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JPQL 컴파일 오류
JPQL 함수 강의에서 사용자 정의 함수 호출 부분 설명에서 컴파일 오류가 발생헀는데 강사님이랑 코드 작성 똑같이 했는데 함수값이 틀린거 같은데 저 빨간색 코드 부분을 뭐라고 수정을 해야 하나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KeyHolder 질문
@Override public Item save(Item item) { String sql = "insert into item (item_name, price, quantity) " + "values(:itemName, :price, :quantity)"; SqlParameterSource param = new BeanPropertySqlParameterSource(item); KeyHolder keyHolder = new GeneratedKeyHolder(); template.update(sql, param, keyHolder); long key = keyHolder.getKey().longValue(); item.setId(key); return item; } KeyHolder같은경우 id를 내부에서 직접 구성해줘야하기 때문에 쓰는거라고 알고있는데 서버를 열어서 추가를 해줄때마다 숫자가 증가되는걸 볼수있었습니다. 숫자가 증가되는건 코드에서 자체적으로 해주는건가요?항상 답변감사드립니다.
-
해결됨입문자를 위한 Spring Boot with Kotlin - 나만의 포트폴리오 사이트 만들기
실습리포지토리 테스트 코드 작성 강의 오류
안녕하세요 또 이렇게 질문하게 되네요 먼저 코드는 틀린거 없이 Git 내용과 강의 내용코드 그대로 작성하였습니다. 하지만 왜 일까요?? 에러가 나네요 이부분이 에러 납니다. al experience = experienceRepository.findAll()======================@Test fun testFindAll() { println("---- findAll 테스트 시작 ----") val experience = experienceRepository.findAll() assertThat(experience).hasSize(DATA_SIZE) println("experiences.size: ${experience.size}") for (experience in experience) { assertThat(experience.details).hasSize(experience.title.toInt()) println("experience.details.size: ${experience.details.size}") } println("---- findAll 테스트 종료 ----") }==================================== 이부분도요 findAllByIsActive(true) @Test fun testFindAllByIsActive() { println("----- findAllByIsActive 테스트 시작 -----") val experiences = experienceRepository.findAllByIsActive(true) assertThat(experiences).hasSize(DATA_SIZE) println("experiences.size: ${experiences.size}") for (experience in experiences) { assertThat(experience.details).hasSize(experience.title.toInt()) println("experience.details.size: ${experience.details.size}") } println("----- findAllByIsActive 테스트 종료 -----") } 에러 코드는 기니깐 핵심 부분만 올려 드리면 Hibernate: select e1_0.experience_id,e1_0.created_date_time,e1_0.description,d1_0.experience_id,d1_0.experience_detail_id,d1_0.content,d1_0.created_date_time,d1_0.is_active,d1_0.update_date_time,e1_0.end_month,e1_0.end_year,e1_0.is_active,e1_0.start_month,e1_0.start_year,e1_0.title,e1_0.update_date_time from experience e1_0 left join experience_detail d1_0 on e1_0.experience_id=d1_0.experience_id where e1_0.is_active=?org.springframework.orm.jpa.JpaSystemException: No default constructor for entity 'com.justkim.portfolio.domain.entity.ExperienceDetail' at org.springframework.orm.jpa.vendor.HibernateJpaDialect.convertHibernateAccessException(HibernateJpaDialect.java:341) 이이쿠 한줄만 적는데도 기네요 ExperienceDetail.kt 코드는@Entity class ExperienceDetail(content: String, isActive: Boolean) : BaseEntity() { @Id @GeneratedValue(strategy = GenerationType.IDENTITY) @Column(name = "experience_detail_id") var id:Long? = null var content: String = content var isActive: Boolean = isActive fun update(content: String, isActive: Boolean) { this.content = content this.isActive = isActive } }이런데 ExperienceDetail( 가 계속 경고를 때리네요Class 'ExperienceDetail' should have [public, protected] no-arg constructor https://github.com/justkjy/portfolio-justkim 깃 주소입니다 구글에서 위 에러를 검색하니깐 인프런 오류 질문이 올라 와 있던데 봐도 모르겠네요 https://www.inflearn.com/questions/931371/test-%EC%98%A4%EB%A5%98 감사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기본 생성자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Address 클래스에 기본 생성자를 만들지 않으면 insert 쿼리가 나오지 않던데 이 이유에 대한 내용이 어느 파트에서 나왔었는지 찾고싶어요!
