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진짜 현업에서 쓰이는 직장인의 실무 엑셀 - 데이터 가공부터 분석까지
[3강] 자동 업데이트 관련 질문
강사님, 안녕하세요!수업에 나온대로 엑셀 매크로창에 VBA 코드를 입력하고 데이터가 10초마다 새로고침이 되긴 하는데요, 파일을 닫은 후에도 10초마다 파일이 다시 뜨면서 데이터가 새로고침 되는데 원래 파일을 닫은 후에도 파일이 다시 열리면서 데이터가 계속 새로고침 되는 건가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2023년 3회 기출
해당 파일 업로드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토비의 스프링 6 - 이해와 원리
수업 자료가 다운로드 되지 않습니다
제 개인적인 문제인지는 모르겠습니다만,수업 자료를 다운로드 하는 버튼을 클릭 시다운로드 된 압축 폴더(zip) 내에 아무것도 들어가 있지 않고,압축 풀기시에도 오류가 발생하고 있는데,어떻게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Autowired 기반 필드 주입 관련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Springboot 관련 프로젝트 진행 중 계속 해결되지 않는 문제가 있어 연락드립니다. 문제가 되는 클래스는 아래와 같은 추상클래스입니다. @Getter @Setter public abstract class A implements B { @Autowired private String proxyUrl; }@Configuration public class proxyUrlConfig { @Value("${environment_variable_name}") String proxyAddress; @Bean public String proxyUrl() { return proxyAddress; } } 해당 추상클래스에서는 위와 같이 @Configuration으로 스프링 컨테이너에 bean으로 등록된 url을 필드 주입으로 관리하도록 구현이 되어 있습니다. IntelliJ IDE에서도 해당 변수 옆에 bean 모양이 생겨 일단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인식은 되고 있는 상황인데, A 클래스에서 proxyUrl을 출력하면 null값이 나옵니다. 다른 클래스에서도 동일한 방식으로 필드주입으로 url을 사용하고 있는데, 다른 클래스에서는 문제없이 환경 변수에 입력된 url이 정상 출력됩니다. 혹시 A 클래스에서 추가적으로 작업해야 할 부분이 있을까요?? (@Service 어노테이션도 추가해보았지만 문제는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
미해결머신러닝 엔지니어 실무
강의에서 제공된 URL 접속이 안됩니다.
해당 강의 자료의 위 링크의 접속이 안됩니다.
-
미해결실리콘밸리 엔지니어에게 배우는 쿠버네티스 for SWE
service, pod 개념 질문
안녕하세요 Pod 관련 강의 실습을 따라해보면서 생긴 질문이 있어 이렇게 글 남깁니다.k get podk get service이렇게 두가지 커맨드를 사용해서 출력되는 결과가 각각 따로 있고 강사님께서는 nginx-service 에 대한 url를 minikube 에서 조회해서 보여주시는데,pod과 container 사이의 관계는 이해가 되었는데, 이번 강의에서 의미하는 service는 pod 과 같은 level에 있는 개념으로 이해했습니다. (kind 에서 정의 됨)이부분에 대한 설명이 좀 더 자세하게 예시와 함께 있으면 더 이해에 많은 도움 될 거 같습니다.또한 한가지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기술적인 정의 개념과 실제 k8s 를 활용한 가상의 서비스가 비유적으로 mapping이 되는 설명이 있다면 좀 더 처음 접근하는 사람들이 각각 개념들의 관계에 대해 좀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개정판]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위한 IntelliJ IDEA 설정
pom.xml 에 dependency 추가할때 정보는 어디에서 가져와서 작성하나요?
