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AWS(Amazon Web Service) 중/상급자를 위한 강의
serverless framework 실습강의가 있으면 좋겟습니다..
serverless framework 실습강의가 있으면 좋겟습니다..... ㅜㅜ
-
미해결AWS(Amazon Web Service) 입문자를 위한 강의
S3 화면이 전혀 달라요.
화면 모양이 전혀 달라서 따라할수가 없네요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노드, 리액트 시리즈 - 유튜브 사이트 만들기
aws lightsail 서버에 올릴 때 package.json내 script 설정 방법 문의
강의를 통해 많이 배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mongodb가 회사에서 접속이 안되는 이슈가 있어 (보안이슈) aws lightsail에 올려 강의를 따라하며 공부하려 환경설정 중에 있습니다. 서버에 boilerplate 다운받아 mongodb 설정 완료하고 콘솔에서는 DB connected 까지 확인했으나, 고정 IP로 접속해보아도 페이지가 보이지 않네요.... package.json의 script 부분에 production 시 설정 방법 문의 드립니다.
-
미해결mongoDB 기초부터 실무까지(feat. Node.js)
최신 faker 설치하지말고 구버전 설치하세요 ...
개발자가 최신버전 다 날리고 잠수탔다네요 ㅠ
-
미해결[리뉴얼] React로 NodeBird SNS 만들기
ssh 명령어 port 22: Connection timed out
안녕하세요. 제로초님! 좋은 강의 잘 수강하고 있습니다. ec2 생성하기 영상에서 배포에 필요한 첫 단계로 aws 인스턴스를 만들어 ssh 연결을 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이 발생했습니다. 스스로 최대한 해결하려고 시도해봤지만, 안타깝게도 그러지 못 하고 며칠간 삽질만 했습니다. 삽질한 내용을 이 곳에 담기 어려워보여개인 기술 블로그에 작성하였으니 해당 내용을 보시고 조언을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ttps://juicyjerry.tistory.com/283 좋은 강의를 만들어 주셔서 감사드리고 오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
해결됨[2025 리뉴얼] 스스로 구축하는 AWS 클라우드 인프라 - 기본편
seoul-lab-web-srv 에 ppk는 사용되나요?
seoul-lab-web-srv 인스턴스에 접속하기 위해 bastion에 putty를 변환된 ppk를 이용하여 접속하는데요. 이때 seoul-lab-web-srv 에 접속할 경우 pem을 이용해서 접속하는데 ppk 로 변환한 이유는 무었인지 궁금합니다. 향후 장애 발생시 대응을 위한 예비용도 인가요?
-
해결됨[2025 리뉴얼] 스스로 구축하는 AWS 클라우드 인프라 - 기본편
NAT 게이트웨이는 EIP를 꼭 가져야 하나요?
실습 위주 좋은 강의 항상 감사합니다. NAT 게이트웨이가 꼭 고정된 public ip(EIP)가 필요할까요? 서브넷에서 바라보는 gateway 설정만 있는데 public ip도 필요없지 않을까요?
-
해결됨[2025 리뉴얼] 스스로 구축하는 AWS 클라우드 인프라 - 기본편
인터넷 게이트웨이와 NAT 게이트웨이 차이점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Private 네트워크에 있는 서버가 외부로 나가려면 퍼블릭 서브넷의 NAT 게이트웨이 통해서 다시 인터넷 게이트웨이로 나가는데요.프라이빗 서브넷의 서버가 NAT 게이트웨이 통하지 않고 바로 인터넷 게이트웨이로 나가는 방법은 안될까요?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노드, 리액트 시리즈 - 쇼핑몰 사이트 만들기[전체 리뉴얼]
AWS 배포관련 문의 드립니다.
