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version 5. 어댑터 handle 메서드 인자 관련
안녕하세요, 강의를 수강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이번 강의를 들으면서 궁금한 점이 생겨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version 2에서 version 3로 넘어갈 때 해결한 문제 중 하나인 HttpServletRequest와 Response에 종속되어 있다와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 version 5에서 해당 핸들러(컨트롤러)에 맞는 어댑터를 찾아서 handle 메서드를 부를 때 인자로 핸들러를 제외하고도 HttpServletRequest 타입의 request, Response 타입의 response를 전달하는데, 그 이후에 딱히 이 두 인자에 종속될 필요가 없다고 느꼈습니다. 따라서, FrontController 서블릿에서 creatParamMap 메서드를 통해 파라미터를 담은 Map 타입 객체를 생성하여 인자로 전달하면 어떨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러한 부분은 구현하는 사람의 재량인지, 제가 위에 설명한 방법에 문제가 있어서 그렇게 하지 않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질문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미해결Java/Spring 테스트를 추가하고 싶은 개발자들의 오답노트
도메인 객체 / entity 객체 / requset, response 객체 간 mapping 시 mapper 사용
안녕하세요. 관련 내용을 듣다가 궁금한 것이 생겨 질문드립니다.해당 강의를 듣다가 궁금한 것이 생겨 질문드립니다.찾아보니 DDD나 헥사고날 아키텍처에서 request / response 객체 <-> 도메인 객체 <-> entity 객체 간의 mapping이 일어나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이런 경우 controller, service, infral layer가 모두 mapper 관련 라이브러리 객체나 직접 구현한 mapper 객체를 들고 변환시켜주는 구조는 별로 좋지 못한 구조일까요?제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결국 지금 구조에서 response / request 객체나 entitiy 객체가 domain 객체로 변환시켜주기위해 domain 객체에 의존성이 생기는 구조인데 mapper 객체를 쓰면 이런 객체간의 의존성을 최소화시킨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을 것 같은데요.. 물론 정답은 없겠지만, 의견이 어떠신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StatefulService.class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package time.onemore.singleton; import org.assertj.core.api.Assertions;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Bean; import time.onemore.AppConfig; import static org.junit.jupiter.api.Assertions.*; class StateFulServiceTest { @Test void StateFulService() { 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TestConfig.class); StateFulService stateFulService1 = ac.getBean(StateFulService.class); StateFulService stateFulService2 = ac.getBean(StateFulService.class); // ThreadA : A사용자 10000원 주문 stateFulService1.order("userA", 10000); // ThreadB : B사용자 20000 주문 stateFulService2.order("userB",20000); int price = stateFulService1.getPrice(); System.out.println("price = " + price); Assertions.assertThat(price).isEqualTo(20000); } static class TestConfig { @Bean public StateFulService stateFulService() { return new StateFulService(); } } }에서 StateFulService stateFulService2 = ac.getBean(StateFulService.class);@Bean은 StateFulServiceTest에 있는데, 왜 StateFulService.class 를 쓰나요??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7-W 2342 질문있습니다.
http://boj.kr/d480df7fada948b4a9ace782c2532e66 선생님과 비슷한 코드를 작성한거 같은데 답이 안 나오는 이유를 잘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이 문제의 경우 최솟값을 찾는 경우이므로 dp배열을 답이 될 수 없는 가장 큰 수로 초기화를 하지 않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
비트 플래그 사용 이유가 잘 이해가지 않습니다.
만약 아이템 8개에 대한 플래그를 사용하는 것이라고 가정해보면bool 타입 플래그를 사용하면 1 * 8 = 8바이트가 필요함은 알겠습니다.그러나 비트 플래그를 사용하는 예시를 보여주신 부분에서 unsigned char option1부터 시작해서 option8까지 선언하는 것이니 unsigned char items_flag까지 해서 총 9바이트로 오히려 손해를 부분이 아닌가요??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이전 강의와 수업 자료가 동일한 것 같습니다.