<dependency> <groupId>javax.servlet</groupId> <artifactId>javax.servlet-api</artifactId> <version>4.0.1</version> </dependency>groupId, artifactId, version 정보는 어디에서 가져와서 작성하나요 ?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NoSuchBeanDefinitionException: No bean named 'beanA' available 오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정확히 오류가 무엇인지 모르겠어요 ㅠㅠ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이늄 클래스 혹은 레코드 메서드 상속 시 인터페이스 default 메서드 사용에 대한 질문 드리고 싶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안녕하세요. 강의를 듣다가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인터페이스는 구현 메서드를 가능한 지양해야하므로 default 메서드는 하위 호환 등의 특별한 예외에서 사용해야한다는 말씀에 깊이 공감하고 있습니다.다만 이런 경우는 어떤 접근 방식이 좋을까요?프로젝트내 특정 이늄 클래스들 혹은 레코드들에 대해서 공통화된 메서드 처리를 하고 싶을 때 디폴트 메서드가 있는 인터페이스를 상속받아서 공통 기능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늄과 레코드는 클래스 상속이 안되어서 생긴 편법? 같은 느낌이 드는데요. 이에 대한 정석적인 접근 방식이 있을까요? .. 또한 이늄과 레코드는 상속을 못하게한 객체지향적인? 이유가 있을 것 같은데 혹시 어떻게 이해를 하면 좋을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CS 지식의 정석 | 디자인패턴 네트워크 운영체제 데이터베이스 자료구조
[페이지미스 부분] 프리페칭 관련 질문
미리 많이 사용될 것 같은 데이터를 미리 깔아 놓는 것을 프리페칭이라고 하셨는데, 가상이 아닌 '실제' 메모리에 깔아두는 건가요?내 요청이 프리페칭에 없는 경우 페이지미스가 뜬다고 했는데, 그럼 오류를 주고 여기서 끝인가요? 아니면 해당 요청에 맞게 메모리로 불러와서 처리를 하나요? 페이지미스 이후 무슨 일이 일어나는지 궁금합니다.프리페칭에서 페이지미스가 일어나면 데이터를 덮어쓴다고 되어 있는데, 결국 데이터를 불러들이는 과정은 있는건가요? 그런데 이거를 페이지폴트라고 하지는 않는 건가요?작업세트와 프리페칭 어떤 차이가 있는지 궁금합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채팅 구현했는데 소켓 연결이 됐다 안됐다 늦게 됐다 합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강의를 보고 참고해서 채팅 기능을 만들었습니다.그런데 a,b가 채팅화면에 들어왔을때 소켓 연결이 안되거나, 늦게 되거나 하는 경우가 있어서 제가 로직을 잘못짠건지 어딜 확인해야하는건지 조언을 들을수 있을까해서 문의 남깁니다.먼저 서버에서 이렇게 socket.io를 설정해주고/app.jsconst app = express(); const httpServer = new createServer(app); const io = new Server(httpServer, { cors: { origin: 'https://zzimzzim.com', credentials: true, }, });/utils/io.jsmodule.exports = function (io, db) { const userSockets = {}; const nsp = io.of('/messages'); nsp.on('connection', (socket) => { console.log('soket connected'); socket.on('disconnect', () => { console.log('-----------------user disconnected'); }); socket.on('login', (user) => { userSockets[user.id] = socket.id; console.log(userSockets, '-------------------------------userSockets'); console.log(`User ${user.id} connected with socket id ${socket.id} --------- 유저입장`); }) socket.on('sendMessage', async (data) => { try { const roomId = data.room.split('-').sort().join('-'); console.log(roomId, '---------------------------------roomId'); console.log(data, '---------------------------------data'); console.log(userSockets, '---------------------------------userSockets'); let room = await db.Room.findOne({ where: { room: roomId }, include: [ { model: db.User, as: 'RoomSender', attributes: ['id', 'email', 'gender', 'mbti'], include: [{model: db.Image}], }, { model: db.User, as: 'RoomReceiver', attributes: ['id', 'email', 'gender', 'mbti'], include: [{model: db.Image}] }, ] }); if (room) { room = await room.update({ content: data.content }); } else { const roomCreated = await db.Room.create({ SenderId: data.senderId, ReceiverId: data.receiverId, content: data.content, room: roomId, }) console.log(roomCreated, '------------------------------roomCreated') room = await db.Room.findOne({ where: { room: roomId }, include: [ { model: db.User, as: 'RoomSender', attributes: ['id', 'email', 