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61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모바일 웹 퍼블리싱 포트폴리오 with Figma
display flex 질문,,
안녕하세요 ! gnb부분 하다가 헷갈리는게 있어서요 ..gnb 부분엔 flex를 줘서 가로배치 1/5한 건 이해했는데,.gnb a 위아래 여백이 남았어서 그 여백을 없애려면.gnb a에 display : flex를 주어야한다고 하셨는데왜 flex를 주면 위아래 여백이 사라지고 딱 맞게 배치가 되는건지 이해가 잘 안가서요 ㅠ..!말로 설명이 가능하실까 모르겠지만 일단 남겨봅니다!
-
미해결피그마(Figma)를 활용한 UI디자인 입문부터 실전까지 A to Z
복제해서 가져온 템플릿 질문
오픈소스로 가져오기한 템플릿의 경우 원본 템플릿의 컴포넌트가 수정되어도 영향을 받지 않나요?
-
미해결모바일 웹 퍼블리싱 포트폴리오 with Figma
강의자료 질문
강사님 ㅠ 강의자료에 필요한 자료 다운 받을 수 있는 링크 알려주시면 감사합니다결제 후 다운받으려는데 파일이 어디에 있는 지 모르겠습니다ㅠ
-
해결됨디자이너와 PM을 위한 문제 해결력 실전 강의
문제 정의 관련
영화님 안녕하세요. 강의 정말 잘듣고 있습니다 !3강 내용 중 사용자, 비즈니스, 이즈니스에 대한 문제 정의에 대해 궁금하여 2개의 질문드리게 되었어요.<나는 사용자가 아니다>라는 점을 인지하면서 문제를 풀어야 한다고 강의해주신 점에 대해 조금 더 구체적으로 보강 설명을 해주실 수 있으실까요? (질문의 배경)실제로 저는 아래와 같은 2개의 관점을 둘다 이용하는데요. A 관점 이 경우 프로덕트 디자인을 제작하는 입장에서의 문제를 찾는 관점임전문가 입장에서 사용성 문제를 찾는 관점 때문에 일반 사용자가 못느끼는 문제를 해결하는 시도인 경우가 많았음 - 휴리스틱 평가와 비슷하게 문제를 찾는 형태 B 관점제품을 이용해보면서 느낀 사용자 관점이 관점에서 문제는 팀원들도 쉽게 설득시킬 수 있었고 사용자에게 어떤 가치를 주느냐에 대한 임팩트가 큰 문제라고 느낌결론적으로 궁금한 점 B 관점에 있어서 저는 사용자가 아니지만,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문제를 많이 만났는데 이러한 방식으로 문제를 찾으면 안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또는 이러한 방식으로 찾되 정량적, 정성적 검증을 하고 문제 정의가 된 후에만 솔루션을 만들어야 하는지도 궁금합니다.이론 내용에서는 내 문제가 무엇인지부터 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 문제에서부터 시작하라는 말씀을 주셨는데요. 강의에서 예시로 주신 내용은 제공자 관점에서 출발한 문제, 정보수집, 솔루션 도출이라고 느껴지는데요. 이에 대해서 영화님 생각은 어떠신지 궁금합니다. 제가 아직 3강까지 밖에 못들어서 드리는 질문일 수도 있는 점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모바일 웹 퍼블리싱 포트폴리오 with Figma
안녕하세요! 강의내용을 기반으로 변형해서 개인포트폴리오용으로 만들 때
강의내용을 기반으로 변형해서 개인포트폴리오용으로 만들 때1.실제있는 모바일 웹사이트를 기반으로 제가 리뉴얼해서 만들어야하는건가요 ?? 2.그럼 사이트 안에 들어가는 이미지 같은 건그 웹사이트에 있는 사진을 가져다가 개인 포트폴리오용에 써도 되는지(?)안된다면 어디서 사진을 갖다 써야하는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2024 업데이트] UX/UI 시작하기 : Figma 입문 (Inflearn Original)
예제 파일
수강생도 예제파일로 같이 실습을 진행하는건가요?공유해주신 예제파일 열어서 오토플로우 적용하는데 영상에서 가르쳐 주시는 것처럼 화살표가 삽입되지 않아서요
-
해결됨모바일 웹 퍼블리싱 포트폴리오 with Figma
모바일 목업 iframe 스크롤
선생님 안녕하세요~ 모바일 목업 안에 iframe 넣었을때 세로스크롤의 기능은 살리고 우측 막대 부분만 없애고 싶어서 구글링 해보았는데요.. 구글링 한대로 해보면 우측 막대는 없어지는데 기능도 같이 죽더라구요.. 기능은 살리고 우측 막대만 없애는 방법이 있을까요?
