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작업형2 결측치에 대해
만약 결측치가 있는 데이터가 문제로 나오게 된다면범주형 데이터는 최빈값으로 채우고수치형 데이터는 중앙값으로 채우려는데 괜찮을까요?(중앙값이 이상치에 덜 민감하다고해서 평균말고 중앙값으로 대체하려고 합니다.) 아니면 제거하는게 좋을까요? 그리고 경우에 따라 다르겠지만 보통 대체하는 쪽이 성능이 더 좋은가요?
-
미해결모두를 위한 대규모 언어 모델 LLM(Large Language Model) Part 2 - 랭체인(LangChain)으로 나만의 ChatGPT 만들기
!pip install langchain_community 문장이 필요할 것같아요(강의 2,4)
저만의 문제인지는 모르겠으나 !pip install langchain_community 설치가 계속 필요하네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작업형 2번 test 데이터 행 삭제에 관해 문의드립니다.
작업형 2번을 풀 때, test 데이터의 행은 절대 삭제하면 안되고, 삭제할 경우 0점 처리를 맞는다고 알고 있습니다. 제가 말의 뜻을 정확하게 이해를 못해서 그런데, 혹시 제가 이해한 것이 맞는지 한 번만 확인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제가 이해한 뜻]1번 상황)예를들어 처음에 train, test 데이터가 주어졌습니다. train.shape, test.shape으로 찍었을 때, (10000,10), (2000,9)가 나왔습니다. 전처리를 통해서, train과 test의 불필요한 컬럼, 결측치가 너무 많은 컬럼을 삭제하였습니다. 그 이후 train.shape, test.shape을 찍었을 때, (10000,8), (2000,7) 이 나왔습니다. 2번 상황)전처리 하기 전 train.shape이 (2000,9) 가 전처리 후 train.shape이 (1800,7) 이 나왔습니다. 제가 이해하기로, 1번 상황처럼 train과 test의 동일한 컬럼을 삭제하는 것은 상관 없는데, 2번 상황처럼, test의 행 데이터가 손실되는 것은 안되는 걸로 이해했습니다. 혹시 제가 이해한 것이 맞는지 봐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캐글 t1-12 질문
df2 = df.groupby('country').max() #시간에 따라 접종률이 점점 올라감df2 = df2.sort_values(by='ratio', ascending = False)여기서 df.groupby('country')['ratio'].max() 를 하지 않고 그냥 max()를 한 이유가 뭔가요? 접종률 상위 10개국, 하위 10개국을 찾는게 아닌가요?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자바스크립트 A-Z
var 로 선언해서 window 객체의 프로퍼티로 만들기
수업 자료 보면" let과 const는 블록 스코프이기에window 객체 내부의 블록에서 선언된 것으로 되기에전역 객체의 프로퍼티로 활용될 수 없습니다. " 라는 표현이 나오는데window 객체 안에 있는 더 작은 블록 단위 안에서 선언된 것이므로그 블록 안에서만 유효하고 window 객체에서 호출하지는 못한다는 뜻인가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질문있습니다
public class BabyDog extends Dog{ @Override public void sound() { System.out.println("낑낑"); } } BabyDog라는 클래스를 만들고 Dog를 상속받았을경우메인클래스에서 soundAnimal(dog)를했을때 제가생각하는 이미지는sound() Animalsound() Dogsound() BabyDog이렇게돼서 결국 맨아래 BabyDog sound가불려서낑낑이나올거같은데 멍멍이나오더라구요어떤점을 잘못이해한건지 알려주실수있을까요?
-
미해결Vue 3 & Firebase 10 커뮤니티 만들기 풀스택 - "활용편" (with Pinia, Quasar, Tiptap, VueUse)
사용자 컴포넌트를 작성하는 것에 대한 문의
프로젝트에서 Quasar를 이용하여 프론트를 개발할 때textarea, password 와 같은 입력 필드들을 base component로 만들어서 개발자에게 제공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식인가요? 아니면 개발자가 하나하나 type이라던지 placeholder를 지정하면서 개발하는 것이 일반적인 방식인가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3유형 풀때...
선생님 대부분 3유형에서는from scipy import stats 불러오구 stats.levene~ , stats.wilcoxn 이렇게 등등 다 불러오던데f_oneway만 import scipy.stats as stats 이렇게 불러오는거로 가르쳐 주시던데 from scipy import statsstats.f_oneway(그룹A,B,C) 이렇게 해도 분석이 되는거 같은데 이렇게 불러두 되나요? 어떤건 from scipy.stats as stats이고어떤건 from scipy import stats 여서 좀 헷갈리더라구요 ㅠㅠ 또 카이제곱은 from scipy.stats import Chisquare 이런형태구...from scipy import Chisquarestats.Chisquare(df['a'],df['b']) 이렇게 해두 되나요?
