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프로젝트로 배우는 Python 챗봇 & RAG - LangChain, Gradio 활용
Tavily 검색 도구, CrewAI Sequential Agent 활용 방법 (실습) 수업자료.
안녕하세요! " Tavily 검색 도구, CrewAI Sequential Agent 활용 방법 (실습) "수업에서, dependencies를 제공된 수업자료에서 붙여넣으면 된다고 하셨는데, 제공된 수업자료에는 dependency 부분이 없습니다..수업자료는 test.ipynb밖에 없는데 해당 ipynb 파일에는 dependency 목록이 없어서 인강을 보고 tool poetry dependancies를 직접 쳐야 하는건지 난감한 상황이에요. 시간되실 때, 부디 회신 문의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2 - 언리얼 게임 프레임웍의 이해
콤보액션 관련해서 질문 남깁니다
디버그를 할때 EffectiveFrameCount 에 Num=4 가 지정되 있는대 이것이 4개의 항목이 안에 있다는 의미가 맞을까요?? 그리고 콤보엑션에서 다음콤보로 넘어가지 않을때에 어느부분을 봐야하나요?? CurrentCombo는 정상적으로 1에서 2로 바뀝니다
-
미해결파이썬 셀레니움 고급편 (python selenium - 크롤링, 크롤러)
네이버 로그인시 접근 방식에 대해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샐러리움 모바일 상태에서 네이버 로그인하려는데 [1번: 네이버 메인화면에서 바로 로그인 사이트 주소로 타이핑 하여 들어가는 방법]과 [2번 : 네이버 모바일에서 하나하나 클릭하는 코드를 만들어서 로그인 화면으로 들어가는 방법] 2가지 방식을 알게 되었습니다.그런데 1번 방법으로 접근할 경우 iP보안 란이 뜹니다. 내용을 읽어보면 이걸 무시하고 진행하기 보다는 해제한 상태에서 진행하는 것이 사전에 문제를 차단할 수 있는 방법으로 보입니다. 반면 2번에는 일너 ip보안 창이 나오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생략 되는 건지 어떤건지는 모르겠습니다 )그렇다면 1번의 방식으로 접근하는 것이 크롤링을 덜 차단당 할 수 있는 안전한 방법인가요?1. https://nid.naver.com/nidlogin.login?mode=form&url=https://m.naver.com https://nid.naver.com/nidlogin.login?svctype=262144&url=https%3A%2F%2Fm.naver.com%2Fna%2F
-
해결됨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쿠버네티스 버전에서의 토큰 검사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들었습니다.기존에 로그인 후 발급한 토큰을 apigateway에서 검사했었는데 k8s 버전에서는 별도로 토큰을 검사하지 않는 것 같습니다. 로그인하는 의미가 없어질 것 같은데 이부분을 추가하려면 각 서비스에 따로 추가를 하는게 좋을까요?아니면 중앙으로 처리하는 방법이 따로 있을까요?
-
미해결아두이노 응용 시리즈 2 - 자동화 텃밭 급수 시스템 개발
궁금해요!
강의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크기가 10바이트인데 온도센서에서 4바이트, 습도 센서에서 4바이트를 복사하는데 왜 10바이트를 전송하는 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MemberServiceIntegrationTest 에서 Service대신 Repository로 테스트하는 이유가 궁금해요
6강 스프링 DB 접근 기술.pdf 내용을 보면 MemberServiceIntegrationTest 에서는 MemberService로 join하고 Id를 찾는 내용은 Repository 를 통해 수행하는데요. service에 대한 테스트 코드기때문에 이전에 작성한 MemberServiceTest에서처럼 Service로 일관되게 사용하는게 맞지않나요? MemberServiceIntegrationTest .java//WhenLong saveId = memberService.join(member);//ThenMember find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saveId).get(); assertEquals(member.getName(), findMember.getName()); MemberServiceTest.javaLong saveId = memberService.join(member); Member findMember = memberService.findOne(saveId).get(); assertThat(member.getName()).isEqualTo(findMember.getName());
-
미해결[2025년 출제기준] 웹디자인기능사 실기시험 완벽 가이드
각 타입별 이미지 크기 제작 / 주조색&보조색
각 타입별 이미지 크기 제작할 때 가. A,B타입 (width: 1200px, height: 300px) 나. C타입 (width: 800px, height: 350px)로 제작하면 되는데 D,E,F유형에는 100%로 구성되어있는데 전체 몇 px로 구성해서 만들면되는지 궁금합니다. 주조색&보조색의 의미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모든 스레드가 wait 상태
강의 4분대 그림에서 c0가 queue 가 비어서 wait 상태로 들어가면 notify를 호출하지 않기때문에 모든 스레드가 wait 상태에 들어가지 않나요? while문을 벗어나야 notify를 호출할 수 있잖아요.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Gradle에서 (Gradle -> intelliji IDEA 수정후 실행시 자동종료되는문제)
plugins { id 'java' id 'war'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3.3.2'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1.6' } group = 'hello' version = '0.0.1-SNAPSHOT' java { toolchain { languageVersion = JavaLanguageVersion.of(21) } } configurations { compileOnly { 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 } }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providedRuntime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omcat'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testRuntimeOnly 'org.junit.platform:junit-platform-launcher' } tasks.named('test') { useJUnitPlatform() } 초기에 Setting에서 Gradle 일때는 잘 실행되었는데, intelliji IDEA로 수정을 한 이후에 실행을 하면 실행후 종료버튼을 누르지 않았는데 자동으로 종료되는 문제가 있습니다..
