묻고 답해요
158만명의 커뮤니티!! 함께 토론해봐요.
인프런 TOP Writers
-
미해결GSAP의 ScrollTrigger를 활용한 포트폴리오 제작
clamp, min max를 활용한 강의도 있나요??
선생님 정말 너무 궁금해서 댓글씁니다. 저는 웹퍼블리셔입니다. 요즘들어 clamp(2px, 5.333vw, 2.3rem) 등등 min max도 저런식으로 작업하는 사이트들을 종종봅니다. 계산하기가 너무 어려운데 선생님도 저렇게 작업하시는 경우가 잇나요 보통 여백및 폰트사이즈 갭 넓이 높이를 전부다 clamp, 및 min max로 작업한 사이트들이 점점 많아 지고잇어요 저는 계산법을 도저히 이해하지못해서 멘탈이 나간상태인데 요즘 추세가 저런식으로 작업을 하나요? 댓글 꼭 부탁드립니다. 이론은 알고잇습니다. clamp는 최소값 기본값 최대값 이란것도 알고있구여 선생님도 저렇게 작업을 하시나요????
-
미해결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RestController과 Controller 그리고 API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안녕하세요 강사님 따로 아주 간단한 토이팀프로젝트를 하다가 궁금해진게 있어서 질문드립니다. 프론트엔드와 백엔드로 역할을 나눈뒤에 restapi를 통해기본적인 회원crud개발을 하려고 하는데 문득 뭔가 이상하다는 느낌이 들어서요 . 제가 알고있기론 restapi라는게 사용자인터페이스 보다는 어떤경로로 어떤 데이터를 주고받는지 방법에 대한 약속? 규율을 정해놓는다고 생각합니다. 여기서 궁금한점은 그러면 api개발용으로 만든 restcontroller은 일반적으로 웹개발을 할때 사용하는 mvc패턴의 controller을 만들고나면 필요가 없어지는건가요 ? 하다보면 뭔가 로직이 비슷한거같아서요. 결국에는 둘다 return service.xxx 같아요 ㅠㅠ 유지보수에 용이하고 확장성에 좋다고 하지만 솔직히 저는 크게 와닿지는 않는점도 있구요 .. 그럼 굳이 api개발을 해야하는가 의문도 드네요 결국에는 view를 사용자에게 보여줘야하고 그러려면 mvc controller이 필요하고 apicontroller은 필요하지않은 느낌이 .. 제 질문이 어떻게 느껴지실지는 모르겠지만 답변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미해결블로그 자동화 프로그램 개발 강의 (파이썬 + 셀레니움)
오류 질문있습니다
지금 현재 from import에서 가져올수 없다는 오류가 계속 있습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나눗셈 연산자 관련 질문입니다.
1:57에서 '나눈 이후의 몫을 원할 때' 사용하는 연산자가 /라고 하셨습니다.c언어 기준으로 설명해 주신 걸로 이해했는데 (파이썬은 /을 쓸 시 나누어 떨어질 때까지 계산한 값, 혹은 무한소수를 끊어 출력하고 정수 몫을 원할 시 //을 써야 하니까요) 혹시 자바도 c언어와 연산자가 동일한가요? 코딩을 배우기는 하나 컴공만큼 깊게 들어가는 과는 아니라 자바를 배운 적이 없어 질문드립니다.
-
미해결실리콘밸리 엔지니어에게 배우는 파이썬 아파치 스파크
스트리밍 예제 실행 시 py4j.protocol.Py4JNetworkError 발생
안녕하세요! 강의를 듣고 스트리밍 코드를 주피터 노트북으로 실행하고 netcat을 통해 입력해도 아무것도 출력되지 않아서 도커 안으로 들어가서 spark-submit으로 직접 파이썬 파일로도 실행해봤는데 위 에러가 계속 발생합니다 😬 도커는 수도 권한 주어서 docker run -d -p 9010:8888 -p 4040:4040 --name sparkling --restart always -v /Users/nespola/Desktop/sparkling/sparkdata:/home/jovyan/sparkdata --user root -e NB_GID=100 -e GRANT_SUDO=yes jupyter/all-spark-notebook로 실행했는데 제가 무슨 부분을 놓치고 있는걸까요?
-
미해결자바(Java) 알고리즘 문제풀이 입문: 코딩테스트 대비
속도 측면을 고려해본 답안인데 어떤지..
