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OAuth2
access token 의 용도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keycloak,kakao 같은 authorization server 에서 발급하는 access token 은 userinfo 를 가져오기 위한 token 이라고 생각했는데, resource server 같은 자원도 이 토큰으로 접근 하는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수업을 위한 예제인지 실제로 이렇게 사용을 많이 하는지요. 카카오같은 인증서버에서 받은 access token 은 카카오에서 유저 정보를 가져오기 위함이고, resource server 의 다른 api 접근 목적은 아니라고 생각했었는데요. 제가 잘못 알고 있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run 실행버튼이 아예 뜨지않습니다. ㅠㅠ
HelloSpringApplication 실행에서 초록색 > 버튼으로 run (실행)하는 창이 뜨지 않습니다.. ㅠㅠ 강의대로 따라했는데, 여기서 진도를 못나가고있어요 ㅠ 마우스를 갖다대도 뜨지않습니다. 김영한강사님 자바 입문편 볼때는 > run 버튼이 잘떳는데 왜 spring에선 강의영상처럼 안뜰까요 ㅠㅠ?=========================================[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unlock()에 synchronized를 걸면 왜 무한루프를 도는지가 이해가 안됩니다..ㅠㅠ
synchronized를 unlock에 걸 필요가 없다는건 이해를 했는데 이것 저것 실험(?)을 해보다가 unlock()에 synchronized를 걸면 무한 대기 상태가 지속되는지 이해가 안됩니다..ㅠㅠ제가 계속 고민을 한 로직으로는 Thread-1이 비즈니스 로직을 실행한 후 finally를 실행해서 락을 반납해 Thread-2가 어느 정도 시간이 지난 후에 락을 받아서 실행이 될 것이라고 생각을 했는데 아니라서 많은 고민 끝에 질문을 남겨봅니다..ㅠㅠ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FieldError의 bindingFailure 질문
FieldError의 bindingFailure에 바인딩이 실패했는지 여부를 적어주고 영한님은 false를 입력해주셨는데요 충분히 사용자가 가격에 1111 대신 qqq를 작성할 수 있는데, 왜 false가 들어오는것인가요? 즉, 사용자가 타입에 맞는 폼을 작성하는지 안하는지 개발자 입장에서 알 수 없는 노릇인데, false/true중 하나를 입력한다는 것이 이해가지 않습니다.
-
해결됨[iOS] Swift Modern Collection View & MVVM 패턴 가이드
"섹션에 맞는 다양한 레이아웃 구현" 강의 질문있습니다.
self?.dataSource.sectionIdentifier(for: sectionIndex)위 코드로 섹션을 구분하여 레이아웃을 지정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되었습니다. 내부 동작으로 어떻게 섹션이 구분되는지 궁금합니다. 일반적으로 컬렉션 뷰를 구현할 때는override func numberOfSections(in collectionView: UICollectionView) -> Int { // #warning Incomplete implementation, return the number of sections return 1 }위 코드의 섹션 카운트 수에 따라 섹션을 구분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ex) return이 3이면 0, 1, 2하지만 강의에서는 위 코드를 사용하지 않았으니 그러면sectionIndex의 값을 어디서 가져오나요?
-
미해결설계독학맛비's 실전 FPGA를 이용한 HW 가속기 설계 (LED 제어부터 Fully Connected Layer 가속기 설계까지)
128bit의 width를 가지는 bram에서의 사용방법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 🙂[1. 질문 챕터] : 22장[2. 질문 내용] : 32bit의 width가 아닌, 128bit width를 갖는 메모리에 대한 질문[3. 시도했던 내용, 그렇게 생각하는 이유] : 제가 연구실에서 사용하는 FPGA의 width가 128bit여서, 그에 맞는 fc layer를 설계하고자 하여 코드를 수정중입니다. rtl code의 경우 수정과 bitstream까지 gen하였는데, 제가 c언어에 익숙하지 않아 맛비님이 사용하신 main을 수정하려다 보니 사진과 같은 에러가 발생합니다. 아무래도 pointer의 자료형이 32bit이다 보니 발생하는 것 같은데, c언어 특성상 pointer를 128bit로 바꿀 수도 없어 어떻게 해결해야 할 지 모르겠습니다. main을 처음부터 다시 짜는 방법밖에는 없을까요? ================ 다음 내용은 읽어보시고 지우시면 됩니다.=================질문 내용을 작성해주실 때, 위의 3단계로 제가 이해할 수 있게 작성해주시면 정확한 답변을 드릴 수 있을 것 같아요!!현업자인지라 업무때문에 답변이 늦을 수 있습니다. (길어도 만 3일 안에는 꼭 답변드리려고 노력중입니다 ㅠㅠ)강의에서 다룬 내용들의 질문들을 부탁드립니다!! (설치과정, 강의내용을 듣고 이해가 안되었던 부분들, 강의의 오류 등등)이런 질문은 부담스러워요.. (답변거부해도 양해 부탁드려요)개인 과제, 강의에서 다루지 않은 내용들의 궁금증 해소, 영상과 다른 접근방법 후 디버깅 요청, 고민 상담 등..글쓰기 에티튜드를 지켜주세요 (저 포함, 다른 수강생 분들이 함께보는 공간입니다.)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질문글을 보고 내용을 이해할 수 있도록 남겨주시면 답변에 큰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future.get()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nterruptedException, ExecutionException { SumTask task1 = new SumTask(1, 50); SumTask task2 = new SumTask(51, 100); ExecutorService es = Executors.newFixedThreadPool(2); Future<Integer> future1 = es.submit(task1); Future<Integer> future2 = es.submit(task2); log("작업 시작"); long st = System.currentTimeMillis(); Integer sum1 = future1.get(); long end = System.currentTimeMillis(); log(end - st + "ms"); Integer sum2 = future2.get(); log("task1.result = " + sum1); log("task2.result = " + sum2); int sumAll = sum1 + sum2; log("task1 + task2 = " + sumAll); es.close(); }02:45:32.785 [ main] 작업 시작 02:45:32.785 [pool-1-thread-1] 작업 시작 02:45:32.785 [pool-1-thread-2] 작업 시작 02:45:34.794 [pool-1-thread-1] 작업 완료 result = 1275 02:45:34.794 [pool-1-thread-2] 작업 완료 result = 3775 02:45:34.797 [ main] 2007ms 02:45:34.797 [ main] task1.result = 1275 02:45:34.797 [ main] task2.result = 3775 02:45:34.797 [ main] task1 + task2 = 5050 맨 위 코드를 실행했을 때 위와 같은 출력이 나왔습니다.main 메서드는 BlockingQueue에 등록된 future를 스레드 풀에서 가용 가능한 스레드 만큼 모두 실행 시킨 후에 WAITING 상태로 변경된다고 이해하면 될까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코드를 실행해도 DB에 데이터가 추가되지 않습니다