-
미해결신입사원에게 들려주는 - MCU SW 직무 기초 개념완성
register 관련하여
Flash Controller의 register와 CPU의 register랑 다른건가요??만약 다르다면 Flash를 read/write할 때 Flash Controller, CPU register 끼리 상호작용이 있는건지 궁금합니다. 위 질문과 관련 없더라도 관련 및 필요한 내용이라면 자세하게 설명해주시면 너무 감사할 것 같습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회원 이름 필수 입력' 기능
안녕하세요. 웹계층 회원등록 부분 강의 따라서 코딩하고, HTML 파일도 복붙했는데홈페이지에 이름을 입력 안 해도 '회원 이름을 필수입니다' 메세지가 뜨는 반응이 없이 redirect됩니다. h2에는 이름이 비어 있는 상태로 데이터가 들어와 있습니다. @NotEmpty가 왜 작동하지 않는지 질문드립니다. https://drive.google.com/file/d/1jvu4wiWz3GwoZ3YazNDJWsFTOxgSqt-M/view?usp=sharing
-
미해결코딩으로 학습하는 GoF의 디자인 패턴
혹시 다음강의는 언제쯤..
이펙티브시리즈2탄까지나왔었죠?한1년기다린거같은데 아직 안나와서 한번 질문을 여기서..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readonly 트랜잭션에 update를 수행하는 분리된 트랜잭션 메서드를 호출 할 때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영한님이번에 트랜잭션 적용하면서 @Transactional(readOnly = true) 가 붙은 조회 메서드 내부에 @Transactional(propagation = Propagation.REQUIRES_NEW)가 붙은 외부 클래스의 메서드가 사용 될 때물리 트랜잭션이 분리되었고 각각 다른 트랜잭션임에도변경감지가 적용안되는 부분이 궁금했습니다.아래는 궁금한 부분에 대한 테스트를 진행한 코드입니다. @Service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TeamService { private final TeamRepository teamRepository; private final TeamExternalService externalService; @Transactional(readOnly = true) public Team findTeamWithNameChangeExternal(Team team, String name) { Team findTeam = teamRepository.findByName(team.getName()); externalService.changeName(findTeam, name); return findTeam; } } @Service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TeamExternalService { @Transactional(propagation = Propagation.REQUIRES_NEW) public void changeName(Team findTeam, String name) { findTeam.setName(name); } } @Test void findTeamWithNameChangeExternal() { Team team = new Team("team"); Team savedTeam = teamRepository.save(team); teamService.findTeamWithNameChangeExternal(savedTeam, "changeName"); Team findTeam = teamRepository.findByName("changeName"); assertThat(findTeam.getName()).isEqualTo("changeName"); }같은 클래스에서 내부 호출 할 경우에는 REQUIRES_NEW를 적용하더라도 같은 프록시 객체로 해당 메서드가 호출된 상위 트랜잭션의 옵션을 그대로 따라 가기 때문에 변경 감지가 적용안된다고 생각했어요 하지만 이와 다른 외부 클래스의 분리된 트랜잭션에서는 변경 감지가 일어나는 것이 정상이라고 생각했는데왜 변경 감지가 일어나지 않는 것일 까요 ..? 아래는 궁금해서 디버그를 찍어봤어요보니가 두 트랜잭션의 번호가 Transaction@13592로 같고 REQUIRES_NEW가 적용된 트랜잭션의 경우에는 oldTrasactionInfo 이라는 정보를 갖고 해당 메서드를 실행하는 @Transactional(readOnly = true)옵션이 적혀있더라구요 ??그렇다면 내부 호출이 아닌 외부 호출이라도readOnly = true로 조회 성능을 챙기면서 변경 감지를 사용할 순 없는 것인가요 ??
