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Next + React Query로 SNS 서비스 만들기
패러랠 라우팅 client-side 에러가 뜹니다.
병렬 라우팅에 문제가 있는 거 같아 문의 드립니다.강의 그대로 패러렐 라우트, 인터셉터 라우트까지 모두 따라했었는데,"Application error: a client-side exception has occurred (see the browser console for more information)."브라우저에 이런 에러가 뜨면서, 콘솔창에는 아래와 같이 에러가 뜨더라구요.app-index.js:33 Warning: Cannot update a component (`HotReload`) while rendering a different component (`Router`). To locate the bad setState() call inside Router, follow the stack trace as described in https://reactjs.org/link/setstate-in-render at Router (webpack-internal:///(app-pages-browser)/./node_modules/next/dist/client/components/app-router.js:207:11) at ErrorBoundaryHandler (webpack-internal:///(app-pages-browser)/./node_modules/next/dist/client/components/error-boundary.js:113:9) at ErrorBoundary (webpack-internal:///(app-pages-browser)/./node_modules/next/dist/client/components/error-boundary.js:160:11) at AppRouter (webpack-internal:///(app-pages-browser)/./node_modules/next/dist/client/components/app-router.js:585:13) at ServerRoot (webpack-internal:///(app-pages-browser)/./node_modules/next/dist/client/app-index.js:112:27) at Root (webpack-internal:///(app-pages-browser)/./node_modules/next/dist/client/app-index.js:117:11)window.console.error @ app-index.js:33Show 1 more frameShow lessUnderstand this errorreact-dom.development.js:9126 Uncaught TypeError: initialTree is not iterable at applyPatch (apply-router-state-patch-to-tree.js:17:53) at applyRouterStatePatchToTree (apply-router-state-patch-to-tree.js:74:30) at applyRouterStatePatchToTree (apply-router-state-patch-to-tree.js:76:30) at eval (navigate-reducer.js:142:88)Understand this errorapp-index.js:33 The above error occurred in the <Router> component: at Router (webpack-internal:///(app-pages-browser)/./node_modules/next/dist/client/components/app-router.js:207:11) at ErrorBoundaryHandler (webpack-internal:///(app-pages-browser)/./node_modules/next/dist/client/components/error-boundary.js:113:9) at ErrorBoundary (webpack-internal:///(app-pages-browser)/./node_modules/next/dist/client/components/error-boundary.js:160:11) at AppRouter (webpack-internal:///(app-pages-browser)/./node_modules/next/dist/client/components/app-router.js:585:13) at ServerRoot (webpack-internal:///(app-pages-browser)/./node_modules/next/dist/client/app-index.js:112:27) at Root (webpack-internal:///(app-pages-browser)/./node_modules/next/dist/client/app-index.js:117:11)React will try to recreate this component tree from scratch using the error boundary you provided, ErrorBoundaryHandler. 그래서 어디서 난 에러인지 추리려고 인터셉터 라우트 부분은 아예 빼버리고,패러랠 라우트 부분으로 확인해보는데, 패러랠 라우트 부분부터 아예 에러가 나서 이것이 문제인 거 같더라구요. { "name": "z-com", "version": "0.1.0", "private": true, "scripts": { "dev": "next dev", "build": "next build", "start": "next start", "lint": "next lint" }, "dependencies": { "classnames": "^2.5.1", "dayjs": "^1.11.13", "next": "14.2.11", "react": "^18", "react-dom": "^18" }, "devDependencies": { "@types/node": "^20", "@types/react": "^18", "@types/react-dom": "^18", "autoprefixer": "^10.4.20", "eslint": "^8", "eslint-config-next": "14.2.11", "postcss": "^8.4.47", "tailwindcss": "^3.4.12", "typescript": "^5" } } package.json과 디렉토리 구조는 이런 상태이구요.