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6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MemoryMemberRepositoryTest.java 실행시 store관련 오류가 발생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package repository; import hello.hellospring.domain.Member; import hello.hellospring.repository.MemoryMemberRepository; import org.junit.jupiter.api.AfterEach;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java.util.List; import static hello.hellospring.repository.MemoryMemberRepository.store; import static org.assertj.core.api.Assertions.*; class MemoryMemberRepositoryTest { MemoryMemberRepository repository = new MemoryMemberRepository(); @AfterEach public void afterEach(){ repository.clearStore(); } @Test public void save() {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Name("spring"); repository.save(member); Member result = repository.findById(member.getId()).get(); assertThat(member).isEqualTo(result);//member 가 result 와 같다. } @Test public void findByName(){ Member member1 = new Member(); member1.setName("spring1"); repository.save(member1); Member member2 = new Member(); member2.setName("spring2"); repository.save(member2); Member result = repository.findByName("spring1").get(); assertThat(result).isEqualTo(member1); } @Test public void findAll(){ Member member1 = new Member(); member1.setName("spring1"); repository.save(member1); Member member2 = new Member(); member2.setName("spring2"); repository.save(member2); List<Member> result = repository.findAll(); assertThat(result.size()).isEqualTo(2); } public void clearStore(){ store.clear(); } }이렇게 오류가 뜹니다. 여기 전까지는 오류가 발생하지 않았습니다.도움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해결됨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상품 등록 폼 조회 , 회원 가입 폼 조회 시의 차이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1. 상품 등록 폼 조회 코드@GetMapping("/add") public String addForm(Model model) { model.addAttribute("item", new Item()); return "items/addForm"; } 2.회원 가입 폼 조회 코드@GetMapping("/add") public String addForm(@ModelAttribute Member member){ return "members/addMemberForm"; }상품 등록 시에는 빈 Item 객체를 Model에 직접 지정해서 넘겼는데 , 회원 가입 시에는 @ModelAttribute를 통하여 자동으로 Member을 Model에 지정해서 넘겼습니다왜 Item에는 빈 Item 객체를 직접 모델에 담았고 Member에는 @ModelAttribute로 자동으로 처리되게 했는지 궁금하고 어떤 방식이 효율이 좋은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Debug 문제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코드 실행 했을 때 local8080 입력해서 들어가면 ok라고 뜨고 잘 실행 되긴 하는데 debug가 많이 뜨고이런 것들이 많이 나옵니다.이렇게 뜨는 걸 보면 제대로 RUN 된 것 같지 않은데 실행은 잘 되는 것 같아요 어떻게 고쳐야 하는 건가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java -jar 실행 의미 ?
안녕하세요 '빌드하고 실행하기' 강의를 듣다가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 남겨봅니다.강의를 듣다가 java -jar 실행 과정에 궁금증이 들었는데요.. 제가 war 파일 배포를 경험해본 적이 있었는데,war 파일을 배포할 때는 빌드 후 생성된 war 파일을 서버의 특정 경로에 올려두고 서버 시작을 했었습니다.그래서 jar 파일을 실행한다는 것이 서버를 어떤 의미인가... 조금 헷갈리기도 하고 물음표가 생기더라고요. 구글링을 해봤는데 jar는 톰캣 서버 자체가 이미 내장 되어 있는 파일인 것 같더라고요..그래서 jar를 배포할 때, war처럼 특정 경로에 jar를 옮기는 과정 자체가 필요하지 않고jar 자체를 실행하면 jar 안에 있는 서버가 같이 말린 프로젝트 소스까지 알아서 배포하는 그런 원리 일까요....? 그리고 제가 과거 프로젝트를 하면서 빌드를 했을 때는 war 파일 생성되었는데, 강의 실습의 빌드 결과물은 jar 파일인데 빌드 시 어떤 조건에 의해 war, jar가 생성되는지도 궁금합니다.. 확실한 지식이 없다 보니 질문이 조금 횡설수설한 점 죄송합니다..ㅜ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빌드 후 에러가 떠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빌드하면 잘 되긴 하는데 마지막에 저렇게 에러가 떠요.어떤게 문제인가요??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9. API 예외처리 공부중 디버깅모드 하려면
public ModelAndView resolveException(HttpServletRequest request, HttpServletResponse response, Object handler, Exception ex) { try { if (ex instanceof IllegalArgumentException) { log.info("IllegalArgumentException resolver to 400"); response.sendError(HttpServletResponse.SC_BAD_REQUEST, ex.getMessage()); return new ModelAndView(); } } catch (IOException e) { log.error("resolver ex", e); e.printStackTrace(); } return null; }이 코드에서 return new ModelAndView(); 에대해 intellij에서 디버깅모드를 해서 진행과정을 보고싶은데 디버깅모드로 실행하고 중단점을 해줘도 디버깅모드가 실행히 안되더라구요 어떻게하면 디버깅모드를 볼수있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내부 클래스에 @Slf4j를 적용하는 이유
강의에서 내부 클래스에도 @Slf4j를 적용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 그 이유가 궁금합니다!@Slf4j @SpringBootTest public class TxBasicTest { @Slf4j static class BasicService { } }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소스코드는 어디있나요
위치가 궁금합니다.