'gender', 'mbti'], include: [{model: db.Image}], }, { model: db.User, as: 'RoomReceiver', attributes: ['id', 'email', 'gender', 'mbti'], include: [{model: db.Image}] }, ] }) } const savedMessage = await db.Message.create({ SenderId: data.senderId, ReceiverId: data.receiverId, content: data.content, room: roomId, }); // console.log(savedMessage, '------------------------Message saved'); console.log(room, '------------------------room saved'); const receiverSocketId = userSockets[data.receiverId]; if (receiverSocketId) { socket.to(receiverSocketId).emit('receiveMessage', savedMessage); socket.to(receiverSocketId).emit('receiveRoom', room); } else { console.log(`User ${data.receiverId} is not connected`); } } catch (error) { console.error('Error saving message:', error); } }); }) }클라이언트에서는선생님이 useSocket만든것과는 다르게useContext를 이용해서/src/app/(afterLogin)/messages/_component/SocketProvider.tsx'use client'; import { useSession } from 'next-auth/react'; import { ReactNode, createContext, useCallback, useEffect, useMemo, useState } from 'react'; import { io, Socket } from 'socket.io-client'; type Props = { children: ReactNode }; type SocketContextType = { socket: Socket | null; isConnected: boolean; disconnect: Function; goDown: boolean; setGoDown: Function; } export const SocketContext = createContext<SocketContextType>({ socket: null, isConnected: false, disconnect: () => { }, goDown: false, setGoDown: () => {}, }) export default function SocketProvider({ children }: Props) { const { data: session } = useSession(); const [socket, setSocket] = useState<any | null>(null); const [isConnected, setIsConnected] = useState(false); const [goDown, setGoDown] = useState(false); const disconnect = useCallback(() => { socket?.disconnect(); setSocket(null); }, [socket]); const value = useMemo(() => { return { socket, isConnected, disconnect, goDown, setGoDown } }, [socket, isConnected, disconnect, goDown]); useEffect(() => { console.log(socket, '-----------------------------------------socket???'); if (!socket) { const socketInstance = io(`${process.env.NEXT_PUBLIC_BASE_URL}/messages`, { withCredentials: true, }); socketInstance.on('connect', async () => { setIsConnected(true); console.log("소켓연결 성공!!!", socketInstance.id); // console.log(socketInstance, '--------------------socketInstance'); }) setSocket(socketInstance); } }, [socket]); useEffect(() => { if (socket?.connected && session?.user?.id) { console.log('--------------------------------------------socket emit login') socket?.emit('login', { id: session?.user?.id }); } }, [session, socket]); return ( <SocketContext.Provider value={value}> {children} </SocketContext.Provider> ) }이런식으로 만들고/src/app/(afterLogin)/messages/layout.tsximport { ReactNode } from 'react'; import SocketProvider from './_component/SocketProvider'; type Props = { children: ReactNode }; export default function Layout({ children }: Props) { return ( <SocketProvider> {children} </SocketProvider> ) }레이에다가 적용해주었습니다.이런식으로 해주면 소켓연결을 한번만 하고 원할때 메세지를 주고 받을 수 있을거라고 생각해서 적용한건데혹시 소켓 연결 관련해서 더 확인해야하거나 수정할 부분이 있을지 궁금합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코드팩토리] [초급] Flutter 3.0 앱 개발 - 10개의 프로젝트로 오늘 초보 탈출!
validate에러메시지 위치
validate 에러메시지가 생겼을때 Textfield 위치를 고정하고 싶습니다. 그런데 강의를 진행하면서 Expand로 여러 위젯을 감싸다 보니 방법을 찾기가 힘드네요.제가 원하는건 Sizedbox에 텍스트가 생기길 원합니다.
-
해결됨비전공자의 전공자 따라잡기 - 데이터베이스,SQL
설치 오류 질문드립니다.
