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order.cancel();의 더티체킹에 대해 질문 있습니다.
@Entity @Getter @Setter @DiscriminatorColumn(name = "dtype") @Inheritance(strategy = InheritanceType.SINGLE_TABLE) public abstract class Item { @Id @Column(name = "item_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name; private int price; private int stockQuantity; @ManyToMany(mappedBy = "items") private List<Category> categories = new ArrayList<>(); //== 비즈니스 로직 ==// public void addStock(int quantity) { this.stockQuantity += quantity; } public void removeStock(int quantity) { int restStock = this.stockQuantity - quantity; if (restStock < 0) { throw new NotEnoughStockException("need more stock"); } this.stockQuantity = restStock; } }@Entity @Getter @Setter @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 public class OrderItem { @Id @Column(name = "order_item_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order_id") private Order order;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team_id") private Item item; private int orderPrice; private int count; //==생성 메서드==// public static OrderItem createOrderItem(Item item, int orderPrice, int count) { OrderItem orderItem = new OrderItem(); orderItem.setItem(item); orderItem.setOrderPrice(orderPrice); orderItem.setCount(count); item.removeStock(count); return orderItem; } //==비즈니스 로직==// /* * 재고 수량을 복구한다. * */ public void cancel() { getItem().addStock(count); } //==조회 로직==// public int getTotalPrice() { return getOrderPrice() * getCount(); } }@Entity @Getter @Setter @Table(name = "orders") @NoArgsConstructor(access = AccessLevel.PROTECTED) public class Order { @Id @Column(name = "order_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private Long id; @Many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member_id") private Member member; @OneToMany(mappedBy = "order", cascade = CascadeType.ALL) private List<OrderItem> orderItems = new ArrayList<>(); @OneToOne(fetch = FetchType.LAZY, cascade = CascadeType.ALL) @JoinColumn(name = "delivery_id") private Delivery delivery; private LocalDateTime orderDate; @Enumerated(EnumType.STRING) private OrderStatus status; //== 연관관계 메서드 ==// public void addMember(Member member) { this.member = member; member.getOrders().add(this); } public void addOrderItem(OrderItem orderItem) { orderItems.add(orderItem); orderItem.setOrder(this); } public void addDelivery(Delivery delivery) { this.delivery = delivery; delivery.setOrder(this); } // 생성하는 지점을 변경해야 되면 아래 생성 메서드만 바꾸면 된다. 이게 중요한 포인트다 이것저것 찾아다닐 필요없고 //== 생성 메서드==// public static Order createOrder(Member member, Delivery delivery, OrderItem... orderItems) { Order order = new Order(); order.setMember(member); order.setDelivery(delivery); for (OrderItem orderItem : orderItems) { order.addOrderItem(orderItem); } order.setStatus(OrderStatus.ORDER); order.setOrderDate(LocalDateTime.now()); return order; } //==비즈니스 로직==// /* * 주문 취소 * */ public void cancel() { if (delivery.getStatus() == DeliveryStatus.COMP) {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이미 배송 완료된 상품은 취소가 불가능합니다."); } this.setStatus(OrderStatus.CANCEL); for (OrderItem orderItem : orderItems) { orderItem.cancel(); } } //==조회 로직==// /* * 전체 주문 가격 조회 * */ public int getTotalPrice() { int totalPrice = 0; for (OrderItem orderItem : orderItems) { totalPrice += orderItem.getTotalPrice(); } return totalPrice; } }@Service @Transactional(readOnly = true) @RequiredArgsConstructor public class OrderService { private final OrderRepository orderRepository;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private final ItemRepository itemRepository; // 주문 @Transactional public Long order(Long memberId, Long itemId, int count) { // 엔티티 조회 Member member = memberRepository.findOne(memberId); Item item = itemRepository.findOne(itemId); // 배송정보 생성 Delivery delivery = new Delivery(); delivery.setAddress(member.getAddress()); // 주문상품 생성 OrderItem orderItem = OrderItem.createOrderItem(item, item.getPrice(), count); // 주문 생성 Order order = Order.createOrder(member, delivery, orderItem); // 주문 저장 orderRepository.save(order); return order.getId(); } // 취소 @Transactional public void cancelOrder(Long orderId) { Order order = orderRepository.findOne(orderId); order.cancel(); } // 검색 // public List<Order> findOrders() { // return orderRepository.f // } }OrderService에서 cancelOrder()을 할 경우 @Transactional에 의해 자동으로 트랜잭션을 시작하고 커밋을 보내고 커밋을 보낼때 플러시가 발생하고 더티체킹이 발생해 직업 update를 안해도 알아서 update 쿼리가 날라가는 부분에 대해서는 이해를 했습니다.궁금한 부분은 현재 Order order = orderRepository.findOne(orderId); 를 통해 order 엔티티만 조회 했으니 영속성 컨텍스트에는 order 엔티티만 존재하므로 Item 엔티티는 영속성 컨텍스트에 없는데 어떻게 더티체킹에 들어갈까가 저의 의문입니다.이 부분에 대해서 아래와 같이 생각해봤는데 맞게 생각한건지 궁금합니다. 잘못된 부분에 대해서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order.cancel();의 cancel() 메서드를 보면 orderItem.cancel(); 부분이 존재한다.orderItem.cancel() 의 cancel() 메서드를 보면 getItem().addStock(count); 부분이 존재한다.여기서 getItem()을 사용해서 (현재 Order와 OrderItem은 지연로딩 관계) 실제 orderItem 값을 사용하므로 DB에서 orderItem 엔티티를 조회해서 영속성 컨텍스트에 저장한다.다시 orderItem.cancel() 의 cancel() 메서드에서 addStock(count) 메서드를 들어가 보면 Item의 addStock() 메서드로 이동한다. 여기서 this.stockQuantity += quantity; 를 통해 Item의 실제 값을 사용하므로 Item 엔티티도 DB에서 조회해서 영속성 컨텍스트에 저장한다.결과적으로 OrderService의 cancelOrder() 메서드에서 order.cancel();가 호출되면 Item과 OrderItem 엔티티도 영속성 컨텍스트에 저장되서 더티체킹 범위에 들어가게 된다.
-
해결됨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핸들러매핑
이전에 V5예시에서 URL에 대한 핸들러 매핑은 객체가 된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Controller public class SpringMemberFormControllerV1 { @RequestMapping("/springmvc/v1/members/new-form") public ModelAndView process() { return new ModelAndView("new-form"); . } }이후 스프링 MVC에서 RequestMappingHandlerMapping은 스프링 중에서 @RequestMapping또는 @Controller가 클래스 레밸에 붙어 있는 경우에 매핑 정보로 인식한다라고 하셨는데 그렇다면 URL 정보가 스프링빈(객체)로 매핑되는것이 핸들러 매핑이 되는 것인가요?? @RequestMapping이 클래스 단위가 아니라 메서드 단위에 적용된다는 것은 핸들러 어뎁터조회, 핸들러 어뎁터 실행이 끝나고 실제 핸들러가 실행되는 부분이라고 이해했습니다..
-
해결됨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세션1이 롤백을 하게 되면 세션2는 잘못된 데이터를 수정하는 문제가 발생한다는 의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 아래는 강의 자료에 있는 내용입니다.------------------------------------------세션1이 트랜잭션을 시작하고 데이터를 수정하는 동안 아직 커밋을 수행하지 않았는데, 세션2에서 동시에 같은 데이터 를 수정하게 되면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한다. 바로 트랜잭션의 원자성이 깨지는 것이다. 여기에 더해서 세션1이 중간에 롤백을 하게 되면 세션2는 잘못된 데이터를 수정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money=10000인 상태에서 세션1이 money를 5000으로 바꾼다고 하더라도 커밋을 하지 않는다면, 세션2가 보고 있는 money는 여전히 10000인 거고 10000에 접근하는 거 맞나요? 그렇다면 세션1이 롤백을 하더라도 세션2은 기존 10000을 수정하고 있는 거니 잘못된 데이터를 수정하는 건 아니지 않나요? 위에 굵게 표시한 부분 어떤 의미인지 궁금합니다. 아니면 위에 있는 설명은 커밋되지 않는 데이터에 접근하는 경우라고 가정하는 건가요?
