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조금 더 깊은 내용, 실무적인 내용, 미래의 계획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영한님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지금 강의도 정말정말 좋고 많은 것을 다루지만, 이런 것들을 다룰 예정은 없는지 여쭤보고 싶습니다!Lock next level(자바)ReadWriteLock, StampedLock, Mutex, Semaphore비동기/멀티스레드 next level(feat. 스프링)CountDownLatch 사용법, Transaction 동시성 테스트, 멀티스레드를 활용한 성능/부하 테스트 방법 항상 잘 배우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
미해결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오류?
Database JDBC URL [Connecting through datasource 'HikariDataSource (HikariPool-1)'] Database driver: undefined/unknown Database version: 8.3 Autocommit mode: undefined/unknown Isolation level: undefined/unknown Minimum pool size: undefined/unknown Maximum pool size: undefined/unknown실행과 테이블 다 잘 만들어 지는데 이런 로그가 계속 뜹니다.제 mysql 문제일까요?mac os 사용중이고 강의처럼 docker를 통해 띄우는게 아닌 홈브류로 mysql을 다운받아서 쓰고있었어서 그대로 쓰는중입니다
-
미해결고수가 되는 파이썬 : 동시성과 병렬성 문법 배우기 Feat. 멀티스레딩 vs 멀티프로세싱 (Inflearn Original)
threadpoolexecutor.submit 실행 시 순차 실행
안녕하세요 py_ad_1_5.py 파일 관련 강의 듣다가 질문 드립니다. threading.Thread로 스레드 직접 두 개 만들어서, start()를 했을 때는 두 작업이 병렬적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보였는데요 (First, Second에 해당하는 logging이 번갈아 찍혔습니다)하지만, executor.submit으로 실행시에는 First task에 해당하는 logging이 전부 끝난 다음에 Second task에 해당하는 logging이 시작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submit으로 실행시에는 내부에 join이 있다거나 별도의 동작이 있는 걸까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count 값 1107116232 질문
[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예[질문 내용]강의에서 volatile을 적용하지 않은 예제에서MyTask flag값을 false로 바꾸고 count값을 출력했는데 이때MyTask Thread의 캐시메모리에있는 값을 메인메모리로 업데이트하고, Main Thread는 메인메모리에있는 count값을 캐시메모리에 동기화해서 갖고온걸까요? 출력할 때 컨텍스트 스위칭이 일어났다고 가정하면, 1_100_000_000이 출력될거라 생각했는데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future 가 자바스크립트의 promise 랑 비슷한 역할을 하는거라고 생각해도 될까용 ??
JS 의 Promise 랑 개념이 비슷한거 같아서요 !! MDN 설명Promise 는 프로미스가 생성된 시점에는 알려지지 않았을 수도 있는 값을 위한 대리자로, 비동기 연산이 종료된 이후에 결과 값과 실패 사유를 처리하기 위한 처리기를 연결할 수 있습니다. 프로미스를 사용하면 비동기 메서드에서 마치 동기 메서드처럼 값을 반환할 수 있습니다. 다만 최종 결과를 반환하는 것이 아니고, 미래의 어떤 시점에 결과를 제공하겠다는 '프로미스(promise)'를 반환합니다.
-
미해결앨런 iOS Concurrency(동시성) - 디스패치큐와 오퍼레이션큐의 이해
2) 오퍼레이션큐(OperationQueue) 강의 질문입니다
2) 오퍼레이션큐(OperationQueue) 강의 15분37초 쯤 보면 필터 작업이 다 끝난다음에 append큐를 통해서 배열에 전달을 한다고 말씀하셨어요. 근데 여기 필터하려는 이미지가 5장이잖아요, 5장 모두 필터링 다 끝나고 나면 배열에 들어가는건가요 아니면 ,filterQueue는 기본적으로 동시적으로 동작하면서 각 필터 작업이 끝나는 대로 배열에 넣는건가요? filterQueue.waitUntilAllOperationsAreFinished() 코드 보면 동기(sync)적으로 동작하게 하니까 전자가 맞는거 같아보여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오타 제보합니다.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volatile이라는 키워만 (X)=> volatile이라는 키워드만 (O) 추가로 오탈자나 조금 어색한 문장들이 보였는데 그런게 보일때마다 어디로 공유드리면 될까요?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그림 그리느라 고생하셨습니다 !! 😘😘😘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section7-1강] 출금 예제
안녕하세요, 강의 재밌게 수장중인 수강생입니다. 직전 강의 내용대로라면 공유자원인 balance 도 캐싱되어 항상 1000원이 조회되는 가시성 문제가 발생해야 할것 같은데 출금 예제에서는 발생하지 않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log() 때문에 그럴 수도 있을것 같아서 로그 제거 하고 출력해도 가시성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것 같습니다. 제가 뭔가 잘못 이해한 부분이 있는것 같은데, 놓친 부분이 어디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ㅜㅜ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오타 제보입니다.
