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2025 리뉴얼] 스스로 구축하는 AWS 클라우드 인프라 - 기본편
application load balancer 에서
안녕하세요 강사님! 갑자기 궁금한게 있어서..public-ec2-a1 과 public-ec2-c1 을 efs 와 연결하여.. application load balancer 작업하였습니다.load balancer 을 하기 위해서는 load balancer에 있는 DNS name 주소를 이용하여야만load balancer 이 되는 거잫아요 ? 만약에 홈페이지 도메인 (예: https://aaa.co.kr) 으로 접속하여 load balancer 을 하고 싶은데..DNS name 를 도메인 이름으로 바꾸어 적용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
-
미해결게임 캐릭터를 위한 3ds Max 리깅의 기초
삼각근 본 세팅 질문 드립니다
'Non Flip과 삼각근' 영상의 7:40초에서 두 포인트 헬퍼의 parent축 이동 거리가 같아야하는 이유가 뭔가요?이동 거리가 달라도 세팅은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것 같아 어떤 이유가 있나 질문 드립니다.
-
미해결[신규 개정판] 이것이 진짜 크롤링이다 - 실전편 (인공지능 수익화)
크롤링을 할 수 있는 사이트와 할 수 없는 사이트를 한번에 구별할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상담을 진행할 때, 작업이 일단 가능한지 확인을 해야하는데 크롤링을 할 수 있는 사이트와 할 수 없는 사이트를 한번에 구별할 수 있는 방법이나 꿀팁이 있나요? (어떤 오류를 갖고 캡차가 뜨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히든 퀘스트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 큰돌 강사님! 문제 자체에 대한 질문은 아니고 히든 퀘스트(카카오 문제)를 모두 풀었는데 평균적으로 1문제당 1시간씩 해결했습니다. 이 정도 난이도 문제를 만났을 때 보통 문제 푸는데 얼만큼 시간을 쓸지 목표를 어떻게 잡고 푸는게 좋을까요? 코딩테스트를 한번도 보지 않아서 제 푸는 속도가 너무 느린건지 감이 안오네요.. 프로그래머스에서는 히든 퀘스트 들의 난이도가 level 2,3 수준이던데 이 수준이 어느 정도인지 모르겠습니다. 간단히 이 정도 난이도 문제가 나왔을 때 얼만큼 시간을 투자를 목표를 잡고 공부를 해야하는지 알 수 있을까요?
-
해결됨Part2: 초중급 iOS 인스타그램 클론(SwiftUI, MVVM, Firebase, 2024)
39강 ProfileViewModel 연결할때 궁금합니다.(초보)
잘 알고 넘어가야 할 것 같아서 질문해요.ProfileView에는@State var viewModel = ProfileViewModel() ProfileEditingView에는@Bindable var viewModel : ProfileViewModel 클래스 연결할땐 @Bindable이라 하셨는데 첫번째에도 연결할때 클래스 연결하는거니 @Bindable 써야하는거 아닌가여? 같은 클래스를 적용하는데 다르게 하는 이유가 궁금하고, @State var viewModel = ProfileViewModel()@Bindable var viewModel : ProfileViewModel하나는 변수에 담는 식이고, 하나는 타입식으로 한건지 궁금해요. 제가 초보라 질문이 엉뚱할 수 있는데 궁금해요~
-
미해결Vue.js 끝장내기 - 실무에 필요한 모든 것
vue3로 진행하시면서 router에서 '*' 적용이 안되시는 분들
{ path: '/:pathMatch(.*)*', component: () => import('@/views/NotFoundPage.vue'), },그냥 * 대신 이렇게 넣어주시면 정상적으로 동작합니다!!