-
미해결자바 코딩테스트 - it 대기업 유제
"비밀번호" 문제 확인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비밀번호 문제를 다음과 같이 풀었는데 확인 한번 부탁드려도될까요~?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int[] keypad, String password) { int answer = 0; char[] pw = password.toCharArray(); int[] index = new int[pw.length]; for (int i = 0; i < 9; i++) { for (int j = 0; j < pw.length; j++) { if (pw[j] - '0' == keypad[i]) { index[j] = i; } } } for (int i = 0; i < index.length - 1; i++) { int curr = index[i]; if (curr == index[i + 1]) { continue; } if (curr % 3 == 0) { // left if (index[i + 1] - curr == -3 || index[i + 1] - curr == -2 || index[i + 1] - curr == 1 || index[i + 1] - curr == 3 || index[i + 1] - curr == 4) { answer++; } else { answer += 2; } } else if (curr % 3 == 1) { // center if (index[i + 1] - curr >= -4 && index[i + 1] - curr <= 4) { answer++; } else { answer += 2; } } else if (curr % 3 == 2) { // right if (index[i + 1] - curr == -4 || index[i + 1] - curr == -3 || index[i + 1] - curr == -1 || index[i + 1] - curr == 2 || index[i + 1] - curr == 3) { answer++; } else { answer += 2; } } } return answ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olution T = new Solution(); System.out.println(T.solution(new int[]{2, 5, 3, 7, 1, 6, 4, 9, 8}, "7596218")); System.out.println(T.solution(new int[]{1, 5, 7, 3, 2, 8, 9, 4, 6}, "63855526592")); System.out.println(T.solution(new int[]{2, 9, 3, 7, 8, 6, 4, 5, 1}, "323254677")); System.out.println(T.solution(new int[]{1, 6, 7, 3, 8, 9, 4, 5, 2}, "3337772122")); } }0 1 23 4 56 7 8패스워드의 각 문자에 대해 인덱스 번호를 구한 뒤 왼쪽, 가운데, 오른쪽임에 따라 다음 값과의 차이를 비교하여 +1인지 +2인지 구분하는 형태로 코드를 작성해봤습니다. 강사님이 풀이해주신 방식과는 다소 차이가 있어보여서 어떤 방식이 괜찮은지 혹은 위 방식에 문제점이 있는지 궁금하여 질문 올려봅니다
-
해결됨실전! 코틀린과 스프링 부트로 도서관리 애플리케이션 개발하기 (Java 프로젝트 리팩토링)
querydsl 에서 insert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최태현님 좋은강의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제가 jpa 에서querydsl 로 변환하려고 하는데요( 둘다 이번프로젝트에 처음 써봅니다.)기존 jpa repositoryinterface BusinessCardRepository : JpaRepository<BusinessCard, Long>해당repository 가 있다고 가정했을때@Componentclass BusinessCardRepository( private val queryFactory: JPAQueryFactory)querydsl 전환을위해 해당 component 로된 repository 를 만들었습니다.그래서 기존 select 로된것들은 모두querydsl 로 수정했는데기존 save 했던건 어떻게 수정해야할지 난감합니다.39강강의 Querydql 사용하기에보면bookRepository: BookRepository,bookQueryRepository : BookQueryRepository두개다 사용하셨더라구요?그래서 저도 별도로 두개를 사용하려다가 두개로 사용하는게 맞는지 여쭈어봅니다.제가만든 BusinessCard Entity가cascade = [CascadeType.ALL] 옵션이 지정되어있어BusinessCard 가 insert 될때 BusinessCardDetail 도 같이 insert 되는구조라서기존의 card 인터페이스를 써서 save 함수를 써야되는지 궁금합니다.그리고 혹시 추가한 querydsl 에서 insert 구문을 써야된다면혹시 querydsql 에서 insert 구문은 어떻게 쓰는것인지 여쭈어봐도될까요?검색해봤는데 querysql 에서의 insert 구문은 제대로 나와있는게 없더라구요
-
미해결[신규 개정판] 이것이 진짜 크롤링이다 - 실전편 (인공지능 수익화)
range를 꼭 써야하나요 ?
for i in (1,2): 2페이지까지 도는 문법이 이렇게만 작성해도 되던데 range를 꼭 적어줘야하나요 ?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유형2번 코드 작성해보았는데...
