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헥사고날 아키텍처와 DDD
5년차 백엔드 개발자 이며 현재 섹션5. 헥사고날 아키텍처의 사실과 오해를 학습하고 있습니다.현업에서 신규 프로젝트를 준비 하면서 어떤 아키텍처를 가져가는 것이 좋을지 고민중에 강의를 접하게 되었습니다. 부동산 관련 데이터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를 개발 및 설계 단계에 있습니다. 제가 전부 리드하는 것은 아니지만 프로젝트 전반적인 부분을 개발 리드분에게 권한을 받고 저와 팀원 둘이서 백엔드 구조를 설계 하고 있습니다.수천만건 그 이상이 될 수 있는 데이터를 기반으로한 서비스를 계획 및 설계하고 있는데, 자바 스프링으로 서버를 구축 하려고 하는데 헥사고날 아키텍처를 저와 팀원은 경험 하지 못하였는데, 확장성 있는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 헥사고날 아키텍처 기반으로 어떤 구조 설계를 하는 것이 좋을지 ,,, 조언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후속 강의 출시 예정일 문의
안녕하세요!좋은 강의 제작해주셔서 감사합니다.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파트2 강의는 언제쯤 나오는지 알 수 있을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3편, 람다, 스트림, 함수형 프로그래밍
디폴트 메서드를 사용한 리펙토링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최근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코드 구조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현재 상황PostStrategy 인터페이스를 만들고 3개의 구현체를 두어, 홈 피드에 게시글을 조회하는 전략을 분리했습니다.인터페이스에는 homePosts() 관련 메서드가 여러 버전으로 존재합니다. (homePosts, homePostsV2, homePostsV3 등)public interface PostStrategy { boolean isExecutable(UserContext userContext); boolean requiresAuthentication(); PostSummaryResponse homePosts(int size, Long cursorPostId, String username); PostSummaryResponse homePostsV2(int size, Long cursorPostId, String username); PostSummaryResponse homePostsV3(int size, Long cursorPostId, UserContext userContext); ... } 문제 상황구현체 중 ForYouPostStrategy만 V2와 V3를 실제로 사용하고 있고, 나머지 구현체에서는 homePosts()만 호출하는 식으로 처리하고 있습니다. 처음엔 단순했는데 버전이 늘어나면서 인터페이스가 점점 커지고 불필요한 코드가 많이 생긴 상황입니다. 궁금한 점PostStrategy 인터페이스에 default 메서드를 정의해 공통 로직을 담고, 특정 전략에서만 필요한 부분을 오버라이드하는 방식으로 해도 괜찮을지 궁금합니다.또는 인터페이스가 아닌 다른 방식으로 리팩토링하는 것이 더 적절할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3편, 람다, 스트림, 함수형 프로그래밍
실무에서의 커스텀 Collector 사례 여부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현재 Stream API Collector 65강까지 수강 완료한 수강생입니다.먼저 강사님 덕분에 자바에 대해서 계속 공부하는 시간이 정말 즐겁니다! 감사합니다! 아래와 같은 질문 사항이 있어 남깁니다!실무에서 Collector를 직접 구현해야 하는 상황은 어떤 경우가 많나요?직접 Collector를 구현해야 하는 상황이 생긴다면 병렬 스트림에서도 안전하게 동작하도록 어떤 설계 포인트를 가장 중요하게 봐야 할까요? 다소 정답이 없는 질문이지만 방향성과 강사님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토비의 스프링 6 - 이해와 원리
테스트의 기준을 어떤식으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한 테스트일까요 ?
안녕하세요. 토비님!강의 정말 잘 듣고 있습니다. 테스트 코드를 작성해본 경험이 많지 않아서강의 내에서 테스트 단원을 보다가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강의의 예제는 paymentService 를 테스트 하는 코드를 작성하시고,스프링을 이용하지 않는 방법과 스프링을 이용해 DI 를 통한 테스트를 진행합니다.코드는 paymentService 의 prepare 메소드 하나를 검증하는데,사실은 3가지 목적. 적용환율, 원화 환산 금액, 원화 환산 금액 유효시간을 테스트 합니다.실제로 현업에서 사용하는 서비스 에서는 보다 많은 코드와 기능이 존재할테고,그에 따른 경우의 수도 기하급수적으로 많아질거라고 생각해요. 그렇다면 보통, 어떤 기준을 통해 테스트를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한 테스트 일까요 ?예를들어 제가 생각해본 여러가지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단순히 prepare 메소드 하나만. 메서드 단위로 테스트를 진행.메서드 안에 존재하는 메서드(예시 코드에서는 provider 메서드) 단위.목적에 따라서. 적용 환율을 잘 가져오는지, 원화 환산 금액이 잘 계산 되는지, 유효시간을 잘 지키는지.그 밖에 여러가지 방법.예를들어 기능이 잘 작동하는지 크게 테스트 한 뒤, 내부적으로 변동사항이 있을 법한 코드만 따로 분리해서 테스트. 물론, 프로젝트 특성이나 팀의 컨벤션, 서비스 코드를 작성할 코드의 특성에 따라서 달라지겠지만테스트 코드를 작성할 때는 너무 작게도, 그렇다고 너무 뭉뚱그려서도 안된다고 이해하고 있습니다.보편적으로 어떤 기준을 가지고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게 되나요 ?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무한 뎁스 댓글 테스트 데이터 삽입 질문
학습 관련 질문을 최대한 상세히 남겨주세요!고민 과정도 같이 나열해주셔도 좋습니다.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2뎁스 댓글 목록의 테스트 데이터 삽입 시에는 계층 구조까지 파악할 수 있게끔 작성이 되었는데무한 뎁스 댓글의 테스트 데이터 삽입은 계층 구조로 생성하지 않으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코틀린과 스프링 부트로 도서관리 애플리케이션 개발하기 (Java 프로젝트 리팩토링)
Querydsl 도입
querydsl이 쿼리를 코드로 작성하여 컴파일 시점에 오류를 감지할 수 있는게 가장 큰 장점인데 Spring JPA와 혼합하여 사용할떄 그 외에 장점이 또 있을까요 레거시 쿼리는 이미 사용되고 있어 이를 전환하기 위해 먼가 더 장점이 필요할 것 같아서요 아니면 레거시는 두고 신규 추가되는 부분만 Querydsl를 도입하는 식으로 가면 될까요?