두 강의가 다 알고리즘_문제해설 pdf 파일이라 (각 8/21, 8/16일 자) 알고리즘 교안pdf 파일이 제대로 업로드가 되지 않은 것 같습니다. 확인 부탁드립니다.
-
해결됨[개정판] 파이썬 머신러닝 완벽 가이드
머린이 (k-fold) 질문
안녕하세요 선생님 머린이 질문드립니다 ㅠk-fold 검증하는거에 대해 궁금한게 있습니다X_train, X_val, y_train, y_test = train_test_split(x,y,test_size= 0.3) 으로 햇을 때만약 100개 데이터가 있으면 30개 데이터를 가지고 질문1) fit -> x_train, y_train : 30개 데이터를 가지고훈련한다. )70개 데이터에 대해 pred : x_val 후 -> accuracy (y_val, pred) 맞춰본다(모의고사를 푼다)-> 이제 fit한 데이터를 가지고 실제 수능을 푼다 (real test data)가 맞을까요 ??질문2) 이게 맞다면 k-폴드 교차검증은 (k=5일떄)fit 활동 -> 30개 데이터 셋 fit을 5번 수행 실시 후70개의 pred : x_val 활동을 한다 가 맞을까요 ? '^',,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시퀀스 전략의 allocation 문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서비스가 시작 될때, hibernate가 DB와 connection을 한 뒤, 해당 시퀀스 name기준으로 allocationSize 만큼 미리 값을 갖고와 메모리에 캐싱한뒤에 사용한다는건 이해를 했습니다. 그렇다면, 요즘은 CI/CD Flow를 통해 자동화된 지속적인 통합/배포가 트랜드인 상황에서, 하루에도 여러번 서비스가 업데이트 되어 배포가 될 것이고, 이로 인하여 hibernate는 매번 DB에 새로운 connection을 진행할 텐데, allocationSize=50일 경우 오히려 자원 낭비가 더 심해지는게 아닌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개정판] 파이썬 머신러닝 완벽 가이드
머린이(머신러닝 어린이) 질문
안녕하세요 선생님 ㅎ ㅠ 강의중2.4 model selection 모듈소개에서 from sklearn.datasets import load_iris 내장된데이터셋을 불러온 후 head()랑 shape을 바로 파악하고싶은데예를들어 df = pd.read_csv("~~.csv")df.head() 하면 x1, x2 , x3, target (물론 본인이 x,y 파악) 데이터 셋을바로 파악할 수 있는데 내장 데이터는iris_df = pd.DataFrame(iris_data.data, columns=iris_data.feature_names)iris_df['target']=iris_data.target이런 작업이 필요한걸까요 ㅠㅠ?..
-
미해결[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프론트엔드 코스
접속이 안돼요
데이터통신 실습을 위해서 스웨거하고 graphql을 접속하려고하는데 접속이안돼요..
-
미해결설계독학맛비's 실전 Verilog HDL Season 1 (Clock부터 Internal Memory까지)
HDL 4장 질문
안녕하세요 🙂강의영상을 보고 latch를 쓰지않는 이유를 알고 싶어 latch와 glitch에 대해 찾아보았지만 원하는 만큼의 내용을 찾지 못하여 글을 쓰게 되었습니다. =>clock gating시 조합회로, Flip-Flop을 사용하면 glitch nosie가 발생할수 있어 latch를 사용하여 Clock을 만들지만 일반적으로 latch를 사용할 경우 edge 상태가 아닌 level상태에서 데이터가 전달되어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glitch 발생시 timing이 어긋나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으며 입력, 출력 등에 대해 기술하지 않는 조건이 있을 경우 이전 값을 유지하기 위해 latch가 만들어지므로 이점도 유의 하여야한다.위 내용이 검색하여 알게 된 내용입니다. 그 외에도 디지털 회로 설계시 latch를 쓰지않는 이유가 있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완전 정복 [6.x 개정판]
로그아웃 매핑 핸들러 질문
스프링 시큐리티는 필터 기반으로 보안 관련 기능을 처리하도록 도와주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습니다.여기서 로그아웃을 컨트롤러에 작성한 이유가 있나요?로그아웃은 필터보다는 컨트롤러에서 진행하는 것이 좋나요?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Transactional 차이로 인해 재고의 quantity 가 감소되지 않는 이유에 대해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강사님 테스트에 관심이 생겼고, 강사님 덕분에 테스트에 대해 하나하나 알아가는 재미를 느끼는 중입니다!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강의를 진행하던 도중 의문이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 문제 상황입니다.stock.deductQuantity(quantity) 부분에서 stock 의 this.quantity 가 파라미터로 들어온 quantity 만큼 갯수가 감소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아래 사진에 빨간줄로 밑줄 그었습니다) 그러나, 테스트의 결과는 실패로 떴습니다.