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allocationSize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1. 처음 em.persist()를 할떄 allocation했던거 만큼의 시퀀스 값을 미리 가져와서 메모리에 값을 저장해놓는다. 이떄 1부터 50의 값이 메모리에 저장된다.2. db에 시퀀스의 값(현재값)은 50까지 줬으니 51로 되어있다.3. 이후 em.persist()를 하면 메모리에 있는 값이 사용되고, 만약 50까지 다 사용하고 나서 em.persist()를하게 되면 51부터 다시 allocation했던거 만큼의 시퀀스 값을 미리 가져와서 메모리에 값을 저장해놓는다. 이때 51부터 100의 값이 메모리에 저장된다. db에 시퀀스의 값(현재값)은 100까지 줬으니 101로 되어있다. 이러한 동작 과정으로 이해를 했는데요. 이렇게 이해하는게 맞을까요? + 근데 그럼 여쭤보고 싶은게em.persist()를 한번만 할 경우, call next value for MEMBER_SEQ5를 한번만 호출하고 이런식으로 되어있지만, em.persist()를 2번 이상으로 하게되면, call next value for MEMBER_SEQ5를 두번 호출하고 이런식으로 되더라구요... 그 이유를 도무지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섹션 6 -문제와 풀이 2 구조도 그림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섹션 6 -문제와 풀이 2 에 나온 문제를 간략하게 그림으로 도식화해보았습니다.제가 이해하고 있는게 맞는지 확인 부탁드려도 괜찮을까요?감사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count에 volatile을 붙이는 이유
문제가 되는 부분은 main 쓰레드와 work 쓰레드에서 flag 변경/확인 타이밍이 맞지 않아서인데 왜 count에도 volatile 키워드를 붙여주는 것인가요? flag에만 volatile을 붙인 경우에도 정상 동작하긴 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ProductAdminEx | Switch 사용
package study.array.ex;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ProductAdminEx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String[] productNames = new String[10]; int[] productPrice = new int[10]; int productCount = 0; while (true) { System.out.println("1. 상품 등록 | 2. 상품 목록 | 3. 종료"); System.out.print("메뉴를 선택하세요 : "); int option = sc.nextInt(); sc.nextLine(); switch(option) { case 1: if(productCount != 10){ System.out.print("상품 이름을 입력하세요 : "); productNames[productCount] = sc.nextLine(); System.out.print("상품 가격을 입력하세요 : "); productPrice[productCount] = sc.nextInt(); productCount++; } else System.out.println("더 이상 상품을 등록할 수 없습니다."); break; case 2: if(productCount != 0) { for (int i = 0; i < productCount; i++) { System.out.print(productNames[i] + " -> " + productPrice[i]); System.out.println(); } } else { System.out.println("등록된 상품이 없습니다."); } break; case 3: System.out.println("프로그램을 종료합니다."); System.exit(0); } } } } 마지막 문제풀이때 for문을 사용하지 않고 switch문을 사용하여서 풀었는데 어떠한 상황에서 FOR문을 사용해야 더 개선된 코드인지 SWITCH문을 사용해야 더 개선된 코드인지 분별이 잘 안갑니다. 이런 문제풀이때는 어떤걸 사용해야 하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ArrayExRef6 코드 질문있습니다.