-
미해결쥬쥬와 함께 하루만에 시작하는 백엔드 - 스프링, 도커, AWS
이너 클래스 vs 클래스 별도 생성의 차이?
[4-5 맛집 정보 가져오기 API 개발하기]맛집 정보 가져오기 API 부분 코드 작성해 주시는 부분에서 (2분 34초쯤부터)메뉴 클래스를 하나 더 만드실지 고민하시는듯 하다가 이너 클래스로 만드신 것처럼 보이는데요,이전에 request 만드실때는 메뉴 클래스를 분리하셨는데해당 부분에서는 고민하시다가 이너 클래스로 만드신 이유가 무엇인지그리고 어떤 경우에 이너 클래스를 쓰고 분리를 하는지 궁금해서 문의드립니다.
-
미해결실전! Querydsl
토이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궁금한게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Projection 을 사용해서 2~3번의 query 를 통해 필요한 데이터만 받아오는것과 fetch join 을 통해서 한번에 3개의 entity 전체를 받아 오는 방법중 어떤방식이 적절한지 고민되서 질문드립니다. fetch join 을 통해 쓰지않는 데이터를 받아오더라도 query가 여러번 나가는거보다 성능적으로 좋은가요?
-
미해결호돌맨의 요절복통 개발쇼 (SpringBoot, Vue.JS, AWS)
ExceptionHandler가 AccessDeniedHandler(Http403Handler)를 먹어버리는 현상
안녕하세요 호돌맨님 강의 항상 잘보고있습니다. 다름이 아니라 실습 중 의도치 않게 동작하는 부분이 있어 질문드립니다. 상황회원 가입 후 로그인이 때 유저의 Role 은 ADMIN메소드 시큐리티로 아래와 같이 자원의 권한 제한@RestController class HomeController { @GetMapping("/user") @PreAuthorize("hasRole('ROLE_USER')") fun user(): String { return "user 접근 가능👁" } @GetMapping("/admin") @PreAuthorize("hasRole('ROLE_ADMIN')") fun admin(): String { return "admin 접근 가능 👨💼" } }이 때ExceptionHandler로 Runtime예외를 캐치해 응답을 주고 있습니다.동시에 커스텀한 403핸들러를 HttpSecurity에 끼워 넣어주었습니다.// ControllerAdvice @ExceptionHandler(Exception::class) fun handleRuntimeException(ex: Exception): ResponseEntity<ErrorResult> { logger.error("ex", ex) return ResponseEntity.status(HttpStatus.INTERNAL_SERVER_ERROR) .body( ErrorResult( code = "500", message = ex.message, ) ) } // SecurityConfig @Bean fun securityFilterChain(http: HttpSecurity): SecurityFilterChain { return http // .. other config.. .exceptionHandling { e -> e.accessDeniedHandler(Http403Handler(objectMapper)) e.authenticationEntryPoint(Http401Handler(objectMapper)) } .build() } 기대하는 동작ADMIN으로 로그인한 유저가 USER 자원에 접근하면 아래와 같이 응답{ "code": "403", "message": "접근할 수 없습니다.", "validation": null }실제 동작{ "code": "500", "message": "Access Denied", "validation": null } ControllerAdvice에서 Runtime예외를 처리하지 않는다면 의도대로 403이 응답되는데, ControllerAdvice에서 예외를 포괄적으로 처리하게 되면 403이 응답되지 않습니다. 혹시 이런경우를 겪으신적이 있는지? 따로 해결방법이 있을지 궁금해 여쭙습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수정시에 질문있습니다!!!! Editor??
