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인코딩 안됨
js 파일에서 콘솔 찍으면 한글이 계속 깨져서나와서 인코딩 설정도 euc-kr로 다 바꿨는데도 계속 디버그 콘솔창이랑 크롬 콘솔 둘다 한글이 깨져서 나오는데 혹시 왜그런지 알 수 있을까요 ..?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1편
자바 예외처리 할때 쓴 주석질문이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자바 예외 처리 하면서 본 주석이 궁금해 져서 질문을 남깁니다.영한님이 throws을 보여주려고, 마우스에 callThrow() 된 것을 보고 (사진 참조)다른것은 어떻게 될까 해서그래서 다른 것도 마우스에 되보니, 사진처럼 되엇습니다.보니까 초록색 주석이 이런 역할을 하더라고요.그래서 궁금해진 점이 초록색 주석 처럼,이런 식의 주석이 또 있나요?그리고 영상을 보니까 단축키를 안쓰고, 타이핑을 하던데, 혹 단축키 같은 게 있을까요?추가1 : 너무 유용해 보여서요.추가2 : 글이 좀 너무 이상해서(도둑놈 심보..여서) 수정 하였 습니다.답변 부탁 드립니다.
-
해결됨개발자를 위한 컴퓨터공학 1: 혼자 공부하는 컴퓨터구조 + 운영체제
SDR SDRAM 과 DDR SDRAM에 대해서 이해한 것을 그림으로 만들어 보았는데 옳게 이해한 것이 맞는지 궁금합니다.
SDR SDRAMDDR SDRAM
-
미해결[리뉴얼] 처음하는 파이썬 백엔드와 웹기술 입문 (파이썬 중급, flask[플라스크] 로 이해하는 백엔드 및 웹기술 기본) [풀스택 Part1-1]
04_flask_ABTest에서 blog_abtest.py 실행 시 오류입니다.
죄송합니다만, flask_login을 찾을 수 없다는 오류가 나는데 확인 부탁드립니다.
-
미해결중급, 활용편 #1 DevOps : Infrastructure as Code with AWS and 테라폼
SSM VPC Endpoint 관련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Bastion Host 대신 SSM을 사용하여 private subnet, isolated private subnet(no nat)에 있는 EC2 instance에 SSH 대신 연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코드를 작성했습니다. 그런데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하였습니다.동일 AWS Service에 대한 VPC Endpoint가 AZ 당 반드시 하나만 존재하도록 강제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그래서 현재 vpc 디렉토리 내에 강사님이 구조를 모방하여 module, dev_apnortheast2, stag_apnortheast2, prod_apnortheast2 총 4개의 모듈이 존재하도록 작성했는데, 어떻게 해결할 지 간단하게 생각해봤습니다.shared_apnortheast2라는 새로운 디렉토리를 만들어서 SSM을 위한 리소스들을 전부 여기에 저장하고, data나 remote_state 같은 블록을 통해 각 모듈에서 가져다 쓰는 것-> 관리 포인트가 늘어나는 단점 + 다른 환경 끼리 같은 리소스를 써서 헷갈리는 단점, 여기다 전부 만들면 되서 env 마다 충돌 안 나게 할 필요 없는 장점dev, stag, prod에서 각각 하나의 az에만 SSM을 위한 리소스, VPC Endpoint를 만드는 것-> 각 모듈 내의 SSM, VPC Endpoint 만들 때 실수로 겹치지 않도록 az를 신경 써줘야 함 + 운 나쁘게 하나의 az가 다운되었는데 그것이 prod 환경의 SSM, VPC Endpoint면 수동 조치 필요 + 환경 별 불일치 발생3. ssm 자체를 VPC Endpoint가 아닌 다른 방법, 강사님이 언급하신 Transit Gateway 등을 사용하는 것대략 이 정도로 생각을 해보았습니다.아직 SSM, VPC Endpoint에 대한 개념이 완전히 정립되지 않아서 제가 생각한 방법 중 절대 사용해서는 안 되는 치명적인 함정이 있는지, 위 방법들 중 실제로 쓰이는 방법이 있는지, 강사님은 어떤 방법을 선호 하시는지가 궁금합니다.---앞 부분을 여러 번 돌려보고 직접 작성하면서 진행하느라 굉장히 느리게 진행하고 있는데 확실히 직접 몇 번 만들어 보고 다시 돌려보니 이해도가 늘어나는 것이 느껴집니다.