남겨주신 링크로 다운해봤고 직접 들어가서도 다운해봤는데 저 상태에서 그냥 꺼지고 인스톨러가 실행이 안되는데 뭐가 문제일까요? 도움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개정판] 파이썬 머신러닝 완벽 가이드
강의자료
안녕하세요좋은 강의 열심히 듣고 있습니다.설명해주시는 PPT 자료는 받아볼 수 있는지요 ?
-
해결됨실무에 바로 적용하는 프런트엔드 테스트 - 1부. 테스트 기초: 단위・통합 테스트
만약 상호작용하는 컴포넌트에서 각각 상태를 관리하고 있다면
안녕하세요.효율적인 테스트를 위해 상태 관리는 상위 컴포넌트에 응집해서 관리하는것이 좋다고 하셨는데컴포넌트가 캡슐화 되어있으면 서로 상호 작용하는 컴포넌트지만 동일한 상태 조회를 각 컴포넌트에서 독립적으로 하게되는 경우도 있을거 같습니다.이런 경우는 테스트에 용이하도록 구현 코드를 수정해야하는지, 아니면 번거롭더라도 그대로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애초에 컴포넌트 설계를 잘못했다고 판단해야 할까요?
-
미해결취미로 해킹#2(해커의 컴퓨팅)
WSCC 유틸리티 인스톨 악성코드 검출
WSCC로 유틸리티 프로그램 이용 실습을 진행하기 위해서 인스톨 진행 도중에 악성코드가 여럿 검출되는데 2024 07 05 공식사이트에서 다운로드를 기준으로 WSCC 최신버전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파일인가요?
-
미해결[ 부트스트랩 5 ] 빠르고 스마트하게 웹 사이트 만들기 | Bootsrap 입문용
왜 flex-item box3 대신 .box3를 사용하나요?
<div class="container"> <div class="flex-item">1</div> <div class="flex-item">2</div> <div class="flex-item box3">3</div> </div>여기서 3번째 box만 class="flex-item box3" 하고 css 페이지에서 .box3이라고 해도 3번째 박스만 css적용이되는데 왜 이렇게 써야하는지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왜 flex-item box3{ padding:30px}이라고 하지 않는것인가요? 이런 코드는 또 어떤 경우에 적용할 수 있나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static 변수 질문있습니다
두번 째 코드에서 initialized = 1 로 바꿔주고initialize(); 함수로 다시 들어갈때static int initialized = 0; 을 다시만나는데 여기서 다시 0이 되는게 아닌건가요?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3: 유니티 엔진
world 좌표계, local 좌표계
transform.rotation = Quaternion.LookRotation(Vector3.forward); transform.position = transform.TransformDirection(Vector3.foward * Time.deltaTime * _speed);강의를 듣고, 질문글들을 읽어보았을때위의 코드에서 rotation일때 Vector3.forward는 world 좌표계에서의 (0, 0, 1) 이고, position일때의 Vector3.foward는 local 좌표계에서의 (0, 0, 1)이라고 이해했는데 Vector3가 어느경우에 world 혹은 local 좌표계에서 사용되는건지 이해가 잘 가지 않습니다.
-
해결됨실무에서 사용하는 클라우드 보안 프로그래밍 (AWS, Python, Terraform)
테라폼으로 람다 형상 관리 방법
안녕하세요모든 리전 알람에 람다.tf 강의 버전으로 배포하면 람다 콘솔에서 코드를 수정하는 경우 테라폼으로 추적이 안되더라구요.변경점을 추적하는 방법을 찾아보니, 대충 테라폼에서 배포할 때 zip 형태로 말아 배포할때마다 hash값을 비교해서 변경을 감지한다는거 같은데 이도 사실 제가 정확히 이해했는진 모르겠네요.사실 저는 개인적으로 람다가 워낙 자주 수정되니 그냥 최초 배포할 때 이후로 따로 추적은 안하고 git 같은 곳에서 버전관리를 하면 되지 않을까라고 생각합니다.아니면, 람다 함수를 git, s3 등에서 버전을 관리하고 테라폼 모듈에서 source를 git or s3와 같이 지정해주면 될 것 같은데 실제 운영하실 땐 어떤 방식으로 테라폼으로 관리하는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