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신규 강의로 재오픈 예정) 스스로 구축하는 AWS 클라우드 네트워크 - 기본편
route tables 관련문의
vpc>subnets>서브넷 선택 후 하단 Route table vpc>Route Tables>서브넷 선택 후 하단 Routes 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혼동이 됩니다.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도커와 CI환경 [2023.11 업데이트]
production 환경에서의 volumn의 장점
강의 너무 잘 듣고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제 질문은 배포환경(Elastic bean stalk)에서는 docker-compose.yml에 volume으로 매핑한다면 참조가 되지 않을 것 같은데요 가령 아래와 같은 docker-compose.yml을 master에 푸쉬해서 code pipeline으로 Beanstalk에게 넘겨줘서 컨테이너를 실행시킬 것인데, 그 컨테이너안의 /app 폴더가 로컬폴더인 ./frontend 를 가리킬 것 같지는 않은데요. 그렇다면, volume은 배포환경이 아닌, 개발환경에서의 편의를 위해서 사용하는 것인가요? 감사합니다. version: "3" services: frontend: build: dockerfile: Dockerfile.dev context: ./frontend volumes: - /app/node_modules - ./frontend:/app stdin_open: true
-
해결됨[2025 리뉴얼] 스스로 구축하는 AWS 클라우드 인프라 - 기본편
key pair type
6분 25초쯤 key pair설정하는 단계에서 실습 과정 중 AWS가 재정비되며 새로 생긴 key pair type에 RSA, ED25519 중 선택해야 하는데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요?
-
해결됨[2025 리뉴얼] 스스로 구축하는 AWS 클라우드 인프라 - 기본편
AutoScaling 생성 과정 질문드립니다.
AutoScaling 생성 과정 과정에서 로드밸런싱 생성하는 구간에 관해 질문 드립니다. 6분 28분쯤 load balancer 선택하는 부분에서 강의 화면에는 사용여부를 체크하는 체크박스만 있었지만 현재 AWS 바뀐 설정은 load balance 없음, 기존 load balancer 연결, 새 load balancer 연결 3가지 체크박스가 있습니다. 기존 load balancer와 새 load balancer중 어떤걸 체크하면 될까요:?
-
미해결AWS(Amazon Web Service) 입문자를 위한 강의
metric이 정확히 어떤 의미인가요?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인프라나 애플리케이션을 모니터링할때 metric이라는 용어를 자주 접하게되는데.. 이번 강의에서도 언급이 됐었고요. 그런데 정확한 의미를 모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도커와 CI환경 [2023.11 업데이트]
Package.json 파일이 없다는 오류가 나오지 않는 경우
안녕하세요 강사님이 진행하신 그대로 따라서 진행했는데, 도커 파일 빌드 했을 때 Package.json이 없다는 오류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Windows OS 의 cmd 창에서 진행하고 있습니다. 이유가 뭘까요?
-
해결됨따라하며 배우는 도커와 CI환경 [2023.11 업데이트]
aws 무반응 수정하기
에러 없이 travis에서 잘 끝났는데 aws 무반응이시라는 분들은... travis.yml 파일에서 아래 내용처럼 신규 라인을 추가하시면 됩니다. deploy: provider: elasticbeanstalk edge: true <<- 이거 추가 region: "ap-northeast-2" 관련 레퍼는 아래 링크 참고하셔요 https://yayyz.github.io/2019/11/20/travis-ci-%EB%B0%B0%ED%8F%AC%EC%95%88%EB%90%A0%EB%95%8C.html https://forgiveall.tistory.com/571
-
미해결AWS(Amazon Web Service) 입문자를 위한 강의
aws 명령어 2번째
1번을 실행해서 mywebapp 을 만들고 2번째 명령어를 실행 하려고 하는데 /home/ec2-user/appspec.yml was not found 이런 err 문장이 나와서 진행을 못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강의에서 ec2 인스턴스 내에서 실행을 하는게 아니라 로컬 머신에서 실행을 해야 한다고 하셨습니다, window putty에서 하는 방법을 모르겠습니다.
-
해결됨[2025 리뉴얼] 스스로 구축하는 AWS 클라우드 인프라 - 기본편
수업이 끝나고
안녕하세요 지금 까지 해왔던것은 거의 프리티어로 하긴 했지만... 수업이 끝났으니 혹시모르는 과금을 위해 다 삭제해 주는것이 좋나요..???
-
해결됨[2025 리뉴얼] 스스로 구축하는 AWS 클라우드 인프라 - 기본편
안녕하세요 라우팅 테이블 질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 제가 강의를 다 듣고 복습하는 차원에서 다시 처부터 하나하나씩 보고 있는중인데 라우팅 테이블에 대해 질문이 있어서 글 남깁니다! 현재 라우팅 테이블이 총 3개가 있는데요 1. private subnet 2개 -> Destination: Nat Gateway (nat을 통해 외부로 나가라) 2. private subnet 2개 -> Destination: Nat Gateway (nat을 통해 외부로 나가라) 3. public subnet 2개 -> Destination: InternetGateway 질문1 이렇게 3개의 라우팅 테이블이 있는데 처음에 강사님께서 private ec2에서 외부로 리소스가 나갈때는 Nat를 통해 나간다하셨는데 그럼 1번과 2번을 통해 Nat으로 온 리소스를 3번 라우팅테이블 이 받아 IGW 로 간다고 이해한게 맞는건가요?? 질문2 라우팅 테이블 할떄 나가는거 말고 들어오는건 따로 설정 안해줘도 되는건가요??