테라폼을 처음 접했을 때 하위 디렉토리 무시하고 현재 디렉토리 단위로만 모듈이 되는 것과 책 등에서는 어떻게 구조화 하는지를 알려주지 않았는데, 강사님 강의를 통해 조금씩 어떻게 사용하는지 느낌을 잡아갈 수 있었습니다.(리뷰에 써야하는 내용인데 아직도 앞부분 돌려보고 있어서 다 듣고 다시 쓰겠습니다.ㅋㅋ)강의 반복해서 듣고 혼자 구조 짜고 실습을 해보니 이 사용자를 어떻게 관리하는지 부분이 상당히 방법이 많고 난해하더라구요.IAM User, Group, Role, Policy 여기까지는 그래도 엄청 어려운 개념은 없고 테라폼으로 리소스 생성도 가능한데이거를 수백명 단위라고 생각하면 어떻게 자동으로 생성하고 관리하고 권한을 조절하는지가 상상이 잘 안 되더라구요.그리고 요즘은 SSH->SSM으로 넘어갔듯 Organization과 SSO(이름이 Identity Center?로 바뀐 것 같습니다.)를 조합해서 사용하는 최신 방식도 많이 사용하고 있다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테라폼을 처음 접했을 때처럼 이 중에서 어떤 것을 골라서 쓰고, 어떤 것을 안 써야하는지, 어떻게 자동화, 권한 조절을 하는지... 함정은 무엇인지 등이 감이 잘 안오는 상태입니다.이런 부분을 실전 느낌으로 체계적으로 다루는 강의는 찾기 어려울 것 같아서 후속 강의를 계속 내시게 되면 IAM, Organization, SSO 등의 사용자 리소스 관리 및 자동화, 베스트 프랙티스도 꼭 보고 싶네요.아 그리고 지금까지 테라폼 구조화 방식을 workspace, module + softlink, terragrunt 3가지 정도를 접했는데workspace는 강사님과 Terraform 모듈 만드시는 분이 이미 겪어보고 module + softlink 방식이 낫다고 말씀해주셔서 깊게 보지 않았는데, terragrunt는 어떻게 생각하시는지, 어떤 단점이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아래 예제 레포가 있는데 좀 방대해서 제대로 이해하고 해석하려면 시간이 걸리겠더라구요.https://github.com/cogini/multi-env-deploy언제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다음 강의들도 기대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1 -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
MemberRepositoryTest 부분에서 오류가 나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커뮤니티 보면서 같은오류들 따라해봤는데 잘 안되네요오류코드:No matching tests found in any candidate test task. Requested tests: Test pattern jpabook.jpashop.MemberRepositoryTest.testMember in task :test* Try:> Run with --stacktrace option to get the stack trace.> Run with --info or --debug option to get more log output.> Run with --scan to get full insights.> Get more help at https://help.gradle.org.Deprecated Gradle features were used in this build, making it incompatible with Gradle 9.0.You can use '--warning-mode all' to show the individual deprecation warnings and determine if they come from your own scripts or plugins.For more on this, please refer to https://docs.gradle.org/8.10/userguide/command_line_interface.html#sec:command_line_warnings in the Gradle documentation.BUILD FAILED in 12s4 actionable tasks: 1 executed, 3 up-to-date
-
미해결Spotfire - 사용자 교육 기초편
산점도 강의중 예제로 잠깐 보여주신 Wafer Map 예제 파일 공유 요청 드립니다.