@modal/compose/tweet/page.tsx@modal/compose/tweet/modal.module.css@modal/default.tsx이 세 파일은 깃헙 ch2-2 에 나온대로 그대로 적었습니다. import {ReactNode} from "react"; import style from '@/app/(afterLogin)/layout.module.css'; import Link from "next/link"; import Image from "next/image"; import ZLogo from '../../../public/zlogo.png'; import NavMenu from "@/app/(afterLogin)/_component/NavMenu"; import LogoutButton from "@/app/(afterLogin)/_component/LogoutButton"; import TrendSection from "@/app/(afterLogin)/_component/TrendSection"; import FollowRecommend from "@/app/(afterLogin)/_component/FollowRecommend"; // import RightSearchZone from "@/app/(afterLogin)/_component/RightSearchZone"; type Props = { children: ReactNode, modal: ReactNode } export default function AfterLoginLayout({ children, modal }: Props) { return ( <div className={style.container}> <header className={style.leftSectionWrapper}> <section className={style.leftSection}> <div className={style.leftSectionFixed}> <Link className={style.logo} href="/home"> <div className={style.logoPill}> <Image src={ZLogo} alt="z.com로고" width={40} height={40} /> </div> </Link> <nav> <ul> <NavMenu /> </ul> <Link href="/compose/tweet" className={style.postButton}> <span>게시하기dd</span> {/* <svg viewBox="0 0 24 24" aria-hidden="true" className="r-jwli3a r-4qtqp9 r-yyyyoo r-1472mwg r-dnmrzs r-bnwqim r-1plcrui r-lrvibr r-lrsllp"><g><path d="M23 3c-6.62-.1-10.38 2.421-13.05 6.03C7.29 12.61 6 17.331 6 22h2c0-1.007.07-2.012.19-3H12c4.1 0 7.48-3.082 7.94-7.054C22.79 10.147 23.17 6.359 23 3zm-7 8h-1.5v2H16c.63-.016 1.2-.08 1.72-.188C16.95 15.24 14.68 17 12 17H8.55c.57-2.512 1.57-4.851 3-6.78 2.16-2.912 5.29-4.911 9.45-5.187C20.95 8.079 19.9 11 16 11zM4 9V6H1V4h3V1h2v3h3v2H6v3H4z"></path></g></svg> */} </Link> </nav> <LogoutButton /> </div> </section> </header> <div className={style.rightSectionWrapper}> <div className={style.rightSectionInner}> <main className={style.main}>{children}</main> <section className={style.rightSection}> {/* <RightSearchZone /> */} <TrendSection /> <div className={style.followRecommend}> <h3>팔로우 추천</h3> <FollowRecommend /> <FollowRecommend /> <FollowRecommend /> </div> </section> </div> </div> {modal} </div> ) }layout.tsx도 위에 코드와 같이 거의 그대로 적었구요. 참고로 layout.tsx에서 console.log(modal) 했을 때, undefined 뜹니다.근데 또 explore로 이동한 뒤 게시하기 버튼을 누르면 modal이 뜹니다.이것 저것 다해보다가 도저히 안풀려서 문의드립니다.제가 어디서 놓친 걸까요...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update가 반환하는 Member의 엔티티 여부
JPA 기본편 강의 내용을 까먹어서 질문드립니다.MemberService의 update()에서 반환 타입을 void가 아닌 Member로 한 경우, controller에서 해당 Member를 반환받았을 때 이 Member는 영속성 컨텍스트가 관리하는 엔티티가 아닌건가요? 아니면 service와는 다른 영속성 컨텍스트에서 관리되는 엔티티인건가요?
-
미해결Readable Code: 읽기 좋은 코드를 작성하는 사고법
정적 팩토리 메소드 사용 이유
강의를 듣다가 갑자기 드는 질문이 있습니다.생성자를 private로 감추고 정적 팩토리 메소드를 사용해서 of나 from 이런식으로 만드시는데 왜 이렇게 하시는지 궁금합니다.정적 팩토리 메서드는 메서드 이름을 통해 생성의 의도를 명확히 전달할 수 있다고 하는데, 이것말고 또 사용 이유가 있으실까요 ??
-
해결됨독하게 시작하는 C 프로그래밍
RAM memory
1byte의 공간을 관리하기 위해서 32bit번호를 부여했다고 하셨는데 이점이 이해가 잘 안됩니다.뒤에 예시로 든 엑셀이 1byte의 공간을 엑셀에서의 cell한칸으로 보고, 엑셀에서의 cell한 칸을 42억개로 나눠서 관리하고 있다는 뜻인가요?