수강하고 있는 좋은 강의의 내용이 명확히 전달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오타 제보 드립니다. 생산자 소비자 문제1.pdf[오타]소비자 스레드는 데이터를 소비자 고,[변경]소비자 스레드는 데이터를 소비하고,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블로그 글 작성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네[질문 내용]안녕하세요! 책으로 공부 할 땐 어려웠는데영한님 덕분에 편하게 공부 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다름이 아니라 블로그에 배운 내용을 작성 하려고 하는데쓰레드 섹션 2,3의 경우 영한님 코드가 노출 되어도괜찮나요?.. 출처는 당연히 남깁니다!섹션 2,3 경우 코드가 많지 않아서이걸 블로그에 올려도 될까 고민입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질문) 실무 재고처리 에서 비관적 vs 낙관적 lock
안녕하세요 강사님 재밌게 잘 보고 있습니다. 실무에서 주문 수 증가와 같은 단순 연산의 경우는 낙관적락 이 일반적인데, 인벤토리 ( 재고처리 ) 와 같은 도메인에서도 낙관적 락이 일반적인지가 궁금하여 문의드립니다.재고는 동시에 여러 사용자가 접근하여 변경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충돌이 더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을것 같아 왠지 강의내용으로만 보아서는 비관적 락을 사용할것 같다는 생각이 들긴하지만 ...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락이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BlockingQueue에 Task 가 없어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 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ExecutorService.submit 시점에 디버깅을 걸어서 확인해보니 BlockingQueue 필드인 workQueue 내부에 task가 들어가지 않고 workers라는 HashSet에 들어가지는 것 같습니다 혹시 제가 어디서 놓친건지 모르겠어서 여쭤봅니다 이거 때문에 계속 헷갈려요..ㅜ
-
미해결재고시스템으로 알아보는 동시성이슈 해결방법
LettureLockStockFacadeTest에서 오류가 발생합니다.
package com.example.stock.repository; import org.springframework.data.redis.core.RedisTemplate;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mponent; import java.time.Duration; @Component public class RedisLockRepository { private RedisTemplate<String, String> redisTemplate; public RedisLockRepository(RedisTemplate<String, String> redisTemplate) { this.redisTemplate = redisTemplate; } public Boolean lock(Long key) { return redisTemplate .opsForValue() .setIfAbsent(generateKey(key), "lock", Duration.ofMillis(3_000)); } public void unlock(Long key) { redisTemplate.delete(generateKey(key)); } private String generateKey(Long key) { return key.toString(); } } package com.example.stock.facade; import com.example.stock.repository.RedisLockRepository; import com.example.stock.service.StockService;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mponent; @Component public class LettuceLockStockFacade { private final RedisLockRepository redisLockRepository; private final StockService stockService; public LettuceLockStockFacade(RedisLockRepository redisLockRepository, StockService stockService) { this.redisLockRepository = redisLockRepository; this.stockService = stockService; } public void decrease(Long key, Long quantity) throws InterruptedException { while(!redisLockRepository.lock(key)){ Thread.sleep(100); } try{ stockService.decrease(key, quantity); }finally { redisLockRepository.unlock(key); } } } package com.example.stock.facade; import com.example.stock.domain.Stock; import com.example.stock.repository.StockRepository; import org.junit.jupiter.api.AfterEach; import org.junit.jupiter.api.BeforeEach; import org.junit.jupiter.api.Test; import org.springframework.beans.factory.annotation.Autowired; import org.springframework.boot.test.context.SpringBootTest; import java.util.concurrent.CountDownLatch; import java.util.concurrent.ExecutorService; import java.util.concurrent.Executors; import static org.junit.jupiter.api.Assertions.