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모든 프로세스는 포트를 가지고 있나요??
택배 비유를 예시로 들때 호스트를 찾아서 어떤 프로세스에게 전달해야하는지 알기위해 이름(port) 중요하다고 하셨는데, 그렇다면 모든 프로세스들은 각각 서로 다른 port를 가지고 있나요??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L2 수준에서 MAC주소 입장에서(기준) 송신/수신 할때의 처리 흐름이 궁금합니다.
모든 강의를 수강했는데L3 IP Packet 입장에서 소스/도착지 IP주소로 어떻게 찾아가는지는 매번 자세하게 설명해주셔서 어느정도 감이 잡힌 것 같습니다.질문 내용은 L3 이전에 L2 수준에서 Frame 을 송신/수신할때MAC 주소를 보고 위 흐름과 비슷한 처리들을 할텐데자세하게 어떻게 처리되는지가 궁금합니다. 이 궁굼증이 문득 왜 들었냐면 곰곰히 생각해보면...1개의 NIC에 1개의 MAC주소가 있고, 여기에 나아가 1개의 IP주소가 할당될텐데 그렇다면 이 할당된 IP주소로 결국 해당 NIC까지 식별이 되는데 MAC 주소는 언제쓰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NIC:MAC주소:IP주소가 1:1:1 매핑인데 결국 IP주소로 최종 END-POINT 까지 찾아갈수 있지 않을까? 하는 의문에서 시작된 부분이고니아가 L2 스위치의 역할도 MAC주소가 아니라 IP주소로 그냥 찾으면 되지 않나? 하는 생각도 드는데...분명 어딘가에서 크게 잘못 생각하고 있는거 같은데 그 부분을 잘 모르겠습니다....L2강의에서 목적지 MAC주소는 G/W의 Mac주소를 쓰신다고 말씀주셨었는데 이 과정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처리되는지 궁금하고 거꾸로 수신할때는 어떻게 처리되는지 궁금하네요~ 좋은강의 만들어주셔서 감사드리고 응원하겠습니다!
-
해결됨외워서 끝내는 네트워크 핵심이론 - 기초
IP주소를 이용한 네트워크 주소 식별 관련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를 올려주셔서 감사드립니다.아래와 같은 두개의 IPv4 주소가 있다고 가정했을때,[1] 217.101.92.127 /25[2] 217.101.92.127 /27세가지의 의문점이 있습니다.의문1) 총 32 bit의 전체 숫자는 같지만 [1]과 [2]는 network ID를 식별하고자 하는 bit의 수가 다르기 때문에 각각 다른 network 로 식별할 수 있는 것일까?의문2) 만약 [1], [2]가 다른 network로 식별 된다면 [1], [2]의 전체 IPv4 주소는 같지만 [1], [2]는 다른 host로 식별 되는 것일까?의문3) [1], [2]가 결국 다른 host로 식별 된다면 IPv4 주소체계에서 32bit 숫자로 배정 할 수 있는 host의 숫자는 2^32가 아니라 중복이 허용되기 때문에 훨씬더 많은 host를 배정할 수 있는 것일까?항상 건강하시고 앞으로도 좋은 강의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프로토콜 관련 질문드립니다!
Http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구체적으로 잘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다름이 아니라 강의를 듣던 중에 1가지 질문이 생겼습니다. Http 프로토콜은 규약일 뿐이고 여기서 어떤 처리를 해주는 것이 아니라 개발자가 규약에 맞게 개발을 하는 것이 맞는 것이죠? 예를 들면, 캐시 무효화 부분에서 no-cache 라고 응답 헤더를 주었다면 no-cache의 규약에 맞게 원 서버에 검증하도록 개발자가 코드를 작성해줘야하는 건가요? 아니면 웹 브라우져가 알아서 해결해줄 수 있는 부분인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모든 개발자를 위한 HTTP 웹 기본 지식
현재는 HTTP 2버전이 많이 사용되는 것 같던데 질문이 있습니다.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 안녕하세요. 영한님 HTTP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강의 중에 HTTP 프로토콜에 관한 이야기가 나오는데, HTTP 1.1 프로토콜을 대부분 사용하고, HTTP2는 점점 늘어가는 추세라고 하셨었는데, (영상 녹화당시에는)2022년 여름인 지금, 왠만한 웹사이트에서 개발자 콘솔은 키면 H2(http2)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 같습니다. 확실히 많이 HTTP2로 사용이 많이 늘어난거 같은데, 한가지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개발자 콘솔창에서 가장 많이 보이는 HTTP 메소드가 `GET`과 `POST`인데,GET 의 경우에는 H2(http2) 프로토콜을 사용하지만 POST 의 경우에는 http1.1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대체 GET과 POST의 프로토콜이 다른 이유와 이렇게 사용하는 이유가 너무 궁금합니다.
-
미해결실전 JSP (renew ver.) - 신입 프로그래머를 위한 강좌
프로토콜의 구분
HTTP와 FTP, SMTP, POP은 프로토콜 구분이 아닌 서비스 구분으로 봐야 하는 것 아닌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