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따라하며 배우는 리액트 네이티브 기초
expo 환경설정 관련해서 문의드립니다.
expo 환경설정중에 궁금한 점이 생겨 문의드립니다. 강의에 나온데로 그대로 설치를 했는데 파일이 구성이 달라 문의드립니다. 영상에서는 app.js 파일이 있는데 저의 파일안에는 app.js 파일이 없습니다... 구성도 많이 다른것 같습니다. 어떤 원인에서 이러한 결과가 나오게 되었는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안녕하세요
질문해서 말씀하신대로 해봐도 계속 같은 오류가 떠서제가 봐서는 어디에 문제가 있는지 모르겠는데죄송하지만 혹시 프로젝트를 링크로 시크릿창에서 프로젝트를 보내는 방법 알수 있을까요?
-
해결됨실무에 바로 적용하는 AWS 배포
git clone
안녕하세요.bastion을 통해서 private-ec2에 접속하는 것은 됩니다.yum으로 nginx도 설치되네요.그런데 git clone은 되지 않습니다. google로 ping도 안되네요.어떤 설정에 문제가 있을까요?NAT Gateway를 설정해야되는 건가요?확인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
미해결팝스타 공식 뮤비 제작 & 유튜브 2천만 뷰 크리에이터의 애니메이트 X 이모티콘 클래스
경례 2탄 강의 또 질문 드립니다 ㅠㅠ!!
강의를 듣다보니 궁금증이 많아져서 질문이 많아 죄송하고 감사합니다 ㅜㅜ!!경례하는 팔과 팔 사이에 연결성을 위해 그림을 그려넣으려고 하는데 레이어가 아래에 있으면 첨부 그림처럼 무조건 아래에만위치하나요? 머리 위로 팔이 올라가게 하고 싶은데 그렇게 하려면 레이어를 새로 만들어서 머리 위에 위치하는 방법밖에 없는지 궁금합니다! 그 예전 강의에서 그룹의 경우 맨 앞으로 이동 맨 뒤로 이동 이게 단축키가 먹혔었는데 첨부된 그림의 경우는 방법이 새 레이어를 생성해서 맨 위로 올리는 방법밖에 없는지 궁금합니다!!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커뮤니티의 '자주 묻는 질문'과 '질문 리스트' 그리고 '강의 소식'에서 검색해 보세요.- 질문의 내용은 최대한 자세하게 적어주세요. 간단하게 남긴 질문은 정확한 답변을 얻기 힘듭니다. - 문제가 발생한 작업 화면 전체가 보이는 스크린 샷 혹은 영상을 남기면 가장 좋습니다.-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작성한 질문은 답변을 들은 후 절대 삭제하지 마세요, 다른 수강생분에게도 도움이 됩니다.-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MessageSourceTest 실행 오류(재질문 ㅠㅠ)
2024-09-14 21:59:49.218 INFO 7260 --- [ main] h.itemservice.message.MessageSourceTest : Starting MessageSourceTest using Java 17.0.12 on DESKTOP-0C29M2G with PID 7260 (started by USER in C:\Users\USER\Desktop\message)2024-09-14 21:59:49.221 INFO 7260 --- [ main] h.itemservice.message.MessageSourceTest : No active profile set, falling back to default profiles: default2024-09-14 21:59:50.543 INFO 7260 --- [ main] o.s.s.concurrent.ThreadPoolTaskExecutor : Initializing ExecutorService 'applicationTaskExecutor'2024-09-14 21:59:50.655 INFO 7260 --- [ main] o.s.b.a.w.s.WelcomePageHandlerMapping : Adding welcome page: class path resource [static/index.html]2024-09-14 21:59:50.989 INFO 7260 --- [ main] h.itemservice.message.MessageSourceTest : Started MessageSourceTest in 2.128 seconds (JVM running for 3.089)org.opentest4j.AssertionFailedError:Expecting:<"안녕">to be equal to:<"hello">but was not.Expected :"hello"Actual :"안녕"<Click to see difference>at java.base/jdk.internal.reflect.NativeConstructorAccessorImpl.newInstance0(Native Method)at java.base/jdk.internal.reflect.NativeConstructorAccessorImpl.newInstance(NativeConstructorAccessorImpl.java:77)at java.base/jdk.internal.reflect.DelegatingConstructorAccessorImpl.newInstance(DelegatingConstructorAccessorImpl.java:45)at java.base/java.lang.reflect.Constructor.newInstanceWithCaller(Constructor.java:500)at hello.itemservice.message.MessageSourceTest.helloMessage(MessageSourceTest.java:20)at java.base/jdk.internal.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0(Native Method)at java.base/jdk.internal.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NativeMethodAccessorImpl.java:77)at java.base/jdk.internal.reflect.DelegatingMethodAccessorImpl.invoke(DelegatingMethodAccessorImpl.java:43)at java.base/java.lang.reflect.Method.invoke(Method.java:569)at org.junit.platform.commons.util.ReflectionUtils.invokeMethod(ReflectionUtils.java:688)at 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MethodInvocation.proceed(MethodInvocation.java:60)at 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InvocationInterceptorChain$ValidatingInvocation.proceed(InvocationInterceptorChain.java:131)at org.junit.jupiter.engine.extension.TimeoutExtension.intercept(TimeoutExtension.java:149)at org.junit.jupiter.engine.extension.TimeoutExtension.interceptTestableMethod(TimeoutExtension.java:140)at org.junit.jupiter.engine.extension.TimeoutExtension.interceptTestMethod(TimeoutExtension.java:84)at 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ExecutableInvoker$ReflectiveInterceptorCall.lambda$ofVoidMethod$0(ExecutableInvoker.java:115)at 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ExecutableInvoker.lambda$invoke$0(ExecutableInvoker.java:105)at 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InvocationInterceptorChain$InterceptedInvocation.proceed(InvocationInterceptorChain.java:106)at 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InvocationInterceptorChain.proceed(InvocationInterceptorChain.java:64)at 