-
해결됨[2025 리뉴얼] 스스로 구축하는 AWS 클라우드 인프라 - 기본편
질문
1분 5초 쯤에 나오는 alb DNS 네임으로 접속하거에서 DNS 이름치고 들어가면 로딩만 계속되고 더이상 진행이 안되는데... 인바운드 설정을 건드려야 할거같은데 아직 AWS에 적응이 완벽히 안되서 어디를 손봐야 할지 모르겠어요!
-
해결됨[2025 리뉴얼] 스스로 구축하는 AWS 클라우드 인프라 - 기본편
EC2 생성 질문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그 강의 한 단위(?) 마다 아키텍처로 설명 해주시는거 구현하는걸로 알고있는데... 제가 17분짜리 마지막강의 듣고나서 보니까 Private서브넷에 EC2가 두개가 생성되어야 하는걸로 알고 있는데 강의를 다보고 보니까 2a에만 EC2를 생성한거 같더라구요... Private subnet/2C 에 EC2는 왜 안만드시는건가용??
-
해결됨[2025 리뉴얼] 스스로 구축하는 AWS 클라우드 인프라 - 기본편
mac 질문있습니다.
mac m1으로 실습을 따라가고 있는데, ppk로 변환하는 것까지는 했습니다. 그런데 그 뒤에 PuTTY를 이용해서 연결을 하고 로그인하는 부분을 mac에서는 어떻게 해야할지, 어떻게 검색을 해야할지 잘 모르겠습니다.
-
해결됨[2025 리뉴얼] 스스로 구축하는 AWS 클라우드 인프라 - 기본편
private 서브넷은 라우트 설정이 필요없나요??
안녕하세요 질문이 2개가 있습니다 1.필요없다면 왜 private 는 따로 라우트 설정을 안해도되나요???? 2. 제가 이해가 잘안가서 그런데 라우트 설정은 들어가는 방향이나 방법들을 설정하는거고 서브넷 설정은 그 라우트들이 지나가는 길목이라 생각해도 무방할까요??
-
해결됨[2025 리뉴얼] 스스로 구축하는 AWS 클라우드 인프라 - 기본편
마지막 dns입력
마지막 dns 부분에서 dns 로 입력해서 들어갈려하면 계속 무한로딩이 뜨는데 어떻게 하면 좋죠?
-
해결됨[2025 리뉴얼] 스스로 구축하는 AWS 클라우드 인프라 - 기본편
시큐리티 설정
안녕하세요 지금은 aws가 좀 바뀌어서 그런데 3분 55초쯤에 설정하는것인바운드 인가요 아웃바운드 설정인가요??
-
미해결이미지 관리 풀스택(feat. Node.js, React, MongoDB, AWS)
React 관련 궁금한게 있습니다.
리액트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지금까지는 리액트를 로컬에서만 불러오고 있는데요. 외부에서 접근을하려면 서버에 올려야하잖아요? 이런건 어떻게 aws서버에 올리는지 궁금합니다. aws와 react 강의니깐 강의에 맞는 질문 같은데 아니면 알려주세요.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도커와 CI환경 [2023.11 업데이트]
윈도우 cmd창에서 redis-cli라고 치면 강사님 mac과 다르게 실행이 안되는데 윈도우는 원래 그런가요?
cmd창에서 그냥 redis-cli라고 치면 내부또는 외부명령 실행할수 있는 프로그램,또는 배치파일이 아닙니다라고 뜨는데 윈도우에서는 안되는건가요?
-
해결됨[2025 리뉴얼] 스스로 구축하는 AWS 클라우드 인프라 - 기본편
rds 강의내용이 강의설명이 많이 다릅니다.
mysql을 private subnet으로 구성하고 이를 이중화는 하는게 본 내용인줄 알고 쭉 강의를 들었는데 RDS 마지막 강의 지나가듯이 이중화는 안하고 이내용을 뛰어넘고 subnet은 변경하지도 못하는데... 초반의 강의설명과 일치된 강의 내용이 필요합니다. 맛보기강의를 듣고 필요한 강의라고 생각해서 쭉 들었는데 ;;;
-
미해결
AWS RDS 를 Workbench로 쿼리 불러들이면 비용이랑 트래픽이 많이 발생하나요??
개발자 분이 본 서버 DB랑 읽기용 DB랑 분리 되어있어서 필요할 때마다 MySQL Raw data 불러오기 join하고 그랬었는데, 최근에 읽기전용으로 업데이트가 느려졌다고, 트래픽 이슈랑 workbench로 그때 그때 쿼리하면 비용도 많이 발생하지 않냐고 하는데 이런건 어디서확인하죠? 비용은 AWS 사이트에서 기가당 USD 0.129인가 그 자료 밖에 없던데 https://aws.amazon.com/ko/rds/mysql/pricing/ (출처) 비용이랑 트래픽이 얼마나 영향 주는지를 어떻게 알 수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