이 테스트를 실행하면 스프링 데이터 JPA의 save 메서드를 사용했으니 바로 DB에 member 하나가 추가되어야 할 것 같은데, DB를 보니 추가된 데이터가 없습니다.application.yml이 문제인가 해서 ddl-auto 설정을 보니 create로 잘 되어있고, 로그를 보면 sql문은 잘 날아가는데 왜 DB에 저장이 안 되는지를 도저히 모르겠어서 프로젝트 압축 파일을 남깁니다 ㅠㅠhttps://drive.google.com/file/d/1tyWEF3_l80u8Vban3No5q59y-x8sjWqF/view?usp=sharing테스트 코드들은 MemberRepositoryTest 클래스에다가 전부 넣어놨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JSON으로 리턴하는 경우에도 MVC인가요?
저는 대략적으로 컨트롤러에서 view를 리턴해주는 경우 SSR, restful api를 사용해 json을 리턴해주는 경우 CSR이라고 이해하고있습니다그런데 json을 리턴해주는 경우, 컨트롤러에서 모델을 따로 사용하지 않고, 뷰를 리턴해주는것도 아닌데 이 경우에도 여전히 MVC 패턴을 사용한다고 말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타임리프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타임리프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 bindingResult를 view에 어떻게 전달해주나요?타임리프인 경우에만 view에 전달되는것 아닌가요?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version 5. 어댑터 handle 메서드 인자 관련
안녕하세요, 강의를 수강하고 있는 학생입니다. 이번 강의를 들으면서 궁금한 점이 생겨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version 2에서 version 3로 넘어갈 때 해결한 문제 중 하나인 HttpServletRequest와 Response에 종속되어 있다와 관련하여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 version 5에서 해당 핸들러(컨트롤러)에 맞는 어댑터를 찾아서 handle 메서드를 부를 때 인자로 핸들러를 제외하고도 HttpServletRequest 타입의 request, Response 타입의 response를 전달하는데, 그 이후에 딱히 이 두 인자에 종속될 필요가 없다고 느꼈습니다. 따라서, FrontController 서블릿에서 creatParamMap 메서드를 통해 파라미터를 담은 Map 타입 객체를 생성하여 인자로 전달하면 어떨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이러한 부분은 구현하는 사람의 재량인지, 제가 위에 설명한 방법에 문제가 있어서 그렇게 하지 않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질문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미해결Java/Spring 테스트를 추가하고 싶은 개발자들의 오답노트
도메인 객체 / entity 객체 / requset, response 객체 간 mapping 시 mapper 사용
안녕하세요. 관련 내용을 듣다가 궁금한 것이 생겨 질문드립니다.해당 강의를 듣다가 궁금한 것이 생겨 질문드립니다.찾아보니 DDD나 헥사고날 아키텍처에서 request / response 객체 <-> 도메인 객체 <-> entity 객체 간의 mapping이 일어나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이런 경우 controller, service, infral layer가 모두 mapper 관련 라이브러리 객체나 직접 구현한 mapper 객체를 들고 변환시켜주는 구조는 별로 좋지 못한 구조일까요?제 개인적인 의견으로는 결국 지금 구조에서 response / request 객체나 entitiy 객체가 domain 객체로 변환시켜주기위해 domain 객체에 의존성이 생기는 구조인데 mapper 객체를 쓰면 이런 객체간의 의존성을 최소화시킨다는 점에서 장점이 있을 것 같은데요.. 물론 정답은 없겠지만, 의견이 어떠신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StatefulService.class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package time.onemore.singleton; import org.assertj.core.api.Assertions;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context.annotation.Bean; import time.onemore.AppConfig; import static org.junit.jupiter.api.Assertions.*; class StateFulServiceTest { @Test void StateFulService() { ApplicationContext ac = new AnnotationConfigApplicationContext(TestConfig.class); StateFulService stateFulService1 = ac.getBean(StateFulService.class); StateFulService stateFulService2 = ac.getBean(StateFulService.class); // ThreadA : A사용자 10000원 주문 stateFulService1.order("userA", 10000); // ThreadB : B사용자 20000 주문 stateFulService2.order("userB",20000); int price = stateFulService1.getPrice(); System.out.println("price = " + price); Assertions.assertThat(price).isEqualTo(20000); } static class TestConfig { @Bean public StateFulService stateFulService() { return new StateFulService(); } } }에서 StateFulService stateFulService2 = ac.getBean(StateFulService.class);@Bean은 StateFulServiceTest에 있는데, 왜 StateFulService.class 를 쓰나요??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7-W 2342 질문있습니다.