산점도 강의 중 예제로 잠깐 보여주신 Wafer Map 예제 파일 공유 요청 드립니다. 반도체 관련하여 하여 업무를 진행하고 있어 해당 자료가 필요합니다. 공유가 가능하지 않다면 개인 메일로라도 꼭 예제 파일을 받고 싶습니다. gs2004@naver.com
-
미해결수학으로부터 인류를 자유롭게 하라(미적분학 Part.I) - 미분
향후 강의 계획
적분강의는 언제쯤 업로드 되는지 알 수 있을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56강에 대한 질문입니다(BoundedMain).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package thread.bounded; import static util.MyLogger.log; public class ProducerTask implements Runnable { private BoundedQueue queue; private String request; public ProducerTask(BoundedQueue queue, String request) { this.queue = queue; this.request = request; } @Override public void run() { log("[생산 시도] " + request + " -> " + queue); log("[생산 완료] " + request + " -> " + queue); } }package thread.bounded; import static util.MyLogger.log; public class ConsumerTask implements Runnable { private BoundedQueue queue; public ConsumerTask(BoundedQueue queue) { this.queue = queue; } @Override public void run() { log("[소비 시도] ? <- " + queue); String data = queue.take(); log("[소비 완료] " + data + " <- " + queue); } }package thread.bounded; public interface BoundedQueue { void put(String data); String take(); }package thread.bounded; import java.util.ArrayList; import java.util.List; import static util.MyLogger.log; import static util.ThreadUtils.sleep; public class Bounded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1. BoundedQueue 선택 BoundedQueue queue = new BoundedQueueV1(2); // 2. 생산자, 소비자 실행 순서 선택, 반드시 하나만 선택! producerFirst(queue); // 생산자 먼저 실행 //consumerFirst(queue); // 소비자 먼저 실행 } private static void producerFirst(BoundedQueue queue) { log("== [생산자 먼저 실행] 시작, " + queue.getClass().getSimpleName() + " =="); List<Thread> threads = new ArrayList<>(); startProducer(queue, threads); printAllState(queue, threads); startConsumer(queue, threads); printAllState(queue, threads); log("== [생산자 먼저 실행] 종료, " + queue.getClass().getSimpleName() + " =="); } private static void consumerFirst(BoundedQueue queue) { log("== [소비자 먼저 실행] 시작, " + queue.getClass().getSimpleName() + " =="); List<Thread> threads = new ArrayList<>(); startConsumer(queue, threads); printAllState(queue, threads); startProducer(queue, threads); printAllState(queue, threads); log("== [소비자 먼저 실행] 종료, " + queue.getClass().getSimpleName() + " =="); } private static void startProducer(BoundedQueue queue, List<Thread> threads) { System.out.println(); log("생산자 시작"); for (int i = 1; i <= 3; i++) { Thread producer = new Thread(new ProducerTask(queue, "data" + i), "producer" + i); threads.add(producer); producer.start(); sleep(100); } } private static void startConsumer(BoundedQueue queue, List<Thread> threads) { System.out.println(); log("소비자 시작"); for (int i = 1; i <= 3; i++) { Thread consumer = new Thread(new ConsumerTask(queue), "consumer" + i); threads.add(consumer); consumer.start(); sleep(100); } } private static void printAllState(BoundedQueue queue, List<Thread> threads) { System.out.println(); log("현재 상태 출력, 큐 데이터: " + queue); for (Thread thread : threads) { log(thread.getName() + ": " + thread.getState()); } } }package thread.bounded; import java.util.ArrayDeque; import java.util.Queue; import static util.MyLogger.log; public class BoundedQueueV1 implements BoundedQueue { private final Queue<String> queue = new ArrayDeque<>(); private final int max; public