[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저는 지금까지 수정을 시도할때 changeContentsAndtitle 이런 식으로 엔티티단에서 수정을 시도했는데 https://velog.io/@gundorit/Spring-%EC%A0%9C%EB%8C%80%EB%A1%9C-%EB%90%9C-CRUD-Update 이 블로그에 따르면 그것은 별로 안좋고 Editor 를 선언해서 하면 좋다는 식으로 얘기하고 있습니다. 근데 이렇게 하면 영한님이 얘기하셨던 얘기 중에 그런 이야기가 있었습니다. DTO 는 엔티티를 참조해도 되는데 , 엔티티는 DTO 를 참조하지 말라고 하셨습니다.위 블로그에서는 Entity 에서 DTO 를 참조하지는 않는데 Entity 에서 UpdateEditor 를 선언하고 있는데 이런 부분에 문제는 없을까요?? 영한님도 이런 스타일로 하시나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14분 50초 일대다 페치조인 질문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EntityManagerFactory emf = Persistence.createEntityManagerFactory("hello"); EntityManager em = emf.createEntityManager(); EntityTransaction tx = em.getTransaction(); tx.begin(); System.out.println("zzzzzzzzzzzzzzzzzzzzzzzzzzzz"); //비영속 try{ Team teamA = new Team(); teamA.setName("teamA"); em.persist(teamA); Team teamB = new Team(); teamB.setName("teamB"); em.persist(teamB); Member member1 = new Member(); member1.setUsername("member1"); member1.setTeam(teamA); em.persist(member1); Member member2 = new Member(); member2.setUsername("member2"); member2.setTeam(teamA); em.persist(member2); Member member3 = new Member(); member3.setUsername("member3"); member3.setTeam(teamB); em.persist(member3); Member member4 = new Member(); member4.setUsername("member4"); member4.setTeam(null); em.persist(member4); em.flush(); em.clear(); String query ="select t From Team t join fetch t.members"; List<Team> result = em.createQuery(query, Team.class).getResultList(); for (Team team : result) { System.out.println("team= " + team.getName() + "|members=" + team.getMembers().size()); } tx.commit(); } catch (Exception e){ tx.rollback(); e.printStackTrace(); }finally { em.close(); } emf.close(); }이 코드를 실행시켰더니 14분 50초에 나오는 3줄이 나오는 것이 아닌team= teamA|members=2 team= teamB|members=1이렇게 나오는데 혹시 어떤 이유에서 그런것인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JPA와 DB설정, 동작확인 강의에서 오류메세지 발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제가 오류를 못찾는건지 자료랑 비교했을 때 별 특이사항은 없는 것 같은데 자꾸 오류가 발생합니다.MEMBER_SEQ이 대체 뭔지 모르겠네요 ㅠㅠ 젤 하단 사진 테스트코드 실행 시 오류가 발생합니다. application.yml server: port: 8081 #MVCC=TRUE를 넣어주면 여러개를 한번에 접근했을 때 좀 더 빨리 처리가 된다. spring: datasource: url: jdbc:h2:tcp://localhost/~/jpashop username: sa password: driver-class-name: org.h2.Driver #ddl-auto: create -> 자동으로 테이블을 만들어주는 모드 jpa: hibernate: ddl-auto: create properties: hibernate: # show_sql: true System.out.~을 통해서 출력 format_sql: true #logger를 통해 출력 #로그 레벨 #hibernate SQL로그를 디버그 모드로 쓴다는 것 #-> Hibernate가 남기는 모든 로그가 다 디버그 모드로 해서 JPA나 Hibernate가 생성하는 SQL이 다 보인다. logging: level: org.hibernate.SQL: debug Memberpackage jpabook.jpashop; import jakarta.persistence.Entity; import jakarta.persistence.GeneratedValue; import jakarta.persistence.Id; import lombok.Getter; import lombok.Setter; @Entity @Getter @Setter public class Member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username; }MemberRepositorypackage jpabook.jpashop; import jakarta.persistence.EntityManager; import jakarta.persistence.PersistenceContext;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Repository; @Repository