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InvocationInterceptorChain.chainAndInvoke(InvocationInterceptorChain.java:45)at 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InvocationInterceptorChain.invoke(InvocationInterceptorChain.java:37)at 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ExecutableInvoker.invoke(ExecutableInvoker.java:104)at 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ExecutableInvoker.invoke(ExecutableInvoker.java:98)at org.junit.jupiter.engine.descriptor.TestMethodTestDescriptor.lambda$invokeTestMethod$6(TestMethodTestDescriptor.java:210)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ThrowableCollector.execute(ThrowableCollector.java:73)at org.junit.jupiter.engine.descriptor.TestMethodTestDescriptor.invokeTestMethod(TestMethodTestDescriptor.java:206)at org.junit.jupiter.engine.descriptor.TestMethodTestDescriptor.execute(TestMethodTestDescriptor.java:131)at org.junit.jupiter.engine.descriptor.TestMethodTestDescriptor.execute(TestMethodTestDescriptor.java:65)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5(NodeTestTask.java:139)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ThrowableCollector.execute(ThrowableCollector.java:73)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7(NodeTestTask.java:129)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around(Node.java:137)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8(NodeTestTask.java:127)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ThrowableCollector.execute(ThrowableCollector.java:73)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executeRecursively(NodeTestTask.java:126)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execute(NodeTestTask.java:84)at java.base/java.util.ArrayList.forEach(ArrayList.java:1511)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SameThreadHierarchicalTestExecutorService.invokeAll(SameThreadHierarchicalTestExecutorService.java:38)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5(NodeTestTask.java:143)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ThrowableCollector.execute(ThrowableCollector.java:73)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7(NodeTestTask.java:129)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around(Node.java:137)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8(NodeTestTask.java:127)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ThrowableCollector.execute(ThrowableCollector.java:73)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executeRecursively(NodeTestTask.java:126)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execute(NodeTestTask.java:84)at java.base/java.util.ArrayList.forEach(ArrayList.java:1511)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SameThreadHierarchicalTestExecutorService.invokeAll(SameThreadHierarchicalTestExecutorService.java:38)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5(NodeTestTask.java:143)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ThrowableCollector.execute(ThrowableCollector.java:73)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7(NodeTestTask.java:129)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around(Node.java:137)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8(NodeTestTask.java:127)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ThrowableCollector.execute(ThrowableCollector.java:73)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executeRecursively(NodeTestTask.java:126)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execute(NodeTestTask.java:84)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SameThreadHierarchicalTestExecutorService.submit(SameThreadHierarchicalTestExecutorService.java:32)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HierarchicalTestExecutor.execute(HierarchicalTestExecutor.java:57)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HierarchicalTestEngine.execute(HierarchicalTestEngine.java:51)at org.junit.platform.launcher.core.EngineExecutionOrchestrator.execute(EngineExecutionOrchestrator.java:108)at org.junit.platform.launcher.core.EngineExecutionOrchestrator.execute(EngineExecutionOrchestrator.java:88)at org.junit.platform.launcher.core.EngineExecutionOrchestrator.lambda$execute$0(EngineExecutionOrchestrator.java:54)at org.junit.platform.launcher.core.EngineExecutionOrchestrator.withInterceptedStreams(EngineExecutionOrchestrator.java:67)at