-
해결됨디지털포렌식 입문자를 위한 디지털포렌식 전문가 2급 실기 시험대비 강의(Encase/Autopsy)
안녕하세요 시나리오3 8번 문제 질문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선생님 이번에 다시 시나리오를 풀어보면서 한 가지 궁금한 점이 있어서 질문을 드립니다.8번문제의 해당 볼륨의 총 섹터 수를 구하는 것에 대한 것입니다.제가 알고 있기로는 볼륨과 파티션의 차이는 파일시스템이 있는 파티션을 볼륨이라고 부르는 것으로 인지를 하고 있습니다.그래서 저는 OS[NTFS]를 볼륨으로 인지하고 "총 클러스터 수 * (클러스터 당 용량 / 섹터 당 용량)"으로 구하려고 해서 (786,431 + 456,456) * (4096 / 512)를 해서 구하려고 했지만 답은 Partition 1을 클릭했을 때 나온 섹터 카운트인 6,291,456이었어서 이게 왜 다른걸까 생각을 해보았을 때볼륨 자체가 파일시스템이 있는 "파티션"이기 때문에 Partition 1의 총 섹터 수를 쓰신 것인지 궁금합니다. 위 내용이 만약 맞다면 OS[NTFS]에 있는 내용은 무엇을 의미하고 왜 총 섹터 수가 다르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고 지식 전수를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
미해결직장인에게 꼭 필요한 파이썬-아래아한글 자동화 레시피
스타일 및 개요 다루기
안녕하세요맨날 보고서 취합하고 계획서 작성하는 일을하고있습니다. 처음에 양식을 공공기관에서 받으면스타일도 수십게 개요도업는데 장수는 수백장 그래서 힘들어 하고 있습니다. 예산같은거는 엑셀로 양식만들어서 복사하는데. 맨날 그거 서식정리하는데 한나잘이라 배우러왔습니다. 엑셀 한글 옮기는거는 수업들으면 될거같은데 스타일 및 개요지정 같은것도 가능할까요? 질문사항공공기관에서 뿌린 보고서 양식에서 1. 가. 이런거를 검색해서 거기의 서식을 스타일로 만들기 그리고 그 스타일을 개요지정후 키워드 검색 문장 스타일적용 한글문서에서 폰트 전부 유지하고 스타일 전부 지우기 엑셀참조 한글에 데이터집어넣기 그냥복사하면 공백도 같이들어가고 폰트 깨지고 난리라서요 ㅜ. 연결해서 붙이기 하면 양식을 마음대로 안되더라고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검증 오류 시 api 전송
MemberApiController의 saveMemberV2()에서 @Valid에 의해 검증 오류가 발생한 경우에도 오류에 대한 api를 내려줘야 하잖아요. 이때에도 오류가 없는 경우와 마찬가지로 CreateMemberResponse를 반환해야 하는 건가요?검증 오류가 발생했을 때 api를 어떻게 전달해야하는지를 잘 모르겠습니다.
-
해결됨PZM기반 실무중심 백엔드 부트캠프(프리트레이닝)
rest api json 객체 한글 깨짐 현상
안녕하세요~ 선생님 강의 정말 재미있게 듣고 있습니다. 49강 강의를 듣는 중에 restful api json 객체 한글 깨짐 현상이 있습니다. 혹시 chrome 문제였나 싶어 postman 으로도 띄워봤지만 여전합니다.ㅠㅠㅠ 구글 찾아가며 해결해보려고 했지만 잘 해결되지 않습니다. // http://localhost:8081/myweb/rest @RequestMapping("/rest" ) public List<String> rest(HttpServletResponse response){ response.setCharacterEncoding("UTF-8"); List<String> list=new ArrayList<>(); list.add("스프링 프레임워크"); list.add("잘 하면"); list.add("된다"); System.out.println("Returning list: " + list); return list; // rest.jsp <-- 뷰를 만들면 된다.(X) : JSON -> [{ key:value, , ,}.{ },{ }] }System.out.println("Returning list: " + list);이 부분 콘솔에 찍힌 값도 Returning list: [�뒪�봽留� �봽�젅�엫�썙�겕, �옒 �븯硫�, �맂�떎]이렇게 나옵니다. 수정:// http://localhost:8081/myweb/rest @RequestMapping("/rest" ) public List<String> rest(){ List<String> list=new ArrayList<>(); list.add("스프링 프레임워크"); list.add("잘 하면"); list.add("된다"); System.out.println("Returning list: " + list); System.out.println("안녕"); return list; // rest.jsp <-- 뷰를 만들면 된다.(X) : JSON -> [{ key:value, , ,}.{ },{ }] }System.out.println("안녕");이 부분도 깨져서 나와용. ㅠㅠㅠㅠㅠ감사합니다~package com.example.controller;import com.example.entity.Book;import com.example.repository.BookMapper;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ntroller;import org.springframework.ui.Model;import 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import java.util.ArrayList;import java.util.List;@RestControllerpublic class SpringRestController { // http://localhost:8081/myweb/rest@RequestMapping("/rest")public List<String> rest(){List<String> list=new ArrayList<>();list.add("스프링 프레임워크");list.add("잘 하면");list.add("된다");return list; // rest.jsp <-- 뷰를 만들면 된다.(X) : JSON -> [{ key:value, , ,}.{ },{ }]} }
-
해결됨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api 개발 시 회원가입 폼 요청
타임리프를 사용했을 때는 회원가입 시에 @GetMapping을 사용하고 뷰 템플릿을 반환하도록 했는데요. api로 개발 시에는 회원가입 폼을 요청하는 url을 따로 만들지 않아도 되는 건가요? 이 경우에는 어떻게 처리되나요..?
