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강의 이미지에 대해 질문 있습니다.
그림에서 main 스레드 안에 CPU 코어 1이 있는데 이 상황을 CPU 코어 1에 main 스레드가 할당 됐고 CPU 코어 1은 main 스레드의 스택 영역과 main 스레드가 속해 있는 프로세스의 코드, 데이터, 힙 영역에 접근해서 값을 가져다가 연산한다 라고 이해를 하면 될까요? CPU 내부에 존재하는 레지스터와 위 이미지의 캐시 메모리는 역할이 다르다고 보면 될까요?
-
미해결비개발자를 위한 RPA 강의 (UiPath 기본편)
micrsoft ocr 안뜨고 windows-레거시도 없어요..
기존 답변에서 보니까 windows-레거시를 선택하고 프로세스를 만들라고 설명주셨는데요.windows-레거시 항목이 없어요. 기존에 있는 OCR 을 모두 테스트해봤는데오류메시지에 api key 관련 내용이 뜨면서 실행이 안되네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TransactionManager 로깅 정보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DataSourceTransactionManager의 로그에는 사용되고 있는 커넥션의 정보(conn0)가 잘나오는데 JpaTransactionManager 에서는 커넥션 로그는 확인 못하나요 ?
-
미해결처음 만난 리액트(React)
hooks console
hook 실습중인데 강의에선 클릭했을때만 콘솔이 찍히는거같은데 저는 console이 계속 찍힙니다. ㅜㅜㅜ
-
미해결12시간 안에 끝내는 파이썬을 활용한 크롤링
Beautifulsoup실습도중 발생한 문제
Beautifulsoup라이브러리 네이버 "메일"추출하기를 수행하고 있는데 일단 네이버 사이트에 있는 것이 강의와 다르고강사분의 코드를. 동일하게 하고 안에 태그를 span으로만 해도 아무것도 추출되지 않습니다.어떻게 해야하나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자바 스레드와 커널 스레드에 대해 질문 있습니다.
기존 Java의 스레드 모델은 Native Thread로, Java의 유저 스레드를 만들면 Java Native Interface(JNI)를 통해 커널 영역을 호출하여 OS가 커널 스레드를 생성하고 매핑하여 작업을 수행하는 형태로 알고 있습니다.앞서 얘기 해주신 Thread를 상속해서 만든 스레드와 Runnalbe을 사용해서 만든 스레드가 Java의 유저 스레드인지 궁금합니다.Thread thread1 = new Thread(runnable) 이런식으로 스레드를 생성 했을때 메모리의 힙 영역에 thread1이 저장되고 thread1을 위한 스택 영역이 생성된다고 보면 될까요?OS가 생성한 커널 스레드는 메모리 어디에 저장 되는지 궁금합니다.JVM은 JNI라는 기술을 사용해 자바의 유저 스레드와 커널 스레드를 매핑 해주는 작업만 해주고 이후에 스레드 관리는 OS가 하는건지 궁금합니다. 스레드를 생성할때마다 해당 스레드를 위한 스택 영역이 생성된다고 하셨는데 이때 커널 스레드를 위한 스택도 만들어지는 건지 아니면 커널 스레드가 유저 스레드의 스택 영역을 가져다 쓰는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
문자열 개수 질문있습니다
선생님~ 질문있습니다문자열이 나열되었을때 \n도 개수를 세어야하는건가요?맞는말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예를들어 char a[] ="가,나,다"일 경우 %c의 총 개수나 인덱스 값을 나타낼 때 4가 되고,%s도 동일하게 4로 나타내는 것이 맞을까요?
-
미해결
질문있습니다.
질문있습니다.
-
해결됨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CI/CD 입문·실전
Amazon CloudFront 오리진 액세스 제어(OAC)로 S3 오리진 보호하기
S3에 대한 접근차단(보안성 향상)과 CloudFront에 S3 연결 방법에 대해 공유 드립니다. (OAC 방식) 과거에 CloudFront를 S3와 연결함을 위해 ①S3와 직접 연결하거나 ②OAI라는 방식으로 연결했던 것으로 보여집니다.하지만 최근(2022년말)에는 AWS의 정책이 변경되고 점차 OAC 방식이 권장 및 확대되는 것 같습니다.OAC를 사용하면 간편하게 S3의(1)"정적 웹 사이트 호스팅-비활성" ,(2)"모든 퍼블릭 액세스 차단-활성화" ,(3)"버킷 정책-모든 사용자(*) Allow 방지"가가능합니다. (물론 (1)~(3)은 수동으로 바꾸셔야 합니다. 강사님 영상을 보시면 충분히 하실 수 있습니다 🙂) OAC 방식에 대한 링크를 아래와 같이 공유드립니다! 선생님 영상을 먼저 보고 이후에 OAC방식과 (1),(2),(3)에 대한 보안성 여부를 확인하시면, S3의 보안성이 향상된 것을 경험하실 수 있습니다. Amazon CloudFront 오리진 액세스 제어(OAC)로 S3 오리진 보호하기 에 대한 링크: https://aws.amazon.com/ko/blogs/korea/amazon-cloudfront-introduces-origin-access-control-oac/
-
해결됨[임베디드 입문용] 임베디드 개발은 실제로 이렇게 해요.