org.junit.platform.launcher.core.EngineExecutionOrchestrator.execute(EngineExecutionOrchestrator.java:52)at org.junit.platform.launcher.core.DefaultLauncher.execute(DefaultLauncher.java:96)at org.junit.platform.launcher.core.DefaultLauncher.execute(DefaultLauncher.java:75)at com.intellij.junit5.JUnit5IdeaTestRunner.startRunnerWithArgs(JUnit5IdeaTestRunner.java:57)at com.intellij.rt.junit.IdeaTestRunner$Repeater$1.execute(IdeaTestRunner.java:38)at com.intellij.rt.execution.junit.TestsRepeater.repeat(TestsRepeater.java:11)at com.intellij.rt.junit.IdeaTestRunner$Repeater.startRunnerWithArgs(IdeaTestRunner.java:35)at com.intellij.rt.junit.JUnitStarter.prepareStreamsAndStart(JUnitStarter.java:232)at com.intellij.rt.junit.JUnitStarter.main(JUnitStarter.java:55)2024-09-14 21:59:51.453 INFO 7260 --- [extShutdownHook] o.s.s.concurrent.ThreadPoolTaskExecutor : Shutting down ExecutorService 'applicationTaskExecutor'Process finished with exit code -1 이런 오류가 뜨는데 어디에서 문제가 생긴걸까요?(중간에 위에 사진에서 Passing 'null' argument to parameter annotated as @NotNull라는 오류도 보고 답변 부탁드립니다 ㅠㅠ)
-
미해결팝스타 공식 뮤비 제작 & 유튜브 2천만 뷰 크리에이터의 애니메이트 X 이모티콘 클래스
경례 이모티콘 2탄 강의 질문이요 ㅠㅠ
8분 13초 쯤에 머리 심볼 프레임이 16으로 되어 있어서 15로 바꾸어주니 눈썹이 더이상 올라가지 않았는데요!프레임이 16이라는 게 무슨 말인지 이해가 안 가네요 ㅠㅠ저도 똑같이 따라해서 15로 바꿔주니 눈썹이 더이상 움직이지 않아서 잘 따라가고는 있는데 .. 아직 개념이 잘 잡히지 않은 것 같습니다 ㅠㅠ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MessageSourceTest 실행 오류
org.opentest4j.AssertionFailedError:Expecting:<"안녕">to be equal to:<"hello">but was not.Expected :"hello"Actual :"안녕"<Click to see difference>at java.base/jdk.internal.reflect.NativeConstructorAccessorImpl.newInstance0(Native Method)at java.base/jdk.internal.reflect.NativeConstructorAccessorImpl.newInstance(NativeConstructorAccessorImpl.java:77)at java.base/jdk.internal.reflect.DelegatingConstructorAccessorImpl.newInstance(DelegatingConstructorAccessorImpl.java:45)at java.base/java.lang.reflect.Constructor.newInstanceWithCaller(Constructor.java:500)at hello.itemservice.message.MessageSourceTest.helloMessage(MessageSourceTest.java:20)at java.base/jdk.internal.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0(Native Method)at java.base/jdk.internal.reflect.NativeMethodAccessorImpl.invoke(NativeMethodAccessorImpl.java:77)at java.base/jdk.internal.reflect.DelegatingMethodAccessorImpl.invoke(DelegatingMethodAccessorImpl.java:43)at java.base/java.lang.reflect.Method.invoke(Method.java:569)at org.junit.platform.commons.util.ReflectionUtils.invokeMethod(ReflectionUtils.java:688)at 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MethodInvocation.proceed(MethodInvocation.java:60)at 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InvocationInterceptorChain$ValidatingInvocation.proceed(InvocationInterceptorChain.java:131)at org.junit.jupiter.engine.extension.TimeoutExtension.intercept(TimeoutExtension.java:149)at org.junit.jupiter.engine.extension.TimeoutExtension.interceptTestableMethod(TimeoutExtension.java:140)at org.junit.jupiter.engine.extension.TimeoutExtension.interceptTestMethod(TimeoutExtension.java:84)at 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ExecutableInvoker$ReflectiveInterceptorCall.lambda$ofVoidMethod$0(ExecutableInvoker.java:115)at 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ExecutableInvoker.lambda$invoke$0(ExecutableInvoker.java:105)at 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InvocationInterceptorChain$InterceptedInvocation.proceed(InvocationInterceptorChain.java:106)at 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InvocationInterceptorChain.proceed(InvocationInterceptorChain.java:64)at 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InvocationInterceptorChain.chainAndInvoke(InvocationInterceptorChain.java:45)at 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InvocationInterceptorChain.invoke(InvocationInterceptorChain.java:37)at 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ExecutableInvoker.invoke(ExecutableInvoker.java:104)at org.junit.jupiter.engine.execution.ExecutableInvoker.invoke(ExecutableInvoker.java:98)at org.junit.jupiter.engine.descriptor.TestMethodTestDescriptor.lambda$invokeTestMethod$6(TestMethodTestDescriptor.java:210)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ThrowableCollector.execute(ThrowableCollector.java:73)at org.junit.jupiter.engine.descriptor.TestMethodTestDescriptor.invokeTestMethod(TestMethodTestDescriptor.java:206)at