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조회를 할 때 findByTeam vs team.getMembers() 차이
둘의 차이가 뭔가여?? Character character = characterRepository.findByUserId(userPrincipal.getId()).orElseThrow(CharacterNotFoundException::new); List<Quest> quests = character.getQuests(); 현재 프로젝트 중인데 이 강의를 들으면서 느낀점은qeustRepository.findByCharacter(character)를 하는 경우와 character.getQuests의 차이가 궁금합니다.어떤게 더 좋은방식이구각자의 장단점이 있을까요? https://www.inflearn.com/community/questions/66107/member%EC%99%80-order%EA%B0%84%EC%9D%98-%EC%96%91%EB%B0%A9%ED%96%A5-%EA%B4%80%EB%A0%A8-%EC%A7%88%EB%AC%B8%EC%9E%85%EB%8B%88%EB%8B%A4 추가로 이거랑 질문이 관련이 있는걸까요?
-
미해결실무에 바로 적용하는 프런트엔드 테스트 - 1부. 테스트 기초: 단위・통합 테스트
toHaveStyle 메서드 사용이 조금 이상한 것 같습니다.
it('focus가 활성화되면 border 스타일이 추가된다.', async () => { const { user } = await render(<TextField />); const textInput = screen.getByPlaceholderText('텍스트를 입력해 주세요.'); //await user.click(textInput); expect(textInput).toHaveStyle({ borderWidth: 'px', borderColor: 'rbg(25,a118,210)', }); }); (1) user.click(textInput)을 주석 처리 했습니다.그리고(2) toHaveStyle 부분에서,borderWidth, borderColor 두 값을 위와 같이 넣었는데도 테스트가 아래처럼 통과합니다. 수업 노트에 적혀진 이슈 (링크)의 내용대로 "1px"이라고 작성하면 test가 fail이 됩니다. 혹시 제가 잘 못 이해한 부분이 있는걸까요?
-
해결됨[풀스택 입문] Firebase보다 10배 좋은 Supabase
nextjs 학습여부
로펀 선생님 supabase 자료가 거의 없길래 firebase를 최근에 공부했었습니다그러다 선생님의 강의를 발견하게되었습니다.supabase를 공부함에 있어서 제가 react는 공부한적 있었는데 next.js는 없습니다. next.js를 어느정도로 알아야할까요?앞으로 supabase를 공부함에 있어 next.js를 깊게 알아야할까요?
-
해결됨[나만의 게임 텍스처 제작] 서브스탠스 디자이너의 모든 것
뷰어의 실루엣이 제대로 표현이 안되는데 왜일까요?
제 섭디에서 랜더링 된 결과물에는 실루엣의 변화가 없는데 왜일까요?강의자료를 열어봤는데도 동일하게 실루엣은 변화가 없더라구요.섭디의 설정이 다른건가요? 이미지A가 제 PC의 섭디입니다.이미지B가 강의에 나오는 화면이에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열거형 두번째 문제
안녕하세요 열거 타입은 매개변수로 못 쓰나요?? 빨간 불이 계속들어오는데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까요? package class05EnumClass; public class AuthGrade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AuthGrade[] authGradeList = AuthGrade.values(); for(AuthGrade grade : authGradeList){ printGrade(); } //AuthGrade authGrade 매개변수를 넣을때 에러가 발생 private static void printGrade(AuthGrade authGrade){ System.out.println(authGradeList); } } }package class05EnumClass; public enum AuthGrade { GUEST(1,"손님"),LOGIN(2,"로그인 회원"),ADMIN(3,"관리자"); private final int level; private final String description; private AuthGrade(int level, String description){ this.level=level; this.description=description; } public void getAuthGrade(AuthGrade authGrade){ System.out.println("레벨"+authGrade.level+"등급"+authGrade.description); } public int getLevel(AuthGrade authGrade){ return authGrade.level; } public String getDescription(AuthGrade authGrade){ return authGrade.description; } }
-
해결됨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ExceptionHandler을 사용할 경우, 트랜잭션 롤백 질문