-
미해결코딩으로 학습하는 GoF의 디자인 패턴
실무 코드에 디자인 패턴 적용 시의 '기준'에 대해 조언을 얻고 싶습니다.
강의를 들으며 정리한 내용을 바탕으로, 실무적인 관점에서 더 깊이 이해하고 싶은 부분이 생겨 질문드립니다.추석 연휴 동안 강의를 수강하고, 출근을 하여 실무에서 다루고 있는 코드를 보다보니 "이것도 OO 패턴으로 리팩토링 할 수 있을까?" 하는 유혹(?)을 이곳 저곳에서 느끼게 되었습니다.(특히, 상태 패턴과 전략 패턴을 도입 할 수 있어 보이는 코드가 상당히 많았습니다.) 책임 연쇄 패턴이나 커맨드 패턴처럼 유연성을 위해 클래스가 많이 늘어나는 경우, 얻는 이점보다 구조의 복잡함이 더 커지는 순간이 있을 것 같은데요. 결국은 본인 혹은 현실적인 실무 환경 등, 각자의 실무 환경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내용이지만 실무에서 "이 정도면 과하다. 그냥 if문으로 가자"라고 판단하시는 기준이나 경험적인 '신호'가 있다면 어떤 것일지 조언을 구하고 싶습니다.
-
미해결코딩으로 학습하는 GoF의 디자인 패턴
데코레이터 패턴, before 가 O(2^n) 인 이유
백기선님 안녕하세요.수강중 질문 사항이 있어 글 남깁니다.7분 구간에서 코드 증가량을 빅오로 비유하시며 before를 O(2^n) 로 설명하셨는데,2^n 판단의 전제를 더 설명해 주실 수 있을까요? 또 실무에서 패턴 선택 시, 중요하게 생각하시는 부분이 있으신지 궁금합니다. 마지막으로 자막에서 O(n) 을 “5에 n” 으로 표시하고 있어 제보드립니다. 확인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알고리즘 자료 구조들..
알고리즘을 풀때 주로 사용되는 자료구조랑 주로 어디에 쓰는지 알려주실 수 있나요?
-
미해결얄코의 떠먹여주는 객체지향 디자인 패턴
3-layer 에서의 파사드 패턴적용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들었습니다! 저는 SpringBoot를 주력으로 백엔드 개발을 하고있는데요. 주로 3-layer로 이루어진 계층형 아키텍처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때, Controller에서 Service를 호출한 후 서비스 계층에서 비즈니스 로직을 처리한 후 결과만을 Controller에 리턴해주게 될텐데요! 이런 경우에 Controller에서 하나의 Service 클래스에 비즈니스 로직의 실행을 위임하는 것을 파사드 패턴이라고 볼 수 있을까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Native Query와 MyBatis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대부분을 jpa로 작성하고(jpql, QueryDSL), 극 소수의 안되는 것들에만 JDBC Templates, MyBatis를 이용하는 것으로 이해했습니다. 1) 그렇다면 가급적 Native Query는 사용을 지양하는게 좋을까요? Native Query를 사용해야할 정도라면 사실 JDBC Templates나 MyBatis를 이용하는게 나을테니까요. 2) 만약 그렇다면 MyBatis 등을 처리하기 위한 패키지를 따로 구분해서 처리를 하게 되나요? 이 경우에 .flush()를 처리하기 위해서 entityManager 인스턴스도 가져와서 따로 해줘야할 것 같은데, 구조가 조금 복잡해지지 않을까? 걱정 됩니다.