public class MemberRepository { @PersistenceContext private EntityManager em; public Long save(Member member){ em.persist(member); return member.getId(); } public Member find(Long id){ return em.find(Member.class,id); } }MemberRepositoryTestpackage jpabook.jpashop; import org.junit.Test; import org.junit.runner.RunWith;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test.context.junit4.SpringRunner; import org.springframework.transaction.annotation.Transactional;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 import static org.junit.Assert.*; @RunWith(SpringRunner.class) //junit한테 SpringBoot로 테스트 한다고 알려주는 것 @SpringBootTest public class MemberRepositoryTest { @Autowired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Test @Transactional public void testMember(){ //given Member member=new Member(); member.setUsername("memberA"); //when Long saveID= memberRepository.save(member); Member findMember=memberRepository.find(saveID); //then assertThat(findMember.getId()).isEqualTo(member.getId()); assertThat(findMember.getUsername()).isEqualTo(member.getUsername()); } }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src/test/resources 에 application.properties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이전 수업까지datasource를 저희가 주입하는게 아닌 properties 파일로 자동으로 주입받을 때 src/test/resources 를 만든적이 없는걸로 기억합니다. 그런데도 에러 없이 잘 돌아갔었는데 src/test/resources 를 만들어서 분리하는 순간 src/test/resources에 있는 properties 파일은 src/test 를 위한 설정 파일이 되는건가요? 만약 src/test/resources를 만들지 않았다면 src/main에 있는 설정 정보를 그대로 src/test에서도 끌어다 쓰는건가요?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일대일 양방향 연관관계에서 N+1 문제
엔티티 연관 관계Recruitment <(1)---(1)> Study 엔티티 코드@Entity public class Recruitment { @Id @GeneratedValue @Column(name = "recruitment_id") private Long id; @OneToOne(fetch = FetchType.LAZY) @JoinColumn(name = "id") private Study study; }@Entity public class Study { @Id @GeneratedValue @Column(name = "study_id") private Long id; @OneToOne(mappedBy = "study", fetch = FetchType.LAZY) private Recruitment recruitment; } 질문Recruitment 를 조회하고 Study 프록시 객체에 접근할 때, Recruitment 조회 쿼리가 한 번 더 나가는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아래 코드의 주석으로 추가했습니다.) 테스트 코드 @Test @Transactional void test() { Study study = new Study(); study.setTitle("스터디A"); studyRepository.save(study); Recruitment recruitment = new Recruitment(); recruitment.setStudy(study); recruitment.setTitle("스터디A의 모집공고"); recruitmentRepository.save(recruitment); entityManager.flush(); entityManager.clear(); // ---------------------// Recruitment findRecruitment = recruitmentRepository.findById(1L).get(); // Recruitment 조회 System.out.println("findRecruitment.getStudy() start"); Study findStudy = findRecruitment.getStudy(); System.out.println("findRecruitment.getStudy() end"); System.out.println("findStudy.getTitle() start"); String title = findStudy.getTitle(); // Study 지연로딩만 나갈 것으로 예상했지만, Recruitment 조회도 발생함 System.out.println("findStudy.getTitle() end"); }SQL 로그select r1_0.recruitment_id, r1_0.id, r1_0.title from recruitment r1_0 where r1_0.recruitment_id=? // "findStudy.getTitle() start" (Study 지연 로딩) select s1_0.study_id, s1_0.title from study s1_0 where s1_0.study_id=? select // Recruitment 조회 로직이 왜 또 나가는가? r1_0.recruitment_id, r1_0.id, r1_0.title from recruitment r1_0 where r1_0.id=? // "findStudy.getTitle() end"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수정 요망] orderList.html 코드 문제발생