@Slf4j @Controller public class ExampleExceptionControllerAdvice { //사용자가 Argument를 잘못 보낸 경우 @ResponseStatus(HttpStatus.BAD_REQUEST) @ExceptionHandler(IllegalArgumentException.class) public ErrorResult illegalExHandle(IllegalArgumentException e){ log.error("[exceptionHandle] ex",e); if(1==1) { //throw new RuntimeException("예외 발생"); } return new ErrorResult("BAD", e.getMessage()); } @ResponseBody @GetMapping("/api/members") public String members(){ if(1==1){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예외"); } return "Hello"; } } members 메서드에서 오류를 강제로 발생시킨 후,illegalExHandle 메서드에서 오류를 catch한 뒤 응답을 하는 것으로 강의 내용을 이해하였습니다. 이럴 경우, 트랜잭션 롤백이 발생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는 지 알고 싶습니다. [첨부 - 챗 GPT 답변]예시 코드@Service public class MyService { @Transactional public void doSomething() { // Some business logic throw new RuntimeException("Something went wrong"); } } @Controller public class MyController { @Autowired private MyService myService; @PostMapping("/example") public String handleRequest() { myService.doSomething(); return "success"; } @ExceptionHandler(RuntimeException.class) public String handleRuntimeException(RuntimeException ex) { // Exception handling logic // If we return without re-throwing the exception return "error"; } }위의 예제에서 doSomething() 메서드에서 발생한 RuntimeException이 handleRuntimeException 메서드에서 처리되면, 예외가 다시 던져지지 않으므로 트랜잭션은 롤백되지 않습니다.결론@Transactional이 서비스 계층에 있고, @ExceptionHandler가 컨트롤러 계층에 있을 때, 예외를 @ExceptionHandler에서 잡아 처리한 후 다시 던지지 않으면 트랜잭션은 롤백되지 않습니다. 만약 트랜잭션이 롤백되길 원한다면, @ExceptionHandler에서 예외를 다시 던져야 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java중급 4강 레퍼클래스 로또 번호 생성기 문제
4강 레퍼클래스 로또 번호 생성기 질문 있습니다. package class04wrapperClass; import java.util.Random; public class Lottery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랜덤 생성자 선언 ==> 로또 값이 그때 그때 바뀜 Random random = new Random(); //로또 범위 지정 배열 int[] randomArray = new int[6]; //로또 배열에 로또 값 넣기 for (int i = 0; i < randomArray.length; i++) { int randomValue=random.nextInt(45)+1; randomArray[i]=randomValue; if (randomArray[i]==randomArray[i++]||randomArray[i]==0) randomArray[i]=random.nextInt(45)+1; } for(int i =0; i<randomArray.length; i++){ System.out.print(randomArray[i]+" , "); } } }이렇게 풀었는데 이것도 올바른 풀이 일까요???
-
해결됨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add에 dto사용 질문입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새로고침 시 상품이 중복 등록되는 문제는 POST가 멱등하기 때문인 것이 맞나요?/add에서 @ModelAttribute로 Item 객체를 바로 만들어서 save했는데, 이 경우 Dto를 거쳐서 저장하는 것이 올바른 방법인가요? @Data public class ItemDto { private String itemName; private Integer price; private Integer quantity; }@PostMapping("/add") public String addItemTest(@ModelAttribute ItemDto itemDto) { Item item = new Item(itemDto.getItemName(), itemDto.getPrice(), itemDto.getQuantity()); itemRepository.save(item); return "basic/item"; }dto를 사용하는 방식으로 변경해봤는데, id가 null이라는 예외가 발생했습니다.org.springframework.expression.spel.SpelEvaluationException: EL1007E: Property or field 'id' cannot be found on null에러페이지가 나오지만 목록 페이지로 갔을 때 상품은 정상적으로 저장이 되고 있습니다.controller의 save부분에서 item의 id가 자동으로 생성되고 있는데, 왜 이런 문제가 발생하는지 궁금합니다. -- 수정 --@PostMapping("/add") public String addItemTest(@ModelAttribute ItemDto itemDto) { Item item = new Item(itemDto.getItemName(), itemDto.getPrice(), itemDto.getQuantity()); itemRepository.save(item); return "redirect:/basic/items/" + item.getId(); }redirect로 수정하니 3번 문제는 해결되었습니다. 하지만 이전 코드에서 왜 저런 예외가 떴는지는 아직 모르겠습니다.