BoundedQueueV1(int max) { this.max = max; } @Override public synchronized void put(String data) { if (queue.size() == max) { log("[put] 큐가 가득 참, 버림: " + data); return; } queue.offer(data); } @Override public synchronized String take() { if (queue.isEmpty()) { return null; } return queue.poll(); } @Override public String toString() { return queue.toString(); } }C:\Users\lgh80\.jdks\temurin-21.0.4\bin\java.exe --enable-preview "-javaagent:C:\Program Files\JetBrains\IntelliJ IDEA 2024.1.4\lib\idea_rt.jar=52674:C:\Program Files\JetBrains\IntelliJ IDEA 2024.1.4\bin" -Dfile.encoding=UTF-8 -Dsun.stdout.encoding=UTF-8 -Dsun.stderr.encoding=UTF-8 -classpath C:\java-adv1\out\production\java-adv1 thread.bounded.BoundedMain09:38:16.411 [ main] == [생산자 먼저 실행] 시작, BoundedQueueV1 ==09:38:16.413 [ main] 생산자 시작09:38:16.424 [producer1] [생산 시도] data1 -> []09:38:16.425 [producer1] [생산 완료] data1 -> []09:38:16.531 [producer2] [생산 시도] data2 -> []09:38:16.532 [producer2] [생산 완료] data2 -> []09:38:16.642 [producer3] [생산 시도] data3 -> []09:38:16.642 [producer3] [생산 완료] data3 -> []09:38:16.752 [ main] 현재 상태 출력, 큐 데이터: []09:38:16.754 [ main] producer1: TERMINATED09:38:16.754 [ main] producer2: TERMINATED09:38:16.754 [ main] producer3: TERMINATED09:38:16.755 [ main] 소비자 시작09:38:16.757 [consumer1] [소비 시도] ? <- []09:38:16.757 [consumer1] [소비 완료] null <- []09:38:16.864 [consumer2] [소비 시도] ? <- []09:38:16.865 [consumer2] [소비 완료] null <- []09:38:16.974 [consumer3] [소비 시도] ? <- []09:38:16.975 [consumer3] [소비 완료] null <- []09:38:17.085 [ main] 현재 상태 출력, 큐 데이터: []09:38:17.085 [ main] producer1: TERMINATED09:38:17.086 [ main] producer2: TERMINATED09:38:17.086 [ main] producer3: TERMINATED09:38:17.086 [ main] consumer1: TERMINATED09:38:17.087 [ main] consumer2: TERMINATED09:38:17.087 [ main] consumer3: TERMINATED09:38:17.087 [ main] == [생산자 먼저 실행] 종료, BoundedQueueV1 ==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e 0이런 식으로 출력이 뜨는데 강의 내용에 나와있는 로그 창이랑 많이 달라서 강의 코드랑도 비교해봤는데 어디에서 문제가 있는 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중급 2편
의존관계 주입에 대해서 질문드립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 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영한님 강의를 잘 듣고 있습니다.의존관계 주입 설명해주실때 문득 궁금점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 의존관계 주입은 추상적인 것을 의존하게 하고,나중에 실제 구체적인것을 넣어주는 부분인데이는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List(Array, Linked)의 경우라고 한다면 처음에는 한가지 기능만 수행하다가, 필요에 의해서 다른 기능을 만들었고 이걸 공통화가 가능하다면 인터페이스로 만들어주는 작업을 진행하면 되는 걸까요? 실무에서 인터페이스는 처음부터 설계를 잡고 들어가는 경우가 많은지, 혹은 필요에 의해 중간에 만드는 경우도 있는지 궁금합니다! 중간에 필요하긴한데 기능이 다 같진 않은 경우에는 어떻게 하는지도 궁금하네요ㅠ
-
해결됨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체크예외를 리포지토리에서는 처리하지 않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예외처리 부분을 듣고 궁금한 점이 있어 질문 남깁니다.강의에서 하위 레벨의 체크 예외가 서비스, 컨트롤러로 올라오는 것이 문제라고 하셨는데, 리포지토리와 같이 해당 예외가 직접 발생하는 곳에서 try~catch로 잡아서 처리하면 상위 레벨로 올라오지 않을텐데 그렇게 처리하지 않는 이유는 뭔가요? 어차피 대부분 복구 불가능한 예외라 시스템 상에서는 로그를 남기는 것 밖에 하지 못하고, 왜 하위 레벨에서는 처리하지 않는지 궁금합니다. 밖으로 던져서 공통으로 처리할거면 리포지토리에서 처리해도 공통으로 처리되는 효과가 있는게 아닌지..동일한 리포지토리를 여러 서비스에서 사용할 때 비즈니스 로직에 따라 같은 리포지토리 메서드여도 다른 오류 메세지를 보여줘야 해서 그런걸까요..?
-
해결됨나도코딩의 자바 기본편 - 풀코스 (20시간)
Catch 안에서 쓰인 throw
안녕하세요. try { writer.close(); } catch (Exception e) { throw new RuntimeException(e); }여기에서 catch 안에 throw로 RuntimeException 을 발생 시켰는데, 이부분은 어디서 catch가 되나요?