관련링크입니다.https://www.inflearn.com/course/lecture?courseSlug=%EC%8A%A4%ED%94%84%EB%A7%81%EB%B6%80%ED%8A%B8-JPA-%ED%99%9C%EC%9A%A9-1&unitId=24311&tab=community&category=questionDetail&q=1109808해당 질문의 답변입니다. {T(jpabook.jpashop.domain.OrderStatus).values()}OrderStatus가 item에 담겨져 있네요{T(jpabook.jpashop.domain.item.OrderStatus).values()}로 바꿔보시죠pdf상에서 코드나 주의 표시로 해당 사항을 넣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해당 오류때문에 너무 많은시간을 소비하였습니다. ㅜㅜ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Member - Order 연관관계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Member와 Order의 연관관계에서 가급적 단방향을 사용하라고 하셨는데,1: 특정 Member의 주문목록을 확인할 때는 Member 엔티티에서 별도의 orders라는 List를 만들지 말고 Order들에서 특정 Member를 가진 객체를 찾는 방식으로 접근하는게 좋다는 말씀으로 이해해도 괜찮을까요?2: 그렇다면 order - orderItem - item 의 경우 다대다 관계를 특정 테이블을 추가로 생성해서 일대다 다대일로 연관관계를 설정했는데, 이때도 단방향으로 유지하는게 좋은걸까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entity 필드의 접근 제한자를 private으로 줘야 하는 이유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영한님 안녕하십니까. jpa 공부하면서 프로젝트 진행 중에 문제가 있어 질문 드립니다.entity의 경우 필드값을 private 접근 제한자를 줘야 하는 이유가 있을까요?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고아객체..이해가안되요
cascadeType.ALL 로 했을때부모엔티티 삭제하면 당연히 자식도 다 삭제되자나요?그런데 orphanRemoval = true가 왜 필요한가요?어차피cascadeType.ALL 로 하면 부모가 사라졌을때 자식도 다 삭제되는데..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주문 조회V3 에서 쿼리가 4개 나온다고 하는데, 2개만 나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GetMapping("/api/v3/orders") public List<OrderDto> orderV3() { List<Order> orders = orderRepository.findAllWithItem(); for (Order order: orders) { System.out.println("order ref = " + order + " id = " + order.getId()); } List<OrderDto> result = orders.stream() .map(o -> new OrderDto(o)) .collect(Collectors.toList()); return result; } ... public List<Order> findAllWithItem() { return entityManager.createQuery( "select o from Order o" + " join fetch o.member m" + " join fetch o.delivery d" + " join fetch o.orderItems oi" + " join fetch oi.item i", Order.class) .getResultList(); }이렇게 한 다음 v3 에게 요청을 넣었습니다.그 결과selecto1_0.order_id,d1_0.delivery_id,d1_0.city,d1_0.street,d1_0.zipcode,d1_0.status,m1_0.member_id,m1_0.city,m1_0.street,m1_0.zipcode,m1_0.username,o1_0.order_date,oi1_0.order_id,oi1_0.order_item_id,oi1_0.count,i1_0.item_id,i1_0.dtype,i1_0.name,i1_0.price,i1_0.stock_quantity,i1_0.artist,i1_0.etc,i1_0.author,i1_0.isbn,i1_0.actor,i1_0.director,oi1_0.order_price,o1_0.statusfromorders o1_0joinmember m1_0on m1_0.member_id=o1_0.member_idjoindelivery d1_0on d1_0.delivery_id=o1_0.delivery_idjoinorder_item oi1_0on o1_0.order_id=oi1_0.order_idjoinitem i1_0on i1_0.item_id=oi1_0.item_idorder ref = jpabook.jpashop.domain.Order@801a84d id = 1order ref = jpabook.jpashop.domain.Order@7be83ead id = 2 다음과 같은 SQL 쿼리를 보냈구요.그런데 4개가 아니라 2개라서 문의를 드립니다. 그런데 H2 DB에서 해당 쿼리를 입력하면 4개가 잘나옵니다.또한 포스트맨으로 받은 요청도 2개가 출력됩니다.