-
해결됨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Transactional 적용 (Spring Data JPA, JPA 상황에 따른..)
섹션 8의 <실용적인 구조> 강의에서 질문드립니다.JPA의 모든 데이터 변경은 트랜젝션 안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JPA를 사용할 때는 리포지토리 계층에 @Transactional을 붙여야한다고 배웠습니다.그런데 Spring Data JPA는 @Transactional을 붙이지 않아도 @Transactional 처리를 자동으로 한다는 것 같은데 맞는 얘긴가요?원래 트랜젝션 적용은 서비스 계층에서 이뤄저야한다고 배웠습니다. 그래서 서비스 계층에서 @Transactional을 붙여왔고요. 그런데 해당 강의의 8분 지점에서 ItemServiceV2의 경우 Spring Data JPA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리포지토리 계층에서는 @Transactional을 적용하지 않았고 서비스 계층인 ItemServiceV2에서 @Transactional을 적용한 것 같은데 맞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public static void 클래스 run이 안되요
위와 같이 선생님처럼 코드 왼쪽에 초록색 run 버튼이 안나오고, 오른쪽 상단에도 그 버튼이 활성화가 되지 않고 this file in editor is not runnable 이라는 메세지가 뜹니다. 어떻게 해야할까요?
-
미해결스프링 DB 1편 - 데이터 접근 핵심 원리
예외처리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강의에서 예외를 직접 잡을 일이 별로 없다고 말씀해주셨는데, 예를 들어 회원가입을 할 때 중복된 아이디를 입력해서 오류가 발생해서 오류 메시지를 보여줘야 하는 경우는 개발자가 잡아야 하는 예외라고 봐도 될까요?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컨트롤러 매핑이 안됩니다 ㅠㅠ
강의를 다듣고 혼자서 게시판을 구현하기 위해 작업중인데요 회원가입 기능을 만들기 위해서 index.html 화면에서 회원가입 버튼을 누르면 회원가입 뷰로 이동하게 할려고 했는데 컨트롤러가 매핑이 안되어 뷰가 보이지 않습니다.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https://drive.google.com/drive/folders/1qfnBICO1XDiGDS_BTleEBumPHN2bnJi6?usp=drive_link
-
해결됨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placeholder에 국제화 적용해보기
placeholder에 국제화를 적용하려면 다음과 같이 하면 되는 걸까요? <기존><수정>message.properties에 위의 값 추가
-
미해결스프링 부트 웹 개발 입문 - 따라하며 배우기
7장 insert mapper erro 문의합니다
매개변수 strCoffee를 찾지 못하고있습니다.org.apache.ibatis.binding.BindingException: Parameter 'strCoffee' not found. Available parameters are [srtCoffee, strPrice, param3, strKind, param1, param2] menu_ins.html에서 menuCon으로 값이 넘어오는 것은 log로 확인 가능했습니다.service - dao - mapper 어디간에서 문제가 발생한 것 같은데 알 수 없어서 문의드립니다.https://drive.google.com/file/d/17keZ7jdiYPMen9Q_4I0ADqzlxplzidKF/view?usp=drive_link구글드라이브 링크 추가했습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MVC 2편 - 백엔드 웹 개발 활용 기술
개인 미니 프로젝트
스프링 MVC1,MVC 2편을 다 수강하여서 개인 프로젝트를 간단하게 만들어보려고 합니다. 화면에 보이게 할 수 있도록 타임리프 기술을 활용하려고 하는데요. html,css, 부트스트랩은 강의때 복사 붙여넣기만 해봐서 구현할줄을 잘 모릅니다. 구글링을 해봐도 사용법이 친절하게 나오지 않아서 좀 어려운데 도움될만한 사이트나 책이 있을까요?