org.junit.jupiter.engine.descriptor.TestMethodTestDescriptor.execute(TestMethodTestDescriptor.java:131)at org.junit.jupiter.engine.descriptor.TestMethodTestDescriptor.execute(TestMethodTestDescriptor.java:65)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5(NodeTestTask.java:139)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ThrowableCollector.execute(ThrowableCollector.java:73)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7(NodeTestTask.java:129)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around(Node.java:137)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8(NodeTestTask.java:127)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ThrowableCollector.execute(ThrowableCollector.java:73)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executeRecursively(NodeTestTask.java:126)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execute(NodeTestTask.java:84)at java.base/java.util.ArrayList.forEach(ArrayList.java:1511)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SameThreadHierarchicalTestExecutorService.invokeAll(SameThreadHierarchicalTestExecutorService.java:38)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5(NodeTestTask.java:143)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ThrowableCollector.execute(ThrowableCollector.java:73)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7(NodeTestTask.java:129)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around(Node.java:137)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8(NodeTestTask.java:127)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ThrowableCollector.execute(ThrowableCollector.java:73)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executeRecursively(NodeTestTask.java:126)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execute(NodeTestTask.java:84)at java.base/java.util.ArrayList.forEach(ArrayList.java:1511)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SameThreadHierarchicalTestExecutorService.invokeAll(SameThreadHierarchicalTestExecutorService.java:38)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5(NodeTestTask.java:143)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ThrowableCollector.execute(ThrowableCollector.java:73)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7(NodeTestTask.java:129)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around(Node.java:137)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lambda$executeRecursively$8(NodeTestTask.java:127)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ThrowableCollector.execute(ThrowableCollector.java:73)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executeRecursively(NodeTestTask.java:126)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NodeTestTask.execute(NodeTestTask.java:84)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SameThreadHierarchicalTestExecutorService.submit(SameThreadHierarchicalTestExecutorService.java:32)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HierarchicalTestExecutor.execute(HierarchicalTestExecutor.java:57)at org.junit.platform.engine.support.hierarchical.HierarchicalTestEngine.execute(HierarchicalTestEngine.java:51)at org.junit.platform.launcher.core.EngineExecutionOrchestrator.execute(EngineExecutionOrchestrator.java:108)at org.junit.platform.launcher.core.EngineExecutionOrchestrator.execute(EngineExecutionOrchestrator.java:88)at org.junit.platform.launcher.core.EngineExecutionOrchestrator.lambda$execute$0(EngineExecutionOrchestrator.java:54)at org.junit.platform.launcher.core.EngineExecutionOrchestrator.withInterceptedStreams(EngineExecutionOrchestrator.java:67)at org.junit.platform.launcher.core.EngineExecutionOrchestrator.execute(EngineExecutionOrchestrator.java:52)at org.junit.platform.launcher.core.DefaultLauncher.execute(DefaultLauncher.java:96)at org.junit.platform.launcher.core.DefaultLauncher.execute(DefaultLauncher.java:75)at com.intellij.junit5.JUnit5IdeaTestRunner.startRunnerWithArgs(JUnit5IdeaTestRunner.java:57)at com.intellij.rt.junit.IdeaTestRunner$Repeater$1.execute(IdeaTestRunner.java:38)at com.intellij.rt.execution.junit.TestsRepeater.repeat(TestsRepeater.java:11)at com.intellij.rt.junit.IdeaTestRunner$Repeater.startRunnerWithArgs(IdeaTestRunner.java:35)at com.intellij.rt.junit.JUnitStarter.prepareStreamsAndStart(JUnitStarter.java:232)at com.intellij.rt.junit.JUnitStarter.main(JUnitStarter.java:55) 여기서 어디가 잘못된 건가요?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moveToList를 만들때 질문이 있습니다.