[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package study.array.ex;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ArrayExRef6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 System.out.print("입력받을 숫자의 개수를 입력하세요:"); int[] numbers = new int[scanner.nextInt()]; System.out.println(numbers.length +"개의 정수를 입력하세요:"); // 입력 for (int i = 0; i < numbers.length; i++) { numbers[i] = scanner.nextInt(); } int min, max; min = max = numbers[0]; // 가장 작은 정수 for (int number : numbers) { if(min > number) min = number; } // 가장 큰 정수 for (int number : numbers) { if(max < number) max = number; } // 출력 System.out.println("가장 작은 정수: " + min); System.out.println("가장 큰 정수: " + max); } } 선생님의 기존 코드와 비교했을때 이런 로직으로 짜는것은 가독성이나 효율성(비효율적인 반복문 사용)이 떨어지는 코드일까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트랜잭션 범위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 @RestController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MemberController { // 도메인 클래스 컨버터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GetMapping("/members/{id}") public String findMember(@PathVariable("id") Long id){ Member 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id).get(); return member.getUsername(); } @GetMapping("/members2/{id}") public String findMember2(@PathVariable("id") Member member){ return member.getUsername(); } @PostConstruct public void init(){ memberRepository.save(new Member("userA")); } } MemberController 에서 @PostConstruct 부분을 보면, save 메소드가 보입니다. 일반적인 경우를 생각해보면, 서비스 계층에 @Transactional 이 붙어있고, 트랜잭션이 걸려있는 메소드를 통해서 리포지토리의 save 를 호출하니 리포지토리에도 트랜잭션이 걸려있다고 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그런데 위와 같은 경우에서는 리포지토리에 트랜잭션이 안 걸려있습니다. JpaRepository 의 상위 인터페이스나 클래스를 찾아가면서 save 에 트랜잭션이 걸려있는지 확인을 해보았으나 없었습니다. 그렇다면 트랜잭션이 걸려있지 않은데, 어떻게, 어떤 시점에 커밋이 이루어져서 db 에 반영이 된 것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자바는 강의는 어느정도 학습해서 익히면 좋을까요 :?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이번에 스프링을 듣고 있는 취준생입니다.자바 스프링으로 취업준비하기 위해 듣고 있는데스프링과 스프링부트 로드맵을 위주로 강의를 들으려고 하고 있습니다.근데 자바가 익숙치 않아서 김영한님의 자바강의를 보고 있는데자바는 어느정도 강의까지 들으면서 익혀야 스프링과 스프링부트 Jquery에 익숙하게 학습이 가능할까요? 너무 질문 수준이 낮아서 죄송합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11분 14초 i++
문제에 i++은 후치 연산자여서 i에 0을 넣고 다음 내용을 실행 한 후 값이 증가한다고 생각했는데 왜 i++을 통해서 값이 0에서 1로 증가되는지 궁금해서 질문드리게 되었습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String, Long
[질문 내용]기본 키 매핑 4분 10초 쯤에 id 필드에 @GeneratedValue() 어노테이션의 기본전략을 IDENTITY로 바꾸시고 실행을 하였을 때 김영한 강사님께서는 id 필드의 타입이 String이었습니다. 그런데 에러없이 잘 실행되더라고요. 그래서 저도 같은 코드에 실행을 하였을때는 에러가 나오고 아래에 콘솔에 나온 로그처럼 DDL이 실행이 에러난다고 표시가 나서 해결법을 찾는 과정에서 String타입을 Long타입으로 고치니 다시 재실행하였을 때 문제없이 DB에 잘 반영이 되었습니다. 어떤 차이로 이렇게 결과가 다른건지 궁금합니다.WARN: GenerationTarget encountered exception accepting command : Error executing DDL " create table Member ( id varchar(255) generated by default as identity, name varchar(255) not null, primary key (id) )" via JDBC [Feature not supported: "CHARACTER VARYING(255)";]org.hibernate.tool.schema.spi.CommandAcceptanceException: Error executing DDL " create table Member ( id varchar(255) generated by default as identity, name varchar(255) not null, primary key (id) )" via JDBC [Feature not supported: "CHARACTER VARYING(255)";] at org.hibernate.tool.schema.internal.exec.GenerationTargetToDatabase.accept(GenerationTargetToDatabase.java:94) at org.hibernate.tool.schema.internal.Helper.applySqlString(Helper.java:233) at org.hibernate.tool.schema.internal.Helper.applySqlStrings(Helper.java:217) at org.hibernate.tool.schema.internal.SchemaCreatorImpl.createTables(SchemaCreatorImpl.java:420) at org.hibernate.tool.schema.internal.SchemaCreatorImpl.createSequencesTablesConstraints(SchemaCreatorImpl.java:340) at org.hibernate.tool.schema.internal.SchemaCreatorImpl.createFromMetadata(SchemaCreatorImpl.java:239) at