-
해결됨[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프론트엔드 코스
로그인 / 로그아웃 시 이전의 data가 남아있습니다.
import React, { useState, MouseEvent } from "react"; import * as S from "./mypoint.index.styles"; import TapPointLoading from "./mypoint_loading"; import TapPointBuying from "./mypoint_buying"; import TapPointAll from "./mypoint_all"; import TapPointSelling from "./mypoint_selling"; export default function MyPoint(): JSX.Element { const [selectedValue, setSelectedValue] = useState<{ name: string; index: number; }>({ name: "전체내역", index: 0, }); const MyPageHeadInfoButton = [ { name: "전체내역", component: <TapPointAll /> }, { name: "충전내역", component: <TapPointLoading /> }, { name: "구매내역", component: <TapPointBuying /> }, { name: "판매내역", component: <TapPointSelling /> }, ]; const onClickTap = ( event: MouseEvent<HTMLDivElement>, index: number ): void => { const newValue = event.currentTarget.id; setSelectedValue({ name: newValue, index, }); }; // 버튼 클릭으로 해당 data 값을 보여주기 위함 const renderData = (): JSX.Element | undefined => { return ( <S.TableWrap> {/* 해당 탭의 배열의 객체 name통해 컴포넌트 가져옴 */} {MyPageHeadInfoButton.map((el) => { if (el.name === selectedValue.name && el.component) { return <div key={el.name}>{el.component}</div>; } return null; })} </S.TableWrap> ); }; return ( <S.Wrap> <S.MyPageHeadWrap> <S.MyPageHeadBtn> {/* 서브 탭 버튼 */} {MyPageHeadInfoButton.map((el, index) => ( <S.MyPageInfoBtn key={el.name} id={el.name} onClick={(event) => onClickTap(event, index)} selected={selectedValue.name === el.name} > {el.name} </S.MyPageInfoBtn> ))} </S.MyPageHeadBtn> </S.MyPageHeadWrap> <S.MyPageBodyWrap> {/* 해당 탭 data */} <div>{renderData()}</div> </S.MyPageBodyWrap> </S.Wrap> ); } 이렇게 탭을 클릭을 해서 해당 컴포넌트가 보이도록 했습니다.그러면서 각각의 API data도 받아와 cache에 저장을 하도록 해 추가 API 요청이 일어나지 않도록 했는데여기서 로그아웃을 하고 다른 아이디로 로그인을 하면이전의 로그인 했던 data가 그대로 남아있어 최신 data를 가져오기 위해 여러가지 방법으로 시도했습니다.로그아웃 시 useApolloClient를 활용해 cache를 삭제 했습니다. 이렇게 하면 다시 로그인 한 유저의 data를 잘 가져오는데 로그아웃을 하면서 cache data가 삭제되니 다른 API, Board, Markets 등 해당 page의 사용한 query문의 data를 다시 요청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refetch()로 query문을 선언하면 해당 refetch()를 실행하지 않아도 API 요청이 일어나 refetchQueries를 사용해 data 최신화 하려는데 그렇게 되면 모든 탭을 refetch 해줘야 되는 문제가 있습니다.각 탭 이동마다 API 요청 나가는게 싫어서 fetchporicy나 refetch()를 사용 하지 않았는데 보통 어떻게 사용을 하나요? 로그인에 의한 data는 탭 이동마다 refetch를 시켜주는게 좋을까요? 그리고 구매, 충전 등 하면 바로 MyPoint에 업데이트 되도록client.writeQuery / readQeury 나 refetchQueries를 사용했는데 이런 결제 정보 같은거는 refetch로 실시간으로 data를 가져오는게 좋겠죠? 로그인, 로그아웃은 LayoutHeader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