*; @SpringBootTest class LettuceLockStockFacadeTest { @Autowired private LettuceLockStockFacade lettuceLockStockFacade; @Autowired private StockRepository stockRepository; @BeforeEach public void before(){ stockRepository.saveAndFlush(new Stock(1L, 100L)); } @AfterEach public void after(){ stockRepository.deleteAll(); } @Test public void 동시에_100개의_요청() throws InterruptedException { int threadCount = 100; ExecutorService executorService = Executors.newFixedThreadPool(32); CountDownLatch latch = new CountDownLatch(threadCount); for(int i = 0; i < threadCount; i++){ executorService.submit(() -> { try{ lettuceLockStockFacade.decrease(1L, 1L); } catch (InterruptedException e) { throw new RuntimeException(e); } finally { latch.countDown(); } }); } latch.await(); Stock stock = stockRepository.findById(1L).orElseThrow(); assertEquals(0, stock.getQuantity()); } }이렇게 코딩했고 dockre에 redis를 설치하고 window Shell에서 데이터가 남아 있을까봐 1번 key 값을 삭제해서 돌렸는데도 오류가 발생했습니다.또한 레디스가 실행이 되지 않은 채 했을까봐 ping을 입력했는데 pong이라는 응답을 받았습니다. Hibernate: drop table if exists stock 2024-11-03T22:08:40.414+09:00 DEBUG 17108 --- [ Test worker] org.hibernate.SQL : create table stock (id bigint not null auto_increment, product_id bigint, quantity bigint, version bigint, primary key (id)) engine=InnoDB Hibernate: create table stock (id bigint not null auto_increment, product_id bigint, quantity bigint, version bigint, primary key (id)) engine=InnoDB 2024-11-03T22:08:40.439+09:00 INFO 17108 --- [ Test worker] j.LocalContainerEntityManagerFactoryBean : Initialized JPA EntityManagerFactory for persistence unit 'default' 2024-11-03T22:08:41.136+09:00 INFO 17108 --- [ Test worker] o.s.d.j.r.query.QueryEnhancerFactory : Hibernate is in classpath; If applicable, HQL parser will be used. 2024-11-03T22:08:42.092+09:00 WARN 17108 --- [ Test worker] JpaBaseConfiguration$JpaWebConfiguration : spring.jpa.open-in-view is enabled by default. Therefore, database queries may be performed during view rendering. Explicitly configure spring.jpa.open-in-view to disable this warning 2024-11-03T22:08:42.990+09:00 INFO 17108 --- [ Test worker] c.e.s.facade.LettuceLockStockFacadeTest : Started LettuceLockStockFacadeTest in 6.21 seconds (process running for 7.345) 2024-11-03T22:08:43.504+09:00 DEBUG 17108 --- [ Test worker] org.hibernate.SQL : insert into stock (product_id,quantity,version) values (?,?,?) Hibernate: insert into stock (product_id,quantity,version) values (?,?,?) 2024-11-03T22:08:44.203+09:00 DEBUG 17108 --- [ Test worker] org.hibernate.SQL : select s1_0.id,s1_0.product_id,s1_0.quantity,s1_0.version from stock s1_0 where s1_0.id=? Hibernate: select s1_0.id,s1_0.product_id,s1_0.quantity,s1_0.version from stock s1_0 where s1_0.id=? 2024-11-03T22:08:44.245+09:00 DEBUG 17108 --- [ Test worker] org.hibernate.SQL : select s1_0.id,s1_0.product_id,s1_0.quantity,s1_0.version from stock s1_0 Hibernate: select s1_0.id,s1_0.product_id,s1_0.quantity,s1_0.version from stock s1_0 2024-11-03T22:08:44.252+09:00 DEBUG 17108 --- [ Test worker] org.hibernate.SQL : delete from stock where id=? and version=? Hibernate: delete from stock where id=? and version=? Expected :0 Actual :100 <Click to see difference> org.opentest4j.AssertionFailedError: expected: <0> but was: <100> at org.junit.jupiter.api.AssertionFailureBuilder.build(AssertionFailureBuilder.java:151) at org.junit.jupiter.api.AssertionFailureBuilder.buildAndThrow(AssertionFailureBuilder.java:132) at org.junit.jupiter.api.AssertEquals.failNotEqual(AssertEquals.java:197) at org.junit.jupiter.api.AssertEquals.assertEquals(AssertEquals.java:182) at org.junit.jupiter.api.AssertEquals.assertEquals(AssertEquals.java:177) at org.junit.jupiter.api.Assertions.assertEquals(Assertions.java:639) at com.example.stock.facade.LettuceLockStockFacadeTest.