숫자를 일일이 포문을 통해 소수를 구하는게 비효율적인 것 같아 다음과 같이 풀어봤는데,, 어떤지 의견이 궁금합니다. import java.util.Scanner;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Main main = new Main();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number = sc.nextInt(); int[] numbers = new int[number]; for(int i = 0; i < number; i++){ numbers[i] = sc.nextInt(); } main.solution(number, numbers); } public void solution(int number, int[] numbers){ // get reversed array int biggest = 0; // get biggest number for prime int[] reversedArr = new int[number]; for (int i = 0; i < number; i++) { int tmp = numbers[i]; int res = 0; while (tmp > 0) { int t = tmp % 10; res = res * 10 + t; tmp /= 10; } reversedArr[i] = res; if (res > biggest) biggest = res; } // prime logic by biggest number boolean[] prime = new boolean[biggest + 1]; // add 1 for including 0 --> it means index number is same as each value; prime[0] = prime[1] = true; // true = non-prime number for (int i = 2; i*i <= biggest; i++){ if(!prime[i]){ for (int j = i*i; j <= biggest; j += i){ prime[j] = true; } } } //get result for (int i = 0; i < number; i++){ int target = reversedArr[i]; if (!prime[target]) System.out.print(target + " "); } } }
-
해결됨실리콘밸리 엔지니어가 가르치는 파이썬 장고 웹프로그래밍
reverse vs reverse_lazy 사용 이유와 차이점을 이해하지 못 했습니다.
reverse 와 reverse_lazy가 호출 즉시 평가한다. 지연평가한다. 여기서 평가가 의미하는게 뭔지 잘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form_valid는 어디서 호출이 되는건가요. 전반적으로 이해가 잘 안되어 질문에 두서가 없습니다. 죄송합니다.
-
미해결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localhost:8080 Whitelabel Error Page... 어떻게 해야 될까요?
학습하는 분들께 도움이 되고, 더 좋은 답변을 드릴 수 있도록 질문전에 다음을 꼭 확인해주세요.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을 남겨주세요.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링크)을 먼저 확인해주세요.(자주 하는 질문 링크: https://bit.ly/3fX6ygx)3. 질문 잘하기 메뉴얼(링크)을 먼저 읽어주세요.(질문 잘하기 메뉴얼 링크: https://bit.ly/2UfeqCG)질문 시에는 위 내용은 삭제하고 다음 내용을 남겨주세요.=========================================[질문 템플릿]1. 강의 내용과 관련된 질문인가요? (예/아니오)2. 인프런의 질문 게시판과 자주 하는 질문에 없는 내용인가요? (예/아니오)3. 질문 잘하기 메뉴얼을 읽어보셨나요? (예/아니오)아무리 찾아봐도 잘 안되네요 ㅜㅜ... 도대체 뭐가 문제일까요..ㅜㅜ[질문 내용]여기에 질문 내용을 남겨주세요.
-
해결됨비전공자도 이해할 수 있는 AWS 입문/실전
버킷 이름
버킷 이름은 고유해야한다고 알고 있는데 실습에서 동일한 버킷 이름을 사용했는데 그게 어떻게 가능한건가요?
-
해결됨개발자를 위한 쉬운 도커
OS 관련질문
강의를 듣다가 문득 이런 질문이 떠오르더라고요.지금 저희가 만약 하이퍼 바이저 가상화를 사용한다고 하면 지금 제가 현재 쓰고 있는 windows가 host os가 되고 guest OS의 요청들을 hypervisor를 통해서 system call들을 받게 되는거잖아요. 그럼 컨테이너 가상화에서는 제가 쓰고 있는 Windows(OS)는 아예 배제되는건가요?HostOS가 Linux가 기본이라고 하셨는데 그럼 하이퍼바이저 가상화처럼 Linux라는 OS를 Windows가 host OS가 되어서 쓰는건가요? 조금 복잡하네요 ㅠ
-
미해결
프로젝트 진행중 발생한 모듈 불러오기 오류
안녕하세요 프로젝트를 진행하다 모듈 불러오기 관련 오류가 발생하여 질문 남겨봅니다.문제상황> 모듈 불러오기중 not found react + typescript + yarn berry를 사용했고 zero install과 pnp를 사용해 모듈들을 캐싱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모듈들을 import 할때아래와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예시// main.tsx import * as ReactDOM from "react-dom/client"; // Cannot find module 'react-dom/client' or its corresponding type declarations import { QueryClient, QueryClientProvider } from "@tanstack/react-query"; // Cannot find module '@tanstack/react-query' or its corresponding type declarations. import { ReactQueryDevtools } from "@tanstack/react-query-devtools"; // Cannot find module '@tanstack/react-query-devtools' or its corresponding type declarations. import { BrowserRouter } from "react-router-dom"; // Cannot find module 'react-router-dom' or its corresponding type declarations import App from "./App"; import { GlobalStyle } from "./themes/globalStyle"; const queryClient = new QueryClient({ defaultOptions: { queries: { refetchOnWindowFocus: true, refetchOnMount: true, staleTime: 60_000, retry: 2, }, }, }); ReactDOM.createRoot(document.getElementById("root")!).render( <QueryClientProvider client={queryClient}> // Cannot find module 'react/jsx-runtime' or its corresponding type declarations. <BrowserRouter> <ReactQueryDevtools /> <App /> <GlobalStyle /> </BrowserRouter> </QueryClientProvider> );기대효과> 모든 모듈들이 정상적으로 불러와짐참고자료// package.json { "name": "fe", "private": true, "version": "0.0.0", "type": "module", "scripts": { "dev": "vite", "build": "tsc -b && vite build", "lint": "eslint .", "preview": "vite preview" }, "dependencies": { "@emotion/react": "^11.13.3", "@emotion/styled": "^11.13.0", "@tanstack/react-query": "^5.59.0", "@types/react-router-dom": "^5.3.3", "react": "^18.3.1", "react-dom": "^18.3.1", "react-router-dom": "^6.26.2", "styled-components": "^6.1.13", "zustand": "^5.0.0-rc.2" }, "devDependencies": { "@eslint/js": "^9.11.1", "@tanstack/react-query-devtools": "^5.59.0", "@types/node": "^22.7.4", "@types/react": "^18.3.10", "@types/react-dom": "^18.3.0", "@types/styled-components": "^5.1.34", "@vitejs/plugin-react-swc": "^3.5.0", "eslint": "^9.11.1", "eslint-plugin-react-hooks": "^5.1.0-rc.0", "eslint-plugin-react-refresh": "^0.4.12", "globals": "^15.9.0", "typescript": "^5.6.2", "typescript-eslint": "^8.7.0", "vite": "^5.4.8" }, "packageManager": "yarn@4.5.0" }// tsconfig.json { "compilerOptions": { "target": "ES2020", "useDefineForClassFields": true, "lib": ["ES2020", "DOM", "DOM.Iterable"], "module": "ESNext", "skipLibCheck": true, /* Bundler mode */ "moduleResolution": "node", "allowImportingTsExtensions": true, "allowSyntheticDefaultImports": true, "resolveJsonModule": true, "isolatedModules": true, "esModuleInterop": true, "jsx": "react-jsx", "noEmit": true, /* Linting */ "strict": true, "noUnusedLocals": true, "noUnusedParameters": true, "noFallthroughCasesInSwitch": true, "baseUrl": ".", "paths": { "@/*": ["./src/*"] } }, "include": ["src", "**/*.ts", "**/*.tsx"] } 타입스크립트 버전 : 5.6.2vsc 버전 : September 2024 (version 1.94)시도한 것> vsc 재시작, 재설치
-
미해결김영한의 실전 자바 - 기본편
참조형 변수 관련해서 질문이 있습니다.
기본형 변수와 참조형 변수에 대해서 공부하던 중 참조형 변수에 대해서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객체를 만들고 변수에 할당을 하면 변수에는 해당 객체가 저장된 주소값을 저장한다는 내용은 이해를 했습니다. 하지만 곱씹어 보면서 궁금했던 점이 주소값도 결국 숫자일텐데 기본형 변수와 주소값을 어떻게 구별하는지 궁금합니다.조금 더 풀어서 설명하면 변수에 저장된 숫자값을 기본형 변수인지 참조형 변수의 참조값인지 Java가 구별하는 메커니즘이 궁금합니다. 구글링을 해봤는데 기본형 변수와 참조형 변수의 차이점과 같은 표면적인 내용에 대해서만 나와서 질문드립니다. 강의 잘 듣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for i in lst의 뜻이 무엇인가요?
우선 제가 이 문제를 풀었던 방식을 설명드려보겠습니다.i는 그냥 0부터 시작이다라고 생각해서 i=0일 때 0번 인덱스는 apple이니까 문자열이 맞으니까 result에 0-를 추가하고i=1일 때 1번 인덱스는 3인데 문자열이 아니라 숫자니까 1을 문자화 해서 result에 이어붙여서 0-1이 되고이걸 쭉 반복해서 이 문제의 정답으로 0-12-34로 풀었습니다. 그런데 해설을 들어보니33분41초에서 강사님께서는 i는 처음에 apple을 가지고온다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아무래도 제가 접근을 잘못한 것 같습니다. for i in lst을 제가 for i in range(len(lst))으로 보고 잘못 풀었던 것일까요? for in in lst는 그냥 lst의 인덱스가 아니라 그 값을 하나씩 가지고 온다는 뜻인가요?
