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프링과 JPA 기반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authentication관련 질문...
public void login(Account account) { System.out.println(account); UsernamePasswordAuthenticationToken token = new UsernamePasswordAuthenticationToken(account.getNickname(), account.getPassword(), Collections.singleton(new SimpleGrantedAuthority("ROLE_USER"))); SecurityContextHolder.getContext().setAuthentication(token); }우선 AccountService에 있는 login입니다.제가 테스트를 하던 도중 나머지는 다 되는데 authetication부분에서 문제가 있는것을 발견했습니다. 단위테스트로 하다보니 권한이 부여가 되지 않아서 회원가입을 해도 다시 원상태로 복구되더군요 springsecurity6로 바뀌면서 새로 바뀐부분이 있길래 구글링해서 바꿀만큼 바꿔보고 찾을만큼 찾아봤다 생각했는데도자꾸 권한부여 부분에서 문제가 생깁니다(위의 login함수)이럴경우 어떻게 바꾸어야 할까요...? 저 위에 SecurityContextHolder.getContext().setAuthentication(token); 라는 코드전에 토큰을 출력해 보니UsernamePasswordAuthenticationToken [Principal=jungsik, Credentials=[PROTECTED], Authenticated=true, Details=null, Granted Authorities=[ROLE_USER]]이렇듯 AUtheticated는 true로 반환되는데 redirect될때는 권한이 사라지는것 같습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cascade와 orphan removal이 헷갈려요 ㅜㅜ
Child child1 = new Child(); Child child2 = new Child(); Parent parent = new Parent(); parent.addChild(child1); parent.addChild(child2); em.persist(parent); em.flush(); em.clear(); Parent findParent = em.find(Parent.class, parent.getId()); // em.remove(findParent); findParent.getChildList().remove(0); tx.commit(); @OneToMany(mappedBy = "parent", cascade = CascadeType.ALL, orphanRemoval = true) private List<Child> childList = new ArrayList<>();cascade 옵션과 orphanRemoval옵션을 각각 켜보기도 하고 둘다 켜보기도 하면서,주석 표시해 둔 em.remove와 그 아랫줄에 해당하는 코드를 번갈아 주석처리해보며 cascade와 orphan removal의 차이에 대해 알아보려고 하는데 할 수록 헷갈리네요 ㅜ다시 한 번 정리해주실 수 있을까요? 강의를 다시 봐도 헷갈리는 지점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CRUD 미니플젝을 하는도중에 궁금합니다.
/* 등록 */ public void savePosts(Posts posts) { postsRepository.save(posts);/* 업데이트 */ public void doUpdate(Posts posts) { postsRepository.save(posts);구글링을 해보니 JPA의 save를 사용했을시 기존에 DB에 데이터가있을땐 바뀌는 부분만 업데이트 된다해서 이렇게 코딩을 했습니다. 하지만 수정기능을 동작해보니 기존 데이터가 수정되지 않고 새로운 데이터로 DB에 추가가 되고있습니다. 무언가 다른 방법이 있을까요?
-
미해결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user-service에 로그인 404뜨는데 뭐가 문제일까요?
깃허브 코드대로 했습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병합이랑 변경감지를 왜쓰나요? 그냥 jpa에 있는 sql문 update를 쓰면 되지않나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예전에 프로젝트를 할때jpa에 있는 sql문을 통해서 update문으로 수정을 했는데병합이랑 변경감지를 구지 쓰는 이유가 있을까요?
-
해결됨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특정 dir로 위치를 잡으려면 어떻게 설정을 해야할까요
config를 root dir에 위치시킨게 아니라 특정 dir에 넣고 싶은데 그럴 때는 어떻게 uri를 잡아야하나요?
-
미해결자바와 스프링 부트로 생애 최초 서버 만들기, 누구나 쉽게 개발부터 배포까지! [서버 개발 올인원 패키지]
6강 질문 @RequestParm, @RequestBody
@GetMapping("/add") public int addTwoNumbers(CalculatorAddRequest request) { return request.getNumber1() + request.getNumber2(); } @PostMapping("/multiply") public int multiplyTwoNumbers(@RequestBody CalculatorMultiplyRequest request) { return request.getNumber1() * request.getNumber2(); }GetMapping 메소드에서는 @RequestParm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쿼리 데이터를 DTO로 변환해주고 PostMapping 메소드에서는 @RequestBody 어노테이션을 사용해야만 Body 데이터를 DTO로 변환해주는 것인가요?