const moveToList = () => { navigate({ pathname: "../list", search: queryDefault }); };이걸 했을때 어떻게 http://localhost:3000/todo/read/13이주소에서 http://localhost:3000/todo/list로 바뀌는 건가요?..을 지워버리니까 http://localhost:3000/list로 바뀌어서 에러가 나더라고요 ../를 디렉토리처럼 한단계 전으로 돌아가는 걸로 이해하려고 해도 13의 한단계 전이나까 그럼 http://localhost:3000/todo/read/list 이게 되어야 하는것 같은데 ../가 어떤 뜻이길래 http://localhost:3000/todo/read/13로 제대로 나오는 건가요?
-
해결됨이득우의 언리얼 프로그래밍 Part4 - 게임플레이 어빌리티 시스템
[Part4] 6강 MaxHealth Category 오타여부 확인이 필요합니다.
깃허브 브랜치 6의 ABCharacterAttributeSet.h의 MaxHealth부분 카테고리가 Attack으로 되어있습니다.카테고리 Health가 맞나요?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수정사항 - 5:00 부분 내용 이해하기
5:00강의자님도 배수로 올리긴 했으나. 이해를 위해 올립니다. 약수가 아닌 배수 이니까. 1 ~ 19 까지 2의 배수 3의 배수는 2 4 6 8 12 14 16 18 , 3 6 9 12 15 19 까지 (즉 2로 나누어 떨어지고 3으로 나누어 떨어지는값) 해당 값에서 6으로 나누었을 때 0이 아닌 것들2 4 8 14 16 3 9 15 19 인데 Count++되어 9개 가 나온다.
-
해결됨[Unity] 함께 만들어가는 방치형 게임 개발
Item 깨짐 현상
10강 수강 중 Other > Item에 있는 아이템 삽입 시 화면처럼 마젠타 색으로 모든 아이템이 전부 깨져서 표시됩니다제가 가지고 있는 패키지에는 Item 항목이 없어 섹션3의 패키지 파일을 다운 받아 유니티에 드래그드롭으로 넣고 Import 된 Item을 꺼냈더니 저렇게 뜹니다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지 질문 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순환참조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https://drive.google.com/file/d/1EDUWv_GFWyZqOXpXsSuGvkU_ovDC8SWA/view?usp=drive_link순환 참조가 일어납니다. 어떤 구조로 왜 일어나는 지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PY 0201] 인공지능을 위한 파이썬 레벨1
화면에 계산식이 잘못된것 같아요
u_norm = sum([u_el**0.5 for u_el in u])**0.5 가 아니고u_norm = sum([u_el**2 for u_el in u])**0.5 이 되어야 될 거 같아요
-
미해결[C++과 언리얼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제목없음
empty
-
해결됨[리뉴얼] 맛집 지도앱 만들기 (React Native & NestJS)
[2-0] 핵심 컴포넌트 및 스타일 VDM 연동 문제 입니다.