그 이유는 감소된 재고의 수량(Stock 의 quantity)이 아래 사진처럼 테스트에 반영되지 않았습니다.해당 테스트 코드입니다. 강사님의 테스트 코드와 일치하게 짰습니다.@DisplayName("재고와 관련된 상품이 포함되어 있는 주문번호 리스트를 받아 주문을 생성한다.") @Test void createOrderWithStock() { // given Product product1 = createProduct(BOTTLE, "001", 1000); Product product2 = createProduct(BAKERY, "002", 3000); Product product3 = createProduct(HANDMADE, "003", 5000); productRepository.saveAll(List.of(product1, product2, product3)); Stock stock1 = Stock.create("001", 2); Stock stock2 = Stock.create("002", 2); stockRepository.saveAll(List.of(stock1, stock2)); OrderAddRequest request = OrderAddRequest.builder() .productNumbers(List.of("001", "001", "003", "002")) .build(); LocalDateTime registeredDateTime = LocalDateTime.now(); // when OrderResponse orderResponse = orderService.createOrder(request, registeredDateTime); // then assertThat(orderResponse.getId()).isNotNull(); assertThat(orderResponse) .extracting("registeredDateTime", "totalPrice") .contains(registeredDateTime, 10000); assertThat(orderResponse.getProducts()).hasSize(4) .extracting("productNumber", "price") .containsExactlyInAnyOrder( tuple("001", 1000), tuple("001", 1000), tuple("002", 3000), tuple("003", 5000) ); List<Stock> stocks = stockRepository.findAll(); assertThat(stocks).hasSize(2) .extracting("productNumber", "quantity") .containsExactlyInAnyOrder( tuple("001", 0), tuple("002", 1) ); } 왜 테스트가 실패하는지 한참 헤매다가 OrderService 에 @Transactional 을 추가하였더니 Stock의 감소된 quantity 가 테스트에 반영이 되었고, 테스트가 성공하게 되었습니다.// OrderService 중 일부 발췌 @Transactional @RequiredArgsConstructor @Service public class OrderService { private final OrderRepository orderRepository; private final ProductRepository productRepository; private final StockRepository stockRepository; 저의 얕은 지식으로는 @Transactional 이 왜 테스트에 영향을 주게 되었는지 이해가 도통되지 않아 강사님께 질문을 드립니다
-
해결됨Flutter 앱 개발 기초
Expanded 하니 에러가 나는데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사진에 빨간 박스 부분 Expanded 하는데 정답 코드와 비슷한데 무슨 이유인지 에러가 나는데 잘 모르겠네요. Expanded 적용 전 코드Row( crossAxisAlignment: CrossAxisAlignment.end, children: [ Column( crossAxisAlignment: CrossAxisAlignment.start, children: [ /// 11 ★ until next Reward Text( "11 ★ until next Reward", style: TextStyle( color: starbucksAccentColor, fontWeight: FontWeight.bold, fontSize: 16, ), ), /// 진행율 ], ), ...Expanded 적용 후 코드(일부분)Row( crossAxisAlignment: CrossAxisAlignment.end, children: [ Expanded( child: Column( crossAxisAlignment: CrossAxisAlignment.start, children: [ /// 11 ★ until next Reward Text( "11 ★ until next Reward", style: TextStyle( color: starbucksAccentColor, fontWeight: FontWeight.bold, fontSize: 16, ), ), /// 진행율 ], ), ), ...