-
미해결실리콘밸리 엔지니어와 함께하는 데이터 사이언스 기초편
선형회기 모델 r2 계산방법
안녕하세요선형회기모델 강의 내용 중 12:42분 ppt에서 Sum of squared residual이 SS_res로 되어있는데, 이 용어에 대한설명이 관측값과 회기 예측값의 차이로 으로 되어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는 SSE(error sum of squares)와 동일한 것으로 수식이 (SS-res / SS_tot), 즉 SSE/SST 로 변경되어야 하지 않을까요?(SS_res와 SSE를 동일한 뜻으로 간주한다면) 하지만 현재 자료는 1- (SS_res/SST)로 되어있고, 이 케이스는 SS_res가 회기값과 관측값 평균의 차, 즉 regression sum of squares 와 동일한 의미로 설명되어 있습니다.아마 SSR(SS_res)의 용어와 SSR(regression sum of squares)의 용어 혼돈인것 같은데 작성하신 뜻에 의하면 "1-"부분이 삭제되어야 할것 같아서 문의 남깁니다. 확인부탁드립니다.
-
해결됨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에러 페이지 출력이후 고객의 다음과정을 위한 처리가 궁금합니다.
[질문 내용]강의에서는 이와 같은 페이지를 만들고 끝나는데실제 고객이 이런 페이지를 마주치게 된다면메인 페이지로 이동 버튼을 두어 되돌아가게 하는 형태로사용하게 되는지 또는 다시 구글에 검색해서 다시 사이트를 들어간다던지 등 어떤식으로 고객이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해야되는지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RowMapper 질문드립니다.
@Overridepublic Member findById(String memberId) {String sql = "select * from member where member_id = ?";return template.queryForObject(sql, memberRowMapper(), memberId);}private RowMapper<Member> memberRowMapper() {return (rs, rowNum) -> {Member member = new Member();member.setMemberId(rs.getString("member_id"));member.setMoney(rs.getInt("money"));return member;};}이 코드에서,1. 해당 람다식은 파라미터로 rs와 rowNum을 받아서, 중괄호 부분을 실행한후 결과를 리턴하는것인가요? 그렇다면 rowNum의 역할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또, 람다 내부의 rs와 rowNum 파라미터의 매개값은 어떻게 대입되는것인가요 ..? 람다식부분이 이해가 되지않아서 질문드립니다.2. 이 코드에서 return member;를 하면 Member객체가 반환되는데 실제 리턴타입은 RowMapper<Member>로 되어있는데 어떻게 RowMapper<Member>타입으로 반환될수 있는것인지 질문드립니다.3. queryForObject()의 리턴타입은 Member인데, 어떻게 Member가 되는것인가요 ?
-
해결됨[리뉴얼] 맛집 지도앱 만들기 (React Native & NestJS)
QueryClient 에서 retry 를 false 로 설정하신 이유
3-8 강의 1:04 에서, QueryClient 의 retry 옵션을 false 로 설정하신 특별한 이유가 있으신가요? 왜 이렇게 설정한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완전 정복 [6.x 개정판]
질문 있어서 남기게 됩니다.
사이드 프로젝트를 하다가 SpringSecurity를 좀더 잘 구햔해보고 싶어 강의를 들으면서 sideproject에 springSecurity를 도입하고 있습니다. 수업 내용과는 상이한 질문이라 드려도 될지 조심스럽습니다만, 혼자 공부하고 있어 여주어 볼 곳이 선생님 밖에 없어 질문을 남기게 됩니다. 권한을 설정해 주고, 회원에게 권한을 직접 지정해 주는 방식으로 진행했는데, api test해본 결과 계속 Set SecurityContextHolder to anonymous SecurityContext라는 오류가 발생합니다. 시간이 괜찮으시다면, 진행중인 sideProject에서 security 부분이 어디가 잘못되었는지 팁을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https://github.com/Fangsangik/fintech_rebuilding
-
해결됨Real MySQL 시즌 1 - Part 2
시퀸셜하게 증가하지 않는 PK의 insert성능도 문제가 있을까요?
