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자바 동시성 프로그래밍 [리액티브 프로그래밍 Part.1]
자식 프로세스를 쓰는 이유
안녕하세요 선생님, 강의 정말 잘 듣고 있습니다.2장의 내용을 복습하다가 궁금한 점이 생겼어요 여러개의 자식 프로세스를 사용하는 것과 멀티스레드를 사용하는 것의 목적이 서로 상이할까요? 아파치의 woker mpm 방식의 경우에는자식 프로세스도 여러 개 생성하고 각각의 자식 프로세스들이 멀티 스레드 방식을 사용하고 있어서요... 어떤 이점을 취할 수 있는 경우에 자식 프로세스를 혹은 멀티 스레드를 선택하는 건가요? 제가 생각하기로 멀티스레드만을 사용할 경우에는 비교적 메모리 리소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지만, 가용성을 위해 여러 대의 서버 장비를 두어야 하고자식 프로세스가 많을 경우 한 서버의 자원은 많이 먹지만 하나의 장비 내 가용성이 높아지지 않을까 추측하고 있습니다...
-
미해결자바 동시성 프로그래밍 [리액티브 프로그래밍 Part.1]
커널 모드 전환시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강의 중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ㅎㅎ 커널모드로 전환 시 시스템 콜과 응용 프로그램 사이에 라이브러리라고 표기가 되어있던데, 자바일 경우 JNI를 의미하는 것이 맞으실까요??.. 병렬 스트림 사용에 대한 예시를 구글링 해보면, 따로 스레드 풀을 생성해서 만들지 않을 경우, 하나의 common 스레드 풀을 공유하여 사용해 스레드가 부족하게 될 경우를 대비해, 따로 별도의 포크조인 스레드 풀을 생성하라는 가이드가 많은데요,무분별하게 스레드 풀을 많이 생성했을 경우에 생기는 문제점들이 어떤 것이 있을지 알 수 있을까요?.. i/o가 잦은 프로세스에서 스레드의 개수가 많아 스레드들간의 컨텍스트 스위칭이 많은 경우에는 메모리 점유 외에 프로세스 성능에 크게 영향을 주지 않을 것이라고 생각 중이지만 다른 사이드 이펙트가 있을까 하여 질문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Interrupted()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스레드 강의 정말 잘 듣고 있습니다~인터럽트에서 궁금한점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isInterrupted()는 Thread.currentThread에서 실행할 수 있고,interrupted()는 Thread에서 실행할 수 있는데 그럼 혹시 다른 스레드에서 인터럽트를 실행해도Thread.interrupted()에 걸릴까 싶어 테스트를 해보니 그러지는 않더라구요.Thread.interrupted의 내부를 보니 currentThread()를 호출하긴하던데,Thread.currentThread.interrupted()가 안되는 이유는 스레드의 내부적인 부분으로 보면 될까요? 궁금해서 혹시하고 질문드렸습니다ㅠ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notifyall에서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마지막 notifyall에서 만약에 c1 다음에 p1이 락을 획득하면 나머지 c2, c3, c4, c5는 대기집합에 들어가나요 아니면 깨어있는 상태로 계속있나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synchronized lock 획득 질문, 스프링에서 synchronized 질문
이해 확인에 대한 질문입니다. synchronized는 메서드에서 현재 getBalance()랑 withdraw()에서 선언되었는데, lock은 객체가 가지고있다고 이해하고있습니다. synchronized 메서드가 실행시 lock을 가지고 간다면 synchronized가 선언되지 않은 메서드(동일 클래스)는 자유롭게 실행이 가능한거고,만약 synchronized withdraw가 스레드1에서 실행중이라면 스레드2가 synchronized getBalance()시 락을 획득할 수 없어서 대기해야하는 것이 맞나요? 2. 제가 스프링 DB2까지 강의를 듣고있는데, 스프링에서는 실제로 WAS의 스레드 풀에서 기본적으로 많은 스레드를 확보해두고 있는 것으로 알고있습니다. 해당 강의들에서 synchronized를 사용해본 기억은 없는 것 같아요. 기본적으로 스프링은 synchronized가 필요한 부분에 구현이 되어있는 걸까요?(싱글톤 빈에 대한 질문입니다!) 아니면 멀티스레드의 측면도 개발자가 직접 테스트하면서 최적화가 필요할까요?(아마 제 예상으로는 개발자가 직접하는 부분도, 스프링이 해주는 부분도 있을 것 같은데...) 스프링 고급편, 부트편이나 JPA 학습 시점에 알 수 있는 부분일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JoinMainV0에 관한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이런 식으로 출력이 되는데 코드에 어떤 문제가 있는 건가요?? Start 작업 시작 작업 시작 End 작업 완료 작업 완료 이런 식으로 출력 값이 떠야 하는데 어떤 문제가 있는 건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close()메소드
ExecutorService에서 close()메소드가 없다고 나오는데 close() 대신 shutdown()을 사용하는 건가요?