-
해결됨MFC Windows 프로그래밍 - 기본
커스텀 드로우에 대해서도 다루나요?
아직 전부 듣지는 못했지만, 혹시 후반부에 커스텀 드로우에 관해서도 다루나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생산자 소비자 문제2] Lock(ReentrantLcok) 강의 화면의 이미지와 강의 자료가 다르게 나와 있습니다.
강의에서는, ReentrantLock 의 대기 큐까지 포함된 이미지로 설명을 하시는데, 강의 자료에서는, 대기 큐가 빠진 상태로 나와 있습니다. [강의 화면] [강의 자료]S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2-B 질문
2-B 질문코드를 작성하고 정답 코드도 비교해보고 했는데 같은 것 같은데 왜 틀렸다고 뜨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2-Bhttps://www.acmicpc.net/source/82329714
-
해결됨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lombok과 autowired의 관계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lombok은 생성자나 set, get 등 코드를 간결하게 해주는 라이브러리라는 걸 확인했습니다.그리고 lombok으로 @---ArgsConstructor 와 같이 애노테이션을 지정해주어서 생성자를 생략했을 때,lombok 라이브러리 안에 생성자가 존재 -> Spring Container에서 생성자를 찾을 때 lombok 에서 정의된 생성자 참조 -> 생성자가 하나이므로 Autowired가 호출되고 이어서 의존관계 주입의 과정을 거치는 게 맞나요?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Flutter 3.0 앱 개발 - 10개의 프로젝트로 오늘 초보 탈출!
home-brew 설치하기 관련 notion 접속불가하네요!
Flutter 설치강좌에서 home-brew 설치하기 강좌보고있습니다. 다만 영상에서 보여주시는 notion에 있는 설치커멘드를보려고 하니 접속이 불가능하네요 brew환경변수 등록코멘드를 복사해서 입력하고 싶은데이제 노션은 더이상 사용안하시는 건가요?
-
해결됨딥러닝 이론 + PyTorch 실무 완전 정복
Normalization 질문
안녕하세요, 수업 설명 감사드립니다. cnn이 아닌 일반적인 fully connected NN (multi-layer perceptron) 에서 혹시 batch/instance/layer normalization 을 어떻게 계산하는지 설명을 부탁드려도 될까요 (그림으로 표현해 주시면 더 좋을거 같습니다.)MLP에서라면 small c가 특정 hidden layer의 node/unit에 대응될거 같고 large C가 layer 전체를 표현할거 같은데, H,W는 무엇인지 이해가 잘 되지 않습니다. 특히, MLP에서 instance normalization의 평균/분산을 구할 수가 있을지 궁금합니다 (단일 값 하나일거 같은데..)강사님께서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알려주시면 감사드리며, 제가 잘못 이해한 부분이 있으면 코멘트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하나만 더 질문드리고 싶습니다.강의안에서 x_nhwc는 벡터일까요? 아니면 scalar 값일까요? Normalization의 경우에 feature간 (예, 인풋 변수) 평균도 구하는지, element-wise로 구하는지 궁금해서 여쭤봅니다.바쁘실텐데 시간내주셔서 미리 감사드립니다.
-
미해결[게임 프로그래머 도약반] DirectX11 입문
Normal.fx파일에서 normalize
안녕하세요 제가 알기로는 output.normal = mul(input.normal, (float3x3)World);이렇게만 해줘도 월드 좌표에서의 단위벡터로 만들어 주는걸로 알고 있는데 GeometryHelper.cpp 파일에서 CreateSphere 메서드에서 v.normal = v.position; v.normal.Normalize(); Normal.fx 에서 normalize(input.normal) 위 1, 2 부분에서의 normalize를 안해도 별 차이 없지 않나요?혹시 차이가 있다면 어떤 부분에서 차이가 있을까요?아니면 제 개념이 틀렸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