-
해결됨Spring Cloud로 개발하는 마이크로서비스 애플리케이션(MSA)
jjwt 0.12 이상으로 하시는 분들에게..
jjwt가 버전업 되면서 강사님이 업데이트 해주신 코드들도 jwt valid할 때 안되는 경우가 발생하더라고요... 그래서 찾아본결과다음과 같이 작성하시면 원활하게 동작을 합니다. 참고하세요. private boolean isJwtValid(String jwt) { byte[] secretKeyBytes = Base64.getEncoder().encode(env.getProperty("token.secret").getBytes()); SecretKey signingKey = new SecretKeySpec(secretKeyBytes, SignatureAlgorithm.HS512.getJcaName()); boolean returnValue = true; String subject = null; try { JwtParser jwtParser = Jwts.parser(). verifyWith(signingKey).build(); Jws<Claims> claimsJws = jwtParser.parseSignedClaims(jwt); Claims payload = claimsJws.getPayload(); subject = payload.getSubject(); }catch (Exception ex){ returnValue = false; } if(subject == null || subject.isEmpty()){ returnValue = false; } return returnValue; }
-
해결됨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mybatis적용2 오류
[질문 내용]https://drive.google.com/file/d/14dXFBLKqzY9hcZZAXjr0e1CCKV9u_U22/view?usp=sharing 제자리에 다 맞게 넣은 것 같은데 Could not detect default configuration classes for test class 오류가 뜹니다 ...이렇게 애노테이션을 추가해도 오류가 뜹니다@ContextConfiguration(classes = ItemServiceApplication.class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member엔티티와 order 엔티티의 조회 시 관계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json으로 return 할 때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이전 강의에서 member 엔티티 자체를 json 타입으로 return 할 때는 orders(컬렉션)에 대해 무한루프가 걸리지 않았지만 order를 json 타입으로 return하게 되면 강의에서 처럼 여러 엔티티들에 의해 무한루프가 걸리게 됩니다.컬렉션인 데이터의 경우 무한루프에 걸리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TypeError: Cannot read properties of undefined (reading 'map')에 대한 문제
크롬에서의 문제입니다웹스톰 내에서는 또 다른 문제가 있다고 하네용 import { useEffect, useState } from "react"; import { getList } from "../../api/productsApi"; import useCustomMove from "../../hooks/useCustomMove"; import FetchingModal from "../common/FetchingModal"; import { API_SERVER_HOST } from "../../api/todoApi"; import PageComponent from "../common/PageComponent"; import useCustomLogin from "../../hooks/useCustomLogin"; const host = API_SERVER_HOST const initState= { dtoList:[], pageNumList:[], pageRequestDTO: null, prev: false, next: false, totalCount: 0, prevPage: 0, nextPage: 0, totalPage: 0, current: 0 } const ListComponent = (props) => { const {page, size, refresh, moveToList, moveToRead} = useCustomMove() const {exceptionHandle} = useCustomLogin() //serverData는 나중에 사용 const [serverData, setServerData] = useState(initState) //for FetchingModal const [fetching, setFetching] = useState(false) useEffect(() => { setFetching(true) getList({page,size}).then(data => { console.log(data); if(data && data.dtoList){ setServerData(data); } setFetching(false); }).catch( err => exceptionHandle(err)) }, [page,size, refresh]) return ( <div className={"border-2 border-blue-100 mt-10 mr-2 ml-2"}> {fetching ? <FetchingModal/> :<></>} <div className="flex flex-wrap mx-auto p-6"> {serverData.dtoList && serverData.dtoList.map(product => <div key= {product.pno} className="w-1/2 p-1 rounded shadow-md border-2" onClick={() => moveToRead(product.pno)} > <div className="flex flex-col h-full"> <div className="font-extrabold text-2xl p-2 w-full "> {product.pno} </div> <div className="text-1xl m-1 p-2 w-full flex flex-col"> <div className="w-full overflow-hidden "> <img alt="product" className="m-auto rounded-md w-60" src={`${host}/api/products/view/s_${product.uploadFileNames[0]}`}/> </div> <div className="bottom-0 font-extrabold bg-white"> <div className="text-center p-1"> 이름: {product.pname} </div> <div className="text-center p-1"> 가격: {product.price} </div> </div> </div> </div> </div> )} </div> <PageComponent serverData={serverData} movePage={moveToList}></PageComponent> </div> ); } export default ListComponent;Listcomponent에 문제가 있다고 해서 찾아보려고 하는데 어떻게 봐도 모르겠습니다ㅜㅜ 누구든 도와주세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generated생성경로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안녕하세요 compilejava를 하면 강의와는 달리 프로젝트 바로밑에 build폴더가 생기고 그안에 generated/source/annotationProcessor/main....Qitem이 생깁니다.