-
미해결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동시성 문제 해결방안
@Transactional public void decrease(Long id, Long quantity) { Stock stock = stockRepository.findById(id).orElseThrow(); stock.decrease(quantity); stockRepository.saveAndFlush(stock); }현재 강의 코드인데, 락을 사용해서 해결을 할 수도 있지만, 그냥 아래와 같이 JPQL을 사용해서 해결할 수 있지 않나요?@Transactional public void decrease(Long id, Long quantity) { Stock stock = stockRepository.findById(id).orElseThrow(); if (stock.getQuantity - quantity < 0) { throw new RuntimeException("재고는 0개 미만이 될 수 없습니다."); } stockRepository.decrease(id, quantity); }@Modifying @Query("UPDATE Stock s SET s.quantity = s.quantity - :quantity WHERE s.id = :id") public void decrease(@Param("id") Long id, @Param("quantity") Long quantity);락을 사용하는 것보다 이렇게 하는게 비용이 더 적을 것 같은데, 이렇게 하지 않는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
-
미해결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Datasource 분리 의미
커넥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네임드락을 사용하는 경우 각 트랜잭션마다 Datasource를 분리해주는 것이 좋다고 하셨는데,Datasource를 분리해준다는 것은 서로 다른 DB를 사용해야 하는 것인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메서드 영역에 있는 상수풀이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자바 8이후로는 힙 영역에 있다고 하는데 맞나요?? 자료에는 메서드 영역에 있길래 여쭤봅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개념이랑 원리는 이해하고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실사용은 Executor(멀티스레드), Look(동시성)을 위주로 사용하는 거죠?
-
미해결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네임드락 부모에(facade) 트랜잭션이 없을때
자식 service 메서드에 Propagation.REQUIRES_NEW속성은 그럼 필요 없는건가요? public class NamedLockStockFacade { private final LockRepository lockRepository; private final StockService stockService; public void decrease(Long id, Long quantity) { try { lockRepository.getLock(id.toString()); stockService.decrease(id, quantity); } finally { lockRepository.releaseLock(id.toString()); } } } ----------- @Transactional public void decrease(Long id, Long quantity) { Stock stock = stockRepository.findById(id).orElseThrow(); stock.decrease(quantity); stockRepository.saveAndFlush(stock); }이렇게 자식에만 트랜잭션이 걸려있으면, 커밋이 다되고 lock 풀리는거아니에요? 굳이 부모에 트랜잭션 붙이고 자식트랜잭션에서 NEW하는 이유가 있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unlock()을 호출 했을 때
ReentrantLock에서 lock.unlock()을 호출하면, 대기 중인 스레드들이 락을 획득하려고 서로 경쟁하게 됩니다. 제가 이해한 바로는, unlock이 호출된 후 스레드들중 락을 획득한 한개의 스레드는 RUNNABLE 상태로 전환되고, 나머지 락을 획득하지 못한 스레드들은 다시 WAITING 상태로 돌아가는 것이라고 알고 있습니다. 이 과정에서 스레드들이 경쟁하는 순간의 상태가 정확히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경쟁순간에는 락을 획득하려는 스레드들 모두 RUNNABLE 상태인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yield()를 추가해도 무한반복은 계속해서 발생하지 않을까요?
안녕하세요. 강의 수강 중 궁금한 것이 있어 질문드립니다.MyPrinterV4에서 yield()를 추가해도 인터럽트 되지 않은 상태에서 while문에서 무한 반복이 발생(성능저하의 근본 원인)하는 것은 V3와 동일하기 때문에 때문에 성능 향상이 있을까 싶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trylock(1500)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잘보고 있습니다. 강의 내용중 tryLock메서드 실습 부분에 서 tryLock에 인자로 500 밀리초를 넘겨 0.5초동안 락을 획득하지못하면 포기하는 것을 실습했습니다. 추가로 1500밀리초를 넘겨서 돌려봤는데 이때도 락을 얻지 못했습니다. 