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싱글빈이 2개 입력되었다고 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Description:Parameter 0 of constructor in hello.core.member.MemberServiceImpl required a single bean, but 2 were found: - memoryMemberRepository: defined in file [/Users/root1/Documents/java/core/out/production/classes/hello/core/member/MemoryMemberRepository.class] - memberRepository: defined by method 'memberRepository' in class path resource [hello/core/AppConfig.class] @Configuration @ComponentScan( // basePackages = "hello.core", excludeFilters = @ComponentScan.Filter(type = FilterType.ANNOTATION, classes = Configuration.class) ) public class AutoAppConfig { } @Component public class MemberServiceImpl implements MemberService{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Autowired public Memb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 @Component public class MemoryMemberRepository implements MemberRepository {
-
해결됨[리뉴얼] 맛집 지도앱 만들기 (React Native & NestJS)
이미지업로드 동작없음
안녕하세요 강사님제가 이미지 업로드 강의를 따라 구현하고 있는데요사진 추가 버튼을 클릭해도 아무런 액션이 일어나지 않는데혹시 그게 제 pc 가 노트북이 아니라 pc 라서 그런걸까요? 어디까지 접근하는지 보려고log 를 남겼는데 console.log('useImagePicker');로그가 찍히는데console.log('handleChange');해당 부분은 로그가 찍히지 않습니다.AddPostScreen.tsx 에서<ImageInput onChange={iamgePicker.handleChange} />이렇게 onChange 로 호출하는데 혹시 잘못된 부분이 있거나더 살펴봐야될 곳이 있을까요?function useImagePicker({initialImages = []}: ImagePickerProps) { console.log('useImagePicker'); const [imageUris, setImageUris] = useState(initialImages); const uploadImages = useMutateImages(); const addImageUris = (uris: string[]) => { setImageUris(prev => [...prev, ...uris.map(uri => ({uri}))]); }; const handleChange = () => { console.log('handleChange'); ImagePicker.openPicker({ mediaType: 'photo', multiple: true, includeBase64: true, maxFiles: 5, cropperChooseText: '완료', cropperCancelText: '취소', }) .then(images => { const formData = getFormDataImages(images); uploadImages.mutate(formData, { onSuccess: data => addImageUris(data), }); }) .catch(error => { if (error.code !== 'E_PICKER_CANCELLED') { //에러처리 } }); }; return {imageUris, handleChange}; } export default useImagePicker;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싱글빈이 1개 등록했는데 2개 중복되었다고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public class MemberServiceImpl implements MemberService{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Autowired public Memb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Component public class MemoryMemberRepository implements MemberRepository {@Configuration public class AppConfig { @Bean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 System.out.println("call AppConfig.memberService"); return new Memb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 @Bean public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System.out.println("call AppConfig.memberRepository"); return new MemoryMemberRepository(); } @Bean public OrderService orderService(){ System.out.println("call AppConfig.orderService"); return new Ord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discountPolicy()); } @Bean public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return new FixDiscountPolicy(); return new RateDiscountPolicy(); } }
-
미해결모바일 웹 퍼블리싱 포트폴리오 with Figma
퍼블리싱 작업 마무리 하기 01 강의
안녕하세요. 강의 잘 보고 있습니다 !강의를 듣다 궁금한 점이 생겨 문의를 남깁니다. 퍼블리싱 작업 마무리 하기 01 강의 중 .btn-fold에 left : 0 을 주라고 하셨는데, 이전 강의 에서 .goods-order-final 에 position: relative; 로 부모로 선언하고, 그 자식으로 .btn-fold 로 position: absolute; 를 선언하여 굳이 left : 0 을 주지 않아도, 위치가 잘 잡히는데, .goods-order-final 에 position: relative; 를 제거하고.btn-fold 에 left: 0 을 주신 이유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MemberServiceImpl 에서 싱글톤이 2개 있다는데 코드보면 2개가아닌데 2개라고 뜨네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escription:Parameter 0 of constructor in hello.core.member.MemberServiceImpl required a single bean, but 2 were found:- memoryMemberRepository: defined in file [/Users/root1/Documents/java/core/out/production/classes/hello/core/member/MemoryMemberRepository.class]- memberRepository: defined by method 'memberRepository' in class path resource [hello/core/AppConfig.class] 웹설치하고 이런 오류가 뜨네요AppConfig@Configuration public class AppConfig { @Bean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 System.out.println("call AppConfig.memberService"); return new Memb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 @Bean public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System.out.println("call