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0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지금 당장 NodeJS 백엔드 개발 [사주 만세력]
.env.template 복사하랬는데
saju_db_dev로 연결되있고 거기엔 users 데이터 없어요prod로 바꾸니 로그인 되네요
-
미해결지금 당장 NodeJS 백엔드 개발 [사주 만세력]
m2 인데 workbench 버전 8.0.34로 받앗습니다.
더 낮은버전은 계속 바로 꺼지더군요..
-
해결됨Spring Boot를 활용하여 채팅 플랫폼 만들어보기
작동하는 방법
이거 작동 확인하려면 source_code에 있는 client와 server 동시에 실행 시켜서 작동 확인해보면 되나요?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6장 상품 등록을 이미지 없이 등록 후 getList 할 때 질문
안녕하세요 6장 상품 등록을 이미지 없이 등록을 해봤는데요 예를 들어 상품번호가 17번이면product_image_list 테이블에 17번(product_pno)이등록되지 않아서 left join이 걸리지 않아 리스트를 호출시 해당 번호의 상품만 호출이 안되더라구요이럴 경우에는 어떠한 방법으로 해결할 수 있을지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AWS EC2 Launch Template 생성 문의 - 빈즈토크 배포 이슈
안녕하세요. 한가지 문의 드립니다.부록_AWS 빈즈톡, RDS, S3 자료.pdf 를 보고 있습니다.7 (/ 45) 페이지에서 보면 정상적으로 환경 구성이 완료되면 configurations 결과 화면이 잘 출력됩니다.헌데 일부 계정 아마도 최근에 생성한 aws 계정은 이게 정상적으로 진행이 안되고 아래와 같은 메시지가 나옵니다.Creating Auto Scaling launch configuration failed Reason: Resource handler returned message: "The Launch Configuration creation operation is not available in your account. Use launch templates to create configuration templates for your Auto Scaling groups. (Service: AutoScaling, Status Code: 400, Request ID: 850290f7-96b3-4229-81dc-966dbee4d735)" (RequestToken: 44311bf6-616a-3270-9235-5c2d1993a1b7, HandlerErrorCode: GeneralServiceException) AWS EC2 Launch Template을 반드시 생성해야 7 (/ 45) 페이지에서 보이는 환경 구성이 정상적으로 완료가 되고 그 결과 configurations 화면이 잘 출력되는 것으로 최근 변경 된 것 같습니다.문제는 이 AWS EC2 Launch Template 생성에 대한 부분에서 벽에 막힌 상태입니다.어떻게 하면 좋은지 요청 드려 봅니다.감사합니다.
-
해결됨Spring Boot를 활용하여 채팅 플랫폼 만들어보기
Package 구성
domain안에 따로 repository를 만든 이유가 있나요?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리액트 코드 스플리팅
맨 처음 리액트 코드스플리팅 에서 막히는데요,,,ㅠㅠ강의 내용이랑 똑같이 했는데 막히는데 한번봐주실수있으실까요??그리고 코드를 작성하고 리액트화면을 그냥 새로고침하면 코드가적용이되는게 맞죠? 제가하면 지금 mainPage div만 나오고 나머지는 나오지않아서요 import { Suspense, lazy } from "react"; import { createBrowserRouter } from "react-router-dom"; // require 대신 import로 수정 const Loading = <div>Loading...</div>; const Main = lazy(() => import("../pages/mainPage")); // lazy 게으르다 -> 코드 스플리팅 const About = lazy(() => import("../pages/about")); // lazy 게으르다 -> 코드 스플리팅 const root = createBrowserRouter([ { path: '', element: <Suspense fallback={Loading}><Main /></Suspense> }, { path: 'about', element: <Suspense fallback={Loading}><About /></Suspense> } ]); export default root;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 Link } from 'react-router-dom' const mainPage = () => { return ( <div className = 'text-3xl'> <div className={'flex'}> <Link to ={'/about'}>About</Link> </div> <div>mainPage</div> </div> ) } export default mainPage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 Link } from 'react-router-dom' const about = () => { return ( <div className={'text-3xl'}> <div className={'flex'}> <Link to ={'/about'}>About</Link> </div> <div>About page</div> </div> ) } export default about import React from 'react' import { RouterProvider } from 'react-router-dom' import root from './router/root' const App = () => { return ( <RouterProvider router={root} /> ) } export default App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API 구축시 인텔리제이
안녕하세요 이제 시작해보려구하는데 ㅎㅎAPI 구축시 인텔리제이 사용해도 문제없나요??
-
해결됨Spring Boot를 활용하여 채팅 플랫폼 만들어보기
@Transactional(transactionManager = "createChatTransacationMansger") 질문 있습니다.
