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Hashset 자료구조에 대해서 질문 있습니다!
김영한 멘토님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다가 질문이 있어서 질문 남깁니다!HashSet 자료구조를 사용해 객체를 저장할때, HashCode와 equals를 재정의 해야한다고 말씀해 주셨는데요. 정말 멘토님 말대로 재정의 하지 않으면 값이 중복되어서 저장되었습니다. 근데 궁금한것은 HashSet 자료구조이기에 HashCode를 사용하는것은 아는데, 그 이전에 자료구조가 Set의 기반의 자료구조인데 Set은 원래도 중복된 값을 허용하지 않는걸로 알고있습니다. 근데 왜 HashCode를 재정의해야 그때서야 값이 중복되어서 저장되지 않는것인가요? 애초에도 Set 기반의 자료구조인데 말입니다.
-
해결됨Amazing JavaScript - 입문
코드샌드박스에 들어갔는데 잠금표시가 되어있습니다.
잠금표시가 되어있어 새로운 파일을 생성할 수 없습니다. 강의를 보면서 따라하고싶은데 방법이 있을까요?
-
해결됨[2025 리뉴얼] 스스로 구축하는 AWS 클라우드 인프라 - 기본편
Release Elastic IP addresses
EC2 인스턴스에 연결해준 Elastic IP addresses 를 Release 하려면EC2 인스턴스를 terminate 해줘야 하는건가요?EC2 인스턴스를 stop한 상태에서는 Elastic IP addresses가 Release가 안되는건가요?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시간초과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시간초과가 나서 질문 드립니다 http://boj.kr/fc46d18e98374d0eb3e7ae35da228024unorder map이 해시 맵이라 O(1)의 시간 복잡도를 갖는 걸로 알고 있는데 왜 시간 초과가 나는지 모르겠습니다...혹시 해시 충돌이 나서 그런걸까요?
-
해결됨Flutter로 SNS 앱 만들기
8섹션 follow,unfollow기능추가 에서
14:21profile_repository.dart강의 코드는 이렇게 나와야 하는데 저는다르게 나와요then코드를 치니 이렇게 나요.. 무시하고 코드입력하고 진행했습니다.하여튼 아래코드로 그냥 진행 했는데요.value에서 에러가 발생 하여, 위코드와 같은 의미라 하여 주석처리하고 진행했습니다.그러나 currentUserModel에서 에러가 발생했습니다.첫번째 value부분에 에러 부분과 두번째 currentUserModel부분좀 봐주세요. 멜보내겠습니다.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수업자료 받는곳
안녕하세요, 수업자료가 제공된다고 되어있는데, 자료 받는 곳을 찾을 수 없습니다. 어디에서 받을 수 있는지 알고 싶습니다.
-
해결됨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2 - 언리얼 게임 프레임웍의 이해
간단한 프로젝트에서 포즈 워핑을 연습하던 도중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교수님의 강의에 언제나 큰 도움을 얻고 있습니다.기존의 질문을 GAS 강의에서 작성하였으나, 강의 주제와 맞지 않다고 판단하여 다시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제가 겪고 있는 문제를 글로 설명드리기 보다는 직접 보여드리는 것이 나을 것 같아 동영상으로 대체하였습니다.아래의 링크는 현재 발생하고 있는 문제를 담은 유투브 링크입니다.https://www.youtube.com/watch?v=SC1bD4pls3U C++ 클래스로 만든 애님 인스턴스에서 파생된 애니메이션 블루 프린트를 사용해포즈 워핑을 연습하고 있던 도중 영상과 같은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가속도에 따라 발을 디디는 속도가 달라지게끔 설계하였지만, 영상처럼 애니메이션이 굳어버리는 문제가 발생하였습니다.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원인을 찾기 위해 로그를 찍어 확인한 결과, LogTemp: Warning: Accelation : X=-2048.000 Y=0.000 Z=0.000LogTemp: Warning: bHasAccelation : trueLogTemp: Warning: Accelation : X=0.000 Y=0.000 Z=0.000LogTemp: Warning: bHasAccelation : false 문제가 발생하는 시점부터 로그가 위와 같이 찍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Accelation과 bHasAccelation은 다음의 코드에 의해 값이 결정됩니다. Accelation = Movement->GetCurrentAcceleration() * FVector(1.0f, 1.0f, 0.0f);bHasAccelation = !Accelation.IsNearlyZero(0.001f); 제가 생각해본 문제의 원인은 가속도가 MaxAccelation 이상을 넘어가면 가속도를 0으로 초기화하는 것이라고 생각하고 있습니다.혹시 제가 생각한 것이 문제의 원인이 맞는 것일까요?만약 맞다면 가속도가 MaxAccelation에 도달했을때 어떻게 값을 조절해야 하는지 궁금합니다.제가 생각한 부분에서 문제가 없다면, 어느 부분에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언어
Break point hit문제
Break point를 사용할때 솔루션에서 처음 만든 프로젝트에서는 문제없는데 두번째 세번째 프로젝트는 break point hit이 되지 않고 전체가 전부다 디버깅이 됩니다. 어떻게 해결을 해야할까요?
