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Order.class 에대하여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강의 듣다가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을 작성합니다!Order 클래스는 @Entity 어노테이션이 붙어있는 도메인 객체인데 여기에 어떤 로직? 이라고 해야 하나요? List<OrderProduct> 를 바로 넣어주는 것이 아니고 List<Product>를 받아서 값을 뽑아서 new OrderProduct 로 생성하거나, calculateTotalPrice() 같은 메서드를 작성해도 괜찮은가요? (현업에서도 많이 쓰이는 방법인가요? 뭔가 따로 service로 빼도 괜찮지 않을까 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전에 간단한 토이 프로젝트를 할 때 cascade = CascadeType.ALL 가 아닌 cascade = CascadeType.REMOVE 로 설정하고 Order을 생성한 후 OrderProduct를 수동으로 생성했었는데 CascadeType.ALL 이 더 범용적으로 많이 쓰는 방법인지테스트 코드 작성법을 배우려고 듣게 되었는데 뭔가 라이브 코딩을 따라가면서 전반적으로? 많이 배우고 있어서 좋아요! ㅎㅎ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의존관계에러
[질문 내용]대댓글을 확인안해주시는 것 같아 질문 다시 올립니다 !의존관계가 잘못되었는지 테스트 3개가 다 안 돌아갑니다 뭐가 잘못된건지 모르겠습니다 ..https://drive.google.com/file/d/1yZWpxXR6pZD3RVN6Zt3ni5hFttutBKrj/view?usp=sharing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h2에 다른 별도의 프로젝트를 연결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h2.properties에서 포트번호를 다른 번호로 바꾸고 해봐도 이전에 했던 h2 포트로 연결이 되더라구요... 별도 프로젝트를 다른 포트로 연결하고 싶을 땐 세팅을 어떻게 해야할까요? 찾아봐도 잘 안돼서 질문드립니다.(스프링 프로젝트이고 gradle 사용하여 application.properties에 해당 h2 db 연결하려고 하는 상황입니다)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안녕하세요 다른분 질문에서 강사님에 답변에서 질문있습니다.!!
똑같은 이름의 책 등록을 막기 위해서는 스프링 부트의 멀티스레드 구조와 단일 인스턴스 - 서버가 1대인 경우 - 일 때의 synchronized 구문, 멀티 인스턴스 - 서버가 N>=2 대 인경우 - 일 때의 DB unique key 등을 언급해야 하고, (이 과정에서 서버의 인프라도 설명이 들어갑니다!) 동시 대출을 방어하기 위해서는 DB의 Lock(잠금) 종류와 원리에 대해 설명해야 합니다. 이렇게 답변주셨는데 대용량 트래픽 개인프로젝트를 설계한다고 해야한다면 서버를 여러대 생각을 하고 DB unique key를 생각을 해야할지 먼저 서버 1대를 생각하고 synchronized 구문으로 똑같은 이름의 책 등록을 막아야할지 고민입니다.!!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그럼 연관관계를 사용하는 것이 항상 좋을까?라는 말씀에 질문있습니다.