-
미해결[리뉴얼] 처음하는 SQL과 데이터베이스(MySQL) 부트캠프 [입문부터 활용까지]
강의 커리큘럼 질문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저는 선생님이 만들어놓으신 플스택 개발자 로드맵을 따라가고 있는 학생입니다. 지금까지 파이썬 입문과 크롤링 기초, 처음하는 SQL과 데이터베이스 강의 완강했는데요, 이 다음 로드맵이 MongoDB 강의인데, MongoDB 강의를 잠시 뒤로 미루고 그 다음 강의인 가장 빠른 풀스택: 파이썬 백엔드와 웹기술 부트캠프 (flask/플라스크와 백엔드 기본) [풀스택 Part1-1] 를 수강해도 괜찮을까요?? 제가 백엔드 개발자가 되고싶어서 해당 강의를 먼저 빨리 좀 들어보고 싶은 마음이 큰가봅니다 ㅠㅠ 추가적으로 한가지 더 질문이 있습니다.선생님 커리큘럼이 파이썬을 기반으로 진행되는데, 한국 백엔드 시장에 파이썬 기반 백엔드 개발자에게 주어지는 기회가 적더라구요. 파이썬 기반 백엔드 개발자는 대부분 AI쪽이라 석박들과 경쟁해야 하는 이유도 있고, 대부분의 기업에서 JAVA기반 백엔드 개발자를 채용하는게 그 다음 이유인 것 같습니다.그래서 저는 아무래도 기회의 폭이 넓은 java기반 백엔드 개발자가 되고싶은데, 그러려면 선생님 커리큘럼을 어떻게 활용 하는게 가장 좋을지 궁금합니다. 주변에 이쪽 분야인 사람도 없고 인터넷에는 정보가 너무나도 다양한데, 어떤 정보가 진실인지 거짓인지 구별할 힘이 아직 저에겐 없습니다. 선생님께서 꼭 좀 조언을 해주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강의 정말 좋은 것 같습니다. 좋은 강의를 찍어주시고 합리적인 가격에 팔아주셔서 감사합니다.
-
해결됨소프트웨어 업데이트 : Re-Programming 과정에 대한 이해
진단세션에 대해 제가 맞게 이해한 건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의 유익하게 잘 듣고 있습니다.자동차의 여러 가지 세션들을 소개해주셨는데 제가 제대로 이해한 것이 맞는지 궁금해서 글을 올리게 되었습니다. 자동차의 대표적인 진단세션은 Default session, Programmming session, Extended session 이렇게 3가지가 있고, 그중 Extended session은 Default session과 Programming session보다 좀 더 다양한 진단서비스가 가능한 세션이다.↑ 이렇게 이해했는데 맞나요? 그리고 강의엔 없던 내용이지만 한 가지 더 궁금한 게 있는데, DTC(Diagnostic Trouble Code)를 읽는 진단서비스는 Default session에서도 가능한가요? (DTC가 복잡한 진단서비스인지 간단한 진단서비스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sort 콜백함수
강의 2.9 ) 배열 메서드 3.배열 변형11분이후 sort에 콜백함수에서 조건문으로 return 1을 반환하면두 자리를 교환하는걸로 이해했는데요 -1을 반환하면자리 교환이 일어나지 않는것 같구요 0을 반환했을때랑차이점이 있나요??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강의 설정과 관련한 질문입니다.
강의에선 maven으로 진행된거같은데 강의에서 나오는 설정들도 함께 알아두는게 맞겠죠...? 요즘도 pom.xml이나 persistence.xml 방식을 많이 사용할까요?
-
해결됨넓고 얕게 외워서 컴공 전공자 되기
컴퓨터가 곱셈 하는 방법
컴퓨터가 곱셈을 하는 방법으로 4bit를 왼쪽으로 한 칸 밀면 곱하기 2, 두 칸 밀면 곱하기 4가 된다고 하셨는데 pdf에서 예시로 사용하신 0101은 16진수로 5입니다.왼쪽으로 한 칸 밀고 맨 오른쪽에 0을 채워넣고 자리올림은 버리면 1010 즉 16진수로 10입니다.이를 한 번 더 왼쪽으로 밀면 0100 즉 16진수로 4가됩니다.5 * 4인 20이 나와야하는거 아닌가요?
-
미해결
리액트 네이티브와 스프링부트 리액트랑 비슷하죠?!
리액트 네이티브랑 스프링부트랑 연동하려고 하고있습니다.구글링해봐도 리액트 네이티브말고는 리액트랑 연동하는 것밖에 안나옵니다. 그래서 리액트 연동방법으로 해서 어찌저찌하고있는데.. 중간에 오류에서 막혀서 질문 드립니다.리액트네이티브와 리액트랑 연동 방법?이 좀 달라서 오류가 나는건지 모르겠네요 연동 방법이 똑같다면 처음부터 다시 깔아보는 방법을 선택하려구요 리액트 연동이랑 다를거 없겠죠?