-
미해결스프링 DB 2편 - 데이터 접근 활용 기술
스프링부트 3. 2. 2 버전에서 Q타입 생성 확인 방법 오류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스프링부트 3.2.2 버전에서 Q타입 생성 확인 시 오류가 발생합니다. Gradle IntelliJ 사용법build - clean 까지는 정상 작동하지만compileJava 실행 시 오류가 발생합니다. Gradle 콘솔 사용법 Q 타입 생성 확인 세가지 방법 다 오류가 나는데 도움을 주실 수 있으신가요??구글드라이브 링크https://drive.google.com/file/d/1VOlQN6OXTHgexMiqffrlXFQkIxc4gn-O/view?usp=sharing 오류코드 첨부Execution failed for task ':compileJava'.> java.lang.NoClassDefFoundError: javax/persistence/Entity* Try:> Run with --info or --debug option to get more log output.> Run with --scan to get full insights.> Get more help at https://help.gradle.org.* Exception is:org.gradle.api.tasks.TaskExecutionException: Execution failed for task ':compileJava'....Caused by: java.lang.RuntimeException: java.lang.NoClassDefFoundError: javax/persistence/Entity...Caused by: java.lang.NoClassDefFoundError: javax/persistence/Entity...Caused by: java.lang.ClassNotFoundException: javax.persistence.Entity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gradle 버전 관련 문의
초기 환경설정 중에 자꾸 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프로젝트 sdk와 gradle jvm 모두 1.7로 설정했습니다. IntelliJ IDEA doesn't support Gradle execution on Gradle JVM versions older than 8Possible solution:- Use Java 1.8 as Gradle JVM: Open Gradle settings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Parameter 0 of constructor in springIntroduction.springIntroduction.SpringConfig required a single bean, but 2 were found: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질문의 제목과 같은 에러가 발생했는데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JpaMemberRepository에 붙어있는 어노테이션인 @Repository를 제거하니 해결이 됐습니다.이 이유가 SpringDataJpaMemberRepository에서 자동으로 구현체를 생성하게 되면 이게 빈으로 등록이 되기 때문에 저 어노테이션을 제거해서 해결을 하는 것이 정확한 이유가 되나요?
-
해결됨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강의 자료에 있는 스프링 부트 Welcome 페이지 지원 공식 문서 링크가 변경된 것 같습니다. +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6. 스프링 MVC - 기본 기능.pdf(v20231202)5페이지에 https://docs.spring.io/spring-boot/docs/current/reference/html/spring-boot-features.html#boot-features-spring-mvc-welcome-page 이 링크가 있는데 들어가 보면 Welcome 페이지에 대한 설명처럼 느껴지진 않는데 혹시 링크 주소가 변경된 걸까요? 찾아 보니 아래 두 링크가 Welcome Page 설명이랑 비슷하게 느껴졌습니다. 1.1.5. Static Contenthttps://docs.spring.io/spring-boot/docs/current/reference/html/web.html#web.servlet.spring-mvc.static-content 1.1.6. Welcome Pagehttps://docs.spring.io/spring-boot/docs/current/reference/html/web.html#web.servlet.spring-mvc.welcome-page 그리고 index.html에 대해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index.html의 위치를 변경시키면서 localhost:8080을 호출했을 때 제대로 Welcome Page가 나타나는지 확인해 봤는데 /static/public/resources(resources 하위에 또 resources를 생성)/META-INF/resources이 위치에 index.html을 두었을 땐 Welcome Page가 제대로 나타나는 걸 확인했습니다. 그런데 /templates 하위에 index.html을 두어도 localhost:8080으로 Welcome Page가 호출이 되는 것 같습니다.컨트롤러를 통해 접근할 파일들을 /templates 하위에 두는 걸로 이해하고 있었는데, 이렇게 /templates 하위에 index.html을 두고 localhost:8080으로 접근하는 경우가 필요할 때가 있나요?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JDBC 강의 내용 질문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스프링 빈과 의존 관계에서 설명하셨던 다형성과 Solid에 대한 개념이 여기 19:00 이후의 설명에 나온 것 같은데요. helloController는 memberService에 의존하고 있고 이 memberService를 구현하는 구현체로 memoryMemberRepository, JdbcMemberRepository가 있는데 만약에 저걸 저렇게 작성하지 않고 MemoryMemberRepository를 직접 주입받아 사용하게 되면 시간이 지나 다른 것으로 변경을 해야할 때 기존 코드를 고쳐야하니 다형성의 활용하여 인터페이스를 주입하고 그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구현체에서 외부 생성자로 주입을 하는 것이 DI고 저게 객체 지향의 기본이다... 라고 이해하는 것이 맞을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