전체코드import 'package:flutter/material.dart'; /// Starbucks 메인 색상 Color starbucksPrimaryColor = Color.fromARGB(255, 83, 184, 138); /// Starbucs 포인트 색상 Color starbucksAccentColor = Color.fromARGB(255, 199, 176, 121); class StarbucksHome extends StatelessWidget { const StarbucksHome({super.key}); @override Widget build(BuildContext context) { /// 배경 이미지 URL final String backImg = "https://i.ibb.co/2Pz33q7/2021-12-16-12-21-42-cleanup.png"; /// Frequency 이미지 URL final String frequencyImg = "https://i.ibb.co/QcVn97y/2021-12-16-1-33-11.png"; /// 추천 메뉴 final List<Map<String, String>> recommendMenu = const [ { "name": "돌체쿠키라떼", "imgUrl": "https://i.ibb.co/SwGPpzR/9200000003687-20211118142543832.jpg", }, { "name": "아이스 홀리데이 돌체 쿠키 라떼", "imgUrl": "https://i.ibb.co/JHVXZ72/9200000003690-20211118142702357.jpg", }, { "name": "스노우 민트 초콜릿", "imgUrl": "https://i.ibb.co/M91G17c/9200000003693-20211118142933650.jpg", }, { "name": "아이스 스노우 민트 초콜릿", "imgUrl": "https://i.ibb.co/jyZK4C9/9200000003696-20211118143125337.jpg", }, { "name": "스노우 민트 초콜릿 블렌디드", "imgUrl": "https://i.ibb.co/DKkV0rw/9200000003699-20211118143249044.jpg", }, ]; /// 크리스마스 이벤트 이미지 URL final String eventImg = "https://i.ibb.co/Fb0q43T/IMG-F9-BA5-CBCB476-1.jpg"; return Scaffold( body: CustomScrollView( slivers: [ /// Tip: 스크롤시 배경이 사라지게 할려면 SliverAppBar를 사용 SliverAppBar( // automaticallyImplyLeading: false, expandedHeight: 252, // 최대확장되었을때 높이 pinned: true, // 스크롤시 bottom 영역을 화면 상단에 고정할지 여부 snap: false, // 스크롤 중간에 멈출때 자동으로 AppBar를 펼쳐서 배경을 모두 보여줄지 여부 floating: true, // ?? backgroundColor: Colors.white, /// 스크롤시 사라지는 영역 flexibleSpace: FlexibleSpaceBar( collapseMode: CollapseMode.pin, background: Stack( children: [ /// 배경이미지 Positioned.fill( bottom: 60, child: Image.network( backImg, fit: BoxFit.cover, ), ), /// 배경 위 위젯 Positioned( top: 24, left: 24, bottom: 60, child: Column( crossAxisAlignment: CrossAxisAlignment.start, children: [ Text( "한 해의 마무리,\n수고 많았어요💖", style: TextStyle(fontSize: 28, fontWeight: FontWeight.bold), ), Row( crossAxisAlignment: CrossAxisAlignment.end, children: [ Column( crossAxisAlignment: CrossAxisAlignment.start, children: [ /// 11 ★ until next Reward Text( "11 ★ until next Reward", style: TextStyle( color: starbucksAccentColor, fontWeight: FontWeight.bold, fontSize: 16, ), ), /// 진행율 ], ), /// 1/12 ★ RichText( text: TextSpan( children: [ TextSpan( text: '1', style: TextStyle( color: Colors.black, fontSize: 42, fontWeight: FontWeight.bold, ), ), TextSpan( text: ' / ', style: TextStyle( color: Colors.grey, fontSize: 28, fontWeight: FontWeight.bold, ), ), TextSpan( text: '12 ★', style: TextStyle( color: starbucksAccentColor, fontSize: 28, fontWeight: FontWeight.bold, ), ), ], ), ), ], ) ], ), ), ], ), ), /// 스크롤시 남아있는 영역 bottom: PreferredSize( preferredSize: Size.fromHeight(52), // 영역 높이 child: Container( height: 52, color: Colors.white, padding: EdgeInsets.only(left: 24, right: 12), child: Row( children: [ /// What's New GestureDetector( onTap: () {}, child: Row( children: [ Icon( Icons.mail_outline, color: Colors.grey, ), SizedBox(width: 8), Text( "What's New", style: TextStyle(fontSize: 18), ), ], ), ), SizedBox(width: 32), /// Coupon GestureDetector( onTap: () {}, child: Row( children: [ Icon( Icons.confirmation_num_outlined, color: Colors.grey, ), SizedBox(width: 8), Text( "Coupon", style: TextStyle(fontSize: 18), ), ], ), ), Spacer(), /// Alarm IconButton( onPressed: () {}, icon: Badge( backgroundColor: starbucksPrimaryColor, smallSize: 12, child: Icon( Icons.notifications_outlined, size: 32, color: Colors.grey, ), ), ) ], ), ), ), ), ], ), ); } }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OAuth2
client 의 token 발행 가능 여부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keycloak 을 authorization server 로 사용하는데요.키클록에 등록되는 유저와 유저별 권한과 별개로,서비스의 메뉴별 권한을 상세 설정하기 위해서 client 에서 서비스 권한 관리를 하고 메뉴 접근 권한 관련된 token 을 발행한다고 하면, resource-server 에 jwt-set-uri 를 client 서버 endpoint 로 하고, client 에서 jwkset 을 반환하는 방식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유니티 머신러닝 에이전트 완전정복 (기초편)
DQN 실행 오류
아래와 같이 에러가 발생하는데 원인을 못찾겠습니다. 도움 좀 부탁드립니다. github에 있는 DQN.py를 실행하였습니다. 10 Episode / Step: 152 / Score: -0.34 / Loss: nan / Epsilon: 1.000020 Episode / Step: 332 / Score: -0.57 / Loss: nan / Epsilon: 1.000030 Episode / Step: 455 / Score: -0.51 / Loss: nan / Epsilon: 1.000040 Episode / Step: 754 / Score: 0.01 / Loss: nan / Epsilon: 1.000050 Episode / Step: 1010 / Score: 0.15 / Loss: nan / Epsilon: 1.000060 Episode / Step: 1169 / Score: 0.25 / Loss: nan / Epsilon: 1.000070 Episode / Step: 1376 / Score: 0.20 / Loss: nan / Epsilon: 1.000080 Episode / Step: 1616 / Score: -0.33 / Loss: nan / Epsilon: 1.000090 Episode / Step: 1863 / Score: -0.04 / Loss: nan / Epsilon: 1.0000100 Episode / Step: 2091 / Score: -0.02 / Loss: nan / Epsilon: 1.0000... Save Model to ./saved_models/GridWorld/DQN/20240821214516/ckpt ...110 Episode / Step: 2316 / Score: -0.12 / Loss: nan / Epsilon: 1.0000120 Episode / Step: 2568 / Score: -0.34 / Loss: nan / Epsilon: 1.0000130 Episode / Step: 2755 / Score: -0.78 / Loss: nan / Epsilon: 1.0000140 Episode / Step: 2910 / Score: 0.06 / Loss: nan / Epsilon: 1.0000150 Episode / Step: 3190 / Score: -0.27 / Loss: nan / Epsilon: 1.0000160 Episode / Step: 3484 / Score: -0.48 / Loss: nan / Epsilon: 1.0000170 Episode / Step: 3752 / Score: -0.56 / Loss: nan / Epsilon: 1.0000180 Episode / Step: 3920 / Score: -0.76 / Loss: nan / Epsilon: 1.0000190 Episode / Step: 4142 / Score: 0.19 / Loss: nan / Epsilon: 1.0000200 Episode / Step: 4467 / Score: -0.42 / Loss: nan / Epsilon: 1.0000... Save Model to ./saved_models/GridWorld/DQN/20240821214516/ckpt ...210 Episode / Step: 4771 / Score: -0.30 / Loss: nan / Epsilon: 1.0000Traceback (most recent call last): File "/Users/neweins/Projects/project_unity/ml-agents/build/GridWorld/ref.py", line 224, in <module> loss = agent.train_model() File "/Users/neweins/Projects/project_unity/ml-agents/build/GridWorld/ref.py", line 141, in train_model q = (self.network(state) * one_hot_action).sum(1, keepdims=True) File "/opt/homebrew/Caskroom/miniforge/base/envs/mlagents/lib/python3.10/site-packages/torch/nn/modules/module.py", line 1553, in wrappedcall_impl return self._call_impl(*args, **kwargs) File "/opt/homebrew/Caskroom/miniforge/base/envs/mlagents/lib/python3.10/site-packages/torch/nn/modules/module.py", line 1562, in callimpl return forward_call(*args, **kwargs) File "/Users/neweins/Projects/project_unity/ml-agents/build/GridWorld/ref.py", line 83, in forward x = F.relu(self.conv1(x)) File "/opt/homebrew/Caskroom/miniforge/base/envs/mlagents/lib/python3.10/site-packages/torch/nn/modules/module.py", line 1553, in wrappedcall_impl return self._call_impl(*args, **kwargs) File "/opt/homebrew/Caskroom/miniforge/base/envs/mlagents/lib/python3.10/site-packages/torch/nn/modules/module.py", line 1562, in callimpl return forward_call(*args, **kwargs) File "/opt/homebrew/Caskroom/miniforge/base/envs/mlagents/lib/python3.10/site-packages/torch/nn/modules/conv.py", line 458, in forward return self._conv_forward(input, self.weight, self.bias) File "/opt/homebrew/Caskroom/miniforge/base/envs/mlagents/lib/python3.10/site-packages/torch/nn/modules/conv.py", line 454, in convforward return F.conv2d(input, weight, bias, self.stride,RuntimeError: Given groups=1, weight of size [32, 6, 8, 8], expected input[32, 168, 3, 64] to have 6 channels, but got 168 channels instead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MemberServiceTest 오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MemberServiceTest 하려고 하는데 처음부터 오류뜨고 안돼요Cannot resolve symbol 'junit', Cannot resolve symbol 'Test', Identifier or type expected 이렇게 오류가 3개가 뜹니다. @Test 자체도 안되네요.. 사진첨부 같이 하겠습니다!
-
해결됨실습으로 손에 잡히는 SQLD의 정석(2과목)
3개 테이블 조인
SELECT A.PLAYER_NAME,B.REGION_NAME,B.TEAM_NAME,C.STADIUM_NAMEFROM PLAYER A, TEAM B, STADIUM CWHERE B.TEAM_ID=A.TEAM_ID ANDC.STADIUM_ID=C.STADIUM_ID위에 코드에서 C.STADIUM_ID=C.STADIUM_ID 이건 왜 해주는건가요? 항상 참인데 3개 테이블과 연결하는 데 있어서 어떤 의미가 있나요?
-
미해결[신규 개정판] 이것이 진짜 크롤링이다 - 실전편 (인공지능 수익화)
서버 요청 거절 시 해결하는 방법(헤더)관련
안녕하세요. 1:44 부분 따라 해보니 에러메세지는 동일하나 , 그 위에 프린트되는 soup 내용은 뜨질않습니다.우선 에러메세지는 동일해서 이어서 따라해보니 (헤더 설정 등)런 돌리니 런 완료 표시는 뜨는데프린트 되는 내용이 없습니다;; 지금까지 잘 따라왔는데 여기서 막히네요.. .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302 리다이렉트 대신에 302 응답코드로 뷰 템플릿 부르기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java@PostMapping("/add") @ResponseStatus(HttpStatus.FOUND) public String addItemV7(Item item) { Item savedItem = itemRepository.save(item); return "basic/item"; }위와 같이 302 응답코드를 가지고 보내면 왜 안되는 건가요? (사이트에서는 302로 응답이 오는게 확인됨)302가 redirect 관련 응답코드라서 redirect location이 없어서 그런건가요?그렇다면 302가 요청 메서드를 Get으로 바꿔주는건 오직 redirect location으로 이동했을 때만 인가요?사이트에서 확인을 해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