main.c 가 나오지 않습니다
main.c가 나오지 않습니다. 어떤게 문제인가요?
-
해결됨Power BI 데이터 분석과 시각화
데이터 변환 클릭 후 Error. (Expression.Error: 테이블의 '통화명' 열을 찾을 수 없습니다.
안녕하세요?'데이터 가져오기' 회차를 듣고 있는데, Power Query 편집기를 Open 할 때, 저는 아래와 같은 Error 가 발생합니다. 어떻게 해결해야 하나요?
-
미해결[C#/.NET 8.0]어서와, WinForm은 처음이지?
Nuget 패키지 관리자 콘솔 그룹정책으로 사용안될경우!
NuGet 패키지 관리자 콘솔 실행시 아래와 같은 그룹정책으로 사용 오류 발생하면 대체 방안이 있을까요? 형식 데이터 파일을 로드하는 동안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2022\community\common7\ide\commonextensions\microsoft\nuget\Modules\NuGet\NuGet.Format.ps1xml, ,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2022\community\common7\ide\commonextensions\microsoft\nuget\Modules\NuGet\NuGet.Format.ps1xml: 다음 유효성 검사 예외로 인해 파일을 건너뛰었습니다. 그룹 정책을 사용하여 만든 정책 같은 소프트웨어 제한 정책에 의해 작업이 차단되었으므로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2022\community\common7\ide\commonextensions\microsoft\nuget\Modules\NuGet\NuGet.Format.ps1xml 파일을 로드할 수 없습니다..
-
해결됨[UI3 업데이트] 피그마 배리어블을 활용한 디자인 시스템 구축하기
컬러 베리어블에서 semantic 관련
컬러 베리어블에서 semantic 관련semantic - text 정의 interactive를 따로 구분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예를들어 웹 사이트의 GNB 텍스트 메뉴(버튼)의 primary, hover, pressed를 설정하기 위함 인가요?그럼 버튼 컴포넌트의 텍스트는 모두 컬러 설정 할때 semantic - text 정의 interactive로 정의 하면 되나요?아래 볼드님 피그마 파일로 스터디 중인데요. 위에 언급햇듯이 GNB의 텍스트 메뉴(버튼) 기본이 블랙컬러, 호버하면 블루 컬러로 변경되는 형태일 경우 컬러 베리어블 정의된 값을 어떻게 적용해야 하나요? 아래 첨부파일 이미지 보면 text>primary는 블랙, text>interactive>primary는 블루로 정의하셨는데...이런 부분은 뭔가 부딪치는 느낌입니다..text>interactive>primary가 필요한가요? interactive에서는 호버, 프레스, 디세이블, 셀렉티드 같은 상태값(states)만 정의 되야 하는거 아닐까 싶은데..의견 부탁드립니다. ? 회사 일 관계로 빠른 답변이 어려울 수 있으며, 최대 3일 이내에 답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해를 돕기 위해서 스크린샷 이미지, 피그마 파일 링크를 반드시 첨부해주세요. 마지막으로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는지 한번 찾아보시는 걸 권장 드립니다.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해서는 1:1 문의하기로 인프런 쪽으로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
미해결
안녕하세요 저는 제로베이스입니다.
내년초 해외로 입사예정입니다.자바와 sql 연동 및 데이터 도출및 데이터이동 에관해서 공부했음 좋겠다고하셨습니다.저는 제로베이스입니다. 본론 : 자바와 sql 체계적으로 공부하고싶습니다. 어떠한 강의를 들어야할지 알려주세요.... #올해안으로 코드를 보고 무슨 움직임인지 파악 할수있었음좋겠고 , 위와같은 데이터 이동및도출 같은 프로그래밍도 할수있었음좋겠습니다.