비즈니스 요구사항,기술적인 요구사항,도메인 아키텍처 등 여러 부분을 고민해서 연관관계를 사용을 선택해야한다고 하셨고 도메인을 설계할 때 이거는 이렇게 하니까 이렇게 하자 저거는 저렇기 때문에 저렇게하자라고 하셨습니다.실례가 될수 있지만 강사님께서는 어떻게하시는지 예시를 좀 들어주실수 있을까요..?개인프로젝트할때 도움이 될것같습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복붙 코드 자료
강의중간중간 선생님이 복붙하시는 코드들은 (의존성 등) 따로 올라오는곳이 있나요?보고 따라쳐야하는지 아니면 따로 공유되는곳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테스트 질문 드립니다
1 서비스에서 체크후 예외를 던지는것과 stock에서 체크후 예외를 던지는 것은 다르다라는것이 잘 이해갸 되지 않습니다강의 내용을 보아도 잘 이해가 되지 않아 굳이 이렇게 나눠야하는지에 대해 다시한번 설명 부탁드립니다 ㅜㅜ 또한 저는 stock 객체 자체에 판단할 수있는게 좋지 않나? 즉 stock의 책임이지 않을까?란 생각을 통해service에서 stock 객체가 할일을 가지고 가면 응집도 면에서 좋지 않다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데요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public boolean isQuantityLessThan(int quantity) { return this.quantity < quantity; } public void deductQuantity(int quantity) { if (isQuantityLessThan(quantity)) { throw new IllegalArgumentException("차감할 재고 수량이 없습니다."); } this.quantity -= quantity; } 2 테스트를 위한 코드강의 내용 중 OrderCreateRequest와 관련되어 테스트를 위한 생성자가 생성되었다고 생각을 하는데요 테스트를 위한 코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궁금합니다 저는 테스트를 위한 코드를 생성하면 안된다라고 생각하는데요이유는 테스트를 위한 것으로 만들어 놨지만 다른곳에서 사용하게 되는 같은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라고 생각기때문입니다. OrderCreateRequest request = OrderCreateRequest.builder() .productNumbers(List.of("001", "002")) .build(); 3 어떤걸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테스트해야되나?라는 의문입니다.OrderService를 구현하면서 Order와 관련된 테스트(Order.create()등등)를 진행하였고 또한 주문을 통해 생성된 OrderResponse에 대한 테스트를 진행하는 것을 보았습니다. 아래는 Order와 관련된 코드입니다public Order(List<Product> products, LocalDateTime registeredDateTime) { this.orderStatus = OrderStatus.INIT; this.totalPrice = calculateTotalPrice(products); this.registeredDateTime = registeredDateTime; this.orderProducts = products.stream() .map(product -> new OrderProduct(this, product)) .collect(Collectors.toList()); } public static Order create(List<Product> products, LocalDateTime registeredDateTime) { return new Order(products, registeredDateTime); } private int calculateTotalPrice(List<Product> products) { return products.stream() .mapToInt(Product::getPrice) .sum(); }이 코드에서 아래에 해당하는 코드만 테스트를 진행하셨는데요this.orderStatus = OrderStatus.INIT; this.totalPrice = calculateTotalPrice(products); this.registeredDateTime = registeredDateTime;만약에 위와 같은 컬럼이 끝이아니라 아래와 같이 수많은 컬럼이 있다면 이 모든것들을 다 테스트 해주어야 하는걸까요?제 의문은 어떤것은 테스트하고 어떤것은 테스트 하지 말아야하나? 모든것들 전부 테스트 해야하나?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테스트를 해야되지라는 정답이 없는 고민이 있어 강사님의 의견을 여쭙고자 질문을 드려봅니다this.orderStatus = OrderStatus.INIT; this.totalPrice = calculateTotalPrice(products); this.registeredDateTime = registeredDateTime; ... ... ... ... ... ...은 컬럼을 의미합니다 아무거나 다른 컬럼을 생각해주셔도 좋습니다!어떠한 한가지만을 테스트할때는 강사님이 말씀해주신것처럼 경계값이든 무엇이든 기준을 가지고 테스트를 진행하면 될텐데 OrderResponse나 그런것들 즉 어떤것에 의해 생성된것에 대해 테스트를 해야할때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테스트를 해야하는지 잘모르겠습니다.