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공공데이터로 파이썬 데이터 분석 시작하기
group by agg function failed 에러
1.5 groupby 까지 안막히고 잘 오다가여기서 막힙니다.df_last.groupby(["지역명"]).mean()작성했을때 TypeError: agg function failed [how->mean,dtype->object]에러가 뜹니다. 그런데 이어서 ["평당분양가격"]을 타이핑 하면 정상 결과가 나옵니다. 무슨 문제일까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Robustscaler 질문
수치형은 robustscaler를 사용하려고 하는데여from sklearn.preprocessing import RobustScaler scaler = RobustScaler() cols = x_train.select_dtypes(exclude='object') for col in cols: x_train[col] = scaler.fit_transform(x_train[col]) x_test[col] = scaler.transform(x_test[col])이렇게 하면 ,ValueError: Expected 2D array, got 1D array instead:array=[ 888. 1308. 151. ... 173. 1244. 893.].Reshape your data either using array.reshape(-1, 1) if your data has a single feature or array.reshape(1, -1) if it contains a single sample.이런 오류가 납니다... 어떻게 수정해야 하나여
-
미해결[리뉴얼] 처음하는 파이썬 데이터 분석 (쉽게! 전처리, pandas, 시각화 전과정 익히기) [데이터분석/과학 Part1]
XML 파일 파싱 시 read_xml()함수 사용
강의 중 xml파일을 파싱하는 내용이 두 강의에 걸쳐서 길게 있는데 판다스 라이브러리 1.30 이상부터 쓸 수 있다는 pandas.read_xml 함수를 이용하면 안될까요? csv는 read_csv()를 자주 사용하는 것 같은데 xml 파일은 매번 복잡하게 데이터 프레임으로 바꿔야 하는건지 두렵네요..ㅎ 혹시 read_xml 함수를 일부로 사용하지 않으시는 거라면 그 이유도 궁금합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결측값 채우지관련해서
안녕하십니까? 결측값 채우기 중 최빈값 관련해서,,m = X_train['workclass'].mode()[0] 여기서 mode()과 mode()[0]의 차이는 무엇인지요? 즉 [0]의 쓰임이 무엇인지? 다른 중앙값, 평균 등은 이런게 없는데 왜 최빈값만 이런게 뒤에 붙는지요?
-
해결됨5분빨리 퇴근하자! 파이썬 데이터 분석, 시각화, 웹 대시보드 제작하기
button과 checkbox 조건문과 함수
버튼과 체크박스 모두 조건문을 사용할 때는 바로 아래에 텍스트가 출력되는데, 함수를 사용하면 대시보드 맨 위에 텍스트가 호출되는 것은 왜 그런건가요?(맨 위에 텍스트가 호출되어 출력된 부분이 전부 다 한 칸 씩 밀리게 됨)
-
해결됨5분빨리 퇴근하자! 파이썬 데이터 분석, 시각화, 웹 대시보드 제작하기
annot 수치 표현
age_bin_list = np.arange(10, 80, 10) df['age_bin'] = pd.cut(df['age'], bins = age_bin_list) pivot_df = df.pivot_table( index = 'age_bin', columns = 'region', values = 'charges', aggfunc = 'median' # 각 구간에 해당하는 값을 중간값을 사용하겠다. ) pivot_df # 각각의 값들에 대해 크기를 가늠할 수 있게끔 시각화(주로 색상)하는 방법 # 2D 형식으로 준비된 데이터를 Seaborn heatmap으로 시각화 # annot 인자를 통해 각 셀의 값 표현 가능 fig, ax = plt.subplots() sns.heatmap(pivot_df, ax = ax, annot = True)코드 똑같이 따라했는데 왜 저는 표에 수치가 다 표현이 안되는 건가요?