수고하십니다. 강의 열심히 듣고 있습니다.항상 친절한 답변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아울러 너무 많은 질문을 드려서 죄송하게 생각하고 있습니다. 이 챕터와는 무관한 내용의 질문을 드립니다. 배포관련 유투브에서 강사님의 영상을 보고 AWS에 배포를 해 보았습니다. 결론은 실패?^^했습니다.몽고디비에 접속은 된다고 콘솔 메세지는 나오는데 405에러로 실제 로그인 및 회원가입도 안되네요 AWS 배포 관련 질문 드립니다.1. 소스내에 있는 localhost를 AWS의 퍼블릭 도메인으로 변경해야 하죠? 예를 들어 FileUpload.js의 아래와 같은 localhost구문을 54.249.xx.xxx 처럼 변경하는거죠? 변경전 : src={`http://localhost:5000/${image}`}/> 변경후 : src={`http://54.249.xx.xxx/${image}`}/> ※localhost를 수정한 파일 setupProxy.js FileUpload.js ImageSlider.js ProductImage.js 2. 몽고디비 접속정보는 AWS에 올리면 prod.js를 볼것같은데 헤로쿠에서 MONGO_URI를 설정했던것 처럼 AWS에서도 별도의 설정이 필요하지 않나요? prod.js :mongoURI:process.env.MONGO_URI3. 시스템 폴더 구조가 개발때와 틀려져서 서버의 index.js를 아래와 같이 수정했습니다. 그리고 강사님은 server안에 server 폴더를 복사하셨는데 전 개발과 동일하게 server 폴더는 하나만 두었습니다. 수정한 내용이 맞는지 확인 부탁 드립니다. app.use(express.static("client/build") → client/deploy ~path.resolve(__dirname, "../client", "build"~ → ..client", "deploy"~ 4. 마지막으로 커멘트 보니깐 어떤분이 default.config에 proxy by pass를 지정해야 한다고 해서 동일하게 했지만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도움 부탁 드립니다.
-
미해결AWS(Amazon Web Service) 입문자를 위한 강의
API 게이트웨이 질문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를 만들어주신 덕분에 잘 수강하고 있습니다. 10-3 강의를 듣던중, API 게이트웨이 관련해서 문의를 드리고 싶습니다. API게이트웨이가 제 생각으론 L7 레벨에서 라우팅되는 것으로 이해 하였는데요, 이렇게 되면 일반적으로 레이턴시는 크지 않은지 궁금합니다! 극단적으로 예를 들어서 만약 레이턴시가 높다면, EKS를 사용할 때 API 게이트웨이 -> (EKS의) alb -> virtual service -> endpoint 이런식으로 L7 레벨의 라우팅이 두번이나 거치는 상황일때 비효율적일 것 같은 생각도 들고, 레이턴시가 높지 않을까? 급 궁금증이 생겨 질문을 드리게되었습니다. API 게이트웨이의 레이턴시는 통상적으로 어떤 편인지 알 수 있을까요???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도커와 CI환경 [2023.11 업데이트]
강의 자료가 안받아집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다름이 아니라 강의 자료 1-3강 과 새로 올려주신 소스코드자료(12월 28일)가 안받아집니다. 4-6강과 7-9강 자료는 잘 받아져서 압축이 잘 풀리는데 위의 두 자료들은 다운받을때 에러가 나서 압축해제가 안됩니다. 답변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도커와 CI환경 [2023.11 업데이트]
볼륨을 적용하였는데 npm run test 가 반영되지 않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도커 컴포즈에서 볼륨 설정을 아래와 같이 하면, App.js 파일은 물론 App.test.js 파일도 볼륨 설정을 한것이라고 생각하는데요. volumes: - /usr/src/app/node_modules - ./:/usr/src/app 왜 로컬에서 App.test.js 파일을 변경 한 후, 컨테이너 안에서 npm run test 를 하면 로컬의 변경을 반영하지 않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docker run -it codetrain999/docker-react-app npm run test' 로 실행하였을 떄도 적용되지 않고 쉘에 직접 붙어서 실행해도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테스트용 컨테이너를 별도로 생성하니 App.test.js 파일의 변경이 실시간으로 적용되는데, 둘의 차이가 무엇인지 모르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2025 리뉴얼] 스스로 구축하는 AWS 클라우드 인프라 - 기본편
아키텍쳐 이미지를 받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 자료가 따로 없어서 직접 필기하면서 공부하고 있는데 필기하고 있는곳에 아키텍쳐 이미지를 넣고 싶어서 그런데 혹시 따로 보내주실 수 있을까요?