질문1: 강의에서 saveChatMessage() 메소드 진입시 @Transactional(transactionManager = "createChatTransacationMansger") 사용하는것을 말씀 해주셨는데요. 선생님께서 말씀해주신 강의 내용을 그대로 말씀드리자면 " 웹소켓 같은 경우에는 하나의 커넥션 즉 세션을 하나에 계속 공유하고 계속 사용 중이기 때문에 이 스톰프를 사용하는 웹소켓 통신 아니면 기본적인 웹소켓 통신에서도 이 트랜잭션에 대한 경계가 되게 명확하지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 " 즉 이 말씀은 따로 이렇게@Transactional public void saveChatMessage(Message msg) { chatRepository.save(chat); } @TransactionManager() 만 추가해서 관리 하면 문제가 생기고 @Transactional(transactionManager = "createChatTransacationMansger")이렇게 별도로 TransactionManager 를 추가해서 관리 해야 문제가 없다고 이해 하면 될까요??? 왜 TransactionManager 를 따로 만들어서 관리하는지 이해가 안가네요 ㅠ,ㅠ그리고 "웹소켓 같은 경우에는 하나의 커넥션 즉 세션을 하나에 계속 공유하고 계속 사용 중이기 때문에 이 스톰프를 사용하는 웹소켓 통신 아니면 기본적인 웹소켓 통신에서도 이 트랜잭션에 대한 경계가 되게 명확하지가 않는 경우가 있습니다"즉 이 말씀은 saveChatMessage 경우는 웹소켓 전용만 사용 할때만 이용하는 오퍼레이션 이기 때문에 다른 HTTP 통신 경우에 오는 FLOW 경우는 saveChatMessage() 메소드는 사용하지 마라 라는 의미로 @Transactional(transactionManager = "createChatTransacationMansger")이렇게 별도의 TransactionManager을 사용한 것인지 궁금 합니다. 질문2 선생님이 말씀해주신 내용을 그대로 말씀드리자면플러시는 기본적으로 JPA에서 다루고자 하는 트랜잭션이 담겨있어야 되는데 담겨있지 않았다는 에러가 발생하게 될 거예요 왜냐하면 제가 말씀드렸던 것처럼 웹소켓은 하나의 통신으로만 공유를 하기 때문에 경계가 명확하지 않아서 JPA 에서 일반적으로 트랜지액션을 잘 인식을 하지 못하고 잘 넣어주지를 못합니다 이렇게 트랜젝션을 선언하지 않으면 문제가 발생된다고 해주셨는데요. @Transactional public <S extends T> S save(S entity) { Assert.notNull(entity, "Entity must not be null"); if (this.entityInformation.isNew(entity)) { this.entityManager.persist(entity); return entity; } else { return this.entityManager.merge(entity); } }JPA save 메소드를 보면 이렇게 @Transaction 을 선언하기 때문에 굳이 @Transaction 을 선언하지 않아도 문제가 없지 않을까요??
-
미해결[개정3판] Node.js 교과서 - 기본부터 프로젝트 실습까지
vscode 자동완성 확장 질문
안녕하세요! 강의 잘 듣고 있는 수강생 입니다!제로초님 강의를 보면 다음과 같은 코드가 있을 때const express = require('express'); const path = require('path'); const app = express(); app.get('/',(req,res)=>{ res.sendFile(path.join(__dirname,'index.html')); console.log('GET / '); })app에 대한 HTTP METHOD 를 지원하는 라우팅 함수 및 req, res 에서 사용할 수 있는 함수들에 대해 자동 완성 되는 부분을 봤는데요. (예:`app.get()`,`res.writeHead()` 등) vscode의 각종 extensions 들을 설치해보고 vscode 자체의 옵션도 찾아봤지만 도저히 제로초님 처럼 자동 완성 되지가 않네요ㅜㅜ제가 이클립스를 사용하다가 이번에 노드 공부해보려고 다른 IDE를 사용해서 그런지 자동완성이 되지 않는 부분이 매우 불편한데 혹시 강사님 개발 환경 공유 가능할까요?강의와는 상관이 없는 질문인 점 죄송합니다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중간에 나와있는 1분 미만 수업
로그인 페이지 설정 다음에 나온 저 두 가지 강의는 어떤 내용인걸까요??해당 수업 두 개 때문에 수료기준 미달로 떠서요 ㅠㅠ확인 부탁드립니다.
-
해결됨Spring Boot를 활용하여 채팅 플랫폼 만들어보기
강의 들으면서 블로그에 올려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제목처럼 강의 내용 들으면서 블로그에 정리하려고 하는데 괜찮을까요? :)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안녕하세요. 공부하다가 막히는 부분이 있어서 질문드리는데 질문 내용이 ...