-
해결됨5분빨리 퇴근하자! 파이썬 데이터 분석, 시각화, 웹 대시보드 제작하기
groupby 경고 질문
groupby를 사용하면 에러는 아니고 경고가 뜹니다. FutureWarning: The default of observed=False is deprecated and will be changed to True in a future version of pandas. Pass observed=False to retain current behavior or observed=True to adopt the future default and silence this warning.chatGPT:이 경고는 Pandas의 value_counts() 메서드를 사용할 때 발생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이 경고는 현재 버전의 Pandas에서는 observed 매개변수의 기본값이 False이지만, 향후 버전에서는 True로 변경될 것이라는 것을 알려주는 것입니다. 즉, 향후에는 observed=False를 명시적으로 지정하지 않으면 경고가 표시될 것입니다.이러한 경고를 피하려면 value_counts()를 호출할 때 observed=False를 명시적으로 전달하면 됩니다. 예를 들어:import pandas as pd # 예제 데이터프레임 생성 df = pd.DataFrame({'Category': ['A', 'B', 'A', 'C', 'B', 'A']}) # value_counts() 호출 시 observed 매개변수 명시 counts = df['Category'].value_counts(observed=False) print(counts)이렇게 하면 경고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하지만 향후 Pandas 버전에서는 이러한 변경이 기본 동작이 되므로 observed 매개변수를 사용하여 코드를 업데이트하는 것이 좋습니다.-> 근데 이게 무슨 말인지 모르겠습니다! 뭐... 대충 업데이트 할 건데, 오류가 생길 수 있으니 미리 대비를 해라~ 이런 거 같은데 정확히 무슨 뜻인지 모르겠습니다!
-
해결됨5분빨리 퇴근하자! 파이썬 데이터 분석, 시각화, 웹 대시보드 제작하기
print()
파이썬에서는 print() 구문이 굉장히 중요하다고 들었는데, 주피터랩에서는 print 없이 df만 써도 표가 나오는 이유는 왜인가요? print(df)를 했을 때는 표가 아니라 글로 나오네요.! 차이가 궁금해서 질문 남깁니다.
-
미해결공공데이터로 파이썬 데이터 분석 시작하기
주피터 익스텐션 다운로드 문제 질문입니다!
Jupyter command jupyter-contrib not found.지금 이 오류가 떠서 설치가 안되고 있는데요.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제가 봤을땐, pip install jupyter_contrib_nbextensions 이 부분은 실행이 되는데jupyter contrib nbextension 이 부분에서 오류가 생기는 것 같습니다. ㅠㅠ
-
해결됨파이썬(Python)으로 데이터 기반 주식 퀀트 투자하기 Part1
append삭제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스크린샷이 있으면 더더욱 좋습니다)-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안녕하세요 강사님!시간 날 때 마다 강사님 강의를 열심히 보면서 학습하고있는데현재 pandsas 2.0.3 으로 학습하는데 append라는 함수가 사라져서 질문을 드립니다!제가 구글링 했을 때는 concat으로 대체되었다는 말들이 많은데concat을 이용해서 합치려고 하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pd.concat([names_df, {'Name':'명수', 'Age':100}], ignore_index=True )names_df.concat([names_df, {'Name':'명수', 'Age':100}, ignore_index=True )위의 두가지 방법으로는 해결이 되지 않아서 질문글 남깁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wilcoxon 검정에 대한 질문입니다!
이전 단일 표본 검정에서 정규성 검증을 진행할 때 willcoxon 코드를 알려주실 때stats.wilcoxon(df[’무게‘]-120, alternative=’less’)와 같이 알려주셨는데 이번 대응표본 검정에서 정규성 검증을 진행할 때 willcoxon는 stats.wilcoxon(df[‘after’] ,df[‘before’], alternative = ‘greater’)와 같이 알려주셨습니다.또한 강의에서도 after와 before의 값을 빼서 넣은 값인 df['diff']를 그대로 사용해도 된다고 말씀하셨습니다.그래서 아래 사진과 같이 임의로 df[‘after’] - df[‘before’]를 넣어서 실행해봤는데 결과값이 똑같이 나왔습니다. 그럼 단일 표본 검정에서 알려주신대로 df[’무게‘]-120와 같이 df[‘after’] - df[‘before’]로 생각하고 넣어줘도 무방한 것인가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4-2 type 1 4 번 문제
형별로 합하기 위해 df = df.T 를 쓰셨는데 print(sum(df.sum(axis=1) > 3000)) 를 쓰면 안 될까요 ?해보니 답은 동일 했습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logit 이나 ols 사용할때 앞에 C( )를 붙이는 이유?