-
미해결
갤럭시 탭에선 카메라 전면 후면 전환 버튼이 작동 안하나요?
react native 로 앱을 만들어보고 있습니다. 핸드폰에선 전면 후면 카메라 전환이 편하게 됩니다. 갤럭시 탭의 경우expo-camera (expo sdk 50 이용)expo-barcode-scanner (expo sdk 51 이용)두 라이브러리 샘플 코드로 갤럭시 탭 테스트 결과 정상작동하지 않습니다. 혹시 갤럭시 탭에서는 전면 후면 카메라 전환 기능이 안되는거일까요?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4-a 질문있습니다.
http://boj.kr/813b11c5e8f74277911b24d30bf3274d저는 이렇게 풀었는데 이런식으로 struct선언 없이 2차원 배열을 사용해도 상관없나요?? 그리고 사전 순으로 빠른 순이라는 것이1 3 과 1 2 3 이 중에는 어떤 것이 더 빠른건가요?길이에 초점을 맞춰야되는건가요? 아니면 앞자리부터 비교인건가요?그리고 이 조건이 벡터 비교 조건과 동일한가요..? 사전 순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if(ret > nc || (ret == nc && vv < rett)){이러한 조건을 넣었었는데 어쩌다가 얻어맞은 느낌이라 정확히 알고싶습니다. 정확히 벡터에서는 어떻게 비교를 하는지 궁금하고 사전 순으로 빠르다는것이 어떤것인지 궁금합니다..!
-
해결됨딥러닝 이론 + PyTorch 실무 완전 정복
Mini-batch Gradient Descent computation time 질문
안녕하세요 선생님시간과 체력이 더 많았으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강의를 너무 재밌게 보고 있습니다Mini batch Gradient Descent 이론 편에서 Mini batch Size에 비례하지 않는다는 설명을 보았는데요.물론 병렬처리를 하기 때문에 정비례하지 않겠지만 GPU에 올릴 수 있는 최대 데이터양이 100개라고 가정한다면 미니배치를 200, 300, .. 이런 식으로 키운다면 미니 배치크기에 따라 비례하는 것은 맞지 않나요?혹시 제가 잘못 생각하고 있다면 말씀해주세요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PlatformTransactionManager가 주입되는 이유
제가 알기로는 스프링에서 의존성 주입을 위해서는 @Component등의 어노테이션이 달려 있어 빈으로 등록되어야 컴포넌트 스캔에 의해서 자동으로 주입된다고 알고있는데요PlatformTransactionManager는 클래스를 확인해보아도 그러한 어노테이션이 없는데도 자동 주입되는 이유가 뭔가요? gpt에 물어보니 스프링이 제공하는 트랜잭션 관리 기능의 핵심 인터페이스이므로 빈으로 등록하지 않아도 주입된다고 하는데 맞는말인가요?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커넥션을 가져오는 원리
DataSourceUtils.getConnection()가 트랜잭션 동기화 매니저가 관리하는 커넥션이 있으면 해당 커넥션을 가져오는것은 알겠는데요, 어떻게 알고 가져오나요? 예를들어 13분에 나오는 public class MemberServiceV3_1 { private final PlatformTransactionManager transactionManager;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V3 memberRepository; public void accountTransfer(String fromId, String toId, int money) throws SQLException { //트랜잭션 시작 TransactionStatus status = transactionManager.getTransaction(new DefaultTransactionDefinition()); try { //비즈니스 로직 bizLogic(fromId, toId, money); transactionManager.commit(status); //성공시 커밋 } catch (Exception e) { transactionManager.rollback(status); //실패시 롤백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e); } } private void bizLogic(String fromId, String toId, int money) throws SQLException { Member from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fromId); Member toMember = memberRepository.findById(toId); memberRepository.update(fromId, fromMember.getMoney() - money); validation(toMember); memberRepository.update(toId, toMember.getMoney() + money); } private void validation(Member toMember) { if (toMember.getMemberId().equals("ex")) { throw new IllegalStateException("이체중 예외 발생"); } } }이 코드에서 bizLogic 부분에는 트랜잭션 매니저와 같은 파라미터를 전달해주지 않는데, 아무리 DataSourceUtils.getConnection()를 쓴다 한들 어떤 트랜잭션 매니저가 시작한 커넥션인지 어떻게 아는거죠?