이수업에서 텍스트 넣고 스타일 시트 넣고 했는데 Welcome to React Native 까지 되고는 변동이 되지 않습니다. rr 해도 안되고 인터넷에서 원인 찾고 5번 다시 설치 하고 다했는데도 같은 결과가 나옵니다 . 제가 뭘 놓치고 있는것인지 모르겠습니다.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부모에서 자식에게 props 전달할 때
Controller.propTypes = { count: PropTypes.number.isRequired, // count가 숫자형으로 필수 buttonClick: PropTypes.func.isRequired, // buttonClick이 함수형으로 필수 }; 전 위와같은 코드를 작성하지 않으면 props가 missing이라는 오류가 뜹니다. 혹시 이유를 알 수 있을까요?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문제 접근 방법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이번 문제를 제가 처음 접했을 때 완탐으로 먼저 생각했습니다. 제가 생각했을 때 격자 마다 5가지 경우의 수가 있다고 생각해서 대략 5^100이라고 생각했습니다. 아무리 색종이가 각 5개라는 조건이 있다해도 5^100 자체가 너무 커서 줄어들어도 시간초과가 날거라고 생각해서 다음 알고리즘으로 dp, 그리디 여러 방법을 도전했는데 실패했습니다.. 그런데 완탐, 백트래킹으로 가능했었다라니 어느 부분에서 그렇게 판단하신건지 궁금하여 커뮤니티를 보았는데 다른 여러 분이 이미 질문을 많이 하셨고 큰돌님께서 답변을 달아주셨습니다. 그런데 그 답변에서 이해가 안되는게 있습니다. --큰돌님 답변얼핏보면 100개의 격자점에서 상태값은 총 5개이기 때문에 5^100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그러나 문제 조건을 보시면. 1×1, 2×2, 3×3, 4×4, 5×5로 총 다섯 종류가 있으며, 각 종류의 색종이는 5개씩 가지고 있다.색종의 갯수의 제한이 있습니다.자 그러면.이렇게 생각할 수 있습니다.100개의 격자점에서 25개의 상태값을 순서와 상관없이 놓는 경우의 수죠.100C25라고 생각이 듭니다.근데 이것또한 큰 수입니다.242,519,269,720,337,121,015,504 이죠. 그러나 꼭 이래야만 할까요?5x5 짜리 색종이 4개면 100개의 격자점은 모두 채워지게 됩니다. 그리고 이 경우의 수는 한개밖에 없죠.자 그러면...100개의 격자점을 대충 4x4로 감싼다고 했을 때 거의 다 채워지기 때문에 4개정도가 들어가기 때문에100C4이면 -> 격자점이 다 채워지는 구나 -> 100 C4는 3,921,225(400만) 수준이고 -> 물론 그 외의 격자점을 다른 색종이로 채워야 하겠지만.. -> 400만이면 충분하지 않을까?그리고...사실 이것보다는 더 작을 수 있겠다. 라고 생각하고 들어간 것입니다.격자점은 0과 1로 이루어져있으며. (즉, 매번 100이 아니다.)5x5로 채울 수 있는 경우의 수들또한 있으니까요.그리고 100개의 격자점에 4x4가 아니라 사실은 4x4가 채워지면 채울 수 있는 영역 자체가 제한되기 때문에 더 적을 것이라고 생각했습니다.처음에는 저도 5^100이라고 생각을 했습니다.그러나 문제 조건을 보았을 때 10x10, 색종이의 갯수제한 5개를 보고 좀 더 작을 것이다. 라고 판단하고 어느정도 유추하고 -> 완탐 -> 줄일 수 있는 것은 줄여보자 -> 휴리스틱 -> 백트래킹 -> 이거 안되면 그리디로 해보자.라고 했을 때 백트래킹 단계에서 푼 것 같습니다. 이렇게 답변을 하셨는데요 여기서 의문점은 2가지 입니다.100개의 격자점에서 25개의 상태값을 순서와 상관없이 놓는 경우의 수죠. 이 말씀이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저도 조건이 색종이가 각 5개라 25개이고 100개의 격자점에서 25개를 골라서 100C25 그 후에 11111,22222,33333,44444,55555 를 나열해서 가능한지 아닌지 판단해야하기 때문에 100C5* 25!/(5!*5!*5!*5!*5!) 이런 경우의 수가 나온다고 생각했습니다. 25!/(5!*5!