혹시 가능하시다면 어떤기준을 가지고 어떤것에 대해 테스트를 하시는지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테스트를 해야하는지에 대한 생각을 가지고 있으시다면 말씀부탁드립니다 4 OrderService에 대한 테스트를 어디서부터 어디까지 어느정도 테스트해야하나입니다 지금은 아래와 같은 것들을 테스트 해주고 있는데요assertThat(orderResponse.getId()).isNotNull(); assertThat(orderResponse) .extracting("registeredDateTime", "totalPrice") .contains(registeredDateTime, 4000); assertThat(orderResponse.getProducts()).hasSize(2) .extracting("productNumber", "price") .containsExactlyInAnyOrder( tuple("001", 1000), tuple("002", 3000) ); 만약 Order Service에 대한 로직이 복잡해지고 결제나 뭐 등등 이런것들이 증가가 된다면 그런부분들도 모두 test에서 검증을 해줘야하는걸까요? 만약 모두 그런부분들을 검증해준다고하면 구현부분이 조금 바뀐다고해도 테스트가 쉽게 깨질 수 있다라고 생각하는데요 그래서 생성이라면 생성과 관련된 테스트만 잘 테스트를 해야하는것인가 아니면 내부 구현에 대한 테스트도 진행을 해야하는것인가에 대한 의문이 있는데 강사님은 어떻게 생각하시나 궁금하여 질문을 드려봅니 5 앞에서 한 테스트를 뒤에서도 검증 해야하나? 라는 의문입니다 stock에 대한 단위테스트를 진행하면서 감소 메서드에 대한 테스트도 진행하였습니다.그런데 OrderService에서 아래와 같은 코드로 검증을 해주는데요List<Stock> stocks = stockRepository.findAll(); assertThat(stocks).hasSize(2) .extracting("productNumber", "quantity") .containsExactlyInAnyOrder( tuple("001", 0), tuple("002", 1) ); 항상 의문이었던 것은 다른 곳에서 테스트를 통해 검증이 끝난것도 다시 테스트를 해줘야하나라는 의문입니다.이 코드 말고도 이와 비슷한 현상이 발생할 수 있을거 같은데요다른 코드에서 검증을 진행해주는 코드를 앞 layer에서나 다른곳에서 쓸떄 또 검증을 해줘야하나라는 의문이 있습니다. 6 메일에관한 테스트는 하지않는걸까요?서비스테스트 중에 외부에 관한 즉 메일링 관련된 것은 목킹한것을 보았습니다. 그러면 메일에 관한 것은 단위테스트를 통해서 하는 것인지 아니면 그냥 잘동작하는것이라고 가정하고해야 하는걸까요? (그것을 테스트할 수 없기 때문에?)7 밸리드는 모두 테스트?프레젠테이션 레이어 즉 컨트롤러 테스트 중 밸리드에 관련된 부분은 보통 모두 테스트 하시는편인가요 아니면 정말 필요하다고 생각되시는 부분만 하시는지 궁금합니다. 모두 하면 모두 검증을하는거니 당연히좋겠지만 이것도 모두 비용이라 생각하는데 이런것들도 모두해야되나?라는 의문이 들어 질문드립니다 적다보니 의문이 많이 생겨 주절주절 적어봤는데요.. 좋은 테스트 코드를 지향하면서 테스트를 통해 깔끔하게 문서화하고 이를 통해 신뢰도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지에 대한 고민을 하면서 정답이 없는 고민들에 대해 생각이 들었고 이 강의로 이끌리게 되었습니다 혹시나 제 질문이 잘이해가 되지 않으신다면 말씀부탁드립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Name for argument of type [java.lang.Long] not specified, and parameter name information
Name for argument of type [java.lang.Long] not specified, and parameter name information 이 예외 뜨시는분들 @PathVariable(" ") 파라미터 이름 지정해주셔야할듯3.2이후 버전부터 파라미터 이름 자동으로 추론하지 않도록 변경됐대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빈이 없다고 뜹니다..
구글드라이브 링크https://drive.google.com/file/d/1gq1a-0nrQ9vHo0W2zv8Oo4gEK9pxp5jA/view?usp=sharingCould not autowire. No beans of 'ItemMapper' type found. 이런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무시하고 테스트 돌려보니 3개 모두 오류가 발생합니다.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Failed to load ApplicationContext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Failed to load ApplicationContextjava.lang.IllegalStateException: Failed to load ApplicationContext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Service에서 @transactional을 왜쓰는건가요? 안써도 되지않나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트랜젝션을 쓰지 않아도 크게 상관이없지않을까요?왜쓰는건지 궁금하고트랜젝션을 쓰지않을때는 도메일 모델 패턴으로쓰는데도메일 모델 패턴은 왜 트렌젝션을 어노테이션으로 달지않나요?야생형으로 듣다보니 의문형이 생기네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생성 메서드 질문! Static을 왜 붙이는건가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생성메서드의 용도가 갑자기 까먹었는데그냥 생성자로 넣어주려는걸로 아는데Static으로 정적으로 왜쓰는건가요?Static 빼면 안되나요?