AppConfig.memberRepository"); return new MemoryMemberRepository(); } @Bean public OrderService orderService(){ System.out.println("call AppConfig.orderService"); return new Ord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discountPolicy()); } @Bean public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return new FixDiscountPolicy(); return new RateDiscountPolicy(); } } public class MemberServiceImpl implements MemberService{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Autowired public Memb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자바강의를 듣고 이 강의를 듣기 시작했는데 이해가 어렵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영한 강사님의 자바 입문강의, 기본강의까지 들은 후 스프링 입문 강의를 듣게 된 학생입니다. 다름이 아니라 처음 프로젝트를 생성할때부터 이해가 어려워서 질문드립니다. controller라던지, resolver같은 처음 듣는 용어들이 나오고, 용어가 생소하니 매우 간단한 동작환경그림조차 이해가 어렵습니다. 혹시 이 강의를 듣기전에 미리 알아야하는 기초적인 배경지식이 있을까요? 자바입문과, 자바기본강의는 제공해주신 파일만으로 공부해도 입문자인 저도 충분히 이해가 가능하게 기본부터 설명이 되어있었는데, 스프링 입문강의는 처음보는 개념이나 용어들이 부가적인 설명없이 전개되어 강의파일만으로는 이해가 불가능해서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MemberServiceImpl 에서 싱글톤이 2개 발견했다하는데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escription:Parameter 0 of constructor in hello.core.member.MemberServiceImpl required a single bean, but 2 were found: - memoryMemberRepository: defined in file [/Users/root1/Documents/java/core/out/production/classes/hello/core/member/MemoryMemberRepository.class] - memberRepository: defined by method 'memberRepository' in class path resource [hello/core/AppConfig.class] 웹설치하고 이런 오류가 뜨네요AppConfig@Configuration public class AppConfig { @Bean public MemberService memberService(){ System.out.println("call AppConfig.memberService"); return new Memb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 @Bean public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System.out.println("call AppConfig.memberRepository"); return new MemoryMemberRepository(); } @Bean public OrderService orderService(){ System.out.println("call AppConfig.orderService"); return new Ord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discountPolicy()); } @Bean public DiscountPolicy discountPolicy(){ // return new FixDiscountPolicy(); return new RateDiscountPolicy(); } } public class MemberServiceImpl implements MemberService{ private final 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Autowired public MemberServiceImpl(MemberRepository memberRepository) { this.memberRepository = memberRepository; }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
미해결스프링 핵심 원리 - 기본편
빈 생성 로그 출력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강의 자료에 있는 내용처럼 로그백 파일을 설정해주면 빈 생성 관련 로그가 잘 출력되는데 로그백 파일을 사용하지 않고 application.properties 파일에logging.level.root=DEBUG logging.level.org.springframework=DEBUG logging.level.org.springframework.beans=DEBUG이런 식으로 설정을 했는데 빈 생성 로그가 출력되지 않습니다.원인이 무엇인가요
-
미해결실전! 스프링 부트와 JPA 활용2 - API 개발과 성능 최적화
application.yml에 default_batch_fetch_size 오류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관련내용의 질문들이 있으나, 제 케이스는 다른 것 같아서 질문 올립니다.아래와 같이 작성하였으나, 적용이 되지 않습니다.jpa: hibernate: ddl-auto: create properties: hibernate: default_batch_fetch_size: 100위치를 옮겨봤는데요, properties.default_batch_fetch_size 위치에서 적용이 되는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실제 실행해보면 적용되지 않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기본형과 참조형 문제와 풀이 마지막 문제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18,20줄에 nextInt()를 두 번 사용하면 버퍼에 \n\n줄바꿈 문자 2개가 남게되고, 이후에 21줄에서 nextLine()을 통해 입력 버퍼를 비운다고 했는데, nextLine()은 \n 하나만 처리하는거 아닌가요? 그렇게 되면 버퍼에 \n이 하나 남게되고, 순회(int i = 1)할 때, 다음 16줄의 nextLine()에서 \n을 처리하여 빈 문자열(" ")을 반환하지 않나요? 그런데 이 코드를 돌려보면 nextInt()를 두 번 호출하고, nextLine()을 호출하면 \n\n 줄바꿈 문자 2개를 연속으로 버퍼에서 처리되었는데 그 이유가 무엇인가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ReentrantLock과 sleep()에 대해 질문 있습니다.
ReentrantLock 사용시 쓸 수 있는 락이 여러 개 있는지 아니면 하나만 쓸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Object의 wait() 사용 시 스레드가 스레드 대기 공간에서 기다리는 것처럼 sleep() 같은 경우도 따로 대기하는 공간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10주완성 C++ 코딩테스트 | 알고리즘 코딩테스트
3-k 3197 질문드립니다!
https://www.acmicpc.net/source/84329800항상 재미난 강의 감사드립니다 :) 강의듣기전에 문제를 먼저 풀어보았는데요!예제 3개는 잘 통과하였는데, 백준에 문제를 제출하니 시간초과라고 뜹니다..!DFS 탐색으로 이 문제를 푼게 잘못된건가요..? 잘 모르겠어서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최신] Vue 강의 끝판왕 : Nuxt 3 완벽 마스터
Course 데이터 가져오기에서 궁금한 점
만약에 백엔드가 스프링부트의 Restful API서버를 이용한다고 가정했을 때질문 1. axios 또는 fetch로 데이터를 가져오는 부분을 composables 폴더에 작성하나요? 질문 2.axios 또는 fetch를 이용할 때 파라미터 값과 리턴 받는 결과 값도 types 폴더 아래 모두 정의하나요?