-
해결됨디자이너와 PM을 위한 문제 해결력 실전 강의
가설 검증 시, 실현가능한 성공 지표 설정 방법
가설을 검증할 때, 성공 지표를 설정하는 기준이 무엇인가요?회사에서 UX개선안을 제안할 때, '그래서 이거 개선하면 전환율 몇%나 오르는데? 신규 회원 몇 명이나 유치하는데?' 라는 질문에 자신있게 답을 하기가 어려워요. 아직 경험치도 부족하고, 매출과 직결된 민감한 부분에 대충 x% 오릅니다! 라고 말할수도 없어서인데요.. 그래서 꼭 필요한 개선임에도 불구하고 우선순위가 자꾸 밀려서 답답한 마음입니다.애자일하게 A/B테스트를 돌려보면 좋겠지만, 워터폴로 업무가 진행되는 터라 테스트를 여러차례 해보기도 어렵고 약속한 달성치는 꼭 지켜야하는 분위기입니다. 이런 경우, 최대한 실현가능한 지표를 설정하기 위해 현업에서는 어떤 방법을 사용하시는지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뉴욕 프로덕트 디자이너가 알려주는, 입문자를 위한 UX디자인 개론
디자인 원리가 잘 적용된 사례
부스트코스 가입페이지상태안내, 에러방지CTA 강조맥북 Finder 기능좌측 메뉴, 우측 프로그램 안내가 유사성의 원리로 각각 다른 개체로 인식되게 함계산기, 메모, 이미지캡쳐 프로그램은 스큐어모피즘 기법을 활용해서 현실과 비슷한 이미지로 친숙함 상승근접성의 원리로 아이콘과 관련된 텍스트를 붙여서 배치, 관련 없는 아이콘끼리는 서로 거리를 두어서 유저들이 각 프로그램을 효과적으로 인식하게 함
-
미해결뉴욕 프로덕트 디자이너가 알려주는, 입문자를 위한 UX디자인 개론
좋은 UX, 안좋은 UX 사례
좋은 강의 감사드립니다. 내가 생각할 때 좋은 UX 2개구몬 학습지 홈페이지 1) 홈페이지 진입 시 큰 카테고리를 상위에 배치해서 유저가 궁금한 점들을 눌러보게끔 유도, 구매로 이어지는 경로를 잘 만들어둠ㄴ카테고리 이름도 직관적이어서 사용자의도가 낮은 유저도 바로 클릭할 수 있음2) 큰 카테고리 '학습 과목' 클릭 시 - 유아,초등,중고등,성인으로 중형 카테고리 노출하여 세부적인 유저 니즈를 잘 공략함3) 성인 클릭 시에도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의 세부 카테고리를 소개하여 유저가 원할만한 상품들을 보여줘서 클릭하게 만듦 4) 상세페이지에 실제 제품 사진들로 사용경험을 구체적으로 그려줌, 마지막 하단엔 상담 신청을 유도하여 자연스럽고 가볍게 구매 결정 유도필립스 버티컬 마우스 : 일반 평면적인 마우스는 사용할수록 유저의 손목 통증 생김 > 버티컬 마우스는 유저가 통증없이 편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수직으로 만듦 > 오래 사용해도 손목 통증 없이 편하게 쓸 수 있다는 점이 좋은 UX로 느껴짐 --내가 생각할 때 안좋은 UX 재능교육 홈페이지1) 큰 카테고리가 가장 먼저 노출되긴 하지만, UX writing이 직관적이지 않고 모호해서 각각의 카테고리가 무엇을 의미하는지 헷갈림 > 처음 웹사이트 진입 후 헤매게 됨2) 큰 카테고리 클릭 시 노출되는 중간 카테고리의 정보 구조 설계가 적합하지 않아보임3) 하단 '스스로상품' 카테고리의 중간 카테고리 정보에 유아맘/초딩맘 등만 나와있으니 이 타겟에 해당하지 않는 유저는 이탈하게 만듦, 언어별/과목별 상품명이 나왔다면 쉽게 클릭했을 것 같음LP 플레이어1) 사용법: 이미지 상단에 있는 흰색 침을 LP 위에 올림 > 3번째 버튼을 눌러 LP에 침을 붙임 > Start 버튼 클릭하여 재생2) 침을 내리는 버튼인 세번째 버튼을 start 버튼보다 앞에 위치하게 했으면 훨씬 덜 헤맸을 것 같음과제 올립니다~!
-
해결됨UIUX 포트폴리오 Part.1 - Figma(피그마) 깊이 있게 배우기
spacing mode가 어디에 있나요?
advanced layout에는 1.strokes2.Canvas Stacking3.Align text baseline 위 3개 뿐인데, spacing mode는 어떤 상태에서 활성화되는건가요? 아무리 여러번 따라해보아도 모르겠어요^^:;;부탁드립니다!
-
미해결[2024 업데이트] UX/UI 시작하기 : Figma 입문 (Inflearn Original)
피그마 강의전에 컴포넌트 라이브러리와 예제파일 다운
피그마 강의전에 컴포넌트 라이브러리와 예제파일을 준비하라고 하시는데...어디서 다운 받을 수 있을까요?