*5!*5!*5!) 이거는 저렇게 중복된 숫자가 있을 때 나열하는 경우의 수 입니다. 왜 100개의 격자점에서 25개의 상태값을 순서와 상관없이 놓는 경우의 수인지 이해가 잘 되지 않습니다 -> 경우의 수가 이해가 안되는 거지 결론적으로는 너무 크다라는 결론은 이해했습니다.100개의 격자점을 대충 4x4로 감싼다고 했을 때 거의 다 채워지기 때문에 4개정도가 들어가기 때문에 이 문장이 이해가 가지 않습니다. 4*4로 총 5개까지 들어갈 수 있는거 아닌가요..? 100C5가 아니라 100C4 인지 이해가 되지 않습니다. 100C5라고 생각해서 약 7천만 정도가 나오고 남은 격자도 다른 색종이로 채운다고 생각해서 아마 처음 문제 푼 상태에서 여기까지 생각하더라도 7천만*a(다른 색종이로 채우는 경우의 수) 너무 많구나.. 생각하고 다시 풀어도 백트래킹까진 생각할 자신이 없네요 ㅠㅠ 마지막으로 큰돌님은 어느 정도 경우의수가 나올때 백트래킹으로 시간을 줄여서 성공할 수 있겠구나 라고 생각하시나요..? 일단 도전하고 안되면 빠르게 다음 알고리즘으로 생각을 전환하시는건지 아니면 본인만의 기준이 있으신건지도 궁금합니다!!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5-P 질문입니다.
https://www.acmicpc.net/source/83888932비트마스킹으로 이 문제를 접근했습니다.각 톱니바퀴 회전 사이클을 처리할때 ,입력 톱니바퀴 idx기준 좌측과 우측으로 나눠회전 여부 및 방향을 rot배열에 저장하고 모든 탐색이 끝나면 rot배열을 참조해 회전을 하도록 만들었습니다.실행했을 때 원하는 값이 나오지 나오지 않는데 잘못된 로직이나 조건이 뭔지 찾기가 힘듭니다.답변 부탁드립니다, 선생님.
-
미해결팝스타 공식 뮤비 제작 & 유튜브 2천만 뷰 크리에이터의 애니메이트 X 이모티콘 클래스
경례이모티콘만들기 1편 강의에서 질문이요
안녕하세요! 잘 듣고 있는데 질문이 있습니다경례이모티콘 만들기 1편 강의에서20분 32초 쯤에 머리 심볼의 프레임을 5->4로 바꾸고6프레임으로 가서 7->6으로 바꾸는데요이 행위가 잘 이해가 안 가서요 ㅠㅠ왜 하필 머리 심볼만 바꾸나요? 나머지 팔, 몸통 이 심볼들도 바꿔야하는 거 아닐까 생각해서 들어가보니 얘네들은 1로 되어있네요 ㅠㅠ 이 행위 자체가 이해를 잘 못한것 같습니다!!ㅠㅠ 글로 한번만 설명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그리고 전체 프레임이랑 심볼이랑 맞추는 행위라고 하셨는데왜 달라진건지도 궁금해요 !! 중간에 프레임 삭제하고 뒤에 하나 추가해서 달라진 걸까요? 상세한 설명 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ㅠㅠ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커뮤니티의 '자주 묻는 질문'과 '질문 리스트' 그리고 '강의 소식'에서 검색해 보세요.- 질문의 내용은 최대한 자세하게 적어주세요. 간단하게 남긴 질문은 정확한 답변을 얻기 힘듭니다. - 문제가 발생한 작업 화면 전체가 보이는 스크린 샷 혹은 영상을 남기면 가장 좋습니다.-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작성한 질문은 답변을 들은 후 절대 삭제하지 마세요, 다른 수강생분에게도 도움이 됩니다.-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
미해결스프링 시큐리티 완전 정복 [6.x 개정판]
요청을 처리하기까지 과정 질문
안녕하세요. 요청을 필터가 처리하기까지의 과정이 맞는지 확인하고자, 질문드립니다.먼저 FilterChainProxy가 SecurityFilterChain을 선택하는방법이 여러개의 SecurityFilterChain 중에 가지고 있는 RequestMatcher url 패턴에 맞는 SecurityFilterChain을 확인 후 선택함.또 다시 SecurityFilterChain 이 가진 여러 필터들 중에서 요청 url에 해당하는 패턴을 처리할 수 있는 필터를 선택해서 해당 필터에서 처리하도록 함.위 과정이 대략적으로 맞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