org.hibernate.tool.schema.internal.SchemaCreatorImpl.performCreation(SchemaCreatorImpl.java:172) at org.hibernate.tool.schema.internal.SchemaCreatorImpl.doCreation(SchemaCreatorImpl.java:142) at org.hibernate.tool.schema.internal.SchemaCreatorImpl.doCreation(SchemaCreatorImpl.java:118) at org.hibernate.tool.schema.spi.SchemaManagementToolCoordinator.performDatabaseAction(SchemaManagementToolCoordinator.java:256) at org.hibernate.tool.schema.spi.SchemaManagementToolCoordinator.lambda$process$5(SchemaManagementToolCoordinator.java:145) at java.base/java.util.HashMap.forEach(HashMap.java:1421) at org.hibernate.tool.schema.spi.SchemaManagementToolCoordinator.process(SchemaManagementToolCoordinator.java:142) at org.hibernate.boot.internal.SessionFactoryObserverForSchemaExport.sessionFactoryCreated(SessionFactoryObserverForSchemaExport.java:37) at org.hibernate.internal.SessionFactoryObserverChain.sessionFactoryCreated(SessionFactoryObserverChain.java:35) at org.hibernate.internal.SessionFactoryImpl.<init>(SessionFactoryImpl.java:315) at org.hibernate.boot.internal.SessionFactoryBuilderImpl.build(SessionFactoryBuilderImpl.java:450) at org.hibernate.jpa.boot.internal.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build(EntityManagerFactoryBuilderImpl.java:1507) at org.hibernate.jpa.HibernatePersistenceProvider.createEntityManagerFactory(HibernatePersistenceProvider.java:55) at jakarta.persistence.Persistence.createEntityManagerFactory(Persistence.java:80) at jakarta.persistence.Persistence.createEntityManagerFactory(Persistence.java:55) at hellojpa.JpaMain.main(JpaMain.java:10)Caused by: org.h2.jdbc.JdbcSQLFeatureNotSupportedException: Feature not supported: "CHARACTER VARYING(255)"; SQL statement: create table Member ( id varchar(255) generated by default as identity, name varchar(255) not null, [50100-232] at org.h2.message.DbException.getJdbcSQLException(DbException.java:568) at org.h2.message.DbException.getJdbcSQLException(DbException.java:489) at org.h2.message.DbException.get(DbException.java:223) at org.h2.message.DbException.get(DbException.java:199) at org.h2.message.DbException.getUnsupportedException(DbException.java:287) at org.h2.command.ddl.SequenceOptions.getBounds(SequenceOptions.java:316) at org.h2.command.ddl.SequenceOptions.getBounds(SequenceOptions.java:244) at org.h2.schema.Sequence.<init>(Sequence.java:100) at org.h2.table.Column.initializeSequence(Column.java:502) at org.h2.command.ddl.CommandWithColumns.generateSequences(CommandWithColumns.java:103) at org.h2.command.ddl.CreateTable.update(CreateTable.java:113) at org.h2.command.CommandContainer.update(CommandContainer.java:139) at org.h2.command.Command.executeUpdate(Command.java:304) at org.h2.command.Command.executeUpdate(Command.java:248) at org.h2.server.TcpServerThread.process(TcpServerThread.java:386) at org.h2.server.TcpServerThread.run(TcpServerThread.java:193) at java.base/java.lang.Thread.run(Thread.java:842) at org.h2.message.DbException.getJdbcSQLException(DbException.java:568) at org.h2.engine.SessionRemote.readException(SessionRemote.java:650) at org.h2.engine.SessionRemote.done(SessionRemote.java:619) at org.h2.command.CommandRemote.executeUpdate(CommandRemote.java:237) at org.h2.jdbc.JdbcStatement.executeInternal(JdbcStatement.java:262) at org.h2.jdbc.JdbcStatement.execute(JdbcStatement.java:231) at org.hibernate.tool.schema.internal.exec.GenerationTargetToDatabase.accept(GenerationTargetToDatabase.java:80) ... 21 more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구조체 기초질문