http://boj.kr/d480df7fada948b4a9ace782c2532e66 선생님과 비슷한 코드를 작성한거 같은데 답이 안 나오는 이유를 잘모르겠습니다... 그리고 이 문제의 경우 최솟값을 찾는 경우이므로 dp배열을 답이 될 수 없는 가장 큰 수로 초기화를 하지 않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홍정모의 따라하며 배우는 C++
비트 플래그 사용 이유가 잘 이해가지 않습니다.
만약 아이템 8개에 대한 플래그를 사용하는 것이라고 가정해보면bool 타입 플래그를 사용하면 1 * 8 = 8바이트가 필요함은 알겠습니다.그러나 비트 플래그를 사용하는 예시를 보여주신 부분에서 unsigned char option1부터 시작해서 option8까지 선언하는 것이니 unsigned char items_flag까지 해서 총 9바이트로 오히려 손해를 부분이 아닌가요??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이전 강의와 수업 자료가 동일한 것 같습니다.
두 강의가 다 알고리즘_문제해설 pdf 파일이라 (각 8/21, 8/16일 자) 알고리즘 교안pdf 파일이 제대로 업로드가 되지 않은 것 같습니다. 확인 부탁드립니다.
-
해결됨[개정판] 파이썬 머신러닝 완벽 가이드
머린이 (k-fold) 질문
안녕하세요 선생님 머린이 질문드립니다 ㅠk-fold 검증하는거에 대해 궁금한게 있습니다X_train, X_val, y_train, y_test = train_test_split(x,y,test_size= 0.3) 으로 햇을 때만약 100개 데이터가 있으면 30개 데이터를 가지고 질문1) fit -> x_train, y_train : 30개 데이터를 가지고훈련한다. )70개 데이터에 대해 pred : x_val 후 -> accuracy (y_val, pred) 맞춰본다(모의고사를 푼다)-> 이제 fit한 데이터를 가지고 실제 수능을 푼다 (real test data)가 맞을까요 ??질문2) 이게 맞다면 k-폴드 교차검증은 (k=5일떄)fit 활동 -> 30개 데이터 셋 fit을 5번 수행 실시 후70개의 pred : x_val 활동을 한다 가 맞을까요 ? '^',,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시퀀스 전략의 allocation 문의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서비스가 시작 될때, hibernate가 DB와 connection을 한 뒤, 해당 시퀀스 name기준으로 allocationSize 만큼 미리 값을 갖고와 메모리에 캐싱한뒤에 사용한다는건 이해를 했습니다. 그렇다면, 요즘은 CI/CD Flow를 통해 자동화된 지속적인 통합/배포가 트랜드인 상황에서, 하루에도 여러번 서비스가 업데이트 되어 배포가 될 것이고, 이로 인하여 hibernate는 매번 DB에 새로운 connection을 진행할 텐데, allocationSize=50일 경우 오히려 자원 낭비가 더 심해지는게 아닌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개정판] 파이썬 머신러닝 완벽 가이드
머린이(머신러닝 어린이) 질문
안녕하세요 선생님 ㅎ ㅠ 강의중2.4 model selection 모듈소개에서 from sklearn.datasets import load_iris 내장된데이터셋을 불러온 후 head()랑 shape을 바로 파악하고싶은데예를들어 df = pd.read_csv("~~.csv")df.head() 하면 x1, x2 , x3, target (물론 본인이 x,y 파악) 데이터 셋을바로 파악할 수 있는데 내장 데이터는iris_df = pd.DataFrame(iris_data.data, columns=iris_data.feature_names)iris_df['target']=iris_data.target이런 작업이 필요한걸까요 ㅠㅠ?..
-
미해결[코드캠프] 부트캠프에서 만든 고농축 프론트엔드 코스
접속이 안돼요
데이터통신 실습을 위해서 스웨거하고 graphql을 접속하려고하는데 접속이안돼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