# 시험환경 세팅 (코드 변경 X)import pandas as pdimport numpy as np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train_test_splitdef exam_data_load(df, target, id_name="", null_name=""): if id_name == "": df = df.reset_index().rename(columns={"index": "id"}) id_name = 'id' else: id_name = id_name if null_name != "": df[df == null_name] = np.nan X_train, X_test = train_test_split(df, test_size=0.2, random_state=2021) y_train = X_train[[id_name, target]] X_train = X_train.drop(columns=[target]) y_test = X_test[[id_name, target]] X_test = X_test.drop(columns=[target]) return X_train, X_test, y_train, y_test df = pd.read_csv("../input/titanic/train.csv")X_train, X_test, y_train, y_test = exam_data_load(df, target='Survived', id_name='PassengerId')X_train.shape, X_test.shape, y_train.shape, y_test.shape#Survived예측print(X_test.shape)target=y_train['Survived']test_id=X_test['PassengerId'].copy()test=X_testtrain=X_trainprint(train.shape, test.shape)train=train.drop('PassengerId', axis=1)test=test.drop('PassengerId', axis=1)train=train.drop('Name', axis=1)test=test.drop('Name', axis=1)print(train.shape, test.shape)#합치기df=pd.concat([train, test]) df['Age']=df['Age'].fillna(df['Age'].mean())df['Cabin']=df['Cabin'].fillna(df['Cabin'].mode()[0])df['Embarked']=df['Embarked'].fillna(df['Embarked'].mode()[0])#인코딩from sklearn.preprocessing import LabelEncodercols=df.select_dtypes(include='O').columnsfor col in cols: le=LabelEncoder() df[col]=le.fit_transform(df[col])#쪼개기(712, 179)train=df[:712]test=df[712:]print(train.shape, test.shape)print(target.shape)from sklearn.model_selection import train_test_splitx_tr, x_val, y_tr, y_val=train_test_split(train, target, test_size=.2, random_state=2022)from sklearn.ensemble import RandomForestClassifierrf=RandomForestClassifier(random_state=2022)rf.fit(x_tr, y_tr)pred=rf.predict(test)print(pred)print(pred.shape)print(len(test_id))submit=pd.DataFrame({ 'PassengerId': test_id, 'Survived': pred})submit.to_csv('수험번호.csv', index=False)print(submit.shape) 캐글 타이타닉 보고 이렇게 작성해보았는데, 혹시 0점 될만한 요인이 있을까요??ㅠㅠ test데이터 행 수 하고 pred수 하고 동일한거 확인했습니다! 그리고 제출할때는 split로 안쪼개고 바로 fit(train, target)해서 predict(test)해도 되는 부분일까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작업형2 기출 2회
기출 한 가지 방법 풀기에는 수치형, 범주형 분리 & 로버스트 스케일 작업이 없고 바로 get_dummies가 나오는데, 실전에서 바로 get_dummies를 사용해도 상관없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Vue 3 시작하기
안녕하세요 선생님 Event Emit 질문 드립니다.
선생님 강의 들으면서 따라하고 있습니다강의랑 똑같이 타이핑하면서 공부하고 있는데 왜 타임라인에서 이벤트 호출이 안되는지 이유를 모르겠어서 질문 남깁니다! 확인 부탁드립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EDA 카테고리 비교 질문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질문과 관련된 영상 위치를 알려주면 더 빠르게 답변할 수 있어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안녕하세요! 기출(작업형2) 한가지 방법으로 풀기 13분쯤에print("\n ===== 카테고리 비교 =====") print(train.describe(include='O')) print(test.describe(include='O'))이 코드가 있는데 이 코드는 회귀인 경우에만 사용하는 건가요? EDA라서 생략을 해도 되는 것 같긴 한데, 어떤 때 사용하는지 그리고 목적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target, 즉 우리가 예측하려는 값이 범주형인 경우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질문과 관련된 영상 위치를 알려주면 더 빠르게 답변할 수 있어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target 값은 절대로 절대로 인코딩해서는 안되나요? ? 그냥 아묻따 전처리 때 분리하는 것이 가장 좋겠죠??
-
미해결토비의 스프링 부트 - 이해와 원리
프로퍼티 클래스의 분리 강의중 this 의 사용에 궁금증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의를 열심히 듣다가 궁금증이 생겨 문의드립니다. filed에 선언된게String contextPath, int port 이렇게 두가지인데 factory에 set 할때는 contextPath에는 this.contextPath그 밑 port에서는 this를 사용하지 않았습니다.this를 생략하여도 같은 필드변수를 가져오는것일까요 ?(제 생각에는 같은 필드변수를 가져온다고 생각합니다. )두개가 어떤 차이를 가지는지 알고 싶습니다.( 제 생각엔 port 에도 this. 가 생략되어있다고 생각됩니다.) 질문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인텔리제이에서 경고 표시가 수업 화면과 다르게 나오는 현상
실제로 코드를 치면 이렇게 형광펜처럼 경고 표시가 나오는데 강의 화면에서는 밑줄로만 표시되어서요! 혹시 설정을 따로 진행하신걸까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기출 6회- 작업형 1 2번문제
안녕하세요 선생님! 2번문제에서 1~6학년까지의 학생수 합을 구하고 그걸 교사수로 나누는 부분에서 이렇게 강의와 똑같이 코딩을 하였는데 sum() 아래의 식이 출력되면서 실행할 때마다 전체학생수가 계속 늘어나더라구요,, 이건 왜 그런걸까요? sum식을 한번 써주고 주석처리해야하는걸까요?
-
미해결[2025 리뉴얼]플러터플로우로 코딩 없이 한달 안에 앱 만들기
파이어베이스 크리에이트 프로젝트 하면 create error 납니다
플러터플로우 관련 질문글을 자유롭게 작성해 주세요!문제가파이어베이스 크리에이트 프로젝트 하면 create error 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