-
미해결자바 동시성 프로그래밍 [리액티브 프로그래밍 Part.1]
스레드 라이브러리는 커널과 같은 역할을 하지 못하나요?
강의와 다른 질의응답을 확인하였을 때, 사용자 수준에서 사용자 레벨 스레드 생성을 스레드 라이브러리가 관리하고, 관리의 범위는 스레드의 생성 및 소멸, 스케쥴링, 컨텍스트 스위칭을 할 수 있다고 말씀해주셨습니다! 그런데 다대일 스레드 매핑 모델의 특징에서 한 프로세스에 속해있는 사용자 수준 스레드들 중 하나가 block되면 프로세스 전체가 block이 되는데, 이는 커널에서 프로세스가 가지고 있는 개별적인 스레드를 인지하지 못하고, 그냥 하나의 스레드로 인지해서 대체할 스레드를 찾지 못함이라고 질의응답에서 확인 하였는데요, 강의 내용대로 스레드 라이브러리가 사용자 스레드를 관리하기 위해 많은 작업을 하고 있는데, 사용자 스레드 라이브러리에서 사용자 수준 스레드 중 일부가 블락되었을 때 커널 대신 다른 대기 중인 스레드를 ready > run 상태로 변경할 수는 없는 건가요?
-
미해결실무자를 위한 구글애널리틱스(GA4+GTM) 활용법(25년 Update)
수업시간에 사용하시는 PPT
PPT자료가 따로 올라온 게시판이 있나요?
-
해결됨개발자를 위한 쉬운 도커
localhost 접속질문 입니다.
안녕하세요 좋은강의 만들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제가 섹션6. 컨테이너 애플리케이션 구성부분을 따라하고 있습니다.prstgreSQL , SpringBoot 백엔드 두개는 컨테이너 구성 및 접속이 잘됩니다.postman 으로 백엔드에 데이터를 날려보니 잘 나옵니다. 하지만 꼭 프론트엔드 접속부분에서 항상 접속이 안됩니다.frontend 컨테이너도 물론 잘실행 됩니다. docker desktop 에서 프론트 로그를 보면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1: signal 3 (SIGQUIT) received, shutting down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7#7: gracefully shutting down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8#8: gracefully shutting down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0#10: gracefully shutting down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1#11: gracefully shutting down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7#7: exiting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1#11: exiting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8#8: exiting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3#13: gracefully shutting down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3#13: exiting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8#8: exit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2#12: gracefully shutting down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4#14: gracefully shutting down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3#13: exit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2#12: exiting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9#9: gracefully shutting down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9#9: exiting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2#12: exit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9#9: exit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0#10: exiting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0#10: exit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1#11: exit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4#14: exiting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4#14: exit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7#7: exit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1: signal 17 (SIGCHLD) received from 10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1: worker process 10 exited with code 0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1: worker process 12 exited with code 0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1: signal 29 (SIGIO) received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1: signal 17 (SIGCHLD) received from 11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1: worker process 7 exited with code 0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1: worker process 9 exited with code 0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1: worker process 11 exited with code 0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1: signal 29 (SIGIO) received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1: signal 17 (SIGCHLD) received from 8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1: worker process 8 exited with code 0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1: signal 29 (SIGIO) received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1: signal 17 (SIGCHLD) received from 14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1: worker process 13 exited with code 0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1: worker process 14 exited with code 0 2024-09-12 12:30:06 2024/09/12 03:30:06 [notice] 1#1: exit 2024-09-12 12:30:07 2024/09/12 03:30:07 [notice] 1#1: using the "epoll" event method 2024-09-12 12:30:07 2024/09/12 03:30:07 [notice] 1#1: nginx/1.21.4 2024-09-12 12:30:07 2024/09/12 03:30:07 [notice] 1#1: built by gcc 10.3.1 20210424 (Alpine 10.3.1_git20210424) 2024-09-12 12:30:07 2024/09/12 03:30:07 [notice] 1#1: OS: Linux 5.15.153.1-microsoft-standard-WSL2 2024-09-12 12:30:07 2024/09/12 03:30:07 [notice] 1#1: getrlimit(RLIMIT_NOFILE): 1048576:1048576 2024-09-12 12:30:07 2024/09/12 03:30:07 [notice] 1#1: start worker processes 2024-09-12 12:30:07 2024/09/12 03:30:07 [notice] 1#1: start worker process 7 2024-09-12 12:30:07 2024/09/12 03:30:07 [notice] 1#1: start worker process 8 2024-09-12 12:30:07 2024/09/12 03:30:07 [notice] 1#1: start worker process 9 2024-09-12 12:30:07 2024/09/12 03:30:07 [notice] 1#1: start worker process 10 2024-09-12 12:30:07 2024/09/12 03:30:07 [notice] 1#1: start worker process 11 2024-09-12 12:30:07 2024/09/12 03:30:07 [notice] 1#1: start worker process 12 2024-09-12 12:30:07 2024/09/12 03:30:07 [notice] 1#1: start worker process 13 2024-09-12 12:30:07 2024/09/12 03:30:07 [notice] 1#1: start worker process 14이렇게 나오는데접속 에러 로그도 안나오네요 제가 다른곳에서 80 포트를 사용중인가 싶었지만그렇지도 않습니다.혹시 제가더 살펴볼 다른곳이라도 있을까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생성자를 언제 접근하는지 존재하는지 안하는지 구분이 헷갈립니다.