ANOVA를 배울때는 ols 사용할때 독립변수 앞에 C()를 붙이는것이 분산분석은 범주형 분석이기에 앞에 C를 붙인다고 생각했는데요~로지스틱 회귀분석은 독립변수가 수치형, 종속변수가 이산/명목형으로 알고있는데.. Gender 앞에 C를 붙이는 이유가 있을가요? 오히려 Gender은 수치로 바꿔줘야할것 같은데.. 혹시 C 의 의미가 수치형->범주형, 범주형->수치형으로 양쪽 모두 바꿔주는 역할인건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macro
다중분류에서 쓰는 average = 'macro'가 무슨 의미일까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예시문제 작업형2(신 버전)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질문과 관련된 영상 위치를 알려주면 더 빠르게 답변할 수 있어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문제 지문에서알려주는 제출 CSV 파일 형식은 0, 1, 1, 0 ... 이런 predict 결과값인데0.11385 와 같이 predict_proba 확률값으로 결과를 제출해도 괜찮은 이유가 궁금합니다!roc_auc가 predict_proba 로 해야한다면 predict_proba로 모형 성능테스트를 하고 제출은 predict로 해야하는 것이 아닌가... 라는 의문이 들어서 문의드립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pd.get_dummies(train[cols])와 (train, columns=cols) 차이가 궁금합니다.
원핫 인코딩 코드에서 괄호 안에 [cols]를 쓸 때와 columns=cols를 쓸 때의 차이가 궁금합니다.3-4 Feature engineering에서와 3-6 Regression에서 작성법이 달라서요. 3-6 Regression에서는 train[cols]로 썼더니 에러가 나네요ㅠ# 3-4 Feature engineering c_train[col] = le.fit_transform(c_train[col]) c_test[col] = le.transform(c_test[col]) # 3-6 Regression train = pd.get_dummies(train, columns=cols) test = pd.get_dummies(test, columns=cols)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인코딩과 컬럼선택기준
인코딩을 할때 선생님이 어쩔때는 원핫인코딩을 하시고 어쩔때는 레이블인코딩을 하시던데 그 인코딩을 정하시는 기준을 잘 모르겠습니다! 인코딩을 정하실때 그 경우에 대해서 자세히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인코딩을 할때 컬럼도 몇개 정하셔서 하시던데 그 컬럼고르는 기준도 잘 모르겠습니다 그 기준에 대해서도 선택하는 방법을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ㅠㅠ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작업형2에서 언제는 분류모델을 써야하고 언제는 회귀모델을 써야할까요?!
보통 작업형2에서는 예측값을 물어보는 문제가 나오던데요.문제가 나올때 어느문제는 분류모델을, 어느문제는 회귀모델을 사용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지금까지 강의+기출문제를 보면서는 분류/회귀를 결정하는 부분이 평가 모델을 통해 진행된다는 느낌을 받았는데요. 1) roc_auc_score, accuracy_score 이 평가모델로 쓰일 경우,분류형 모델 사용(Classifier) 2) rmse, mean_squared_error 이 평가모델로 쓰일 경우,회귀모델 사용(Regressor) 이렇게 생각하면서 작업형2를 접근하는게 맞는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작업형2 모의문제3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질문과 관련된 영상 위치를 알려주면 더 빠르게 답변할 수 있어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안녕하세요 선생님, 질문은 3가지 입니다. 1) 저는 문제를 딱 접했을때 분류모형을 써야할지, 예측모형을 써야할지 판가름을 정확하게 못하는 것 같습니다. 쉽게 판별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2) 이 문제의 경우 target인 output 컬럼을 train.head() 로 보면 0과 1로 구분되어있어서, 0 또는 1로 분류하는(분류모형) 것인가 생각했다가도 문제 맨위에서 참조해주는 예시에서 id,output 41,0.633 28,0.123 222,0.355를 보면 output이 확률값으로 되어있어서 회귀모형을 사용해야하는 것인가? 라고 헷갈리곤합니다. 어디서 개념을 잡지 못하는 것일까요 3) 최종 예측을 할때pd.DataFrame({'id':test_id, 'output':pred_proba[:,1]}).to_csv("00000.csv", index=False)output에 pred_proba 를 쓰셨는데 참조예시에서 확률값을 OUTPUT에 담았기 때문에 pred_proba를 사용한 것일까요?그렇다면 output에 pred 를 담는 경우는 어떤 경우인지요?
-
해결됨[퇴근후딴짓] 빅데이터 분석기사 실기 (작업형1,2,3)
작업형1 모의문제3 7번문제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질문과 관련된 영상 위치를 알려주면 더 빠르게 답변할 수 있어요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df = df.T df.head() mean_2001 = df[2001].mean() mean_2003 = df[2003].mean() a = sum(df[2001] > mean_2001) b = sum(df[2003] < mean_2003) print(a+b)이렇게 작성하면 결과가 다르게 나오는데,, 어디서 잘못된 것일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