-
해결됨[2025 리뉴얼] 스스로 구축하는 AWS 클라우드 인프라 - 기본편
강의 자료 다운
안녕하세요 강의 자료는 받아볼 수 없나요? 강사님 설명하신 PPT 자료, 아키텍쳐 등을 다운받고 싶습니다. 스크린 캡쳐도 안되네요.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도커와 CI환경 [2023.11 업데이트]
volume 기능이 되지 않네요..
코드를 수정한 후에 새로 docker run을 해도 아무것도 달라지지 않습니다.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 맥에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
미해결Do It! 장고+부트스트랩: 파이썬 웹개발의 정석
도커로 서비스 시작하기 강의에서
docker-compose up -d --build 후마이그레이션 하는 과정에서 makemigrations 적용이 되지 않아서 질문 올려드립니다. 문제가 뭔지 열심히 찾아봐도 도통 뭑가 문제인지 모르겠습니다github 주소는 여기있습니다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도커와 CI환경 [2023.11 업데이트]
혹시 제 질문에만 답변해주지시지 않는 이유가 있으실까요?
아래와 같은 질문 글을 세번째 다시 올리기를 반복하고 있는데 제 질문에만 답변이 없으시고 저보다 늦게 올라온 글에는 하루 이내로 답변을 달아주십니다. 제 질문이 잘못되었거나 특별한 이유가 있으신지 알고싶습니다. elasticbeanstalk로 리액트 배포하는 부분 따라하고 있는 중에 다음과 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 During an aborted deployment, some instances may have deployed the new application version. To ensure all instances are running the same version, re-deploy the appropriate application version. 도커와 linux2 로 설정하였고, 그에 맞게 linux2 버전으로 따로 올려주신 코드 그대로 똑같아 작성하였습니다. travis ci는 정상적으로 성공하는데 그 뒤에 aws에서 배포될때만 이렇게 에러가 나오네요.
-
해결됨[2025 리뉴얼] 스스로 구축하는 AWS 클라우드 인프라 - 기본편
인스턴트 태그 이름설정
강의 6:00 에 name을 lab-web-srv-pri1-2c 이라고 하셨는데 lab-web-srv-pri1-2a가 맞지 않나요?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도커와 CI환경 [2023.11 업데이트]
배포에서 에러가 발생합니다.
강의에 나오는 모든 과정을 따라하고 나니, travis ci 는 성공하였는데 elastic beanstalk 에서 다음과 같은 에러가 나오면서 주소로 들어가보면 502 상태입니다.Environment health has transitioned from Info to Severe. ELB processes are not healthy on all instances. Application update completed 65 seconds ago and took 4 minutes. ELB health is failing or not available for all instances. 그래서 올려주신 코드와의 차이를 보니, 지금까지 만든 docker-compose.yml 파일이 강사님의 코드에는 docker-compose-dev.yml이 되어있고, docker-compose.yml 에는 다음과 같은 코드가 들어가있네요. version: "3" services: react: build: context: . dockerfile: Dockerfile ports: - '80:80' volumes: - /usr/src/app/node_modules - ./:/usr/src/app stdin_open: true 여태까지 만든건 개발용인거 같은데 둘중 어떤걸 사용하는게 맞는건가요?그리고 docker-compose.yml은 docker-compose up으로 실행이 가능했는데,docker-compose-dev.yml은 어떻게 실행하나요?
-
해결됨[2025 리뉴얼] 스스로 구축하는 AWS 클라우드 인프라 - 기본편
private subnet에 인스턴스 생성 단계 질문드립니다.
private subnet에 인스턴스 생성 단계에서 [Auto-assign public IP]를 Activation으로 선택하는데 강의에서 말씀하실 때 ping test를 위해 잠시 이렇게 설정하겠다 하셨습니다. bastion host를 만드는 이유가 private subnet에 있는 인스턴스에 접근하기 위한거라고 알고 있어 굳이 public IP를 할당받을 필요가 없다고 생각이 듭니다. 또, ping test 단계에서 public IP를 사용하신적이 없는데 왜 public IP를 할당받을까요.... 어떤 이유로 할당받아야하는지 궁금합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