해결됨딥러닝 이론 + PyTorch 실무 완전 정복
Batch size 가 극단적으로 작은 경우 (예를들어 batch_size =1) Normalization 적용 방안
강사님, 본 강의 들으면서 정말 많은 도움을 받고 있습니다. normalization 에 대해서 이렇게 상세하게 설명해 준 온라인 강의는 본 적이 없네요 🙂 CNN 을 기반으로 하되 모델 파라메터도 엄청 크고, 데이터셋 크기도 매우 큰 경우, 예를 들어 3D Unet 을 구성해서 3차원의 고해상도 (256 x 256 x 256) 이미지를 input 과 output 으로 사용하다보니 GPU 메모리를 너무 많이 잡아먹어서 batch 에 복수의 샘플을 적용하지 못하고 하나의 batch 에 단일 샘플만 적용하는 경우를 study 하고 있는데요, BatchNormalization 을 적용했을 경우 오히려 학습이 잘 안 되는 것 같아서 Normalization layer 를 야예 제거한 후 모델 학습 진행 중이었습니다. 경험적으로 했던 것이었지만 본 강의를 보다 보니 그 이유가 조금 이해가 되기도 하는데요, 이와 같이 batch size 가 극단적으로 작은 경우에 Normalization layer 을 적용 안하는게 더 좋을 수 있나요? 혹은 설명해 주신 table 에 나와 있는 것 처럼 Group Normalization layer 나 Instance Normalization을 적용하는 것이 개념적으로 더 나은 방법일까요? (설명을 들었을 때는 Group Normalization 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한 상황으로 이해가 되기도 하는데.. 제가 이해한 것이 맞는지 확인 부탁드립니다 ^^;) 그리고 Group Normalization 에서 "Group" 의 의미가 무엇인지 잘 와닿지가 않아서 (Batch 나 Width, Height, Sample Number 이외에 그룹이 될 수 있는 경우가 무엇인지가 잘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 요 부분에 대해서 좀 더 설명해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메서드 메모리 구조
안녕하세요. 이전 7강의 메모리 구조와 헷갈리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7강의 자바 메모리 구조에서는 다음과 같이 메서드는 공통됐기 때문에 메서드 영역에서 관리한다고 이해했습니다. 그러나 상속 부분에서는 힙영역에서 메서드를 관리하고 사용하는 것처럼 되어있어서 헷갈립니다. 설명을 편리하게 하고자 이렇게 설명하신 걸까요??잘못 이해한 부분이 어딘지 모르겠습니다 ㅠㅠ 감사합니다.
-
해결됨[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JobQueue의 Push함수 관련 질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정말 잘 보고 있습니다. JobQueue의 Push 함수를 호출하는 스레드가 Action까지 처리하게 되는데, 이는 Push를 호출하는 시점부터 해당 Queue에 모든 Job이 비워질 때까지 Caller가 Blocked 됩니다. 이를 JobQueue의 Pop과 Action.Invoke를 담당하는 스레드를 하나 만들고, 백그라운드에서 폴링하는 방식으로 만들려 합니다. 즉, Push를 호출한 스레드를 사용할 지, 미리 스레드를 만들어두고 폴링하는 방식으로 사용할 지의 차이인 것 같습니다. 두 방식 중 어느 방식이 나을지 알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한 번에 끝내는 자바스크립트: 바닐라 자바스크립트로 SPA 개발까지
this.template 메소드