-
해결됨PM을 위한 데이터 리터러시(프로덕트 데이터 분석)
강의 수강 목적
강의를 통해 얻고자 하는 것데이터를 읽고 문제 해결에 적합한 전략을 세워 제안데이터로 전체적인 흐름을 읽을 수 있는 이해도근거가 명확해 논리적인 가설과 방향성위의 것들을 갖춰 압축적인 경험이 없음을 보완하는 실력그를 위해 노력할 것매일 영상 하나는 수강할 것현 업무에 적용해 고민해보기수강한 내용 기록 및 포폴 업데이트수강 후 바라는 나의 모습그로스마케터로서 서비스 성장을 위해 개선해야하는 지표를 알고, 대안을 제시할 수 있게 됨
-
미해결텐서플로우 2.0으로 배우는 딥러닝 기초
강의 자료를 올려주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강의 자료를 올려주시면 좋을것 같습니다.
-
해결됨스프링 입문 - 코드로 배우는 스프링 부트, 웹 MVC, DB 접근 기술
MemberController안에 static class MemberForm을 만들어도 상관없나요?
[질문 내용]회원 등록을 위해 데이터를 전달 받을 객체를 위한 컨트롤러로 MemberForm클래스를 따로 만들지 않고 MemberContorller안에서 static class MemberForm클래스로 만들어도 상관없나요? @PostMapping("/members/new") public String create(MemberForm form) { Member member = new Member(); member.setName(form.getName()); System.out.println("member = " + member.getName()); memberService.join(member); return "redirect:/"; } static class MemberForm { private String name; public String getName() { return name; } public void setName(String name) { this.name = name; } }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 먹는 리액트(React.js) : 기초부터 실전까지
소괄호 자동 생성
안녕하세요 강사님, 강의 잘 듣고 있어요!!다름이 아니라,강사님 화면에서는 return 뒤에 작성하시고 소괄호가 자동으로 생성되면서 작성한 내용을 감싸주던데, 어떻게 하는건가요?ESLint, Prettier등 설치는 했어요 ㅠ.ㅠ 🚨 아래의 가이드라인을 꼭 읽고 질문을 올려주시기 바랍니다 🚨질문 하시기 전에 꼭 확인해주세요- 질문 전 구글에 먼저 검색해보세요 (답변을 기다리는 시간을 아낄 수 있습니다)- 코드에 오타가 없는지 면밀히 체크해보세요 (Date와 Data를 많이 헷갈리십니다)- 이전에 올린 질문에 달린 답변들에 꼭 반응해주세요 (질문에 대한 답변만 받으시고 쌩 가시면 속상해요 😢)질문 하실때 꼭 확인하세요- 제목만 보고도 무슨 문제가 있는지 대충 알 수 있도록 자세한 제목을 정해주세요 (단순 단어 X)- 질문의 배경정보를 제공해주세요 (이 문제가 언제 어떻게 발생했고 어디까지 시도해보셨는지)- 문제를 재현하도록 코드샌드박스나 깃허브 링크로 전달해주세요 (프로젝트 코드에서 문제가 발생할 경우)- 답변이 달렸다면 꼭 확인하고 반응을 남겨주세요- 강의의 몇 분 몇 초 관련 질문인지 알려주세요!- 서로 예의를 지키며 존중하는 문화를 만들어가요. - 인프런 서비스 운영 관련 문의는 1:1 문의하기를 이용해주세요.
-
해결됨한 입 크기로 잘라먹는 Next.js(v15)
특정 상황에서 상세페이지에 적합한 렌더링 방식은 무엇인가요?
현재 페이지 라우터 강의까지 듣고 궁금한 점이 생겨서 질문드립니다!Q1. 다음과 같은 상황일 때, book페이지는 어떤 렌더링 방식이 적합한가요? SSG, SSR, ISR 모두 완벽히 맞아 떨어진다는 생각이 들지 않아 질문드립니다데이터 변경 가능성이 적고, 관리자 서비스를 통해 데이터가 변경되나, 변경 시점이 명확하지 않은 경우on-demand revalidation 사용이 안되는 경우 (next12)Q2. 만약 on-demand revalidation을 사용할 때, 별도의 서비스에서 일어난 요청을 기준으로 렌더링을 해야한다면 그 요청이 일어났음을 알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
미해결프로그래밍, 어떻게 공부할 것인가
각 강의에서 올려주신다고 하는 블로그 링크 주소는 어디있을까요?
먼저는 좋은 강의 제공해주셔서 감사합니다.각 강의 중간에 세부 내용은 강사님 블로그를 참고하라고 하셨는데(예 : 컨퍼런스(강연)을 제대로 활용하는 방법), 해당 링크는 어디서 찾을 수 있을까요?링크를 공유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
해결됨(2025) 일주일만에 합격하는 정보처리기사 실기
16분29초 마지막 프린트문에 "변환된 문자열 : %\n", result 인데 개행을 해야 하는거 아닌가요?
시저암호 문제인제마지막에 개행하라는 것이 보여서 그럼 답이Nd sc 1 아닌가요?