[ { "orderId": 1, "name": "userA", "orderDate": "2024-03-18T23:29:35.545094", "orderStatus": "ORDER", "address": { "city": "서울", "street": "1", "zipcode": "11111" }, "orderItems": [ { "itemName": "JPA1 Book", "orderPrice": 10000, "count": 1 }, { "itemName": "JPA2 Book", "orderPrice": 20000, "count": 2 } ] }, { "orderId": 2, "name": "userB", "orderDate": "2024-03-18T23:29:35.555094", "orderStatus": "ORDER", "address": { "city": "부산", "street": "2", "zipcode": "22222" }, "orderItems": [ { "itemName": "Spring1 Book", "orderPrice": 20000, "count": 3 }, { "itemName": "Spring2 Book", "orderPrice": 40000, "count": 2 } ] } ]어떠한 것이 잘못되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엔티티매니지먼트팩토리 생성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수업내용에서 엔티티매니저팩토리는 생섭 비용이 많이 들어서 애플리케이션에 보통 한 개만 생성한다고 하셨는데persistence.xml 파일에 엔티티매니저팩토리를 하나만 생성해야 한다는 의미 인가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Repository 사용 차이점
안녕하세요강의 중에 MyBatisItemRepository는 @Repository가 있고Jdbc관련 Repository에는 애너테이션이 안 붙여져 있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데이터 JPA
@Modifying 에서 무조건 테스트 데이터가 커밋되고 있습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영한님.좋은 강의 늘 감사합니다. 최근에 제가 공부한 내용들을 정리하면서 포트폴리오를 만들고 있는데, 특이하게도 @Modifying 을 사용하는 코드를 테스트할 때만 해당 테스트의 데이터가 롤백 되지 않고 커밋되는 기이한 현상을 발견했는데, 혹시 아시는 바가 있으신가 해서 여쭤봅니다. @Modifying 을 사용하는 코드'만' 테스트할 때는 테스트 통과하고 데이터가 롤백됩니다.당연한 이야기지만, @Modifying 코드를 제외한 테스트가 통과하고 롤백됩니다.하지만 이들을 동시에 실행하면 @Modifying 에서 update 된 데이터들이 롤백되지 않고 남아 있어서 다른 데이터에 영향을 주게 됩니다. 회사에서도 벌크성 수정 쿼리를 이미 사용을 하고 있고, 그 코드들을 테스트함에 있어서 어떠한 이슈도 발생하지 않았는데 제 포트폴리오에서만 이런 이슈가 발생을 하네요... 트랜잭션 전파와 관련된 문제, h2 와 boot 버전(3.2.1.) 문제 등등 의심 되는 부분들 여러 가지로 고쳐보고 바꿔봐도 여전합니다. boot 도 3.0.x 대로 낮춰보기도 했고. stackoverflow, spring boot github 등에도 찾아봤습니다만 저와 같은 이슈를 겪는 사람은 보지 못 했습니다. 그렇다고 해서 테스트 때문에 제품 코드를 바꾸는 건 또 주객전도가 되니 테스트에 tearDown 으로 데이터를 날리려고 합니다. 그래도 발생한 이슈에 대해 정리하고 해결은 해야 하니 여전히 알아보고 있는 중입니다. 그중에 혹시 영한 님께서는 알고 계시는 바가 있으신가 해서 여쭤봅니다. 제 소스코드 repository 와 이슈가 발생하는 코드들을 남깁니다. 참고로 제 컴퓨터에서 테스트를 실패하는 상태 그대로를 올립니다. 혹시 필요하신 정보가 더 있으시면 말씀해주세요.감사합니다. 테스트 로그 https://drive.google.com/file/d/117sWM8NZa13wIWUc-XhCpYFdZ9oeIUK4/view?usp=sharing테스트의 로그 전부를 넣었습니다. 위에서 설명해드린 것처럼 @Modifying 테스트 이후 그 데이터가 남아서 다른 테스트들에 영향을 주는 것이기 때문에 실패하는 테스트는 매번 다릅니다.github https://github.com/psam1017/sunder-backend/tree/feat/teachermain 은 테스트를 통과하도록 변경감지를 사용한 상태이고, 위처럼 feat/teacher 브랜치에 실패하는 코드를 올렸습니다. @Modifying 사용 코드 - repository https://github.com/psam1017/sunder-backend/blob/feat/teacher/src/main/java/psam/portfolio/sunder/english/domain/academy/repository/AcademyCommandRepository.java@Modifying 사용 코드 - service https://github.com/psam1017/sunder-backend/blob/feat/teacher/src/main/java/psam/portfolio/sunder/english/domain/academy/service/AcademyCommandService.java#L245@Modifying 을 테스트하는 코드 https://github.com/psam1017/sunder-backend/blob/feat/teacher/src/test/java/psam/portfolio/sunder/english/scheduler/AcademySchedulerTest.java테스트 코드 설정 관련 코드 https://github.com/psam1017/sunder-backend/blob/feat/teacher/src/test/java/psam/portfolio/sunder/english/SunderApplicationTests.jav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