-
미해결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StringBuilder vs BufferdWriter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출력이 나오는 문제에서 항상 이 두 개를 고려하곤 하는데 가끔은 기준이 안잡혀서 고민입니다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게시글 정보와 게시글 조회수 동시에 필요한 API 조회 질문
현재처럼 서비스 구조가 거의 테이블 단위로 DB와 API 서비스가 분리될 때,이런 구조에서 화면에서 리스트 형태로 두 도메인 데이터를 함께 조회해야 하는 경우가 있을 것 같습니다.예를 들자면 게시글과 게시글 조회 수를 함께 보여주는 리스트 API가 필요한 상황에서,단건 조회라면 프론트에서 별도로 API를 호출해도 괜찮을 것 같은데,페이징 처리나 리스트 형태로 여러 데이터를 묶어서 조회해야 할 때,실무에서는 보통한 서비스에서 다른 서비스를 RestClient(Feign 등) 로 호출해서 데이터를 합치는 방식으로 처리하는지,아니면, 같은 도메인 서비스로 묶어버린다던지아니면 프론트엔드에서 각각의 API를 호출한 뒤 병합하는 방식으로 처리하는지궁금합니다.실제 현업에서는 이런 경우 어떤 접근 방식을 주로 사용하나요?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entity 내부에 passwordEncoder 를 넣는다면 결합도를 높게 만들게 되는 것 아닌가요?
일단 제가 배운대로면 결합도를 낮추는 것이 좋은 코드라고 배웠는데, 왜 그렇게 만드셨는지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코틀린과 스프링 부트로 도서관리 애플리케이션 개발하기 (Java 프로젝트 리팩토링)
fetch join DISTINCT 중복제거
fetch join 부분이 조금 어렵게 느껴져서, gpt에게 물어보며 공부했습니다.강의에서 fetch join으로 나온 중복 데이터를 DISTINCT 키워드를 이용해서 제거해주시는 부분을 보았는데, gpt가 다음과 같이 설명해주는 것을 보았습니다.DISTINCT 키워드가 SQL과 JPA 양쪽에서 다르게 동작하기 때문에 완전한 중복 제거가 보장되진 않습니다.이 말이 맞다면 현업에서는 이런 문제를 어떤 식으로 해결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실무에서 중첩(내부) 클래스 사용하나요?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중첩 클래스를 학습하다 보니 실무에서도 종종 쓰일까 생각이 들었습니다.(쓰니까 있지 않을까 싶습니다?)예시로 Member, Role 과 같은 객체가 있을 때, 이 관계를 중첩 클래스로 표현하는 게 더 합리적일까요? 부족하다 보니 이런 고민이 드네요!(코드와 주관에 따라 다르겠지만 일반적인 경우로 가정)
-
미해결Spring WebFlux + LLM 실전 구현
순수 webflux 프로젝트의 가독성 팁 그리고 향후 kotlin을 활용한 프로젝트 계획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로 덕분에 webflux에 대해 쉽게 이해할 수 있었습니다. 저는 현재 kotlin으로 개발하는 프로젝트가 있어,webflux를 사용할때는 coroutine을 함께 사용하는데요, 이렇게 하면서 코드를 함수형처럼 짤 수 있어 보다 쉽게 동료들에게 보여줄 수 있었습니다. 혹시 강사님께서도 coroutine을 함께 사용하기도 하시는지, 그렇다면 java가 아닌 kotlin을 사용한 강의 계획이 있는지 궁금합니다.또한, 강의에서 쉽게 설명해주셨지만 비즈니스 로직이 좀 더 추가되는 경우 코드가 많이 복잡하고 가독성이 어려워지던데, 가독성을 위한 팁들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ps. webflux 2 프로젝트에는 사용 가능한 gmemini api key가 입력되어 있습니다. 😅
-
해결됨스프링부트로 직접 만들면서 배우는 대규모 시스템 설계 - 게시판
실제 실무에서도 이런식으로 쿼리를 작성하는지 궁금합니다!
학습 관련 질문을 최대한 상세히 남겨주세요!고민 과정도 같이 나열해주셔도 좋습니다.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안녕하세요.향로님의 추석 챌리지에서 우연히 제목을 보고 바로 구매했는데 아직 완강하지는 못했지만 정말 좋은 강의 같습니다!선배 개발자님이 개발하시는 느낌으로 보고있습니다! ㅎㅎ궁금한 점은 혹시 실무에서도 이런식으로 서브쿼리를 이용해서 대규모 데이터에 대해서 처리를 하는지가 궁금해져서 질문 남겨봅니다!
-
미해결토비의 클린 스프링 - 도메인 모델 패턴과 헥사고날 아키텍처 Part 1
인메모리 DB, 테스트 컨테이너 선택 기준이 있으신지 궁금합니다
강의에서는 H2 인메모리 DB를 이용해 테스트를 진행하셨는데,실무에서는 테스트 환경에서 실제 MySQL이나 PostgreSQL 같은 실제 운영 DB와 동일한 컨테이너 기반 테스트 DB를 사용하는 경우도 많은 것 같습니다.실무에서는 인메모리 DB와 컨테이너 DB 중 어떤 상황에서 어떤 것을 선택하시는지, 선택 기준이나 장단점에 대해 조언을 받을수 있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