출금시간은 1초라서 락해제까지 완료가 된상태인데 왜 다음스레드가 락을 얻지 못할까여,, ㅠㅠ19:00:56.252 [ Thread-1] 거래 시작: BankAccountV519:00:56.252 [ Thread-0] 거래 시작: BankAccountV519:00:56.254 [ Thread-1] [검증 시작] 출금액: 800, 잔액: 100019:00:56.254 [ Thread-1] [검증 완료] 출금액: 800, 잔액: 100019:00:56.752 [ main] t1 state: TIMED_WAITING19:00:56.752 [ main] t2 state: TIMED_WAITING19:00:57.258 [ Thread-1] [출금 완료] 출금액: 800, 잔액: 20019:00:57.258 [ Thread-1] Thread-1 락 해제19:00:57.258 [ Thread-1] 거래 종료19:00:57.758 [ Thread-0] [진입 실패] 이미 처리중인 작업이 있습니다 if (!lock.tryLock(1500, TimeUnit.MILLISECONDS)) { log("[진입 실패] 이미 처리중인 작업이 있습니다") return false } lock.lock() //그냐 트라이랑 세트라 보삼 try { log("[검증 시작] 출금액: $amount, 잔액: $balance") if (amount > balance) { log("[검증 실패] 출금액: $amount, 잔액: $balance") return false } log("[검증 완료] 출금액: $amount, 잔액: $balance") Thread.sleep(1000) balance -= amount log("[출금 완료] 출금액: $amount, 잔액: $balance") } finally { log("${Thread.currentThread().name} 락 해제") lock.unlock() //언락 반드시 해야함 }코드가 코틀린인점 죄송합니다.. 자바랑 같은라이브러리를 사용해서 혹시나해서 여쭤봅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비공정 모드가 공정 모드가 빠른 이유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비공정 모드가 공정 모드가 빠른 이유가 뭔지 자세히 궁금합니다. 비공정 모드에서도 어느 정도 대기큐가 있다고 하셨는데 그 걸 제외하고 공정 모드에서는 대기큐를 사용하면 어떤 스레드가 다음 락을 가져야할 지 알기 때문에 좀 더 빠르지 않나? 라는 생각이 들어서요.. 그리고 비공정 모드에서는 반대로 대기큐를 사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공정 모드보다 락 얻기 위한 경합이 일어나서 좀 더 느릴 수 있는거 아닌가..? 싶어서 여쭤봅니다..시스템 상황에서 어떻게 비공정 모드가 공정 모드보다 빠른지 이해가 가지 않네요..ㅠㅠ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실무에서 excutor service사용
안녕하세요. 실무에서 시간이 오래소요되는 3개의 delete쿼리를 excutor service를 사용하여 멀티스레드형식으로 1개의 스레드가 1개의 쿼리를 수행하도록 구현해보고 싶습니다. 그런데 멀티스레드를 사용했을때 트랜잭션은 보통 어떻게 처리하시나요.. ? 저는 @transactional 을 선언해서 사용하고 있는데 이는 스레드1개당 트랙잭션이 생성되는거라 제가 의도한데로 롤백이 제대로 안될거라고 하더라구요.. 3개의 쿼리가 모두 성공했을때 커밋되고 그렇지않으면 롤백시키고싶은데 이부분에 대한 지식도 혹시 알수있을까요? 추가로 혹시 해당 질문 관련 강의를 개설해놓으신게 있다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네임드락과 분산락
네임드락에 대해 더 공부해보려고 구글링하는데네임드락이 MySQL에서 제공하는 분산락이라고 하더라구요 그럼 네임드락이 여러 개로 스케일 아웃된 DB 환경 혹은 스케일 아웃된 서버에서도 잘 동작한다는건데전자의 경우 (DB 분산) 네임드락도 결국 쿼리로 하나의 데이터베이스(MySQL)의 메타데이터에 락을 거는 것이기 때문에 다른 데이터베이스에서는 그게 안걸려 정합성 문제 해결이 안되지 않나요? 이렇게 되면 분산락이 아닌 것 같은데 왜 분산락일까요?ㅜㅜ후자의 경우라면 비관적락, 낙관적락, 네임드락 모두 잘 동작할 것 같은데(데이터베이스는 하나인 경우) 왜 분산락이라는게 따로 있는 걸까요..?
-
미해결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facade 패턴 질문
현재 진행중인 프로젝트에 Aop 구현은 힘들어서 facade를 통해 Redisson lock을 적용해보려고 합니다.facade 패턴을 처음 접해서 그런지 프로젝트에 어떻게 적용해야 할지 고민입니다.service 로직을 건들지 않고, facade 패턴을 사용해서 역할분리 한 거에 대해서는 이해했습니다만,mvc 패턴에서, controller가 결국 동시성 제어가 적용된 서비스를 이용하려면 service(createReservation)가 아니라 facade(createReservation)를 사용해야 하는데, controller가 service로도 동시성 제어가 적용되지 않은(사용해서는 안될) 메서드(createReservation)에 접근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문제가 될수도 있다고 생각했습니다.(비슷한 상황으로 컨트롤러가 reposiotry를 가끔 참조하기도 하는데, 이때의 경우는 service에 굳이 해당 로직을 만들지 않을때인데, 지금 같은 경우는 비슷한 로직이 service에도 있고, facade 에도 있는 경우라.. ) 협업에서 어떤 개발자의 실수로 service 계층의 createReservation(사용해서는 안될)가져다 쓸 수 있다는 것이 신경쓸 문제가 아닌지, 아니면 컨트롤러가 그 서비스의 메서드에 접근을 못하게 한다던지, 실제로 어떻게 적용하시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Redisson lock() vs tryLock()
반드시 실행 되어야할 서비스 로직에 lock(3,TimeUnit.SECONDS) 이럭식으로 사용하려고 하는데 tryLock() 대신 써도 될지 궁금합니다.코드 찾아보면, 다들 tryLock() 쓰시던데,시스템적으로 저렇게 계속 lock획득 대기 상태로 만들어 놓으면, 안되는건지 궁금합니다.lock 대기 상태일때도 커넥션이 잡혀있나요?lock 대기상태가 많아지면 서버가 다운될 수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