그런데 아래를 실행하면 build폴더부터해서 아래폴더들이 다 지워집니다. 경로가 강의와는 달리 생성되는것과, 밑의 delete file을 실행했을 때, 어떻게 생성된 것들이 지워지는지 궁금합니다.(경로가 다른데)clean{ delete file('src/main/generated')}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JpashopApplication 실행 시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처음에 선생님이 환경설정 하신다고 JpashopApplication에아래와 같은 코드 만들어놓고 메인메서드 실행하셨는데 저는 그럴때마다 Process 'jpashop [:JpashopApplication.main()]' Is Running 'jpashop [:JpashopApplication.main()]' is not allowed to run in parallel. Would you like to stop the running one? 이런 메세지 뜨면서 새로 실행이 되는데 선생님께선 Do not show this dialog in the future 체크해놓고 매 실행시마다 새로 실행이 되는게 맞는걸까요?Hello hello = new Hello(); hello.setData("hello"); String data = hello.getData(); System.out.println("data = " + data);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h2대신 mysql로 했습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h2console에는 이전강의시간에 했던 test만 작동되고.. jpashop이 안만들어져서 그냥 mysql로 했습니다spring: datasource: url: jdbc:mysql://localhost:3306/jpashop username: user password: user1234 driver-class-name: com.mysql.cj.jdbc.Driver jpa: hibernate: ddl-auto: create properties: hibernate: dialect: org.hibernate.dialect.MySQL8Dialect format_sql: true logging: level: org.hibernate.SQL: debugddl-auto: create로 되어있는데 어플리케이션 실행후 workbench로 가보면ORM 표존 JPA 프로그래밍때 했던 DB가 그대로 있습니다..drop 된 후 새로 create 되는것이 아닌가요?스프링부트에서도 hibernate sql문 출력이 안됩니다,, 테스트에서도 @Rollback(false)를 안하면 통과이고@Rollback(false)를 하면 unknown column오류가 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뷰 코드 복사했는데 복사도 이상하게 되고 실행하면 오류가 뜨는데 뭐가 잘못된건가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pdf 파일에 있는 뷰 코드복붙했는데실행하면 오류가 뜹니다. pdf파일 복사가 제대로 안되는데 왜 구지 pdf로 올리는지 모르겠네요 일단 코드 보여드릴게요creatememberform.html<!DOCTYPE HTML> <html xmlns:th="http://www.thymeleaf.org"> <head th:replace="fragments/header :: header" /> <style> .fieldError { border-color: #bd2130; } </style> <body> <div class="container"> <div th:replace="fragments/bodyHeader :: bodyHeader"/> <form role="form" action="/members/new" th:object="${memberForm}" method="post"> <div class="form-group"> <label th:for="name">이름</label> <input type="text" th:field="*{name}" class="form-control" placeholder="이름을 입력하세요" th:class="${#fields.hasErrors('name')}? 'form-control fieldError' : 'form-control'"> <p th:if="${#fields.hasErrors('name')}" th:errors="*{name}">Incorrect date</p> </div> <div class="form-group"> <label th:for="city">도시</label> <input type="text" th:field="*{city}" class="form-control" placeholder="도시를 입력하세요"> </div> <div class="form-group"> <label th:for="street">거리</label> <input type="text" th:field="*{street}" class="form-control" placeholder="거리를 입력하세요"> </div> <div class="form-group"> <label th:for="zipcode">우편번호</label> <input type="text" th:field="*{zipcode}" class="form-control" placeholder="우편번호를 입력하세요"> </div> <button type="submit" class="btn btn-primary">Submit</button> </form> <br/> <div th:replace="fragments/footer :: footer" /> </div> <!