2:41초 부분 질문드립니다.구조체에서 퍼슨1.네임 = 퍼슨(위켄코드)을 복사한다고 설명하시는데 맨위에 스트럭트 구조체 char name[50] 여기에 들어간다는 말씀인가요? 그리고... for문에서 사이즈 오브로 크기를 잰다음 복사하는거 같은데 한자한자씩 들어가는건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기본형&참조형 변수대입2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안녕하세요, 강의 너무 잘 보고 있습니다.Data dataA = new Data(); 부분에서 궁금한 점이 생겨 여쭤보게 되었습니다. dataA 라는 것은 저는 인스턴스가 생성될 때 인스턴스의 이름인 줄 알았는데 이것은 인스턴스의 이름이 아니라 참조 변수의 이름이 맞는지가 궁금합니다. 그리고, 실질적으로 인스턴스가 생성되는 부분은 dataA 부분이 아니라 new Data() 쪽에서 인스턴스가 생기는지와, 그렇게 되면 생성된 인스턴스 자체에는 이름이 없는지가 궁금합니다. 좋은 강의 제공해주셔서 항상 감사드립니다 !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날짜/ 시간 클래스 질문 서포터즈님들 답변좀요 ㅠ
[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package time.test; import java.time.DayOfWeek; import java.time.LocalDate; import java.time.temporal.TemporalAdjusters;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TestCalendarPrinter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anner = new Scanner(System.in); String[] dayOfWeeks = {"SUNDAY", "MONDAY", "TUESDAY", "WEDNESDAY", "THURSDAY", "FRIDAY", "SATURDAY"}; System.out.print("년도를 입력하세요: "); int year = scanner.nextInt(); System.out.print("월을 입력하세요: "); int month = scanner.nextInt(); LocalDate ldt = LocalDate.of(year, month, 1); int lastDay = ldt.with(TemporalAdjusters.lastDayOfMonth()).getDayOfMonth(); System.out.println("lastDay = " + lastDay); String firstDayOfWeek = String.valueOf(ldt.getDayOfWeek()); System.out.println("Su Mo Tu We Th Fr Sa"); int count = 0; for(int day=1; day<=lastDay; day++){ if(day == 1) { for (String dayOfWeek : dayOfWeeks) { if (dayOfWeek.equals(firstDayOfWeek)) { System.out.print(" " + 1); break; } System.out.print(" "); System.out.print(" "); count++; } System.out.print(" "); continue; } if(1<day&&day<10){ if(dayOfWeeks[0].equals(String.valueOf(LocalDate.of(year, month, day).getDayOfWeek()))){ System.out.println(); } System.out.print(" "+day); }else{ if(dayOfWeeks[0].equals(String.valueOf(LocalDate.of(year, month, day).getDayOfWeek()))){ System.out.println(); } System.out.print(day); } System.out.print(" "); //요일마다 한 칸 공백 } } } 달력문제 코드로 직접 구현해봤고, 답은 잘 나오는데 너무 뭔가 코드가 깔끔하지 않고, 지저분한 거 같은데, 별로같나요? 갈길이 먼거 같네요. 이런 상황에서 어떻게 스스로 리팩토링 하나요..? 강의는 날짜/시간 클래스 여기까지 배워서 뭐 스스로 리팩토링 하는 방법도 모르겠는데 그냥 진도 쭉쭉 나가면서 공부하다보면 자연스레 깨닫게 될까요? 뭐 지금 날짜/시간 연습문제 포함, 기초편부터 현재 진도까지 모든 연습문제를 답지 안보고 스스로 1~3문제 빼곤 다 풀었는데, 코드가 지저분하고 시간이 좀 오래 걸린게 마음에 걸리긴 합니다. 서포터즈님들의 답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교재 문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안녕하세요.교재 판매는 없고, pdf파일 직접 프린팅 하는 것만 있는 거죠?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윈도우 cmd gradlew build 오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네) <- 해결이 안 됨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윈도우에서 gradlew build 오류가 뜨는데 해결 방법을 모르겠습니다. 자바 버전이 문제인가 싶어 확인해 봤는데, 인텔리제이랑 cmd에선 21 버전으로 뜹니다. 근데 gradlew build 명령어를 입력하면 작동이 되지 않습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Memberrepository작성후 memberRepositoryTest에서 오류발생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mememberrepository를 작성한 이후 memberrepository에서 오류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ChronoField질문
[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이 사진 보면, LocalDateTime클래스에서 날짜와 시간만 정해준거뿐인데, ChronoField클래스에 언제 정보가 담겨서 저렇게 사용이 가능한건가요? 저런거까지 깊게 파고들기보다는 그냥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초점 잡아 공부하는게 나은거겠죠?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회원을 바꾸고 재실행했을때 DB 데이터
[질문 내용]12:57 쯤에 김영한 강사님께서 데이터를 바꾸고 재실행했을 때 h2 database의 데이터 목록에서 기존 1, helloA와 2, helloB가 같이 나오는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저도 따라서 기존 회원데이터를 2L, helloB 로 변경하고 실행했을 때 제 h2 데이터화면에서는 바뀐 데이터값만(2, helloB) 출력되더라고요. 동일한 환경과 셋팅을 하였지만 왜 저는 이렇게 다른 결과가 나오게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HTE 테이블 생성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H2에 연동해서 테이블을 생성하면 이렇게 HTE 테이블도 자동으로 생성이 됩니다. 코드는 강의 자료에 있는 그대로 했는데도 이렇게 뜨는데 HTE 테이블이 왜 생기는 걸까요?
