" name="id" value="<jsp:getProperty name="joinBean" property="id" />"> <input type="hidden" name="password" value="<jsp:getProperty name="joinBean" property="password" />"> <input type="hidden" name="name" value="<jsp:getProperty name="joinBean" property="name" />"> <input type="hidden" name="gender" value="<jsp:getProperty name="joinBean" property="gender" />"> <input type="hidden" name="birthyy" value="<jsp:getProperty name="joinBean" property="birthyy" />"> <input type="hidden" name="birthmm" value="<jsp:getProperty name="joinBean" property="birthmm" />"> <input type="hidden" name="birthdd" value="<jsp:getProperty name="joinBean" property="birthdd" />"> <input type="hidden" name="mail1" value="<jsp:getProperty name="joinBean" property="mail1" />"> <input type="hidden" name="mail2" value="<jsp:getProperty name="joinBean" property="mail2" />"> <input type="hidden" name="phone" value="<jsp:getProperty name="joinBean" property="phone" />"> <input type="hidden" name="postcode" value="<jsp:getProperty name="joinBean" property="postcode" />"> <input type="hidden" name="addr1" value="<jsp:getProperty name="joinBean" property="addr1" />"> <input type="hidden" name="addr2" value="<jsp:getProperty name="joinBean" property="addr2" />"> <button type="submit" class="btn btn-primary me-2"> <span class="d-flex justify-content-center align-items-center"> 이대로 회원가입 </span> </button> </form> <a href="join.jsp" class="btn btn-primary"> <span class="d-flex justify-content-center align-items-center"> 돌아가기 </span> </a> </div> </div> </div> </div> <jsp:include page="/footer.inc.jsp" /> </div> </body> </html> joinBean.javapackage com.test; public class joinBean { private String id; private String password; private String name; private String gender; private String birthyy; private String birthmm; private String birthdd; private String mail1; private String mail2; private String phone; private String postcode; private String addr1; private String addr2; public String getId() { return id; } public void setId(String id) { this.id = id; } public String getPassword() { return password; } public void setPassword(String password) { this.password = password; }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public String getGender() { return gender; } public void setGender(String gender) { this.gender = gender; } public String getBirthyy() { return birthyy; } public void setBirthyy(String birthyy) { this.birthyy = birthyy; } public String getBirthmm() { return birthmm; } public void setBirthmm(String birthmm) { this.birthmm = birthmm; } public String getBirthdd() { return birthdd; } public void setBirthdd(String birthdd) { this.birthdd = birthdd; } public String getMail1() { return mail1; } public void setMail1(String mail1) { this.mail1 = mail1; } public String getMail2() { return mail2; } public void setMail2(String mail2) { this.mail2 = mail2; } public String getPhone() { return phone; } public void setPhone(String phone) { this.phone = phone; } public String getPostcode() { return postcode; } public void setPostcode(String postcode) { this.postcode = postcode; } public String getAddr1() { return addr1; } public void setAddr1(String addr1) { this.addr1 = addr1; } public String getAddr2() { return addr2; } public void setAddr2(String addr2) { this.addr2 = addr2; } } null로 표시되는 것 말고 따로 오류 뜨는 건 없습니다. 자바빈 파일이 연결이 안 되는 것 같은데...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단일표본검정 강의 질문
만약 대립 가설이 반대로 120g보다 크다고 하면,아래 코드처럼 작성하면 되나요? stats.wilcoxon(df['무게'] - 120, alternative='grater')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작업형 2 랜덤포레스트
선생님! 작업형 2 문제 푸는 방식을 정해서 시험장에서 그 방식대로만 풀려고 하는데 혹시 회귀나 분류 모두 randomforest 하나만 사용해서 학습시켜 예측값을 도출해도 2유형에서 고득점 받는데 무리 없을까요? 다른 모델 식까지 외우기에는 너무 시간이 많이 걸릴거 같아서요 ㅎㅎ 혹시 랜포말고 더 추천하시는 모델이 따로 있을까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결측치가 만약 생기면
랜덤포레스트 모델을 쓴다는 가정하에 가장 무난한 방법은 뭔가요...? 랜덤포레스트 결측치 계산하는 기능있어서 냅두는게 나을 지아니면 0으로 채우는게 나을지 (둘다 확인해보는게 좋지만, 만약 확인하는 코드 잊었다고 생각하면 가장 무난한게 어떤 방법인지!) 알고싶습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4회 작업형 2 문제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질문과 관련된 영상 위치를 알려주면 더 빠르게 답변할 수 있어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안녕하세요 강사님 수업 잘 듣고 있습니다!다름이 아니라 제가 분류/회귀 문제에서 랜덤포레스트와 xgboost 두 가지 코딩을 이용하려 하는데이번 문제의 경우 랜덤포레스트는 돌아가지만 xgboost 같은 경우는 오류가 발생하더라구요모든 데이터에 사용 가능한 줄 알았는데 데이터마다 사용할 수 있는 모델이 한정적인가요?? from xgboost import XGBClassifier model = XGBClassifier() model.fit(X_tr, y_tr) pred = moedl.predict(X_val)위와 같이 실행했고, 아래는 에러코드입니다!ValueError: Invalid classes inferred from unique values of `y`. Expected: [0 1 2 3], got [1 2 3 4]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프록시 호출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static class CallService{ public void external() { log.info("call external"); printTxInfo(); internal(); } @Transactional public void internal() { log.info("call internal"); printTxInfo(); } }위 코드에서 교안의 그림과 설명에서 callService.external()을 호출할 때, 트랜잭션 프록시로부터 먼저 호출된다고 되어있는데 external()메서드는 @Transactional이 적용되어 있지 않음에도 프록시로 호출되는 이유는 같은 클래스 레벨인 internal()메서드에 @Transactional이 선언되어 있어서 CallService클래스 자체가 프록시로 생성되기때문인가요?옳바르게 이해한지 확인하고싶어 질문드립니다ㅠㅠ
-
미해결
Turkish Airlines N’Djamena Office
Turkish Airlines N'Djamena office provides seamless travel options and acts as a critical link between Chad and global destinations. Situated in the center of N'Djamena this establishment offers professional support for reservations bookings and customer concerns, guaranteeing a smooth and effective travel experience for guests. Travelers in Chad may experience ease and dependability at this office because to Turkish Airlines wide network and well-known hospitality.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BatchSize 적용 시 로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정말 JPA를 제대로 배우며 유익한 시간을 보내고 있는 수강생입니다.질문 1.페치조인2 - 한계 강의를 듣던 중 @BatchSize 를 조절하여N+1 문제를 해결하는 예시를 보여주시는데보여주신 예시의 로그와 제가 테스트 해봤을 때의 로그가 좀 다르게 나와 질문드립니다.인강에서 보여주실 때에는 load one-to-many 라고 주석이 달리면서 실제 조건문에서는 ? 가 2개만 찍혀있는데제가 테스트 해보니 BatchSize에 지정해준 숫자 만큼 로그에? 가 찍히는것을 확인 할 수 있었습니다.혹시 제가 잘 못 테스트 한 것 일까요?질문 2.또한 강의에서 일반적으로 BatchSize 를 전역 설정으로 해놓고 100~1000 사이의 크기를 지정하여 사용하신다고 말씀하셨는데 이는 DB 조회 쿼리 횟수는 줄어들어 N+1 문제는 완화할수 있지만 지연 로딩 시 내가 접근한 객체의 수 만큼만 로드하는 것이 아닌 무조건 배치 사이즈 만큼 로드되기 때문에그 간격이 크면 메모리적인 낭비가 되는거 아닌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