문제풀때 부모, 자식 생성자가 둘다있어도 자식만 실행하는경우, 부모부터 실행하고 자식에게 내려오는경우, static 예외경우를 쉽게 판별하는방법이 있을까요?... 풀다보니 처음에 생성자생성되는부분에서 자꾸 틀립니다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네트워크 ex0 코드를 이렇게 개선하는게 옳은 방법인가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켈리어몬트님 꺼 답변을 해주고 나서, 저의 글을 보면서,어? 라는 의문이 들었고, address을 불변 으로 변경해 보자라는 생각이 들어서, 변경해 보았습니다근데 만들다 보니 Data 불변으로 바꾸고 싶다는 생각이 들고, 하다 보니 , 네트워크 서비스 클래스를 수정 하게 되던 데요.네트워크 서비스에 클래스에 객체를 생성 하는게, 옳은 방법인가요?수정withMessage가 setter로 되있어서, new Data(@@)으로 변경수정2이름 이상해서 사진 변경(어제 바꾼건데, 귀찮아서 지금 올림.)추가1MainV0은 똑같습니다. 추가2불변에 반환 값 꼭 넣으시길 바랍니다.. 변하는지 확인 할려고, 확인 했다가 고생함..Data , AddressNetworkClientV0 , NetworkServiceV0 답변 부탁 드립니다.
-
미해결[코드팩토리] [초급] Flutter 3.0 앱 개발 - 10개의 프로젝트로 오늘 초보 탈출!
GestureDetector onTap이 올바르게 동작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좋은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VideoPlayer을 포함한 위젯을 VideoPlayerWidget으로 Stateful 위젯으로 구현했습니다.그리고 자식 위젯으로 아래 코드와 같이 GestureDetector > ApstectRatio > Stack 으로 구성하였습니다.Stack의 자식 위젯으로는 VideoPlayer, _PlayButtons, _Bottom 위젯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때, VideoPlayer가 포함되어 있으면 GestureDetector의 onTap 메서드가 호출되지 않으며, VideoPlayer를 제외하는 경우 onTap 메서드가 호출되고 있습니다. 관련해서 자식의 터치 이벤트도 감지하기 위해 GestureDetector에 behavior 프로퍼티로 HitTestBehavior.opaque 값을 할당했지만, 그래도 VideoPlayer가 존재하는 경우 올바르게 동작하지 않고 있습니다. 혹시 어떤 부분이 문제인지 알 수 있을까요...?감사합니다. 아래 코드는 VideoPlayerWidget의 build 메서드입니다.@override Widget build(BuildContext context) { return GestureDetector( behavior: HitTestBehavior.opaque, onTap: (){ print("onTap"); }, child: !isInitalized ? const CircularProgressIndicator() : AspectRatio( aspectRatio: videoPlayerController.value.aspectRatio, child: Stack( children: [ VideoPlayer(videoPlayerController), _PlayButtons( onLeft: onLeft, onPlay: onPlay, onRight: onRight, isPlaying: videoPlayerController.value.isPlaying, ), _Bottom( posMinutes: videoPlayerController.value.position.inMinutes, posSeconds: videoPlayerController.value.position.inSeconds, durationMinuets: videoPlayerController.value.duration.inMinutes, durationSeconds: videoPlayerController.value.duration.inSeconds, onSliderChanged: onSliderChanged, ), // _PickPicture(onPress: widget.onPickPicture,)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