this.template 메소드를 innerHTML에 할당하는 방식이 아닌 createElement와 appendChild 등으로 해결해도 괜찮나요? 이렇게 하면 변경되지 않은 부분만 체크하여 필요한 부분만 DOM을 다시 추가하는 방식을 사용할 수 있을 것 같은데
-
미해결실무자를 위한 구글애널리틱스(GA4+GTM) 활용법(25년 Update)
unknown 데이터 신뢰 값
안녕하세요!강의를 들으면서 연령, 성별의 경우 unknown의 값이 가장 많은 것 같은데! 이럴 경우에는 데이터 신뢰도가 낮은 거 아닐까요? 가령 성별의 경우에서도 male 의 경우 8,242 사용자이지만 unkown 의 경우 54,125 인 경우 이럴 경우에는 사용자가 남성이 가장 많다고 정의 할 수 없는 거 아닐까요? 왜냐하면 unknown 에 여성 데이터가 많을 수도 있을 수도 있으니까요!이럴 경우에는 데이터를 어떻게 해석해야 하는 건지... unknown 이 많은 이유는 쿠키리스 때문 인 것인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
CloudFront https적용
안녕하세요 강의 잘 보고있습니다! Cloudfront 배포를 생성하고 배포도메인으로 들어가보면 s3 웹페이지에 https가 잘 적용되었는데혹시 다음강의에서 추가적으로 도메인을 연결해서 https를 적용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jpql 사용할 때 flush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jpql 구문이 실행될 때 flush가 자동으로 호출 된다고 하셨는데 당연히 flush로 쓰기 지연 SQL 저장소에 있는 쿼리들을 데이터베이스에 반영하고 commit 한 후 jpql 구문이 실행되는거겠죠?
-
미해결[최신] Vue 강의 끝판왕 : Nuxt 3 완벽 마스터
코드에서 $i18n, $route 등 provide로 제공된 객체가 템플릿에서 붉은색으로 표시됩니다.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잘보고 있습니다.강의를 진행하면서 한가지 문제가 있어서 문의드립니다.아래 스크린 샷과 같이 nuxtApp.provide 또는 Auto-Import 된 모듈을 Template 영역에서 사용하면 아래와 같이 속성을 찾을 수 없다는 에러가 발생합니다. index.d.ts 또는 타입을 추가하면 해결될 것으로 보이긴 하지만, 강의에서는 딱히 타입을 추가로 정의하지 않은 것으로 보이는데 어떤 설정을 추가해야 정상적으로 타입스크립트가 속성을 인식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한 번에 끝내는 자바스크립트: 바닐라 자바스크립트로 SPA 개발까지
App의 상태관리?
App 컴포넌트에서 모든 컴포넌트들의 상태가 관리되는 건가요? 컴포넌트들은 각각의 상태를 관리하고 가 상태를 업데이트하면서 상태관리를 하는게 아닌가요? 이건 모든 상태를 App 컴포넌트에서 관리하고 하위 컴포넌트들은 자신의 상태가 될 데이터를 내려받아서 그냥 render만 해주는 느낌이 들어서요 이렇게 되면 App 컴포넌트에서 관리해야 할 상태들이 너무 많아지고 App 컴포넌트가 복잡해지는 거 아닌가요..? 각 컴포넌트에서 독립적으로 본인의 상태를 관리하고 필요에 따라 상위 컴포넌트에서 상태를 전달받아 render 한다..? 이렇게 이해했는데.. 컴포넌트 단위로 개발하는 spa 개발 개념이 좀 부족한건지 이해가 잘 안되네요
-
미해결Airflow 마스터 클래스
EmailOperator OSError
안녕하세요. EmailOperator 실습과정에서 오류가 발생해서 질문을 남깁니다!설정을 한 후 실행을 하니. OSError: [Errno 99] Cannot assign requested address 가 발생해서 도움이 필요합니다..!docker-compose.yaml 파일에 이렇게 설정을 하였고, 에러는 다음과 같습니다!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Flutter 3.0 앱 개발 - 10개의 프로젝트로 오늘 초보 탈출!
지도 위치정보 항상 확인하는 권한 어떻게 확인하셨나요?
해당 강의에서 앱 실행중에 IOS용 geolocator 셋업 하는 과정 중에 백그라운드 권한 주는 내용이 문서에 없는데 추가 하셨잖아요 이런건 어떻게 알게되고 추가 하신 건지 궁금해서 질문 남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