-
해결됨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급 @Repositroy 질문
@Repository가 Data Access layer 계층에 있고 선언만하면 Bean으로 등록이되서 spring container가 관리해주는것으로 알고있습니다. 여기서 질문인게 DB-1편 자료를 읽고와보니 PlatformTransactionManager를 썼을때 코드상에 @Repositroy를 안붙이셨는데 굳이 @Respository를 붙이지 않아도 되나요?저는 꼭 붙여야만 저장소로 인식이 되는줄알아서요 정확한답변 부탁드립니다@Slf4j public class MemberRepositoryV1 { private final DataSource dataSource; public MemberRepositoryV1(DataSource dataSource) { this.dataSource = dataSource; } public Member save(Member member) throws SQLException { String sql = "insert into member(member_id, money) values (?, ?)"; Connection con = null; PreparedStatement pstmt = null; 코드는 일부만 발췌했습니다! 지금 MemberRepository1~4까지 확인해보니 위에 전부다 @Repository를 붙이시지 않았더라구요!제가 잘 알지못해서 정확하게 답변듣고싶습니다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Section 8 소셜 로그인 API 서버 인코딩 관련 문의드립니다.
위 코드는 수업중 진행하신 MemberServiceImpl.java 파일의 getEmailFromKakaoAccessToken 메소드의 일부입니다. 저기에서 마지막에 bodyMap 을 로그로 확인하는 부분이 있는데 위와 같이 nickname 을 보면 인코딩이 깨져서 나옵니다.저 nickname 을 확인하려면 어떻게 해야하나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자바파일생성안됨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저 빨간색 폴더안에서는 자바파일이 생성이 안되는데 똑같이 디렉토리를 생성하면 가끔 저렇게 빨갛게 뜨면서 자바파일이 안만들어지는데 원인이 무엇인가요??해결방법도 알려주세요!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강의 1:40 코드 질문
해당 코드의 빨간 줄이 생기는데 왜 그럴까요?실행 결과는 잘 나옵니다. Unchecked assignment: 'java.util.List' to 'java.util.List<java.lang.Object[]>'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Spring과 MySQL연동 실패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runtimeOnly 'com.h2database:h2' runtimeOnly 'mysql:mysql-connector-java:8.3.0'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위와 같이 dependencies를 설정했고 밑은 application.yml입니다. spring: datasource: url: "jdbc:mysql://loca lhost/library" username: "root" password: "비밀번호" driver-class-name: com.mysql.cj.jdbc.Driver비밀번호는 알아서 설정했습니다. 오류가 생겨서 dependencies에서 runtimeOnly 'mysql:mysql-connector-java:8.3.0'로 설정했습니다.밑에는 에러 표시입니다. Execution failed for task ':LibraryAppApplication.main()'.> Could not resolve all files for configuration ':runtimeClasspath'. > Could not find mysql:mysql-connector-java:8.3.0. Required by: project :Possible solution: - Declare repository providing the artifact, see the documentation at https://docs.gradle.org/current/userguide/declaring_repositories.html > Task :LibraryAppApplication.main() FAILEDExecution optimizations have been disabled for task ':LibraryAppApplication.main()' to ensure correctness due to the following reasons: - Type 'org.gradle.api.tasks.JavaExec' property 'classpath' cannot be resolved: Could not resolve all files for configuration ':runtimeClasspath'. Reason: An input file collection couldn't be resolved, making it impossible to determine task inputs. Please refer to https://docs.gradle.org/7.5/userguide/validation_problems.html#unresolvable_input for more details about this problem.Execution failed for task ':LibraryAppApplication.main()'.> Could not resolve all files for configuration ':runtimeClasspath'. > Could not find mysql:mysql-connector-java:8.3.0. Required by: project :Possible solution: - Declare repository providing the artifact, see the documentation at https://docs.gradle.org/current/userguide/declaring_repositories.html Could not find mysql:mysql-connector-java:8.3.0.Required by: project :Search in build.gradle files뭐가 에러인가요..? 