-
미해결
학생 할인
학생 인증 하면 25%할인권 주는 이벤트가 있어서 신청했는데. 언제 쿠폰 받을 수 있나요?
-
해결됨기초부터 배우는 Next YTMusic 클론 코딩 (with next.js 14, UI 마스터)
질문있습니다.
각 페이지마다 loading과 error.tsx를 각각 주고 있는데 그냥root에 loading.tsx error.tsx를 하나만 둬서 공유하는 방식은 안되나요? 각 페이지마다 따로 둔 이유가 뭔가요? 현업에서도 layout은 보통 page마다 다르게 두나요?이전에는 프로젝트에서 그냥 root에 위치한 하나의 layout만 써와서.. 강의 잘 보고있습니다. 선생님!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벌크연산후 createQuery 작동방식 질문
강의 처럼 벌크 연산 후int resultCount = em.createQuery("update Member m set m.age=20") .executeUpdate();clear없이 바로 createQuery를 날리면,Member result = em.createQuery("select m from Member m where m.id = :id", Member.class) .setParameter("id", member1.getId()) .getSingleResult(); System.out.println("member.getAge() = " + result.getAge());아래와 같은 select 쿼리가 날라가고 age가 원래값으로 나옵니다.Hibernate:/* selectmfromMember mwherem.id = :id */ selectm1_0.id,m1_0.age,m1_0.memberType,m1_0.TEAM_ID,m1_0.usernamefromMember m1_0wherem1_0.id=?member.getAge() = 10//////////////////////////////find처럼 selcet문이 안날라갈줄 알았는데, 날라가서 createQuery 작동방식이 궁금합니다.1.이 쿼리가 실제로 db에 날라갔는데,age=20값을 가지고오면서 영속성 컨텍스트에 들렸는데,이미 캐시가 존재해서, 쿼리 값을 업데이트 안해주고 원래값 age=10을 가지고 온건가요?2. 아니면 로그에 보이는 쿼리가 실제 db 에 날라가지 않고 생성만된채로, 영속성 컨텍스트를 찾는건가요?
-
해결됨[UI3 업데이트] 피그마 배리어블을 활용한 디자인 시스템 구축하기
브랜치 지정 사용시 개발 버전관리 문의
피그마 베리어블 강의 잘 듣고 현재 개발자와 회사 디자인 시스템 가이드 구축중입니다. 피그마에서 브런치 기능이 있는데요.. 브런치 기능과 깃업을 연결해서 버전 관리 하는 방법이 있는지 문의 드리고.혹시 그런 기능이 없다면, 개발 버전 관리를 어떤식으로 피그마에서 사용하는지 강의나 문서 볼 수 있는 곳이 있을까요? ㅜㅜ 개발자들이 문의를 하는데 암것도 모르겠네요ㅜㅜ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중복 오류 테스트 시 assertThrows 사용과 관련한 질문입니다.
@Test @DisplayName("타입으로 조회 시 같은 타입이 둘 이상 있으면, 중복 오류가 발생한다.") void findBeanByTypeDuplicate() { assertThrows(NoUniqueBeanDefinitionException.class, () -> ac.getBean(MemberRepository.class)); }강의에선 assertThrows 를 사용하기 전에 먼저 터트려보고 예외 클래스 이름을 확인 후에 assertThrows를 이용하는 것 같은데 실제 테스트에서도 이렇게 진행되나요...?Assertions를 assertThat으로 축약시킬때 static 을 import 하는 과정이 포함되어있는데 항상 이렇게 Assertions부터 적고 단축키로 import 해서 바꾸는 순서로 진행해야할까요?
-
해결됨[리뉴얼] 파이썬입문과 크롤링기초 부트캠프 [파이썬, 웹, 데이터 이해 기본까지] (업데이트)
데이터구조- 리스트 1,2 배우면서 이상한점 ..