-
미해결[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Event와 Condition Variable 중에 헷갈리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이전 강의인 Event와 비교했을 때 헷갈리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 드립니다. EventEvent를 사용하면 Lock코드와 묶여있지 않기 때문에 Producer 쓰레드가 연달아 Lock을 가져가게 될 경우에 q의 값이 누적되어 값이 틀어질 수 있다고 하셨던 것으로 이해했습니다.아래는 Event 강의의 코드인데요, Consumer 함수에서 if(!q.empty())를 while(!q.empty())로 변경했을 때 q의 크기가 4자릿수로 넘어가는 경우는 발생하지 않는 반면에, 조건변수를 사용하면 q의 크기가 4자릿수가 넘어갈 때가 심심찮게 발생합니다. CPU사용량은 거의 비슷합니다.강의 설명에서는 Kernel Object와 User-Level Object의 차이때문에 Event보다 조건변수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이라는 뉘앙스로 느껴집니다. 물론, 이전 가르침을 통해서 상황에 따라 효율적인 방식은 전부 다르겠지만, 이번의 경우는 예외처럼 느껴져서 질문드립니다. 조건변수가 더 효율적인 방식인가요?#include "pch.h" #include <iostream> #include "CorePch.h" #include <thread> #include <atomic> #include <mutex> #include <windows.h> mutex m; queue<int32> q; HANDLE handle; void Producer() { while (true) { { unique_lock<mutex> lock(m); q.push(100); } ::SetEvent(handle); this_thread::sleep_for(100ms); } } void Consumer() { // 데이터를 꺼내 쓰고 있음 while (true) { ::WaitForSingleObject(handle, INFINITE); // 현재 상태가 ManualReset이면 수동으로 Non-Signal로 바꿔줘야 함. //::ResetEvent(handle); unique_lock<mutex> lock(m); if (!q.empty()) { int32 data = q.front(); q.pop(); cout << data << '\n'; } } } int main() { handle = ::CreateEvent(NULL/*보안속성*/, FALSE/*bManualReset*/, FALSE/*bInitialState*/, NULL); thread t1(Producer); thread t2(Consumer); t1.join(); t2.join(); ::CloseHandle(handle); }
-
해결됨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Redis 입문/실전 (조회 성능 최적화편)
CacheManager 는 한 번만 등록하나요? 아니면 각 도메인마다 등록하나요?
안녕하세요,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 Spring Boot 에서 Redis 세팅 추가하는 편에서, CacheManager 를 하나만 등록해서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를 활용하는 API 가 1개 뿐인데, 이름이 boardCacheManager 로 정확히 Board 도메인에 대한 전용 CacheManager 인 것처럼 보입니다. 도메인 별로 CachaManager 를 각각 만들면서 사용을 하는 게 좀 더 바람직한 방법인가요?만약 그렇다면, 각 도메인 별로 설정을 관리하고 유지보수성을 높이기 위함인가요?만약 CachaManager 를 도메인 별로 값이나 타입을 다르게 적용하지 않고 프로젝트 전체에 대해서 동일하게 적용을 하기로 결정했다면, 그때에도 CacheManager 를 각각 적용해야 할 이유가 혹시 있을까요? 인터넷 기사나 블로그 등에서는 이렇게도 하고 저렇게도 하는 것 같습니다. 선생님의 의견이나 또 실무 상의 고려사항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Practical Testing: 실용적인 테스트 가이드
쿠키/세션은 어떻게 테스트하는지 문의드립니다!
배경회원가입을 할 때, 이메일로 인증한 회원만 회원가입이 진행되도록 하는 구현중에 있습니다.그래서, 이메일로 인증한 회원에 한해서 MAIL_VERIFIED_MEMBER 세션을 만들어서 반환하고, 회원가입할 때 MAIL_VERIFIED_MEMBER 세션이 있는지 확인하고자 합니다. 그래서, 이메일로 인증한 회원에 MAIL_VERIFIED_MEMBER 세션이 잘 들어가는지 Controller 테스트를 진행하고자 하는데, 어려움을 겪어서 질문드립니다. 이메일로 인증한 회원에 MAIL_VERIFIED_MEMBER 세션을 넣어주는 API이며, 이 api 를 테스트 하고자 합니다.@PostMapping("/email/authenticate") public ApiResponse<Void> authenticateEmail(@RequestBody @Valid EmailAuthenticationRequest request, HttpServletRequest servletRequest) { // 메일 인증한 회원에게 세션을 추가한다 if (mailService.isValidMail(request.toServiceRequest())) { HttpSession session = servletRequest.getSession(); session.setAttribute(MAIL_VERIFIED_MEMBER, true); return ApiResponse.ok(); } return ApiResponse.status(HttpStatus.BAD_REQUEST); } 테스트 코드를 아래 사진처럼 짜보았습니다.