-
해결됨[2024 업데이트] UX/UI 시작하기 : Figma 입문 (Inflearn Original)
도형 요소 corner radius와 stroke
섹션 2 강의에서 도형 요소의 속성 조정하는 데에 질문이 있습니다.사각형의 corner radius를 따로 설정할 수 있는 버튼이 보이지 않습니다.사각형에 stroke 생성하고, 각 변에 stroke 유무를 설정할 수 있는 버튼이 없습니다.도형 요소 선택 시에는 보이지 않는데, 프레임 선택 시에는 저 두 버튼 모두 잘 보이고 작동합니다.
-
해결됨[2024 업데이트] UX/UI 시작하기 : Figma 입문 (Inflearn Original)
채팅 ui 속성) 말풍선 크기 최대최소 조정 문제
말풍선의 최대 최소를 설정하고부터, 강의와 다른 결과가 나옵니다. 말풍선 자체의 auto layout에 크기 제한을 걸었을때➡ min, max 크기는 제한 ok그러나 전체 프레임을 줄였을때 min크기로 줄어드는게 아니고 프레임 바깥으로 잘림 말풍선+시간이 들어있는 auto layout에 크기 제한을 걸었을 때 (강의 내용)➡ 한글자만 들어있어도 항상 크기가 max로 고정그러나 전체 프레임을 줄였을때 맞춰 조정되나 min 크기 제한이 무시됨 hug와 fill을 하나씩 바꿔봤는데도 동시 적용이 안된다는 점 때문에 무엇이 문제인지 도통 모르겠네요ㅠㅠ
-
미해결성공적인 진짜 iOS Design Guide - [Autolayout With Code]
안녕하세요! 강의 자료 관련 문의 드립니다.
스택뷰 강의를 보고 있는데, 정렬과 배열 옵션에 대한 이미지들이강의에서 다운로드 받은 자료에서는 찾지 못했습니다.Autolayout_StackView_2023 프로젝트도 마찬가지였어요.혹시, 강의에서 보여주는 자료를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
미해결[2024 업데이트] UX/UI 시작하기 : Figma 입문 (Inflearn Original)
폰에서 영상이....ㅠㅠ
핸드폰에서는 영상을 볼 수 없나요???
-
미해결피그마(Figma)를 활용한 UI디자인 입문부터 실전까지 A to Z
constraint 버튼에 적용할때 프레임이여야 하는지요
버튼이 반드시 프레임이여만 되는건가요? 프레임아니고 도형으만들면 적용이 안되는거 같아서요 그리고 constraint를 적용해서 버튼을 만든뒤에 버튼이니까 컴포넌트로 만들고 복사해 다른 프레임에서 인스턴스가 되쟎아요.그런데 문제는 컴포넌트 페이지에서 프레임 위드를 줄이면 복사한 인스턴스 페이지에서도 그 인스턴스 버튼도 똑같이 줄게되는데...이런건 어떻게 생각을 정리해야할까요?? 컴포넌트화 시에는 사용을 말아야하는건가요? 실무에서 모든 요소를 다 컴포넌트화하면 초보라그런지 너무할것도 많고 어렵게 느껴지는데 최소한의 것만 만들어서 인스턴스로 쓴다면 어떤것들이 있을까요?
-
미해결피그마(Figma)를 활용한 UI디자인 입문부터 실전까지 A to Z
커서 챗
선생님 안녕하세요, 혹시 피그마에서 커서 쳇에서 색상을 변경 할 수 있는 방법이 있을까요?그룹으로 친구와 작업 하는데 커서 쳇 색상이 동일하게 나와서 조금 불편해서요...
-
미해결피그마(Figma)를 활용한 UI디자인 입문부터 실전까지 A to Z
글리프에서 특수기호 찾는 법
플러그인에서 글리프를 불러와서는 필요한 특수기호를 찾지를 못해요~영어가 후달려서....우짜죠ㅠㅠ
-
해결됨피그마(Figma)를 활용한 UI디자인 입문부터 실전까지 A to Z
와이어프레임의 범위
와이어프레임은 low-fi, mid-fi, high-fi 와이어프레임으로 나눌 수 있다고 하셨는데보통 실무에서 와이어프레임을 만들어달라고 요구하는 이유는 대략적인 콘텐츠들의 배치나 화면의 흐름을 보기위함인가요?대학교에서 관련 프로젝트를 진행하게 되면서 pm분께서 저에게 gui를 완성해달라고 하셨어요. 지금까지 저는 gui가 ’버튼이나 아이콘, 혹은 삽입되는 일러스트와 같은 세부적인 그래픽요소‘ 정도로 인지하고 있었고, 와이어프레임은 웹이나 앱의 화면을 지칭하는 용어로 알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그 pm분은 gui를 ’당장 출시할 수 있을 정도로 완성된 화면‘을 만들어달라는 뜻으로 말씀하신 것이었습니다. 즉 제가 혼동되는 부분은 ’당장 출시할 수 있을 정도로 완성된 화면‘을 와이어프레임(굳이 따지자면 high-fi와이어프레임)이라고 불러야하는지, gui라고 불러야하는지 입니다. 실무에서는 해당 용어가 어떻게 사용되는지 궁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