리스트가 너무 이상하게나와요 ㅠ - 본 강의 영상 학습 관련 문의에 대해 답변을 드립니다. (어떤 챕터 몇분 몇초를 꼭 기재부탁드립니다)- 이외의 문의등은 평생강의이므로 양해를 부탁드립니다- 현업과 병행하는 관계로 주말/휴가 제외 최대한 3일내로 답변을 드리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다운로드 방법포함)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
해결됨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Post/Redirect/Get 설명에서 웹 브라우저 새로고침시 POST요청이 다시 간다는게 이해가 안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Post/Redirect/Get 설명에서 웹 브라우저 새로고침시 POST요청이 다시 간다는게 이해가 안됩니다 설명하신것 처럼 버튼 클릭으로 POST요청을 보낼 때버튼을 클릭 해야 POST요청, 단순 웹브라우저 새로고침은 GET요청이 될 거라고 생각 됩니다예시) 만약 리뷰 조회 -> 리뷰 작성 버튼 -> 리뷰 등록 버튼을 통해 새로운 리뷰를 등록한다고 가정하면GET /reviews : 리뷰들 조회GET /reviews/new : 리뷰 작성 화면 조회 (리뷰 작성 버튼 클릭시)POST /reviews/new : 리뷰 등록 (리뷰 등록 버튼 클릭 시)단순 웹브라우저 새로고침을 하면 2번 요청이 간다고 생각하는데 3번 요청을 누른 후에 새로고침을 한다고해서 3번 요청이 다시 적용된다는 것이 이해가 가질 않습니다 ㅠㅠ 버튼을 다시 클릭하는 것이 아닌데
-
해결됨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CI/CD 입문·실전
gitignore 및 branch에 대한 질문
강의를 들으면서 궁금증이 생겼습니다.gitignore에 설정된 파일은 깃허브에만 노출되지 않는것인지, 아니면 git clone으로 프로젝트 다운 시에는 폴더 안에 존재하는지 궁금합니다.만약 clone으로 다운 시 존재하지 않는다면 다른 사람이 제 프로젝트를 clone 하더라도 로컬에서 제대로 돌아가지 않는 게 제 생각인데 맞을까요?ec2에서 현재 프로젝트에 여러 branch가 있을 때, 그 중에서 어떤 branch의 코드를 사용할지는 어떻게 정해지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NestJS REST API 백엔드 완전 정복 마스터 클래스 - NestJS Core
Token 재발급 관련 궁금증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강의를 잘 듣던 중 궁금한 점이 생겨 질문드립니다. 해당 강의대로 진행하면 access token과 refresh token 모두 만료 전에 재발급받아 token을 연장시키는 개념으로 이해가 됩니다.그러나 각 token의 만료 시간인 300초, 3600초가 지나지 않은 상태에서 token을 재발급하게 되면 1개의 계정에 다수의 token이 존재할 수 있는 상황이 될 수 있다고 생각됩니다.(예를 들어 만료가 3000초 남은 refresh token으로 refresh token을 재발급하게 되면 3000초 남은 refresh token과 3600초 남은 새로운 refresh token 2개가 존재하게 됩니다.) 그래서 궁금한 점은 아래 두가지입니다.실제 production 환경에서도 이렇게 다수의 token이 존재할 가능성을 가지고 있는지.다수의 refresh token이 존재했을때 만약 해당 refresh token이 한번 탈취 당하면 계속해서 만료전에 갱신이 가능해지는 상황인데 이에 대한 대처방법이 따로 있는것인지.(개인적인 생각으로는 user 데이터베이스에 refresh token만 따로 저장하여 유효성 검사를 진행하는 방안도 있을 것 같습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MemberRepository querydsl 적용 질문입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querydsl 강의를 듣고 복습하면서 적용해보고 있는데, memberRepository 부분에서 @RequiredArgsConstructor을 사용했더니 compileJava부분에서 em의 초기값이 없다는 예외가 발생했습니다. 생성자를 활용해서 해결되긴 했는데 그 전의 코드에서 왜 작동이 안되었는지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RequiredArgsConstructor을 사용한다던가 하는 더 간단한 방법도 있는지 궁급합니다.코드파일입니다https://drive.google.com/file/d/1ezwW4PrReG_BX-lmAC1uiOL8Syk3GbFW/view?usp=sharing
-
해결됨[2025 리뉴얼] 스스로 구축하는 AWS 클라우드 인프라 - 기본편
pem 키를 ppk 로 바꿔주는 이유
[실습] Public EC2 인스턴스 생성 및 LAMP 웹서버 구성 이 강의에서 pem 키를 ppk 로 바꿔주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Querydsl
querydsl fetchjoin + Projections.bean을 활용한 특정필드 dto 매핑(feat. query specified join fetching, but the owner of the fetched association was not present )
queryFactory.select(Projections.bean(GetMyCommentResponse.MyCommentInfo.class, commentEntity.id.as("commentId"), commentEntity.content.as("content"), commentEntity.likeCount.as("likeCount"), commentEntity.createDateTime.as("createDateTime"), Projections.bean( GetMyCommentResponse.MyCommentedPopUpInfo.class, postEntity.id.as("postId"), postEntity.name.as("postName"), postEntity.mainImageUrl.as("mainImageUrl"), ).as("postInfo"), // commentEntity // 엔티티도 같이 조회하면 에러가 나지 않음 )) .from(commentEntity) .join(commentEntity.post, postEntity).fetchJoin() 안녕하세요 영한님!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공부 중에 코드를 작성하다query specified join fetching, but the owner of the fetched association was not present in the select list이런 에러가 발생했는데, fetchjoin시 실제 질의하는 대상 Entity를 select절에 쓰지않아서 에러가 나더라구요. select절에 commentEntity를 추가하면 에러가 발생하지 않지만 이미 commentEntity의 필드들은 모두 가져왔는데, 또 조회하는게 불필요한 작업이라고 생각되어서요. 그렇다고, fetchjoin이 아닌 일반 조인을 써버리면 코멘트마다 포스트에 대해서 n+1 문제가 발생할 것이라고 생각되구요이러한 상황에서 좋은 해결방법이 있을까요?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