-
미해결
백엔드 개발자에게 가장 우선시되는 능력은?
자바언어를 중심으로 백엔드 개발자로 취직을 목표로 잡고자합니다. 현재 국비지원을 이수중이면 자바로 코딩테스트를 풀던 중 한계가 느껴져 이 사이트를 찾게되었는데 백엔드 개발자는 자바, sql, https , 자바 스프링부트 배울게 너무 많아 어느것을 중심으로 학습을 수강해야할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강의 질문
안녕하세요. 김영한 선생님 모든 강의중에서 재귀함수에 대해서 다뤄주시는 곳이 있을까요 ?
-
미해결스프링부트 JUnit 테스트 - 시큐리티를 활용한 Bank 애플리케이션
validation aop사용에 대해서 질문있습니다.
@ResponseStatus(HttpStatus.BAD_REQUEST)@ExceptionHandler(BindException.class)public ApiResponse<Object> bindException(BindException e) {이런식으로 전역적으로 validation을 해주면 aop를 사용하지 않고 더 편하고 어노테이션도 안달아줘도 될거같은데 aop를 사용하면 장점이 무엇인가요?
-
해결됨[풀스택 입문] Firebase보다 10배 좋은 Supabase
'[풀스택 완성] Supabase로 웹사이트 3개 클론하기 심화 강의' 3만원 쿠폰
"Firebase보다 10배 좋은 Supabase" 무료강의 수강하면 쿠폰수령 가능하다는데, 어떻게 받나요?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th:classappend 시 No Operation VS 빈값
[질문 내용]필드 오류 처리 개선 방안에서 _ 이라는 No-Operation 명령어를 사용해서 처리했는데, 그냥 ‘’ 이렇게 빈 값을 넣어도 처리가 됩니다. No Operation 사용과 빈값 사용에 어떤 차이가 있을까요?
-
해결됨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
cloudfront 과금 발생
맨 처음 17달러 과금이 발생한 것을 확인한 날, 강의를 따라하면서 배포한 사이트를 비활성화 처리했습니다. 하지만 다음날 25달러로 늘어나 있었고 SSL 인증서 문제인 것을 확인해, Certificate Manager들어가서 발급받았던 인증서 삭제하고, 배포했던 사이트에 적용햇던 인증서를 None처리했습니다. 그러고 다음날은 오늘 추가 0.81달러 과금이 발생해 25.81 이 되었습니다. cloudfront에서 과금이 발생할 수 있는 요소에 대해 설명해주실 수 있을까요. 어떤 처리들을 해야 아예 과금이 발생하지 않을 수 있을까요? 인증서 외에도 과금 발생할 요소들이 있을까요. 실습시에 구매했던 도메인네임을 적용하면서 하는 중이었습니다 .
-
미해결업무가 100배 빨라지는 엑셀 데이터 활용과 분석 노하우
여러 열 드래그 후 한번에 늘리기
선생님 안녕하세요! 강의 중 너무 자연스럽게 열 드래그 후 늘리기 기능을 사용하셔서 해당 단축키가 궁금해서 질문 드립니다. 지점별 종류 추출하여 분석 양식 작성 > 2:55초 부분입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빌더 패턴 vs 정적 팩토리 메서드
빌더 패턴을 사용하여 객체를 생성하는 방법과 정적 팩토리 메서드를 사용하여 객체를 생성하는 방법을 각각 언제 사용하면 좋을지 궁금합니다.구글링해서 찾아보니 빌더 패턴은 파라미터가 많을때 사용하고 정적 팩토리 메서드는 파라미터가 적을때 사용한다고 하는데 파라미터가 많고 적음의 기준도 잘 모르겠고 명확하게 언제 사용하면 좋을지에 대한 글을 찾지 못해 질문글을 작성합니다.