-
미해결[C#과 유니티로 만드는 MMORPG 게임 개발 시리즈] Part4: 게임 서버
TLS 관련하여 질문 드립니다.
TLS를 사용하면 공용 공간에 있는 데이터를 최대한 많이 자신의 쓰레드로 가져와서 각각 처리하고 다시 돌려주는걸로 이해를 했는데 그럼 나중에 각각의 쓰레드에서 처리하고 난 결과가 서로 상충되는 경우가 나타날수도 있지 않나요?아니면 한명씩 싱글 쓰레드로 처리하는데 가져오는 데이터 양이 많아져서 처리속도가 빨라지는것이라고 이해해야 할까요? 1Rookiss2021.03.15데이터를 갖고 간다는게 의존성이 서로 묶여 있는 데이터를각자의 TLS로 갖고 가라는 것이 아니고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Buffer라거나) 데이터를 갖고 가는 것이라 상관없습니다.그리고 애당초 TLS에 자신만 사용할 객체를 할당할 수도 있구요.위 글에 대하여 이렇게 답변을 주셨습니다.이에 대하여 궁금한 점이 독립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데이터를 갖고 가서 처리하는 것이라면 TLS를 사용하지 않고도 처리하면 되는 것이 아닌가요?위 과정에서 처리한 정보들이 계속해서 저장되어야 하기 때문에 TLS가 의미가 있는 것인지.. lock을 걸어 처리하고 있는 복잡한 일(의존성 있는 데이터?)을 가져와서 각자 처리한다는 내용이 잘 이해가 안되네요 ㅠㅠ
-
미해결실무에 바로 적용하는 스토리북과 UI 테스트
vite 초기설정
안녕하세요 개발자님.vite초기설정할때 "Select a variant" 설정에서typescript+ SWC대신 typescript를 하는 이유가 뭔가요?최근에 vite를 사용하면서 검색을 한 결과 보통 react에서 사용하는 babel보다 c로 만들어진 SWC가 더 빨라서 좋다고 들어서 이전에는 typescript + SWC를 선택하여 프로젝트를 하였는데 그냥 typescript를 선택한 이유가 있나요?현업에서는 주로 어떤걸 선택하나요? 추가로, 현업에서는 보통 번들러를 vite를 사용하나요?현재 컴퓨터학부에 진학중인 3학년이라 궁금한 점이 많고 현업에선 어떻게 (번들러 등)쓰이는지 궁금하네요!아는 현업자 선배분께선 보통 vite는 아직 안정하지가 않아서 다른 번들링 방법을 사용하다고 들었는데 개발자님의 생각이 궁금합니다. 말이 길어져서 죄송합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
해결됨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3-H 코드 확인 부탁드립니다.
- 학습 관련 질문을 남겨주세요. 상세히 작성하면 더 좋아요! - 먼저 유사한 질문이 있었는지 검색해보세요. -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잠깐!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안녕하세요~ http://boj.kr/200c9e0535f6412a9b92fda5cff20884예제는 통과하는데 제출하면 틀렸다고 합니다.확인부탁드립니다 . 그리고 13931문제 자체가 하나의 입력에 대해서 출력이 두개인 문제인데 잘못된거 아닌가요...? 또 강의 자료에서 # define prev aaa 랑 #define next aaaa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
해결됨시작하는 PM/PO들에게 알려주고 싶은, 프로덕트의 모든 것
[섹션 1_3강] Growth PM 유형의 사업 성과
섹션 1의 3강(프로덕트 매니저가 사업적 성과를 낸다는 것이란?)을 듣다가 궁금한 게 있어 질문드립니다.Growth PM 유형도 사업적 성과를 내는 영역이신규 고객 획득고객 리텐션 개선수익화 개선으로 보이는데 맞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5:14 rollbackOnly에 대해서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강의 5:14분 내용에 대한 질문입니다. ‘rollbackOnly를 참고하지 않는다’는 말은,가장 바깥쪽에 있는 트랜잭션 AOP 프록시 객체(MemberService의 트랜잭션 AOP 프록시 객체)가 런타임 에러를 만나면어차피 트랜잭션 매니저에게 롤백 요청을 하기 때문에 rollbackOnly를 따로 참고하지 않아도 된다는 뜻인가요? 그렇다면, 만약 런타임 예외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 rollbackOnly는 내부 트랜잭션 중 하나에서 임의로 롤백했을 때바깥쪽에서 이를 감지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코드 볼 수 있나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혹시 강사님이 영상에서 작성하시는 코드를 모아놓은 곳이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