좋은 강의 제공해주셔서 감사합니다!강의를 듣다보니 의문점이 하나 생겼는데요. 에피소드 14의 시퀸셜하지 않은 UUID사용시 범위 검색의 조회 효율성 문제를 언급해주셨는데요 데이터 삽입시 인덱스가 리밸런싱되거나 리프노드의 실제 데이터 위치가 이동하는 문제가 발생할수도 있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완전 정복 [6.x 개정판]
인텔리제이 내장 db
안녕하세요,저는 현재 스프링 시큐리티 강의를 수강 중인 학생입니다. 강의를 차근차근 학습하고 있었으나, 프로젝트 마감 기한을 맞추기 위해 실전 프로젝트 부분을 우선적으로 학습하고 있습니다.문제는 제가 아직 스프링과 스프링부트에 익숙하지 않다는 점입니다. 그래서 DB 연결 및 구축 방법에 대해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혹시 이 부분에 대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설명해 주실 수 있으신가요? 또는 참고할 만한 자료가 있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구글에서 자료를 찾아보기도 했지만, 여전히 혼란스러운 부분이 많습니다. 현재 프로젝트에서는 백엔드와 시큐리티 부분을 담당하고 있으며, 강사님의 강의를 통해 제대로 배워보고자 하고 있습니다. 질문드린 부분을 도와주실 수 있으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Next.js 시작하기
router를 사용할 때 왜 페이지가 갱신되는지에 대한 질문
안녕하세요.면접준비에 도움이 될 거 같고 개념적으로도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장바구니에서 삭제를 하면 갱신되는데에 동작원리에서 처음엔 router.replace(router.asPath) 때문에 url이 변경되진 않아도 단순하게 /cart로 이동이란 동작을 해서 페이지를 다시 그린다고 생각했습니다.CartList는 CartPage의 자식 컴포넌트이다.CartPage는 getServerSideProps로 서버에서 받아온 데이터를 프롭스(carts)로 받으며, 그 프롭스를 CartList에게 전달해주고 있다.CartList는 부모컴포넌트에게 받은 carts 프롭스를 통해 장바구니 목록을 보여주고 있다.장바구니에서 상품을 삭제하면, 선택한 상품을 서버에서 삭제하고 router.replace를 통해(router.push도 동일) 현재 페이지(asPath)인 /cart로 이동한다./cart 페이지(즉, CartPage.jsx)가 리렌더링된다.리액트는 리렌더링되면 컴포넌트의 모든 코드를 다시 실행하게 된다.(고 알고 있습니다.)그로 인해 getServerSideProps가 다시 실행되고 갱신된(장바구니에서 상품을 삭제한) 데이터를 다시 CartPage에게 프롭스로 내려주게 된다.프롭스가 변경됐으니 자식 컴포넌트인 CartList도 리렌더링되어 모든 코드가 다시 실행된다.바뀐 장바구니 데이터로 보여지게 된다.라고 생각했는데요. https://nextjs.org/docs/pages/building-your-application/data-fetching/get-server-side-props#behavior공식문서를 살펴보니 사용자가 Link 컴포넌트 또는 router를 통해 페이지를 방문할 때, Next.js는 서버에 API 요청을 보내 getServerSideProps를 실행합니다. 라고 되어있습니다. 이러면,현재 CartList는 CartPage의 자식 컴포넌트이다.CartPage는 getServerSideProps로 서버에서 받아온 데이터를 프롭스(carts)로 받으며, 그 프롭스를 CartList에게 전달해주고 있다.CartList는 부모컴포넌트에게 받은 carts 프롭스를 통해 장바구니 목록을 보여주고 있다.장바구니에서 상품을 삭제하면, 선택한 상품을 서버에서 삭제한다.router.replace를 통해(router.push도 동일) 현재 페이지(asPath)인 /cart로 이동한다. router를 통해 페이지를 방문했으므로 CartPage의 getServerSideProps가 다시 실행되고 갱신된 데이터를 CartPage에게 프롭스로 내려주게 된다.프롭스가 변경됐으니 자식 컴포넌트인 CartList도 리렌더링되어 모든 코드가 다시 실행된다.바뀐 장바구니 데이터로 보여지게 된다.이렇게 이해하면 될까요?그리고, getServerSideProps가 있는 페이지 컴포넌트는 getServerSideProps가 재실행되면 자동으로 리렌더링되게 되는 구조인가요?설명해주셨는데 제가 놓친거면 죄송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