-
미해결[2025년 출제기준] 웹디자인기능사 실기시험 완벽 가이드
header_logo 부분 질문
header_logo 부분에 "로고의 크기 변경 시, 가로세로 비율(종횡비, aspect ratio)을 유지하여야 한다." 부분이 있습니다. 그냥 포토샵 할 때는 200 x 40 비율로해서 그대로 작성하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Windows 시스템 프로그래밍 - 기본
강사님 dll 지연로딩 관련하여 질문 드립니다
강의 내용을 기반으로 제프리 리처 <Windows via C/C++> 을 읽으며 생긴 질문이 있어서 여쭤봅니다.5판 번역본 기준 730p 입니다. /DelayLoad:MyDll.dll <- 지연로딩할 dll을 사용하면 링커에게 "실행 모듈의 임포트 섹션으로부터 MyDll.dll 파일을 제거하여 프로세스를 초기화할 때 해당 DLL 을 암시적으로 로드하지 못하도록 한다. 라고 되어 있습니다. (730페이지 상단) 이후에 지연로드 된 함수가 호출되었을 때 해당 함수를 익스포트하고 있는 DLL 이 존재하지 않으면 __delayLoadHelper2() 는 exception 을 던진다고 나와있습니다. (730페이지 3번째 문단) 궁금한 점은 "임포트 섹션에서 MyDll.dll 제거할 때 해당하는 dll 이 없으면 링크타임이나 로드할 때 에러를 발생시키면 되는데 왜 굳이 런타임에 exception 을 던지는지?" 궁금합니다. 항상 유익한 강의 감사합니다 😄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Flutter 3.0 앱 개발 - 10개의 프로젝트로 오늘 초보 탈출!
GestureDetector 부분 onTap 함수 VoidCallBack 함수로 감싸는 이유?
아래의 코드중에 온탭 생성자 부분에서 바로 onTap(e)를 사용하지 않고 보이드콜백 함수로 감싸줘야하는 이유가child: GestureDetector( onTap: () { ontap(e); },해당 부분에서 onTap 메소드? 함수가 받는 형식은제스처콜백 타입으로 typedef GestureTapCallback = void Function(); 이지만 저희가 생성한 새로운 자료형은 void Function(String selectedColorName);형태이기때문에 완전한 형식을 지켜주는 (){} 형태가 최 상단에 위치하고 그 아래에 저희가 사용하고자 하는 형태로 만들어진 함수를 다시 불러와줌으로서 논리적으로 작동하게 만들어주는게 맞나요?생성한 onTap함수만 넣어서 에러를 읽어봤는데 제대로 이해가 안되서 질문 남깁니다.
-
미해결F6-비전공자·일반인을 위한 기업재무회계의 이해와 활용
강의 자료를 이메일로 받고 싶습니다.
안녕하십니까?좋은 강의를 알기 쉽게 설명해 주셔 감사드립니다.제가 수강하는 "F6 비전공자.일반인을 위한 기업재무회계의 이해와 활용" 강의 자료를 이메일로 받고자 요청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Unity] 함께 만들어가는 방치형 게임 개발
안녕하세요 질문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로딩도 만드신다고 햇는데 혹시 로비창도 강의 있나요??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input box에 데이터 입력후 확인 버튼 누르고 input 데이터 수정하면 오류 발생 ...