-
해결됨김영한의 자바 입문 - 코드로 시작하는 자바 첫걸음
자바 입문 강의: ScannerWhileEx3 질문입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 [질문 내용] 안녕하세요, 자바 입문 강의를 수강하고 있는 병아리 입문자입니다. 일단 지나치게 기초적인 질문이라면 죄송합니다. 다만 강의와 수업 자료에 설명이 생략되어 있어 질문 드립니다. 자바 입문 강의의 ScannerWhileEx3 문제에서(7. 훈련 파트) int input에 scanner.nextint() 기능으로 사용자 입력을 받는다는 것은 이해했습니다. 그런데 어차피 매개변수 input에 사용자 값을 입력 받을 텐데 굳이 int input = 0;으로 초기화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강의를 듣기 전에 제가 input를 선언하기만 하고 바로 사용자 값 입력을 받았을 때는 무탈히 프로그램이 작동된 것 같아 더 의문이 듭니다.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build.gradle 수정(No junit.jar 에러)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권기선님, 공식 서포터즈 OMG입니다.자바 버전을 현 시점 스프링 부트와 호환 가능한 버전으로 진행할 경우(start.spring.io 사이트에서 선택 가능한 자바 버전들)build.gradle을 별도로 복사하여 붙여넣기보다는 강의 영상과 같이 프로젝트 생성 사이트 내에서 선택한 의존성 그대로 사용하시길 권장드립니다.감사합니다.==================>다른 분 댓글로 이렇게 써져있는 걸 봤는데 제가 섹션 5를 듣다가 No junit.jar 에러가 계속 떠서 제시해주신 대로 해결을 해보려고 했는데, 해결이 안돼서 결국 다시 처음부터 프로젝트 생성을 하고 있습니다. https://www.inflearn.com/community/questions/1490836/%EA%B0%91%EC%9E%90%EA%B8%B0-no-junit-jar-%EC%97%90%EB%9F%AC%EB%A1%9C-run%EC%9D%B4-%EC%95%88%EB%90%A9%EB%8B%88%EB%8B%A4->제가 섹션5에 질문했던 내용이고, 답변했던 내용대로 하기위해서 당시에 build.gradle을 수정했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에러가 계속 발생해서 지금 다시 생성해서 할 때는 수정을 해야할지 고민이됩니다.아무래도 시간이 좀 흘렀다보니 강의 내용과 다른 점이 있는데, depedencies에 추가하거나 수정해야할 부분이 있을까요? 이미 비슷한 답변을 봤지만, 저는 변경하지 않았다가 No junit.jar에러가 계속 생겼어서 다시 여쭤봅니다. 또 강의에서는 sourceCompatibility로 자바버전을 나타냈는데, 자동생성된 파일에서는 java{}로 묶여서 자바버전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거 그대로 두고 넘어가도 되나요?그리고 제 생각에는 테스트 서버를 돌리고 나서 문제가 생긴 것 같은데 관련이 있을 수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