-- /container --> </body> </html>itemlist.html<!DOCTYPE HTML> <html xmlns:th="http://www.thymeleaf.org"> <head th:replace="fragments/header :: header" /> <body> <div class="container"> <div th:replace="fragments/bodyHeader :: bodyHeader"/> <div> <table class="table table-striped"> <thead> <tr> <th>#</th> <th>상품명</th> <th>가격</th> <th>재고수량</th> <th></th> </tr> </thead> <tbody> <tr th:each="item : ${items}"> <td th:text="${item.id}"></td> <td th:text="${item.name}"></td> <td th:text="${item.price}"></td> <td th:text="${item.stockQuantity}"></td> <td> <a href="#" th:href="@{/items/{id}/edit (id=${item.id})}" class="btn btn-primary" role="button">수정</a> </td> </tr> </tbody> </table> </div> <div th:replace="fragments/footer :: footer"/> </div> <!-- /container --> </body> </html>이코드 실행하면Whitelabel Error Page라고 뜨네요뭐가문제인가요..pdf그대로 복사하면 복사가 제대로 안되서 붙여넣어지는데불편하네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프록시 강의 38:27 질문드립니다. (em.close())
강의에서는 em.close()했을 때도 예외가 발생한다고 하셨고, 저도 em.close()하면 영속성 컨텍스트가 종료되기 때문에 프록시 초기화 시 문제가 생길것이라고 생각했지만 실제로 해보니 예외가 발생하지 않아서 질문드립니다. Member member1 = new Member(); member1.setUsername("member1"); em.persist(member1); em.flush(); em.clear(); Member reference = em.getReference(Member.class, member1.getId()); System.out.println("reference.getClass() = " + reference.getClass()); // em.detach(reference); // 준영속 상태로 만들어버림 // em.clear(); // 영속성 컨텍스트를 완전히 초기화 em.close(); // 영속성 컨텍스트를 완전히 종료 reference.getUsername(); tx.commit();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MyBastis 와 Bean 그리고 Spring 호환성문제
mybastis를 2.3.1로 내려주었는데도 서버를 띄울때와 itemRepositorytest를 돌릴때 모두 오류가 뜹니다.. 첫번째로, 서버가 띄워지지않음두번째로, ItemRepositoryTest가 실행되지않음 두개가 문제인데 driver로 올리겠습니다... https://drive.google.com/file/d/12WrW91kPvb9tfqzoR64OwF05eOsLZJPl/view?usp=drive_link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교육 끝났는데 진행률이 100%가 안되네요?????
"스프링부트와 jpa활용 1편"마지막 교육인 "다음으로"까지 다 수강했는데진행률이 100%가 되지 않습니다???
-
해결됨실전! Querydsl
Test에서 QHello.java를 못찾아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있는데 다 해봐도 안돼요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네[질문 내용] springboot 3버전으로 해결 방법을 다 써봤는데 안되어서 문의드립니다.setting -> Annotaion Processorsbuild.gradleplugins { id 'java' id 'org.springframework.boot' version '3.2.4' id 'io.spring.dependency-management' version '1.1.4' } group = 'study' version = '0.0.1-SNAPSHOT' java { sourceCompatibility = '17' } configurations { compileOnly { extendsFrom annotationProcessor } } repositories { mavenCentral() } dependencies {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data-jpa' 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web' implementation 'com.github.gavlyukovskiy:p6spy-spring-boot-starter:1.9.0' 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runtimeOnly 'com.h2database:h2' 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testImplementation 'org.springframework.boot:spring-boot-starter-test' testCompileOnly 'org.projectlombok:lombok' testAnnotationProcessor 'org.projectlombok:lombok' implementation 'com.querydsl:querydsl-jpa:5.0.0:jakarta' annotationProcessor "com.querydsl:querydsl-apt:${dependencyManagement.importedProperties['querydsl.version']}:jakarta" annotationProcessor "jakarta.annotation:jakarta.annotation-api" annotationProcessor "jakarta.persistence:jakarta.persistence-api" } tasks.named('test') { useJUnitPlatform() } clean { delete file('src/main/generated') } 폴더 확인 bbuild.gradle 설정도 잘해서 build 폴더에 잘 생겼는데 Test에서 import를 못해요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소셜로그인시 이메일 중복 관련 처리 문의
소셜로그인 강의까지 봤는데요,강의에 있는 프로세스는소셜로그인시 이메일을 가져와서 DB에 저장이 되어있지 않으면 카카오이메일로 회원가입을 시키고, DB에 저장이 되어있으면 비밀번호 없이 해당 계정으로 로그인이 되게끔 만드는 프로세스로 이해 했습니다.그런데, 기존에 회원가입을 하지 않은 사람이 소셜로그인을 할 때 이미 기존에 가입되어 있는 이메일이 있다면 다른사람 계정을 비밀번호 없이 로그인 할 수 있게되는게 지금 구현한 상황에서는 맞는거죠? ex) 기존에 회원가입한 'A' 의 이메일이 test@AAA.com 일 때신규 유입된 사람 'B'의 카카오계정 이메일이 test@AAA.com 인 경우 위와 같은 경우를 방지하려면 소셜로그인시(최초로그인) 회원가입을 시킬 때 이메일 중복체크를 하고 중복되어있다면 다른 이메일 사용을 권유 해야되는식으로 처리를 해야 하는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