안녕하세요. 이 강의를 마치고 비동기 spring boot를 공부 하고 있습니다. Reactor이라고 부르던데 mvc와 크게 다른거 같지 않는거 같은데 코딩이 생각 보다 어렵네요....mvc랑 코딩 자체가 틀림 ... 솔직히 질문드리기가 너무 죄송합니다. 근데 답변 해줄 분이 안계셔서 ..여기에 질문 드리네요...... 질문 내용은 @Aspect 이딴걸 왜 하는거냐 입니다. class A아래 함수에 주석을 원래 하는거지만 주석을 제거 하려면 이걸 Aspect를 해야한다고 하네요....@GetMapping("/test/mdc") suspend fun testRequestTxid() { // withContext(MDCContext()) { logger.debug { "start MDC TxId" } delay(100) service.mdc() logger.debug { "end MDC TxId" } // } }이과정이 꽤나 복잡합니다. class B처럼요 class BMapping을 대신할 어노 테이션을 만드는거 내용이라고 생각 됩니다.classA에 @GetMapping을 하면 아래 class의 hindMdcContext를 사용하게끔 하는거 같아요...질문 드릴껀 이 과정이 왜 필요한거죠???의도가 잘 파악이 안되서요...trance id를 생성하고 class A가 완전히 처리 될때까지 블러킹 하기 위해서 그런거 같은데 이렇게 까지 해야되나 싶네요... 내용은 아직도 파악 중입니다. ^^ 현제 ProceedingJoinPoint가 뭔지 파악 중에 있고요 ... @Aspect class AspectConfig { @Around(""" @annotation(org.springframework.web.bind.annotation.GetMapping) """) fun hindMdcContext(jp: ProceedingJoinPoint): Any? { return if(jp.hasSuspendFunction) { val continuation = jp.args.last() as Continuation<*> val newContext = continuation.context + MDCContext() val newContinuation = Continuation(newContext) { continuation.resumeWith(it)} val newArgs = jp.args.dropLast(1) + newContinuation jp.proceed(newArgs.toTypedArray()) } else { jp.proceed() } } private val ProceedingJoinPoint.hasSuspendFunction: Boolean get() { val method = (this.signature as MethodSignature).method return KotlinDetector.isSuspendingFunction(method) } }빨리 비동기 강의좀 내주세요 ㅠ.ㅠ 수없는 인강을 들었지만 강사님 만큼 강의 잘하는 강의 못봤어요 ㅠ.ㅠ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6장 질문
6장 실습중 이미지가 안보이는 이유가 무엇일까요?빠른 답변 좀 부탁드립니다.
-
해결됨Spring Boot를 활용하여 채팅 플랫폼 만들어보기
실 서비스 환경 문의
채팅 실서비스 환경 관련 문의 드립니다. 웹소켓은 커넥션을 유지하는데 서비스가 인기가 있어 동시접속자가 많아지면 커넥션 고갈이 생길 것 같습니다. 이런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실 운영 환경에서는 어떻게 모니터링하고 대응하는지 궁금합니다.실 운영 환경에선 멀티 서버 멀티 인스턴스로 동작하게 해야 할 것 같은데 이런 경우에도 @SendTo 애노테이션을 활용할 수 있나요? 없을 것 같아 질문드립니다.실 운영환경에선 엔진엑스같은 웹서버를 거쳐 들어올 것 같은데 이럴 때 주의해야할 사항이 있을까요?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여기까지 하고나니 Product가 깨집니다.
해당 회차까지 하고 나니 Product도 확인해 볼겸 들어가보니 사진도 안나오고 pname도 undefied로 나오네요 server 쪽에서 Authorization 의 값이 null이라고 뜨는게 이유 인거 같은데 제가 잘못 한게 있을까요? 아니면 뒤의 회차에서 해결하는 방법이 제시가 되는건가요??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개발 툴에 질문드립니다.
일단 수강 신청은 해놨는데 ...vscode ,intellij 쓰는 줄 알았는데 아닌거 같아서요 ...혹시 수업진행할 때 쓰는 툴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쓰는 건지알수 있을까요 ? vscode로만 다 하나요 ?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moveToList를 만들때 질문이 있습니다.
const moveToList = () => { navigate({ pathname: "../list", search: queryDefault }); };이걸 했을때 어떻게 http://localhost:3000/todo/read/13이주소에서 http://localhost:3000/todo/list로 바뀌는 건가요?..을 지워버리니까 http://localhost:3000/list로 바뀌어서 에러가 나더라고요 ../를 디렉토리처럼 한단계 전으로 돌아가는 걸로 이해하려고 해도 13의 한단계 전이나까 그럼 http://localhost:3000/todo/read/list 이게 되어야 하는것 같은데 ../가 어떤 뜻이길래 http://localhost:3000/todo/read/13로 제대로 나오는 건가요?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register 할때 formatter가 언제 적용이 되는 건가요?
json으로 date 파라미터를 보낼때 자동으로 변환 되서 들어간다는 건가요??
-
미해결코드로 배우는 React 19 with 스프링부트 API서버
testUpdate를 하실때 질문이 있습니다.
강의에서는 명시적으로 todoRepository.save(todo);를 해주셨는데 어떤 강의에서는 더티체킹으로 업데이트를 하는게 좋다고 하는 말을 들었습니다. 보통 실무에서는 어떤 방식을 더 선호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