안녕하세요 Redux 수업 다 듣고 이해 되지 않아서 따로 프로젝트를 뽑아서 Redux를 연습 하고 있어요...일단 이해는 다된거 같아요...아래 dispatch 하는 부분에서 오류가 뜨네요..먼저 처리 순서가 ... input에 데이터를 입력하고 로그인 버튼을 클릭하고 다시 input에 데이터를 입력하면 오류가 뜨네요cannot assign to read only property 'current' of object '# object '버튼 클릭하는 부분에 dispatch하는 내용을 넣었구요..구글에는 깊은 복사 뭐 이런거 있던데 그거랑 관련 없는거 같구... ===================================리듀스 기본을 알면 저 문제 해결될꺼라는 어떤분의 답변이 야속하네요 ... 코드 시작=============================import { useState } from "react"; import { useDispatch } from "react-redux"; import {login} from "../slices/loginSlice" const initState = { email:'', password:'' } function LoginComponent(props) { const [loginParam, setLoginParam] = useState({...initState}) const disPatch = useDispatch() const handleChange = (e)=> { loginParam[e.target.name] = e.target.value setLoginParam({...loginParam}) } const handleLoginClick = (e)=>{ console.log(".......") disPatch ( login(loginParam) ) } const handleLogoutClick = (e)=>{ disPatch( login(initState) ) } return ( <div> <div className="flex flex=nowrap gap-x-8 place-content-center "> <div> <div> login </div> <div> <input className="text-base w-300 p-6 rounded-r border border-solid border-neutral-500 shadow-md" name="email" type ={'text'} value={loginParam.email} onChange ={handleChange}> </input> </div> <div> <input className="text-base w-300 p-6 rounded-r border border-solid border-neutral-500 shadow-md" name="password" type={'password'} value={loginParam.password} onChange={handleChange} > </input> </div> <div> <button className = "rounded p-4 w-36 bg-blue-500 text-xl text-white" onClick={handleLoginClick} > Login.. </button> </div> </div> <button onClick={handleLogoutClick}> logout </button> </div> </div> ) } export default LoginComponent; =============================
-
미해결[2023 코틀린 강의 무료제공] 기초에서 수익 창출까지, 안드로이드 프로그래밍 A-Z
room database 설치 질문
room 데이터 베이스의 의존성 주입을 하고 있는데 계속 에러가 났습니다. 근데 viewBinding 부분을 지우니 해결이 되었습니다 무슨 문제였을까요?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16234 질문입니다!
16234번 테스트 케이스는 다 맞는데, 채점시에는 % 조금넘어가다가 바로 틀리는데, 어디가 틀렸는지 도저히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 http://boj.kr/741c9846e8eb45d59f29b0a85fa3cfe9 그리고 선생님 풀이코드를 봤는데, 전역스코프에있는 벡터 v사용하시는데 dfs 파라미터에 넣으신 이유가 있을까요?? 이 질문을 드린게 함수 파라미터에서 '&'를 이용한 참조에 의한 전달을 하는 방식은 함수 파라미터에 해당 자료구조를 명시하지 않아도 상위 스코프를 순차적으로 순회하면서 동일한 이름의 자료구조를 발견하면 알아서 참조해서 사용한다고 알고있어서 그랬습니다.만약 값 전달이 목적이라면 (전역단에 빈 자료구조 'ds'생성)ds ds;func (param1, param2, ds) {~~}int main() { while (1) func(~~); ~~}이런식으로 함수를 정의하면 반복되는 로직에서 func를 부를 때 ds를 비워주는(fill, memset, clear, ...) 로직을 수행하지 않고 코드를 작성할 수 있을것 같은데, 이렇게 매번 빈 자료구조를 사용하는 로직에서는 값전달방식이 나을까요 아니면 그냥 무조건 참조 + flush가 나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RequiredArgsConstructor도 @Autowired 기반인가요?
@RequiredArgsConstructor를 통한 의존관계 자동 주입이 결국 @Autowired를 사용한 것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