-
해결됨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준영속 상태 질문
준영속상태에 대한 설명에서영속성 컨텍스트에서 이전에 존재했지만 지금은 detach된 엔티티가 아니라영속성 컨텍스트에서 이전에 존재 + 적어도 한번은 flush()되어 DB에 엔티티가 존재하는 경우 아닌가요?즉 이전에 컨텍스트에서 존재 + flush로 인한 DB에 반영되었던 엔티티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편)
worker 노드 token join 오류 내용이 변경되어 다시 올립니다.
k8s 1.27 버전 진행시 두 워커 노드에서 아래와 같은 오류가 납니다
-
미해결대세는 쿠버네티스 (초급~중급편)
워커 노드 token join 오류
k8s 1.27 버전 진행시 두 워커 노드에서 아래와 같은 오류가 납니다 ㅜ
-
미해결
AWS lightsail 서버가 자꾸 죽어요
AWSconsole 위 상황과 같이 AWS 서버가 자꾸 죽어요 macOs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렇게 된지가 3번째인데 그럴때마다 인스턴스를 삭제하고 다시 생성을 했어요.혹시 다른 해결방법이 없나요? ㅜㅜ 서버가 죽을때마다 계속 인스턴스를 재생성해야할까요? 서버 죽는 텀이 점점 짧아지고 있어서 어떻게 해야할지를 모르겠네요아시는 분 있으면 해결방법좀 알려주세요 !!
-
미해결it 취업을 위한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with C/C++) : 코딩테스트 대비
채점기에서 틀렸다고 나오는데 이유를 모르겠습니다.
해당 코드에서 if(cnt == 0) cout << -1;이부분을 뺏을때는 채점기에서 만점이 나오는데 아래 코드로 돌리면 40점이 나옵니다. #include <bits/stdc++.h> using namespace std; int n, m, a, cnt = 0, _max = 0; int main(){ cin >> n >> m; for(int i = 1; i<= n; i++){ cin >> a; if(a > m){ cnt++; max = max(max, cnt); } else{ cnt = 0; } } if(cnt == 0) cout << -1; else cout << _max; return 0;
-
미해결자바 ORM 표준 JPA 프로그래밍 - 기본편
질문 em.find(), JPQL 조회 및 이해 확인 질문
같은 조회이지만 JPQL은 무조건 플러시한다는 개념을 알게되었습니다 반면 find()는 그렇지 않은것으로 아는데 find()또한 1차 캐시에서 가져오지 못할 경우 플러시 후 가져와야하지 않나요? 이 두 방식은 결국 "플러시"라는 차이가 있어보이는데 이유에 대해 이해가 가지 않네요.영속성 컨텍스트에서 관리되는 엔티티 객체에 대해 수정을 할 경우 커밋시도시 먼저 엔티티의 최종적 모습을 확인해서 Update쿼리문을 만든다고 생각(쓰기지연저장소에 저장)했습니다. 반면 persist() 곧바로 쿼리문이 쓰기지연 저장소에 insert문으로 저장된다고 인지중입니다. 그렇다면 persist()후에 해당 엔티티를 수정을 가한다면 최종적으로 커밋시에 insert + update 두 쿼리문이 수행되는 걸까요?
-
해결됨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HttpEntity의 HttpMessageConverter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 예[질문 내용]안녕하세요 강사님! 빠르지 않은 나이지만 강사님 강의를 통해 처음 서버개발자의 꿈을 가지고 나날이 배움의 재미로 부여되는 동기와 행복을 느끼며 발전중입니다 진심으로 감사합니다!HttpMessageConverter 관련 하여 질문드립니다.HttpEntity를 반환하는 '응답'쪽 질문인데요,@PostMapping("/request-body-string-v3") public HttpEntity<String> requestBodyStringV3(HttpEntity<String> httpEntity) { String body = httpEntity.getBody(); log.info("messageBody={}", body); return new HttpEntity<>("ok"); } 해당 코드에서는 응답을 하는 과정에서 StringHttpMessageConverter 가 동작된다고 강사님께 배웠습니다. 제가 배우기론 객체로 응답할 때는 MappingJackson2HttpMessageConverter가 작동한다고 배웠는데, HttpEntity는 이렇게 적용되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