만약 Runtimeonly뒤에 version을 따로 기입하지 않는다면, Caused by: com.mysql.cj.exceptions.CJCommunicationsException: Communications link failure라는 에러가 뜹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PK값으로 테스트 할 때 질문입니다.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어떤 부분이 고민인지, 무엇이 문제인지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 보세요.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우선, 덕분에 테스트 코드를 작성하는데 많은 도움이 됐습니다! 현재 토이프로젝트 진행 중에 PK 값을 Long 타입으로 두고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이 전략을 사용하니, tearDown을 해도, 전체 테스트에서는 create하고 삭제를 하니, PK인 Long이 1L인 것을 보장을 못하더라구요.그래서 create하는 메서드의 반환을 void로 했다가 Long 타입으로 반환하는데, 이렇게 하는 것도 좋은 코드인가요..?@DisplayName("사용자를 조회하면 사용자의 이름, 직업, 전화번호, 성별을 조회한다.") @Test void getUserInfo() { //given Register register = Register.builder() .name("name") .job(Jobs.STUDENT) .phone("010-0000-0000") .man(true) .build(); Long id = usersService.registerUser(register); //when UserResponse userInfo = usersService.getUserInfo(id); // then assertThat(userInfo.name()).isEqualTo("name"); assertThat(userInfo.job()).isEqualTo(Jobs.STUDENT); assertThat(userInfo.phone()).isEqualTo("010-0000-0000"); assertThat(userInfo.man()).isEqualTo(true); } // 단건 조회 public UserResponse getUserInfo (Long id){ Users user = usersRepository.findById(id). orElseThrow(IllegalArgumentException::new); return UserResponse.of(user); } 입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DTO 선언할 때 @AllArgsConstructor 붙여준 이유
DTO 선언 시 @AllArgsConstructor를 붙여주셨는데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Jackson 라이브러리가 정상적으로 JSON 데이터를 객체에 바인딩 해주기 위해 모든 인스턴스 변수를 포함한 생성자가 필요해서 그런 것인가요?혹은 단순히 컨트롤러 메서드에서 DTO 데이터를 전체적으로 초기화하기 위함인가요?
-
해결됨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프록시 내부 호출 문제에 관한 질문 사항
보통 실무에서는controller ->service(interface) -> repository -> dao^|serviceImpl (service Interface 구현체)이렇게 많이 사용합니다. 제가 개발자로 실무를 하지 않아서 정확하지는 않지만@Configuratiain 을 이용한 클래스에서 구성을 잡고 포인트컷으로 지정된 패키지와 그 하위 *Impl 메서드에 모든 @Transaction 어노테이션이 적용되도록 설정을 했던 것 같습니다.그리고 serviceImpl에서 @Transactional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지 말라고 가이드가 내려 옵니다. 코딩은public class serviceImpl {public int createMember(MemberVO member) {deleteMember(member);insertMember(member);updateMember(member);} public int deleteMember(MemberVO member) {//비지니스 로직 수행String id = member.getId(); //null 체크 되어 있다고 가정repository.delete(id);}public int insertMember(MemberVO member) {//비지니스 로직 수행repository.insert(member);} public int updateMember(MemberVO member) {//비지니스 로직 수행repository.update(member);}} 그런데 한번도 아키텍처나 업무 공통 단에서 내부 호출에 대한 가이드가 없었습니다.그리고 실제로 내부 호출을 해도 Transaction 처리에 문제가 있지는 않았습니다.그렇다고 AspectJ 의 컴파일러를 이용하는 것 같지도 않고ObjectProvider를 사용하는 것 같지도 않는데 말입니다. 고급편에서도 궁금했지만 DB2편을 다 수강하고 나서 질문을 드립니다 아키텍처 쪽에서 내부 호출에 대한 문제를 모르진 않았을것 같은데통상적으로 어떻게 @Transactional 처리를 하기에 개발자들은 내부 호출 문제에 신경 쓰지 않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build.gradle에러
[질문 내용] ext["hibernate.version"] = "5.6.5.Final" 를 못 읽는것같습니다 뭐가 문제일까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