그러자, Response should contain header 'Set-Cookie' 라는 오류와 함께 테스트가 실패하게 됩니다.Postman 으로 api 를 호출하면 Set-Cookie 헤더에 JSESSIONID 값이 잘 들어 오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그러나, 테스트로 진행하면 JSESSIONID 도 무작위 값이 아닌 1, 2 로 들어오게 되어 'api 호출 후 세션이 생성되어 쿠키에 들어갔는지' 테스트하는데 어려움을 겪어 질문 드립니다...ㅠㅠ api 호출 후, 응답에 세션과 쿠키가 잘 생성 되었는지를 테스트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요..? andDo(print()) 에서 MockHttpServletRequest 의 Session Attrs 에는 세션 값이 왜 들어가 있을까요.. 해당 api 를 호출하면 세션이 아직 생성이 안되었을 것이라 생각했기 때문입니다..해당 테스트를 실행할 때의 andDo(print()) 의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MockHttpServletRequest: HTTP Method = POST Request URI = /member/email/authenticate Parameters = {} Headers = [Content-Type:"application/json;charset=UTF-8", Content-Length:"48"] Body = {"email":"123@naver.com","authCode":"312nj5acz"} Session Attrs = {verified_member=true} MockHttpServletResponse: Status = 200 Error message = null Headers = [Content-Type:"application/json"] Content type = application/json Body = {"code":"0200","status":"OK","message":"OK","data":null} Forwarded URL = null Redirected URL = null Cookies = [] 질문이 길어 죄송합니다..그리고, 좋은 테스트 강의를 지식 공유 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msw 를 사용하는 이유
결국 next js 에서만 http.ts 를 만들어주어서 express 서버로 mock server(?)를 직접 띄우는 형식인것 같은데 맞나요? 또 제 생각에는 이렇게 msw 를 사용하면, 내가 백엔드 서버로 요청을 보내도 그 요청을 중간에 가로채서 mock api 로 요청이가고 내가만든 가짜응답을 보내주는것이 되어야 할것같은데, 지금은 저희가 띄운 9090으로 요청을 보내고 있네요. (이 내용도 맞는지 궁금합니다, next 프로젝트가 아니라면 localhost:8888(실제 나의 백엔드 서버)로 요청을 보냈다고 가정할때 msw가 요청을 가로채가나요?)그렇다면 굳이 msw 를 사용하는 이유가 무얼까요..? 혼자 express 서버를 만들어서 가짜응답 전해주는것과 차이를 모르겠습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Verilog FPGA Program 5 (LVDS/Serdes, HIL-A35T)
Vivado 2018.3 버전이 많던데.. 뭐를 설치해야 할까요?
Vivado Design Suite - HLx Editions Update 1 (4GB 정도)Vivado Design Suite - HLx Editions - 2018.3 Full Product Installation (19GB정도)Vivado Lab Solutions - 2018.3 Full Product Installation (여러가지 버전이 있는데, 수백 MB정도)어느것을 설치해야 할까요?
-
미해결파이썬(Python)으로 데이터 기반 주식 퀀트 투자하기 Part2
분할 매매와 수익률 !!
안녕하세요 강사님 우선 좋은 강의 감사합니다.강사님 강의를 베이스로 하나의 전략을 구성 중인데 분할 매수, 분할 매도를 어떻게 구현하여 수익률을 내는지 도무지 떠오르지가 않습니다.혹시 이 기능에 대해서는 어떻게 생각해야 하나요??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날짜 비교 방법에 관해서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정환님!! 강의 잘듣고 있습니다. 12.11) Home 페이지 구현하기 2. 기능 강의 수강중에 궁금한 점이 생겨 문의드립니다.두개의 날짜를 정보를 비교를 하기 위해서는 Date의 객체 형식을 timestamp 형식으로 변경을 한후 두개의 날짜 정보를 비교를 해야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강의에서 pivotDate에 저장이 되어있는 state 날짜 기준으로 data를 필터링 하기 위해서는 시작시간과 끝시간을 timestamp 형식으로 만들고 시작시간과 끝시간 사이에 있는 data 객체 안에 있는 createDate의 값을 필터링 하셨습니다.여기서 궁금한점이 startDate와 endDate 변수에는 timestamp형식의 날짜 정보가 들어가 있지만 data.createDate 정보에는 객체형태의 날짜 정보가 들어가 있습니다. 어떻게 객체 형태의 날짜 정보와 timestamp 형식의 날짜 정보가 비교가 가능한지 궁금합니다.제가 어떤 부분에서 착각을 하고 있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2.18) on-demand ISR 질문입니다
강의에서는 handler를 만들어서, 직접 api를 입력할 때마다 갱신하도록 예시를 보여주셨는데, 실제로는 어떻게 사용하는 건가요??(어느 시점? 어느 곳에서 트리거 되는 건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