동시에_100개의_요청(LettuceLockStockFacadeTest.java:55) at java.base/java.lang.reflect.Method.invoke(Method.java:568) at java.base/java.util.ArrayList.forEach(ArrayList.java:1511) at java.base/java.util.ArrayList.forEach(ArrayList.java:1511) Java HotSpot(TM) 64-Bit Server VM warning: Sharing is only supported for boot loader classes because bootstrap classpath has been appended 어디를 더 수정해야 하는지 모르겠습니다..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BlockingQueue의 offer, poll 질문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너무 알찬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강의에서 BlockingQueue의 offer와 poll은 일정시간만큼 대기하신다고 하셨는데요,이때 이들이 기다리는 영역은 어디가 되는건가요..?ReentrantLock을 획득하기 위한 대기wait()을 위한 대기 아니면 그 어느것도 상관없이 항상 대기 Queue가 된 후 2초인걸까요?! 그리고 만약 어떤 상황이든 2초만을 기다리고 종료시키는 방법이라면, Lock을 획득하고, 생산자나 소비자가 무언가 데이터를 처리하는 과정에서 2초가 지났을 때 이 작업을 강제 종료해 버리면 동일하게 동시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지 않을까요?(실제 처리하지 않았지만 실패로 결과가 나타난다던가..)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Executor 스레드 풀 관리 - 분석 에서 BlockingQueue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쓰레드 풀 core사이즈와 max사이즈가 어떻게 관리 되는지는 어느정도 이해한 것 같은데, 이 예제에서 BlockingQueue안에서 쓰레드들이 스레드 대기 집합, 락 대기 집합에 어떻게 관리되는 것 까지 이해해보려고 하니 매우 어렵네요..ai야 도와줘~!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스레드 대기 집합과 스케쥴링 큐
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질문 내용]synchronized를 사용하면 사용되는 스레드 대기 집합과 기존 멀티스레드 환경에서 사용되는 스케쥴링큐는 다른건가요?
-
해결됨김영한의 실전 자바 - 고급 1편, 멀티스레드와 동시성
스레드 강의 질문이 있습니다.
1) main,Thread-A,Thread-B 3개의 스레드를 만들고 실행시킨 후main 스레드에서 의도적으로 exception을 발생시켜도main 스레드만 종료되고 Thread-A, Thread-B는 돌아가는데이 때 자바 자체를 중지하려면 Thread-A와 B를 Daemon으로 생성하는 방법 밖에 없을까요? 2)궁금증이 발생했는데 main 스레드를 Daemon으로 선언할 수 있나요?
-
미해결앨런 iOS Concurrency(동시성) - 디스패치큐와 오퍼레이션큐의 이해
warning 뜸
코드파일의 5번 SerialSyncProject의 WriteSyncronously()를 실행할 경우 SerialSyncProject(9296,0x104550200) malloc: nano zone abandoned due to inability to reserve vm space.현재 이름(write-safe): 재석 유==================WARNING: ThreadSanitizer: data race (pid=9296) Write of size 8 at 0x000108f5f7d0 by thread T8: #0 SerialSyncProject.Person.changeName(firstName: Swift.String, lastName: Swift.String) -> () <null> (SerialSyncProject.debug.dylib:arm64+0xdc98) #1 closure #1 () -> () in SerialSyncProject.WriteSyncPerson.changeName(firstName: Swift.String, lastName: Swift.String) -> () <null> (SerialSyncProject.debug.dylib:arm64+0x105b4) ....기타 경고들....==================현재 이름(write-safe): 구라 김현재 이름(write-safe): 나래 박현재 이름(write-safe): 동엽 신현재 이름(write-safe): 세형 양마지막 이름은?(write-safe): 세형 양이런식으로 경고메세지가 뜨는데 정상인걸까요? - 데이터 레이서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어서 그냥 넘겨도 되는건지 궁금합니다!
-
미해결자바 동시성 프로그래밍 [리액티브 프로그래밍 Part.1]
16:50부분에서 타입락 질문드립니다.
ResourceA의 methodA메서드가 호출될때 ResourceA.cass락이 1번쨰로걸리고 ResourceB.class락이 두번째로 걸리고나서 ResourceB.class락이걸린상태에서 resourceB.methodB2()메서드가 호출되는데 resourceB.methodB2()메서드 내부에서 ResourceB.class락으로 컨트롤 하고있는데 ResourceA의 두번째 락에서 ResourceB.class로 락을 반환하지않은상태에서 실행된다고 생각하는데 resourceB.methodB2()의 내부는 어떻게 실행되는걸까요? 정리methodA()ResourceA1번째락 > ResourceA.cassmethodA()ResourceA2번째락 > ResourceB.cassResourceA2번째락내부에서 resourceB.methodB2()실행resourceB.methodB2()내부는 ResourceB.cass락질문사항methodA()ResourceA2번째락에서ResourceB.cass을 점유하고있는데 resourceB.methodB2()도 ResourceB.cass락으로 블록락 실행중인데도 불구하고 점유 가능한 이유가 무엇인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